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근접 발달 영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근접 발달 영역(ZPD)은 레프 비고츠키가 제안한 개념으로, 학습자가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수준과 타인의 도움을 받아 해결할 수 있는 수준 사이의 영역을 의미한다. 비고츠키는 학생들이 더 지식이 많은 사람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효과적으로 발달한다고 보았으며, ZPD는 학생의 지능을 평가할 때 단순히 지식뿐만 아니라 도움을 받아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까지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ZPD는 학습과 발달의 상호 관계를 설명하며, 적절한 학습은 잠재적 발달 수준을 실제적 발달 수준으로 전환시키고, 새로운 ZPD를 형성한다. 교육에서는 비계 설정(Scaffolding)을 통해 학생이 ZPD 내에서 활동하도록 지원하며, 협력 학습을 통해 효과적인 학습을 촉진할 수 있다. 그러나 대규모 학급 관리의 어려움, 학생의 인지 능력 차이, 과도한 경쟁과 입시 위주의 교육 등 ZPD와 비계 설정에는 몇 가지 한계와 과제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간의 발달 과정 - 어린이
    어린이는 생물학적, 법적, 사회적 정의에 따라 다양한 연령대로 정의되며, 신체적,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 발달을 거치며 놀이와 교육을 통해 성장하며, 아동 노동, 아동 학대, 기후 변화 등의 문제에 직면하여 사회적 안전망 구축이 필요하다.
  • 인간의 발달 과정 - 생일
    생일은 사람이 태어난 날을 기념하는 날로, 개인의 존재와 사회 구성원의 탄생을 축하하며, 돌잔치나 회갑잔치처럼 다양한 방식으로 기념되고, 성년의 기준이 되기도 한다.
근접 발달 영역

2. 역사적 기원

레프 비고츠키(1896–1934)


근접 발달 영역 개념은 레프 비고츠키가 학생들의 지능을 측정하는 학문적 지식 기반 시험에 반대하며 제시했다. 그는 장 피아제의 아동 중심 학습 이론을 발전시켜,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한 학습의 중요성을 강조했다.[4] 비고츠키는 이전 세대에서 물려받은 지식과 도구의 도움을 크게 받는 문화적 경험에 주목했다.

비고츠키는 학생의 지능을 평가할 때, 학생이 알고 있는 지식보다는 성인의 도움을 받아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과 독립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함께 보는 것이 더 낫다고 주장했다.[7] 그는 "두 아이가 시험에서 같은 성적을 낸다면, 그들의 발달 수준이 같은가?"라는 질문을 던졌고, 그렇지 않다고 결론지었다.[8]

비고츠키는 발달과 교육의 관련성을 고찰하여, 교육은 아이의 "현재 발달 수준"이 아닌, "예측적 발달 수준"에 기초해야 한다고 했다. 예측적 발달 수준은 발달해 가는 수준, 즉 성숙 중인 단계에 있으며, 다음에는 현재 발달 수준으로 이행할 것으로 예상되는 영역으로, 이것이 근접 발달 영역이다. 예를 들어, 지능 검사에서 현재 발달 수준이 같은 8세로 평가된 두 아이에게 도움을 준 결과, 각각 9세와 12세 수준의 문제를 해결했다면, 이 두 아이의 근접 발달 영역은 다르다. 그는 교육적 작용이 아이의 근접 발달 영역을 향해야 유효하다고 주장했다.

2. 1. 레프 비고츠키의 연구

레프 비고츠키(1896–1934)는 학생들의 지능을 측정하는 학문적 지식 기반 시험에 반대하며 근접 발달 영역(ZPD) 개념을 개발했다. 그는 장 피아제의, 아이들이 외롭고 자율적인 학습자라는 이론을 발전시키고자 했다.[4] 비고츠키는 학교 수업이 아이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면서, 아이들이 언어 개념은 자연스럽게 이해하지만 수학과 글쓰기는 그렇지 않다는 점에 주목했다. 그는 이러한 개념들이 학교 환경에서 가르쳐지기 때문에 학습자에게 더 어렵다고 결론지었다. 피아제는 발달과 가르침 사이에 명확한 구분이 있다고 믿었으며, 발달은 아이들 스스로의 노력으로 시작되는 자발적인 과정이라고 보았다. 피아제는 독립적인 사고를 지지했고, 학교의 교사 주도 수업에 비판적이었다.[5]

