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비수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극비수사는 1978년 부산에서 부유한 사업가의 딸이 유괴된 실제 사건을 바탕으로 제작된 영화이다. 딸을 구하기 위해 형사 공길용과 도사 김중산이 극비 수사를 펼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곽경택 감독이 연출하고 김윤석, 유해진 등이 출연했다. 2015년 개봉하여 286만 명 이상의 관객을 동원했으며, 제24회 부일영화상에서 곽경택 감독이 최우수 감독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곽경택 감독 영화 - 통증 (영화)
통증은 어린 시절의 트라우마로 통증을 느끼지 못하는 채권추심원과 혈우병 환자의 만남을 통해 서로의 고통을 공유하며 희망을 찾아가는 이야기를 그린 영화이다. - 곽경택 감독 영화 - 똥개 (영화)
영화 《똥개》는 어린 시절의 상처와 폭력적인 환경 속에서 성장한 주인공 차철민이 고아 소녀 정애를 만나면서 사랑과 연대를 통해 변화하는 과정을 그린 작품이다. - 대한민국의 버디 영화 - 공조 (영화)
2017년 개봉한 영화 《공조》는 북한 형사와 남한 형사가 위조지폐범을 잡기 위해 공조 수사를 펼치는 액션 코미디 영화로, 781만 명 이상의 관객을 동원하며 흥행에 성공했고 속편도 제작되었다. - 대한민국의 버디 영화 - 투캅스 2
투캅스 2는 1996년에 개봉한 강우석 감독의 대한민국 액션, 코미디 영화로, 회사 부도를 막기 위해 제작되었으며 박중훈, 김보성 등이 출연하였다. - 아동 유괴를 소재로 한 영화 - 마터스: 천국을 보는 눈
마터스: 천국을 보는 눈은 2008년 개봉한 프랑스 공포 영화로, 고문에서 탈출한 뤼시의 복수와 비밀 결사의 고문 실험을 통해 영적 깨달음을 얻는 과정을 폭력적으로 묘사한다. - 아동 유괴를 소재로 한 영화 - 다만 악에서 구하소서
《다만 악에서 구하소서》는 2020년에 개봉한 액션 느와르 영화로, 암살자 인남이 딸을 구하기 위해 태국으로 향하고, 형의 복수를 위해 그를 쫓는 야쿠자 레이와 대립하는 이야기를 그린다.
극비수사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감독 | 곽경택 |
제작자 | 유주영 박영진 |
각본 | 한대덕 곽경택 |
원작 | 공길용 |
주연 | 김윤석 유해진 |
촬영 | 기세훈 |
편집 | 김창주 |
음악 | 김형석 |
배급사 | 쇼박스 |
제작사 | 제이콘 컴퍼니 |
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상영 시간 | 108분 |
개봉일 | 2015년 6월 18일 |
제작비 | 8백만 미국 달러 |
흥행 수입 | 2천만 미국 달러 |
2. 줄거리
1978년 부산에서 사업가의 딸 은주가 하굣길에 유괴된다. 수사가 시작되지만, 범인은 열흘이 넘도록 연락이 없었다. 은주의 부모는 딸의 생사라도 알고자 점집을 전전했지만, 가는 곳마다 은주가 이미 죽었다는 절망적인 이야기만 듣는다.[1] 유일하게 김중산 도사만이 은주의 생존과 15일 후 범인에게서 연락이 올 것을 예언한다.[1] 한편, 경찰은 공길용 형사를 투입하지만, 공 형사는 아이가 잘못될 경우 책임을 질 것을 두려워하여 수사를 망설인다.[1] 그러나 아내의 질책과 부모의 간절한 부탁에 마음을 돌린 공 형사는 기존 수사 방식과 달리, 은주를 노린 우발적인 범행으로 판단하고 극비 수사에 착수한다.[1] 김중산 도사와의 협력을 통해 수사를 진행하지만, 경찰 내부는 아이의 생사보다 범인 검거에만 혈안이 되어 공길용 형사를 압박한다.[1]
wikitext
3. 등장인물
