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린자리 베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린자리 베타는 G형 초거성으로, 항성분류는 G1 Ib–IIa이다. 약 6천만 년 된 것으로 추정되며, 태양의 6.5배 질량에 태양 반지름의 58배 크기를 가지고 있다. 기린자리 베타는 1967년 0.25초 동안 밝아지는 현상이 관측되었으며, 이는 엑스선 방출과 연관되어 자기력선에 의한 초거대 태양 플레어 방출로 추정된다. 겉보기 등급은 4.02이며, 은하수와 가까워 우주진에 의해 밝기가 15%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기린자리 베타에는 두 개의 반성이 존재하며, 이들은 기린자리 베타로부터 약 25,000 천문단위 떨어져 있고 공전 주기는 백만 년 이상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G형 밝은 거성 - 까마귀자리 베타
까마귀자리 베타는 까마귀자리에 있는 밝은 거성으로, 태양 질량의 약 3.7배, 반지름은 약 16배이며, 분광형은 G5 II이고, 겉보기 등급은 2.60에서 2.66 사이로 변하는 변광성이며, 동아시아 천문학에서는 진수를 이루는 별 중 하나로, 2018년에는 '크라즈'라는 고유 명칭이 국제천문연맹에 의해 공식적으로 승인되었다. - G형 밝은 거성 - 그물자리 알파
그물자리 알파는 중화권에서 황새치자리 세타와 함께 협백으로 불리며, 그물자리 알파만을 지칭할 때는 협백이라고도 한다. - G형 초거성 - 세페우스자리 델타
세페우스자리 델타는 5.36627일 주기로 밝기가 변하는 세페이드 변광성의 원형별로, 주기-광도 관계를 통해 거리를 측정하는 데 중요하며 지구로부터 약 800~890광년 떨어져 있고 분광 동반성을 가진 연성계이다. - G형 초거성 - 고물자리 RS
고물자리에 위치한 고물자리 RS는 41.5일 주기로 밝기가 변하는 고전 세페이드 변광성으로, 빛의 반향을 통해 지구로부터 약 6,230광년에서 6,500광년 떨어진 초거성이다. - 기린자리 - NGC 2403
NGC 2403은 윌리엄 허셜이 발견한 M81 은하군 소속의 정면나선은하로, 800만 광년 거리에 있으며, 국부 은하군 너머에서 세페이드 변광성이 처음 발견되었고, 활발한 별 형성 활동과 왜소 은하 동반, 그리고 밝은 청색 변광성들을 포함한다. - 기린자리 - 글리제 445
지구에서 약 17.1 광년 떨어진 적색 왜성인 글리제 445는 태양 질량의 4분의 1에서 3분의 1 정도이며 표면 온도와 밝기가 낮고 X선원으로 알려져 있으며, 보이저 1호가 약 4만 년 후 1.6 광년 이내로 접근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린자리 베타 | |
---|---|
위치 정보 | |
![]() | |
기본 정보 | |
이름 | 기린자리 베타 |
바이어 명명법 | 기린자리 베타 |
플램스티드 명명법 | 기린자리 10 |
HR 번호 | 1603 |
HD 번호 | 31910 |
HIP 번호 | 23522 |
SAO 번호 | 13351 |
기타 명칭 | FK5 182 BD+60°856 ADS 3615 A WDS J05034+6027 |
관측 정보 | |
기원 | J2000 |
별자리 | 기린자리 |
겉보기 등급 | 4.02 |
시선 속도 | -1.90 km/s |
고유 운동 (적경) | -6.50 밀리초각/년 |
고유 운동 (적위) | -14.15 밀리초각/년 |
연주시차 | 3.74 밀리초각 |
절대 등급 | -3.1 |
특징 | |
분광형 | G1Ib–IIa |
B-V 색지수 | +0.93 |
U-B 색지수 | +0.62 |
R-I 색지수 | +0.49 |
변광성 여부 | 알려지지 않음 |
물리적 특성 | |
질량 | 6.5 M☉ |
반지름 | 58 ± 13 R☉ |
광도 | 1,592 L☉ |
표면 온도 | 5,300 K |
금속 함량 | -0.06 |
표면 중력 | 1.79 cgs |
자전 속도 | 11.7 km/s |
나이 | 5300만 년 |
기타 | |
데이터베이스 | HD+31910 |
2. 성질
기린자리 베타는 항성분류상 G형 초거성으로 항성분류는 G1 Ib–IIa이다.[18] 겉보기 등급은 4.02이며, 절대등급은 -3.1이다. 그러나 은하수와 가까워 우주진에 의한 성간 소광으로 인해 지구에서 보이는 밝기가 원래 밝기보다 15% 정도 감소한다.[23]
2. 1. 물리적 특징
기린자리 베타는 G형 초거성으로, 항성분류는 G1 Ib–IIa이다.[18] 나이는 6000만 살로 추정되며, 자전 속도는 11.7km/s로[20] 이 정도 진화 단계에 있는 별 치고는 매우 빠르다. 이 때문에 기린자리 베타에 뜨거운 목성이 있다는 이론이 제기되기도 하였다.[21] 색등급도에서 기린자리 베타와 비슷한 위치에 있는 별들은 불안정해 세페이드 변광성이 되지만, 기린자리 베타는 변광성이 아니며, 기껏해야 수십 일 간격으로 진동이 나타나는 것뿐이다. 왜 별이 상당히 안정적으로 유지되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23]기린자리 베타의 질량은 태양의 6.5배이며,[18] 크기는 태양의 58배로 태양과 지구 사이 거리의 3분의 1 정도이다. 밝기는 태양의 1,592배이고,[17] 광구의 유효온도는 약 5,300K이다.[18]
1967년 항공기로 유성을 관측하던 중 기린자리 베타가 약 0.25초 동안 급격히 밝아졌던 현상이 관측되었다.[23] 이 현상은 기린자리 베타가 엑스선을 방출한다는 사실과 연관하여, 자기력선의 영향으로 인해 초거대 플레어를 방출했던 것이라고 추정되고 있다.[23]
기린자리 베타의 겉보기등급은 4.02이며 이를 통해 계산한 절대등급은 -3.1이지만, 기린자리 베타의 위치가 은하수와 가깝기 때문에 우주진에 의해 원래 밝기보다 지구에서 보이는 밝기가 15% 정도 감소하였다고 추정되고 있다.[23]