비고츠키는 자연스럽고 자발적인 발달을 중요하게 여겼지만, 아이들이 모든 것을 스스로 발견하도록 내버려두면 멀리 나아가지 못할 것이라고 믿었다. 그는 아이의 발달을 위해서는 더 지식이 많은 다른 사람(MKO)과의 상호 작용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MKO는 특정 과제, 아이디어 또는 개념과 관련하여 학습자보다 더 나은 이해 또는 더 높은 능력 수준을 가진 사람을 의미한다.[6] 비고츠키는 좋은 교사가 너무 어려운 자료를 제시해서는 안 된다고 언급했다.[5]

비고츠키는 학생의 지능을 결정하기 위해 학생이 무엇을 아는지를 검토하기보다는 성인의 도움을 받아 문제를 독립적으로 해결하는 능력과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검토하는 것이 더 낫다고 주장했다.[7] 그는 "두 명의 아이가 시험에서 동일한 성적을 낸다면, 그들의 발달 수준이 동일한가?"라는 질문을 제기했고, 그렇지 않다고 결론지었다.[8] 그러나 비고츠키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근접 발달 영역에 대한 그의 연구는 중단되었고, 대부분 미완성으로 남았다.[9]

비고츠키 사후 1934년 12월 10일에 인쇄되어 1935년에 출판된 『교수-학습 과정에서의 아동의 지적 발달』에는 "근접 발달 영역" 이론과 관련된 7편의 원고 또는 강연 속기록이 수록되어 있다. 편집자는 잔코프, 시프, 에리코닌이다.[29]

번호제목내용
1학령기에서의 교수·학습과 지적 발달의 문제비고츠키 사후 출판. 교육과 발달 간의 관계에 관한 이론적 견해를 간결하고 명료하게 표현.[30]
2취학 전 학습에서의 교수·학습과 발달비고츠키의 "전 러시아 취학 전 교육 회의" 강연 기록.[31]
3교수·학습과의 관련 속에서의 학령기 아동의 지적 발달의 다이내믹스1933년 12월 23일, 부브노프 명칭 교육 대학 장애학 강좌 보고 속기록. "근접 발달 영역" 이론이 실험 연구 데이터와 함께 기재.[32]
4아동기에서의 다중 언어 사용의 문제에 부쳐1928년경 쓰여진 원고. 소련 내 약 130개 민족어와 러시아어의 이중 언어 사용 문제, 특히 소수 민족 언어 문제에 주목.[33]
5쓰기 언어의 전사1929-1930년 성립된 원고 "정상 아동과 장애 아동의 문화적 발달의 역사 개요" 제7장. 언어와 사고 발달 문제를 다루며, 쓰기 언어 전사에 관해 논의. 아동의 놀이와 묘사 전사에서 문자 학습 시작 시점에 대한 실천적 문제 접근.[32]
6생활 개념과 과학 개념의 발달1933년 5월 20일, 레닌그라드 아동학 연구소 과학 방법론 협의회 보고 속기록. 심리학 연구와 교육학 연구의 통일 실현. 교수와 발달의 상호 관계에 관한 비고츠키 이론의 기본 자료.[32]
7교육 과정의 아동학적 분석에 관하여1933년 3월 17일, 엡슈타인 명칭 실험 장애학 연구소 강연 속기록. 교육 과정 속에서 발달해 가는 아동 연구가 그의 아동학 연구의 기본 입장.[34]


3. 주요 개념

비고츠키의 근접발달영역


레프 비고츠키의 인지발달 이론에서는 아동이 과제를 혼자서 해결할 수 있는 실제적 발달 수준과 성인, 혹은 유능한 타인의 도움을 받아 해결할 수 있는 잠재적 발달 수준을 구분한다. 근접 발달 영역(ZPD, Zone of Proximal Development)은 이 둘 사이의 간극을 의미한다.

비고츠키에 따르면, 아동은 실제적 발달 수준에 머무르거나 계속해서 유능한 타인의 도움만 받는 것이 아니라, 이 둘 사이의 간극을 줄여 현재 발달 수준을 점차 늘려가야 한다. 근접 발달 영역 안에서 정교한 교수-학습 작용이 일어나면 학습자의 현재 발달 수준이 향상되고, 아동은 성인과 같은 수준으로 계속 발달해 나간다는 것이다. 이는 장 피아제가 발달이 개인에 의해 일어난다고 보았던 것과는 달리, 개인과 사회가 지속적으로 접촉하고 교류하면서 인지적 발달이 일어난다고 본다.