배우 역할 김윤석 공길용 역[1] 유해진 김중산/김금태 역[1] 송영창 은주 아빠 역[1] 이정은 은주 엄마 역[1] 장영남 은주 고모 역[1] 박효주 공길용 아내 역 (특별출연)[1] 장명갑 유상순 역[1] 이윤희 수사과장 역[1] 남문철 경찰국장 역[1] 이호철 배철호 역[1] 장지건 조 형사 역[1] 현봉식 유상기 역[1] 정호빈 서정학 역[1] 이준혁 매석환 역[1] 김란흔 서울형사 1 역[1] 주영호 서울형사 2 역[1] 김동혁 서울형사 3 역[1] 윤동주 서울형사 4 역[1] 민상우 서울형사 5 역[1] 신영진 서울형사 6 역[1] 이인규 서울형사 7 역[1] 김성래 서울형사 8 역[1] 홍환표 서울형사 9 역[1] 이종일 서울형사 10 역[1] 윤진하 천 기사 역 천명재 최칠성 역 김원진, 최원, 김태훈, 김태환, 조지환, 황성준 중부형사 역 김준형 사진여경 역 방희재, 최지원 제복여경 역 이재용 백제훈 역 (특별출연)[1] 곽인준 뽀삐남 역 (특별출연) 이효제 공성한 역 정현정 민혜 역 장시우 공길용 둘째아들 역 정민찬 공길용 셋째아들 역 장다윤 공길용 막내딸 역 신유나 김중산 첫째딸 역 김은령 김중산 둘째딸 역 신예나 김중산 막내딸 역 유순웅 서울아파트 경비 역 홍명기 철가방 역 정기용 최면사 역 신유경 애기무당 역 곽정택 이비인후과의사 역 홍지영 다방레지 역 오태은 뽀삐 아줌마 역 박시언 창건 역 손성호 선장 역 백남준 선원 1 역 박흥주 선원 2 역 유주영 레코드방 주인 역 엄옥란 약사 역 오송희 버스안내양 역 김곽경희 이비인후과 보호자 역 이현성 이비인후과 환자 역 금동현 영감 역 양중경 의원비서 역 김기찬 정육점 주인 역 문선영 사이다 광고모델 역 전백현 인쇄소 사장 역 이소영, 김숙희 담임선생님 역 장성훈 KBS 콧수염남 역 이석현 인기가수 역 서임철 이발사 역 김승영 고물상 역 제명희, 류문선, 정미경, 옥주리, 이진선 중산집 손님들 역 정미숙 광주리 보살 역 서동낙 신문배달부 역 강정연 동요대회 사회자 역 진선미 김중산 아내 역
3. 1. 주요 인물
3. 2. 부산 지역 경찰
3. 3. 서울 지역 경찰
배우 | 역할 |
---|---|
정호빈 | 서정학[1] |
이준혁 | 매석환[1] |
김란흔 | 서울형사 1[1] |
주영호 | 서울형사 2[1] |
김동혁 | 서울형사 3[1] |
윤동주 | 서울형사 4[1] |
민상우 | 서울형사 5[1] |
신영진 | 서울형사 6[1] |
이인규 | 서울형사 7[1] |
김성래 | 서울형사 8[1] |
홍환표 | 서울형사 9[1] |
이종일 | 서울형사 10[1] |
3. 4. 기타 인물
- 윤진하: 천 기사 역
- 천명재: 최칠성 역
- 김원진, 최원, 김태훈, 김태환, 조지환, 황성준: 중부형사 역
- 김준형: 사진여경 역
- 방희재, 최지원: 제복여경 역
- 이재용: 백제훈 역 (특별출연)
- 곽인준: 뽀삐남 역 (특별출연)
- 이효제: 공성한 역
- 정현정: 민혜 역
- 장시우: 공길용 둘째아들 역
- 정민찬: 공길용 셋째아들 역
- 장다윤: 공길용 막내딸 역
- 신유나: 김중산 첫째딸 역
- 김은령: 김중산 둘째딸 역
- 신예나: 김중산 막내딸 역
- 유순웅: 서울아파트 경비 역
- 홍명기: 철가방 역
- 정기용: 최면사 역
- 신유경: 애기무당 역
- 곽정택: 이비인후과의사 역
- 홍지영: 다방레지 역
- 오태은: 뽀삐 아줌마 역
- 박시언: 창건 역
- 손성호: 선장 역
- 백남준: 선원 1 역
- 박흥주: 선원 2 역
- 유주영: 레코드방 주인 역
- 엄옥란: 약사 역
- 오송희: 버스안내양 역
- 김곽경희: 이비인후과 보호자 역
- 이현성: 이비인후과 환자 역
- 금동현: 영감 역
- 양중경: 의원비서 역
- 김기찬: 정육점 주인 역
- 문선영: 사이다 광고모델 역
- 전백현: 인쇄소 사장 역
- 이소영: 담임선생님 역
- 김숙희: 담임선생님 역
- 장성훈: KBS 콧수염남 역
- 이석현: 인기가수 역
- 서임철: 이발사 역
- 김승영: 고물상 역
- 제명희, 류문선, 정미경, 옥주리, 이진선: 중산집 손님들 역
- 정미숙: 광주리 보살 역
- 서동낙: 신문배달부 역
- 강정연: 동요대회 사회자 역
3. 5. 1970년대 대한민국의 사회상
1978년 당시 대한민국은 박정희 대통령의 유신 체제 하에서 경제 성장은 이루었지만, 권위주의적인 통치가 이루어지던 시기였다. 영화 속 경찰의 수사 방식은 이러한 사회 분위기를 반영하듯 상명하복식 문화와 실적 위주의 수사가 만연했음을 보여준다.[1]3. 6. 부산 지역의 특수성
부산은 한국 제2의 도시이자 항구도시로, 다양한 사람들이 모여드는 곳이었다. 이러한 지역적 특성은 범죄 발생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이 되기도 했다. 영화에서는 표준말을 쓰는 점, 동네 지리를 몰라서 아이들이 가르쳐주는 대로 움직였다는 점, 차로 집에 데려다주겠다며 아이들을 차에 태웠다는 점을 들어 우발적인 범행으로 묘사하였다.[1]3. 7. 유괴 사건의 사회적 파장