2. 2. 변광성 여부
색등급도에서 기린자리 베타와 비슷한 위치에 있는 별들은 불안정해 세페이드 변광성이 되지만, 기린자리 베타는 변광성이 아니며, 수십 일 간격으로 진동이 나타나는 것 뿐이다. 왜 별이 상당히 안정적으로 유지되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23]2. 3. 특이 현상
1967년 항공기로 유성을 관측하던 중 기린자리 베타가 약 0.25초 동안 급격히 밝아졌던 현상이 관측되었다.[23] 이 현상은 기린자리 베타가 엑스선을 방출한다는 사실과 연관하여, 자기력선의 영향으로 인해 초거대 플레어를 방출했던 것이라고 추정되고 있다.[23]2. 4. 성간 소광
기린자리 베타의 겉보기등급은 4.02이며 이를 통해 계산한 절대등급은 -3.1이다. 그러나 기린자리 베타는 은하수와 가까워 우주진에 의한 성간 소광으로 인해 지구에서 보이는 밝기가 원래 밝기보다 15% 정도 감소한다.[23]3. 반성
기린자리 베타에는 반성이 2개 있다.,[22] 이들은 기린자리 베타로부터 약 25,000 AU 떨어져 있으며, 공전 주기는 백만 년 이상이다.[23]
3. 1. 반성의 특징
기린자리 베타에는 반성이 2개 있다. 하나는 겉보기 등급 7등급에 분광형 A5형 별로 84 각초만큼 떨어져 있으며, 다른 하나는 겉보기 등급 12등급에 분광형 F형 별로 15 각초만큼 떨어져 있다.[22] 두 반성은 기린자리 베타로부터 약 25,000 AU 떨어져 있으며, 공전 주기는 백만 년 이상이다. 이 이외에는 반성에 관해 밝혀진 사실이 없다.[23]3. 2. 추가 연구
기린자리 베타의 반성 2개는 약 25,000 AU 떨어져 있으며, 공전 주기는 백만 년 이상이다.[23] 이 중 하나는 7등급 A5형 별로 84 각초만큼 떨어져 있고, 다른 하나는 12등급 F형 별로 15 각초만큼 떨어져 있다.[22] 이 외에는 반성에 관해 밝혀진 사실이 없다.[23]참조
[1]
논문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2]
논문
VizieR Online Data Catalog: Catalogue of Stellar Photometry in Johnson's 11-color system
[3]
논문
Carbon abundance and the N/C ratio in atmospheres of A-, F- and G-type supergiants and bright giants
[4]
논문
Pulkovo Compilation of Radial Velocities for 35 495 Hipparcos stars in a common system
[5]
논문
The Third Signature of Granulation in Bright-giant and Supergiant Stars
[6]
논문
Fundamental parameters and infrared excesses of Hipparcos stars
[7]
논문
Accurate luminosities from the oxygen λ7771-4 Å triplet and the fundamental parameters of F-G supergiants
[8]
논문
On the Nature of Rapidly Rotating Single Evolved Stars
[9]
논문
On the Nature of Rapidly Rotating Single Evolved Stars
2015-03-01
[10]
논문
The 2001 US Naval Observatory Double Star CD-ROM. I. The Washington Double Star Catalog
[11]
웹사이트
SIMBAD Astronomical Database
https://simbad.u-str[...]
2015-12-16
[12]
서적
輝星星表第5版
[13]
논문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14]
논문
VizieR Online Data Catalog: Catalogue of Stellar Photometry in Johnson's 11-color system
[15]
논문
The Third Signature of Granulation in Bright-giant and Supergiant Stars
[16]
논문
Pulkovo Compilation of Radial Velocities for 35 495 Hipparcos stars in a common system
[17]
논문
Fundamental parameters and infrared excesses of Hipparcos stars
[18]
논문
Carbon abundance and the N/C ratio in atmospheres of A-, F- and G-type supergiants and bright giants
[19]
논문
Accurate luminosities from the oxygen λ7771-4 Å triplet and the fundamental parameters of F-G spergiants
[20]
논문
On the Nature of Rapidly Rotating Single Evolved Stars
[21]
논문
On the Nature of Rapidly Rotating Single Evolved Stars
2015-03-01
[22]
논문
The 2001 US Naval Observatory Double Star CD-ROM. I. The Washington Double Star Catalog
[23]
웹인용
Beta Camelopardalis
http://www.astro.uiu[...]
2018-01-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