근접 발달 영역은 성숙하지는 않았지만 성숙 과정에 있는 기능들, 즉 미래에 성숙할 것이지만 현재는 태아 상태에 있는 기능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기능들은 발달의 '새싹' 혹은 '꽃'이라고 불릴 수 있다. 실제적 발달 수준이 이미 이루어진 정신 발달을 나타내는 반면, 근접 발달 영역은 앞으로 기대되는 정신 발달을 보여준다.[38]

비고츠키는 학생의 지능을 평가하기 위해 학생이 혼자서 무엇을 할 수 있는지 뿐만 아니라, 사회적 환경에서 성인의 도움을 받아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7] 그는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인해 근접 발달 영역에 대한 연구를 대부분 미완성으로 남겼다.[9]

근접 발달 영역의 개념은 원래 정의에서 확장 및 수정되었다. 일반적으로 교사나 더 높은 기술을 가진 동료의 도움을 받을 때 발생하는 학습 영역을 의미하며,[1] 기술을 배우는 사람은 교사나 동료의 도움 없이는 이를 완료할 수 없다. 교사는 학생이 기술을 습득하도록 돕다가, 해당 과제에 더 이상 교사가 필요하지 않게 될 때까지 돕는다.[11]

제2 언어 습득의 맥락에서 ZPD는 많은 성인 학습자에게 유용할 수 있으며, 성인 동료가 ZPD에서 도움을 제공하기 위해 반드시 더 유능할 필요는 없다는 점을 고려하여, 비고츠키의 정의는 성인 제2 언어 발달 맥락에 더 적합하도록 조정되었다.[13]

비계 설정은 근접 발달 영역 개념과 관련하여, 어떤 행동을 수행하기 위한 "지원 지점"의 구조를 의미한다.[14] 이는 성인 또는 더 유능한 또래로부터 받는 도움이나 지침을 통해 아이가 ZPD 내에서 활동할 수 있게 한다.[15] 비계 설정은 제롬 브루너, 데이비드 우드, 게일 로스에 의해 처음 개발되었으며,[4] 학생들에게 ZPD 내에서 가장 어려운 과제를 제공하는 것이 가장 큰 학습 효과를 가져온다.[16] 비계 설정은 교사 또는 더 유능한 또래가 학생의 ZPD 내에서 필요에 따라 도움을 주고, 그 도움이 불필요해짐에 따라 점차 줄여나가는 과정을 의미한다.[17]

근접 발달 영역을 활용하는 예시로는 말을 배우는 과정이 있다. 아이의 이 발달함에 따라 사고 방식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다시 말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친다.[8] 웰스(Wells)는 춤을 배우는 과정을 예시로 들며, 춤을 배우는 사람이 다른 사람들의 동작을 따라 하면서도 자신의 개성을 더하는 것을 설명한다.[18] 수학에서는 학생들이 하나 이상의 예제를 본 수학 문제를 통해 근접 발달을 경험한다.

3. 1. 실제적 발달 수준

'''실제적 발달 수준'''은 이미 완성된 발달 주기의 결과로 정해진 아동의 정신 기능 발달 수준을 말한다. 아동의 정신 발달에 관한 연구들은 아동이 혼자서 할 수 있는 것들이 정신 능력의 지표라고 가정한다. 아동에게 여러 검사를 하거나 다양한 난이도의 여러 과업을 수행하게 하여, 아동이 어떤 난이도의 과업을 어떻게 해결하는가를 기반으로 아동의 정신 발달 정도를 판단한다.[37]

아동의 실제적 발달 수준은 이미 성숙한 기능들이라고 간단하게 정의할 수 있다. 만일 어떤 아동이 이러저러한 것들을 독립적으로 할 수 있으면, 이것은 이러저러한 기능들이 아동의 내부에서 성숙했다는 것을 의미한다.[38] 예를 들어, 지능 검사를 통해 현재 발달 수준을 평가할 수 있다.

3. 2. 잠재적 발달 수준

성인이나 더 유능한 또래의 도움을 받아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이는 레프 비고츠키가 학생들의 지능을 측정하는 수단으로 학문적 지식 기반 시험을 사용하는 것에 반대하며 제시한 개념이다.[4] 근접 발달 영역 내의 모든 기능은 특정 내부 맥락 내에서 성숙한다. 이 맥락에는 기능의 실제 수준, 아동이 어떤 유형의 도움에 얼마나 민감한지, 도움이 제공되는 순서, 이전에 형성된 고정관념의 유연성 또는 경직성, 아동의 협력 의지 등이 포함되며, 기능의 잠재적 발달 수준 진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12][9]

비고츠키는 발달과 교육의 관련성을 고찰하여, 교육은 아이의 "현재 발달 수준"이 아닌, 발달해 가는 수준, 즉 예측적 발달 수준에 기초하여 이루어져야 한다고 했다. 예를 들어, 지능 검사를 통해 현재 발달 수준이 같은 8세로 평가된 두 아이에게 도움이나 힌트를 제공한 결과, 각각 9세와 12세에 도달했다면, 이 두 아이의 근접 발달 영역은 다르다.

