그람미콜렙피스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람미콜렙피스과는 달고기목에 속하는 물고기 과이다. 그람미콜렙피스과는 그람미콜렙피스아과와 마크루로키투스아과 2개의 아과로 나뉘며, 3속 3종으로 구성된다. 이들은 태평양과 대서양의 심해에 서식하며, 저서성 심해어 그룹에 속한다. 몸의 형태는 아과에 따라 다르며, 그람미콜렙피스아과 어류는 은색을 띠고 세로로 긴 비늘을 가지며, 마크루로키투스아과 어류는 짙은 갈색 또는 검은색을 띠고 비늘이 없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그람미콜렙피스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학명 | Grammicolepididae |
명명자 | Poey, 1873 |
영명 | Tinselfishes |
하위 분류 | |
아과 및 속 | 그람미콜레피디나에아과 그람미콜레피스속 크세놀레피디크티스속 마크루로키티나에아과 마크루로키티스속 |
2. 하위 분류
그람미콜렙피스과는 2아과 3속 3종으로 분류된다.[5][1]
- '''그람미콜렙피스아과''' (Grammicolepidinae)
- * ''그람미콜렙피스속'' (''Grammicolepis'')
- * ''제노레피디크티스속'' (''Xenolepidichthys'')
- ** ''Xenolepidichthys dalgleishi'' Gilchrist 1922
- '''마크루로키투스아과''' (Macrurocyttinae)
- * ''마크루로키투스속'' (''Macrurocyttus'')
- ** ''Macrurocyttus acanthopodus'' Fowler, 1934
''Macrurocyttus'' 속은 과거에 소코마토우다이속(屬)과 함께 "소코마토우다이과(科) Macrurocyttidae"로 분류되기도 하였다.[3]
3. 계통 분류
2018년 그란데(eng) 등의 연구에 따르면, 달고기목 내에서 그람미콜렙피스과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이 제시되었다.[7] 이 연구는 분자 데이터와 형태학적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분석에서는 그람미콜렙피스과가 하나의 공통 조상으로부터 유래한 단계통군임을 시사하지만, 어떤 분류군과 가장 가까운 자매 관계인지는 명확하게 밝혀내지 못했다. 반면, ''Macrurocyttus'' 속을 포함하여 형태학적 특징을 기반으로 분석했을 때는, 그람미콜렙피스과가 여러 조상 계통을 포함하는 다계통군일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이 경우, ''Macrurocyttus''는 ''Grammicolepis'' 속과 ''Xenolepidichthys'' 속과는 계통적으로 거리가 먼 분류군으로 나타났다.
4. 형태
그람미콜렙피스과 어류는 좌우로 납작하고 측편된 체형으로, 몸이 깊고 납작하다.[2] 가장 큰 종인 가시비늘치 (''Grammicolepis brachiusculus'')는 최대 64cm까지 자란다. 이 과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폭이 좁고 세로 방향으로 길쭉한 비늘이다.[1]
아과에 따라 형태적 차이가 나타난다. 그람미콜렙피스아과에 속하는 ''Grammicolepis''와 ''Xenolepidichthys''는 몸이 은색을 띠며, 앞서 언급된 특유의 길쭉한 비늘을 가지고 있다. 반면, 마크루로키투스아과의 ''Macrurocyttus''는 몸이 짙은 갈색에서 검은색을 띠고 비늘이 없다. 크기도 최대 10cm 정도로 더 작으며, 매우 큰 눈과 골반 지느러미에 톱니 모양의 큰 가시 하나를 가지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어릴 때는 등지느러미의 두 번째 가시와 뒷지느러미의 첫 번째 가시가 매우 가늘고 길게 뻗어 있지만, 성장하면서 짧아진다.[2] 턱에는 1~2줄의 작은 이빨이 있으며, 보습골과 구개골에는 이빨이 없다.[2] 아가미 막은 협부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2]
5. 분포 및 생태
그람미콜렙피스과 어류는 모두 해수어이며, 태평양 및 대서양의 심해에 산재적으로 분포한다.[1] 해저 부근을 유영하며 생활하는 저서성 심해어 그룹이다. 대륙붕에서 대륙사면에 걸쳐 분포하며, 수심 100m-800m에서의 보고가 많다.[2] 소속된 3종은 모두 포획되는 경우가 드물어, 생태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
6. 추가 정보
일본에서는 이 과를 菱的鯛科|히시마토우다이카jpn라고 부르며, 한국에서도 ひしまとうだい|히시마토우다이jpn라는 이름이 통용되기도 한다.
참조
[1]
서적
Fishes of the World Fourth Edition
[2]
웹사이트
Grammicolepididae
http://www.fishbase.[...]
FishBase
2011-06-05
[3]
서적
Fishes of the World Third Edition
[4]
웹사이트
히시マト우ダイ科
http://jamarc.fra.af[...]
水産総合研究センター
2011-06-05
[5]
FishBase 과
[6]
웹인용
Thorny Tinselfish
http://www.amonline.[...]
Australian Museum Fish Site
2006-03-30
[7]
저널
Phylogenetic Relationships among Fishes in the Order Zeiformes Based on Molecular and Morphological Data
2018-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