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절대등급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절대등급은 천문학에서 천체의 밝기를 나타내는 척도로, 항성, 은하, 태양계 천체, 유성 등 다양한 천체에 적용된다. 항성 및 은하의 절대등급은 10 파섹 거리를 기준으로 하며, 겉보기등급과의 관계를 통해 계산할 수 있다. 태양계 천체의 절대등급은 태양과 지구로부터 1 천문단위 거리에 있을 때의 겉보기등급으로 정의되며, 겉보기등급 계산에 위상각과 거리 등의 요소를 고려한다. 유성의 절대등급은 관측자 천정 상공 100km를 기준으로 측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관측천문학 - 천정
    천정은 관측자의 머리 바로 위 천구상의 점으로, 천정각 측정의 기준 방향으로 사용되며, 태양의 위치, 기블라 관측, 천정 망원경, 천체항해, 그리고 지심 천정과 측지 천정의 구분에 활용된다.
  • 관측천문학 - 달의 위상
    달의 위상은 달이 지구 주위를 공전하면서 태양과의 상대적 위치 변화에 따라 삭, 상현달, 망, 하현달 등의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약 29.5일의 주기로 변화하고 달력, 전통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절대등급
절대 등급 정보
정의천체가 10 pc (약 32.616 광년) 거리에 있다고 가정했을 때의 겉보기 등급
기호M
설명
의미천체의 광도를 나타내는 척도
특징절대 등급이 작을수록 밝은 천체
절대 등급이 클수록 어두운 천체
태양의 절대 등급
태양의 절대 등급약 +4.83
볼로미터 등급
볼로미터 등급천체의 모든 복사 에너지에 대한 절대 등급
계산
공식M = m - 5 \times (\log_{10}(D) - 1)
변수M: 절대 등급
m: 겉보기 등급
D: 파섹 단위의 거리
거리 지수m - M = 5 \times (\log_{10}(D) - 1)
기타
관련 개념겉보기 등급

2. 항성 및 은하의 절대등급 (M)

항성은하의 절대등급은 10 파섹(약 32.616 광년, 308조 5700만 킬로미터)을 기준점으로 한다. 은하성운과 같은 천체들은 별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크기가 커 10 pc 거리에서 바라봤을 때의 광도를 실제로 구해낼 수는 없지만, 절대등급 계산 시에는 항성과 계산법이 같다. 은하의 광도는 은하 전체에서 복사되는 빛을 모두 합쳐 광도를 측정한 다음, 이 빛 전체가 별처럼 점 하나에서 복사된다고 가정한 다음 10 pc 거리에서의 등급을 계산한다. 즉, 모든 천체의 절대등급은 ''만약에'' 10 pc 거리에 천체가 있다면 측정될 겉보기 등급과 동등하다.

절대등급을 표시할 때는 어떤 전자기파 파장을 대상으로 하였는지를 표시하여야 하며, 만약 모든 파장을 측정한다면 절대복사등급이 된다. 보통 절대복사등급은 V 필터를 통해 구한 절대 실시역 등급에 복사보정을 함으로써 구한다.

리겔(-7.0), 데네브(-7.2), 나오스(-6.0), 베텔게우스(-5.6) 등 맨눈으로 보이는 몇몇 별들은 10 pc 거리에 있었다면 행성들을 비추고 그림자를 만들 수 있었을 정도로 밝으며, 시리우스의 절대등급은 1.4로 태양보다 밝다. 태양의 절대등급은 그때그때 달라지지만, 보통 4.75 근방으로 계산된다.[49][50] 별들의 절대등급은 보통 −10 ~ +17이며, 은하의 절대 등급은 이보다 더 낮기도 하다. 예시로, 거대 타원 은하 M87의 절대 등급은 -22등급, 즉 -10등급 별이 6만 개 모인 정도이다.

2. 1. 겉보기등급과의 관계

항성은하의 절대등급은 10 pc(약 32.616 광년, 308조 5700만 킬로미터)을 기준점으로 한다. 은하나 성운과 같은 천체들은 별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크기가 커 10 pc 거리에서 바라봤을 때의 광도를 실제로 구해낼 수는 없지만, 절대등급 계산 시에는 항성과 계산법이 같다. 은하의 광도는 은하 전체에서 복사되는 빛을 모두 합쳐 광도를 측정한 다음, 이 빛 전체가 별처럼 점 하나에서 복사된다고 가정한 다음 10 pc 거리에서의 등급을 계산한다. 즉, 모든 천체의 절대등급은 ''만약에'' 10 pc 거리에 천체가 있다면 측정될 겉보기 등급과 동등하다.

절대등급을 표시할 때는 어떤 전자기파 파장을 대상으로 하였는지를 표시하여야 하며, 만약 모든 파장을 측정한다면 절대복사등급이 된다.