4. 학습과 발달의 상호 관계

비고츠키는 좋은 학습이 이루어지면 잠재적 발달 수준이 실제적 발달 수준으로 전환되고, 새로운 근접발달영역이 형성된다고 보았다.[39] 그는 "오늘의 근접발달영역이 내일의 실제적 발달 수준이 된다"고 언급하며,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아 할 수 있었던 것이 미래에는 혼자서 할 수 있게 된다고 설명했다.[39]



학습은 주변 사람들과의 상호작용 및 협동을 통해 내적 발달 과정을 일깨운다.[40] 이러한 과정이 내면화되면, 독립적인 발달적 성취를 이루게 된다.[40] 비고츠키는 적절하게 조직된 학습이 정신 발달을 가져오고, 학습과 분리할 수 없는 다양한 발달 과정들을 작동시킨다고 보았다.[40]

비고츠키의 원래 개념 이후, 근접 발달 영역에 대한 정의는 확장되고 수정되었다. 근접 발달 영역은 교사나 더 높은 기술을 가진 동료의 도움을 받을 때 발생하는 학습 영역이다.[1] 기술을 배우는 사람은 교사나 동료의 도움 없이는 이를 완료할 수 없다. 교사는 학생이 기술을 습득하도록 돕다가, 해당 과제에 더 이상 교사가 필요하지 않게 될 때까지 돕는다.[11]

비고츠키는 학생이 혼자서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살펴보는 것뿐만 아니라, 사회적 환경에서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살펴봐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교사의 역할이 아동의 생각을 단계별로 발전시키는 것이라고 언급하며, 모든 아이들을 똑같이 가르칠 수 없으며, 어떤 학생들이 어떤 수업을 들을 준비가 되었는지 결정해야 한다고 하였다.[5]

제2 언어 습득의 맥락에서 근접발달영역(ZPD)는 많은 성인 학습자에게 유용할 수 있다. 성인 동료가 ZPD에서 도움을 제공하기 위해 반드시 더 유능할 필요는 없다는 사실을 근거로, 비고츠키의 정의는 성인 제2 언어 발달 맥락에 더 잘 맞도록 조정되었다.[13]

비고츠키는 교육이 아이의 "현재 발달 수준"이 아닌, 발달해 가는 수준, 즉 예측적 발달 수준에 기초해야 한다고 했다. 예를 들어, 지능 검사를 통해 현재 발달 수준이 같은 8세로 평가된 두 아이에게 도움을 제공한 결과, 각각 9세와 12세에 도달했다면, 이 두 아이의 근접 발달 영역은 다르다. 교육적인 작용은 아이의 근접 발달 영역을 향해야 비로소 유효하다고 비고츠키는 주장했다.

5. 비계 설정 (Scaffolding)

비계 설정은 근접 발달 영역 (ZPD) 개념을 교육 현장에 적용하면서 제롬 브루너, 데이비드 우드, 게일 로스 등이 발전시킨 개념이다.[4] 교사나 더 유능한 또래가 학생의 ZPD 내에서 필요에 따라 도움을 주고, 그 도움이 불필요해짐에 따라 점차 줄여나가는 과정을 의미한다. 마치 건설 현장에서 건물이 완성된 후 비계를 제거하는 것과 같다.[17] 와스와 골딩에 따르면, 비계 설정을 통해 학생들이 할 수 있는 가장 어려운 과제를 제공하는 것이 가장 큰 학습 효과를 가져온다.[16]

메르세데스 차베스 자이메, 앤 브라운 등에 의해 비계 설정 개념이 더욱 발전되었다. 상호 교수 및 역동적 평가 등 여러 교육 프로그램이 ZPD에 대한 해석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15]

비고츠키는 교육이 아이의 "현재 발달 수준"이 아니라, "발달해 가는 수준", 즉 "예측적 발달 수준"에 기초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현재 발달 수준"(아이가 혼자서 문제를 해결하여 결정되는 수준)과 "내일의 발달 수준"(타인과의 협동 속에서 문제를 풀 때 도달하는 수준) 간의 차이가 아이의 근접 발달 영역을 결정하며, 교육적 작용은 이 영역을 향해야 유효하다고 보았다.