1978년 부산광역시에서 발생한 유괴 사건은 단순한 범죄 사건을 넘어, 당시 사회 전체에 큰 불안감을 야기했다. 특히,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범죄는 온 국민의 공분을 샀으며, 이 사건은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를 반영한다.3. 8. 제작 과정
곽경택 감독은 실제 사건을 바탕으로 시나리오를 쓰고 연출했으며, 제24회 부일영화상에서 최우수 감독상을 수상했다.[1]3. 9. 흥행 성적
2015년 6월 18일에 개봉한 영화 ''극비수사''는 개봉 첫 주 박스오피스 2위로 시작하여 4일 동안 117만 명의 관객을 동원하여 94.6억원 (858만달러)의 수익을 올렸다.[7] 최종적으로는 286만 786명의 관객을 동원하여 22389535897KRW (19284778USD)의 수익을 기록했다.[8][9]4. 수상 내역
연도 | 시상식 | 부문 | 수상자 | 결과 |
---|---|---|---|---|
2015 | 제24회 부일영화상 | 작품상 | 극비수사 | 후보 |
감독상 | 곽경택 | 수상 | ||
남우주연상 | 김윤석 | 후보 | ||
남우조연상 | 유해진 | 후보 | ||
각본상 | 곽경택 | 후보 | ||
미술·기술상 | 김유정 | 후보 | ||
제36회 청룡영화상 | 최우수 작품상 | 극비수사 | 후보 | |
감독상 | 곽경택 | 후보 | ||
여우조연상 | 장영남 | 후보 | ||
2016 | 제52회 백상예술대상 | 후보 | ||
영화 시나리오상 | 곽경택 | 후보 | ||
한대덕 | 후보 |
참조
[1]
웹사이트
The Classified File (2014)
https://web.archive.[...]
2017-08-28
[2]
웹사이트
Herald Review: Two unsung heroes remembered in ''Classified File''
http://www.koreahera[...]
2015-06-15
[3]
웹사이트
True crime story unravels in ''Classified File''
http://koreajoongang[...]
2015-06-12
[4]
웹사이트
A-listers flock back to big screen in June
https://www.koreatim[...]
2015-06-05
[5]
뉴스
범인 매석환 검거되다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78-10-19
[6]
웹사이트
Kim Yun-seok shows a softer side in ''Classified''
http://koreajoongang[...]
2015-06-05
[7]
웹사이트
Classified File opens second-placed in South Korea
http://www.filmbiz.a[...]
2015-06-23
[8]
웹사이트
''Northern Limit Line'' breaks domestic records
http://koreajoongang[...]
2015-06-30
[9]
웹사이트
''Classified File'' lacks kick of crime thrillers
https://www.koreatim[...]
2015-06-29
[10]
뉴스
영화 '극비수사' 1978년 유괴사건 모티브…실제와 다른 점은? 2020.01.17
https://www.newscult[...]
뉴스컬쳐
2020-01-17
[11]
네이버 영화 정보
영화 극비수사
https://search.naver[...]
[12]
뉴스
7개월 만에 2번 납치 '효주양 사건' 영화로 만들어진다 2014.09.18
https://n.news.naver[...]
서울경제
2014-09-18
[13]
뉴스
범인 매석환 검거되다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78-10-19
[14]
뉴스
‘효주 양 납치사건’ 가족 살던 저택 사라졌다
https://www.kookje.c[...]
국제신문
2019-07-04
[15]
뉴스
12월15일 ‘극비수사’의 그 사건, 범인 잡히다
https://www.khan.co.[...]
경향신문
2020-12-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