우리은하 안의 천체에 대해, 절대등급 , 겉보기등급 , 거리 (단위는 파섹)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100^{\frac{m-M}{5}}=\frac{F_{10}}{F}=\left(\frac{d}{10\;\mathrm{pc}}\right)^2

  • 는 거리 에서 측정한 복사속이고, 은 10 pc 거리에서 측정한 복사속이다.


위의 식은 로그를 사용하여 단순화할 수 있다.

: M = m - 5 \left(\log_{10}d-1\right)

위 식에서는 소광은 없다고 가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참고로, 일반적으로 은하들은 암흑 성운에 의해 겉보기등급이 1 kpc당 1 ~ 2 등급가량 증가한다(밝기가 낮아진다).[52]

우리은하 밖에 있는 천체들에서는 거리 대신 광도거리 이 사용되는데, 이는 거리가 멀어질수록 일반 상대성이론 때문에 유클리드 기하학과의 차이가 점점 커지기 때문이다. 심지어는 우주 적색편이도 파장들을 적색편이시켜 환산을 어렵게 만든다. 먼 곳의 천체를 가까이 위치한 천체와 비교하기 위해서는 K 보정이라는 절차가 필요하다.

절대등급은 겉보기등급 과 연주시차 를 이용해서도 계산할 수 있다.

: M = m + 5 \left(\log_{10}p+1\right)

거리지수 를 이용할 수도 있다.

: M = m - \mu

2. 1. 1. 예시

항성은하의 절대등급은 10 pc(약 32.616 광년)을 기준점으로 한다. 리겔 (−7.0), 데네브 (−7.2), 나오스 (−6.0), 베텔게우스 (−5.6) 등 맨눈으로 보이는 몇몇 별들은 10 pc 거리에 있었다면 행성들을 비추고 그림자를 만들 수 있었을 정도로 밝다. 시리우스의 절대등급은 1.4로 태양보다 밝지만, 태양의 절대등급은 대략 4.75 근방으로 계산된다.[49][50]

별들의 절대등급은 보통 −10 ~ +17이며, 은하의 절대 등급은 이보다 더 낮기도 하다. 예시로, 거대 타원 은하 M87의 절대 등급은 -22등급, 즉 -10등급 별이 6만 개 모인 정도이다.

  • 리겔은 겉보기 등급 m_\mathrm{V} = 0.12이고 거리가 약 860 광년으로, 절대 등급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M_\mathrm{V} = 0.12 - 5 \left(\log_{10} \frac{860}{3.2616} - 1 \right) = -7.0.

  • 베가시차가 0.129″이고 겉보기 등급 m_\mathrm{V} = 0.03으로, 절대 등급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M_\mathrm{V} = 0.03 + 5 \left(\log_{10}{0.129} + 1\right) = +0.6.

  • 검은 눈 은하는 겉보기 등급 m_\mathrm{V} = 9.36이고 거리지수가 31.06으로, 절대 등급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M_\mathrm{V} = 9.36 - 31.06 = -21.7.

  • 센타우루스자리 α별의 시차는 0.750″이며 겉보기 등급은 -0.01등급으로 절대등급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M_{V_{\alpha\ \mathrm{Cen}}}=-0.01+5\{1+\log_{10}(0.750)\}=+4.37.

2. 2. 복사등급

국제천문연맹은 2015년 8월 결의안 B2에서 절대복사등급 0을 복사광도 일 때로 정의했다.[53] 이 정의에 따르면 태양(광도 )의 절대복사등급(M_\mathrm{bol,\odot})은 4.74가 된다. 10 pc 거리에 별 등 복사선을 방출하는 천체를 두면, 겉보기 복사등급의 영점(m_\mathrm{bol}=0)도 절대등급과 똑같이 이 되고, 복사 조도 f_0는 이 된다. 1 AU 거리에서 측정된 태양 상수의 값은 이고, 이를 복사등급에 적용하면 m_\mathrm{bol,\odot} = −26.832가 된다.

결의안 B2에 따라, 별의 절대복사등급 및 광도는 태양과 관련이 없는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M_\mathrm{bol} = -2.5 \log_{10} \frac{L_\star}{L_0} = -2.5 \log_{10} L_\star + 71.197425...

  • L_\star는 해당 별의 복사광도를 와트로 나타낸 것이다.
  • L_0는 영점일 때의 광도로, 이다.
  • M_\mathrm{bol}는 해당 별의 복사등급이다.


새로운 정의를 통해 절대복사등급을 항상 값이 변하는 태양과 연관짓지 않을 수 있게 되었으며, 이 정의에 따른 태양의 절대복사등급(M_\mathrm{bol} = 4.74)은 기존에 천문학자들이 사용하던 값과 거의 같다.