5. 1. 비계 설정의 예시

아이들이 말을 배우는 것은 ZPD를 사용하는 한 가지 예시이다. 아이의 이 발달함에 따라, 이는 아이의 사고 방식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다시 아이의 말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친다.[8] 이 과정은 아이가 어휘력을 확장할 수 있는 더 많은 문을 열어준다. 자신의 생각을 더 효과적인 방식으로 전달하는 법을 배우면서, 더 정교한 피드백을 받게 되며, 따라서 어휘력과 말하기 기술이 향상된다. 웰스(Wells)는 춤을 추는 예시를 든다. 어떤 사람이 춤을 배우는 경우, 춤을 추는 다른 사람들을 보고 그들의 동작을 따라 한다. 춤 동작을 정확하게 따라 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할 수 있는 것을 가져와 자신의 개성을 더한다.[18]

수학 문제에서 근접 발달은 학생들이 하나 이상의 예제를 본 문제를 사용한다. 중등 학교에서는 어느 정도의 비계 설정이 제공되며, 일반적으로 대학교 수준에서는 훨씬 적다. 궁극적으로 학생들은 영역을 벗어난 과제에 직면했을 때 도서관 자료나 튜터를 찾아야 한다.

운전을 배우는 것도 비계 설정의 예시이다. 부모와 운전 강사는 자동차 작동 방식, 스티어링 휠의 올바른 손 위치, 도로를 스캔하는 기술 등을 보여주면서 운전 학생들을 안내한다. 학생이 진전됨에 따라, 점점 더 적은 지침이 필요하며, 마침내 혼자 운전할 준비가 된다.

비계 설정의 개념은 다양한 삶의 상황에서 관찰될 수 있으며, 논쟁의 여지 없이 모든 사람이 배우는 방식의 기초가 된다.

6. 교육 현장에의 시사점



비고츠키는 교육이 아이의 "현재 발달 수준"이 아닌, 근접 발달 영역에 맞춰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즉, 아이가 혼자서는 해결할 수 없지만, 도움을 받으면 해결할 수 있는 수준의 과제를 제시하고, 적절한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지능 검사에서 같은 8세로 평가된 두 아이에게 도움을 주었을 때, 각각 9세와 12세 수준의 문제를 해결했다면, 두 아이의 근접 발달 영역은 다르다고 볼 수 있다.[23]

6. 1. 협력 학습의 중요성

여러 연구에서 협력 학습이 다양한 환경과 맥락에서 효과적임이 입증되었다.[20] 교사는 학생들이 스스로 할 수 없지만 도움을 받으면 할 수 있는 과제를 할당해야 한다. 학생이 독립적으로 과제를 완료하도록 충분한 도움을 제공한 다음, 그렇지 않으면 불가능했을 더 어려운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16] 또한 교사는 더 많은 지식을 가진 학생이 도움이 필요한 학생을 돕도록 할 수 있다. 특히 협력 학습의 맥락에서, 더 높은 수준의 이해를 가진 그룹 구성원은 덜 진보된 구성원이 근접 발달 영역 내에서 학습하도록 도울 수 있다.[21] 성인의 경우, 또래는 협력과 성공을 지원하기 위해 서로에게 도전해야 한다.[22] 학생의 근접 발달 영역(ZPD)을 활용하면 각 어린이를 도전 과제로 안내하고 학생 협력을 성공 도구로 사용하여 특히 유아 학습에 도움이 될 수 있다.

7. 한계점 및 과제

교육에서 비계 설정은 몇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다. 학생 학습에 충분한 지원을 제공할 때 극복해야 할 가장 큰 장애물 중 하나는 다수의 학생을 관리하는 것이다. 비계 설정은 학생들에게 비교적 독립적인 과정이어야 하지만, 개인 지도를 제공하는 초기 단계는 대규모 학급을 관리할 때 쉽게 간과될 수 있다. 따라서 시간은 비계 설정 수업 계획에서 중요한 요소가 된다.[24] 더 많은 학습자를 수용하기 위해 교사는 종종 수업의 일부를 생략하거나 각 학생에게 할애하는 시간을 줄여야 한다. 결과적으로, 이렇게 서두르는 수업 시간은 학생들의 흥미를 잃게 하거나 심지어 동료 간의 잘못된 가르침을 초래할 수 있다. 학생의 인지 능력 또한 비계 설정의 성공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상적으로는, 학생들은 이러한 근접 발달 영역 내에서 학습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다. 학생들의 개별 능력과 기초 지식을 파악하는 것은 성공적인 비계 설정의 과제가 될 수 있다. 만약 학생들이 이러한 학습 방식에 대한 준비가 덜 되어 있고, 그들 스스로를 동료들과 비교하기 시작하면, 그들의 자기 효능감과 학습 동기가 저해될 수 있다.[25] 이러한 비계 설정과 근접 발달 영역의 장애물들은 교사들이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거나 그들의 교수법을 변경할 수 있도록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8. 다중 언어 사용 문제 (참고)

1928년경에 쓰여진 원고에서 비고츠키소련 연방 내 약 130개 민족과 거의 같은 수의 민족어가 존재하여, 민족 모국어와 러시아어의 이중 언어 사용 문제가 있었으며, 특히 소수 민족의 언어 문제에 주목했다.[33] 이러한 다중 언어 사용 환경은 대한민국 사회에서도 다문화 가정 증가 등으로 인해 나타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필요하다.

참조

[1] 간행물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Penguin dictionary of psychology 2009
[2] 서적 Vygotsky: An Intellectual Biography https://www.routledg[...] Routledge 2018
[3] 서적 Vygotsky: His life and works and Vygotsky's approach to development Natl. Assoc for Educ. Of Young Children 1995
[4] 간행물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and Cultural Tools Scaffolding, Guided Participation Key concepts in developmental psychology 2006
[5] 서적 Theories of development: Concepts and applications Prentice Hall 2010
[6] 웹사이트 Lev Vygotsky https://www.simplyps[...] 2018-08-05
[7] 서적 Vygotsky: His life and works and Vygotsky's approach to development Natl. Assoc for Educ. of Young Children 1995
[8] 간행물 Stages of development Curriculum connections psychology: Cognitive development 2010
[9] 논문 The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What Vygotsky Did Not Have Time to Write 2009-11
[10] 서적 Essentials of Educational Psychology: Big Ideas to Guide Effective Teaching Pearson
[11] 간행물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Encyclopaedic dictionary of psychology 2006
[12] 논문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The Diagnostic Capabilities and Limitations of Indirect Collaboration 2009
[13] 논문 Implications of Vygotsky's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ZPD) in Teacher Education: ZPTD and Self-scaffolding 2011
[14] 논문 The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A Spatiotemporal Model 2009
[15] 웹사이트 What is "Scaffolding" and the "ZPD"? 2009-07-28
[16] 논문 Sharpening a tool for teaching: the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2014
[17] 서적 Seeing the Child, Knowing the Person Teachers College Press 1995
[18] 서적 Dialogic Inquiries in education: Building on the legacy of Vygotsk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19] 서적 Educational Psychology: Windows on Classrooms Pearson
[20] 논문 Toward a theory of teacher community 2001
[21] 웹사이트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www.simplypsychology[...] 2012
[22] 논문 Teachers at the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Collaboration promoting or hindering the development process 2014
[23] 논문 Towards a theory of knowledge acquisition – re-examining the role of language and the origins and evolution of cognition https://doi.org/10.1[...] 2022-04-11
[24] 웹사이트 Advantages & Disadvantages of Scaffolding in the Classroom https://www.theclass[...] 2019-11-13
[25] 웹사이트 Benefits and Challenges of Scaffolding http://scaffoldingli[...]
[26] 서적 ヴィゴツキー心理学辞典 新読書社 2007
[27] 서적 発達の理論をきずく用語辞典 ミネルヴァ書房 1986
[28] 서적 ヴィゴツキー入門 子どもの未来社 2006
[29] 서적 「発達の最近接領域」の理論 三学出版 2003
[30] 서적 思考と言語 (上) 明治図書出版 1962
[31] 서적 思考と言語 (上) 明治図書出版 1962
[32] 서적 子どもの知的発達と教授 明治図書出版 1975
[33] 서적 子どもの知的発達と教授 明治図書出版 1975
[34] 서적 子どもの知的発達と教授 明治図書出版 1975
[35] 서적 ヴィゴツキー心理学辞典 新読書社 2007
[36] 서적 마인드 인 소사이어티 학이시습 2009
[37] 서적 마인드 인 소사이어티 학이시습 2009
[38] 서적 마인드 인 소사이어티 학이시습 2009
[39] 서적 마인드 인 소사이어티 학이시습 2009
[40] 서적 마인드 인 소사이어티 학이시습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