별의 광도는 영점 광도와 복사등급을 통해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L_\star = L_0 10^{-0.4 M_\mathrm{Bol}}

3. 태양계 천체의 절대등급 (H)

태양계행성소행성의 절대등급(''H'')은 해당 천체가 태양지구와의 거리가 모두 1 AU이고 완벽하게 태양과 일 때의 이론적 겉보기등급으로 정의된다. 이는 현실에서는 불가능한 상황이다.[18] 태양계 천체들은 태양빛을 반사해서 빛나기 때문에 밝기는 위상각에 따라 달라지며, 절대등급은 위상각이 0도라고 이론적으로 가정했을 때의 등급이다.

별이나 은하의 절대등급을 태양계 천체와 맞추려면 31.57을 빼면 된다. 혜성 핵의 등급(''M2'')은 체계가 다르며, 태양계 천체 체계(''H'')와 서로 비교할 수 없다.

절대 등급(H) 및
소행성 지름
(알베도=0.14)[2]
H지름
1036km
12.710km
153.6km
17.71km
19.2510m
20360m
22140m
22.7100m
24.251m
2536m
26.617m
27.710m
303.6m
32.71m



행성, 혜성, 소행성의 경우, 항성이 아닌 천체에 대해 더 의미 있는 다른 정의의 절대 등급이 사용된다. 이 경우의 절대 등급은, 어떤 천체가 태양지구 모두로부터 1천문 단위(au)에 있고, 위상각 (태양과 천체, 천체와 관측자를 잇는 선 사이의 각)이 0도라고 가정했을 때의 겉보기 등급으로 정의된다. 이것은 물리적으로는 있을 수 없는 상태이지만, 계산에는 편리하다.

절대 등급 H는 다음 식으로 주어진다.

: H = m_\mathrm{Sun} - 5 \log_{10}\frac{ \sqrt { a } \,r}{d_0}.

여기서 m_\mathrm{Sun}는 1 천문 단위 지점에서 본 태양의 겉보기 등급(−26.73 등)이며, a\!\,는 천체의 기하학적 알베도 (0과 1 사이의 수치), r\!\,는 천체의 반지름, d_0\!\,는 1 천문 단위 (≈1억 4960만 km)이다.

의 경우: a_\mathrm{Moon}=0.12,\ r_\mathrm{Moon}=1738km.

: H_\mathrm{Moon} = m_\mathrm{Sun} - 5 \log_{10}\frac{ \sqrt { a_\mathrm{Moon} }\ r_\mathrm{Moon}}{d_0} = +0.25.

3. 1. 겉보기등급 계산

절대등급 ''H''를 사용하여 다양한 상황에서 천체들의 겉보기등급을 계산할 수 있다. 겉보기등급(''m'')은 다음 공식을 통해 구할 수 있다.

:m = H + 2.5 \log_{10}{\left(\frac{d_\mathrm{BS}^2 d_\mathrm{BO}^2}{p(\chi) d_0^4}\right)}

  • d_0는 1 AU이다.
  • 위상각 \chi는 천체와 태양·관측자를 각각 이은 선이 만드는 각의 크기이다.


코사인 법칙에 따라, 다음을 유도할 수 있다.

:\cos{\chi} = \frac{ d_\mathrm{BO}^2 + d_\mathrm{BS}^2 - d_\mathrm{OS}^2 } {2 d_\mathrm{BO} d_\mathrm{BS}}

  • p(\chi)는 위상 적분 값으로, 0부터 1까지의 범위를 가진다.
  • 완벽히 빛이 분산돼 반사되는 에서, p(\chi) = \frac23 \left( \left(1 - \frac{\chi}{\pi}\right) \cos{\chi} + \frac{1}{\pi} \sin{\chi} \right)이다.
  • 정면으로 빛이 쬐여지는 구는 지름이 같은 원에 비해 빛을 ⅔배만큼 반사한다.


각종 거리 변수들은 다음과 같다.

  • d_\mathrm{BO}는 천체(Body)와 관측자(Observer) 사이의 거리이다.
  • d_\mathrm{BS}는 천체(Body)와 태양(Sun) 사이의 거리이다.
  • d_\mathrm{OS}는 관측자(Observer)와 태양(Sun) 사이의 거리이다.


태양계 천체들은 완벽하게 빛을 반사하지 않기 때문에, 천문학자들은 정확한 예측을 위해 경험에 비추어 밝기를 추산한다.[54]

3. 1. 1. 행성의 겉보기 등급

태양계행성소행성의 절대등급(''H'')은 해당 천체가 태양지구와의 거리가 둘 모두 1 AU이고 완벽하게 태양과 일 때의 이론적 겉보기등급으로 정의된다.[18] 이는 현실에서는 불가능한 상황이다. 태양계 천체들은 태양빛을 반사해서 빛나기 때문에 밝기는 위상각에 따라 달라지며, 절대등급은 위상각이 0도라고 이론적으로 가정했을 때의 등급이다.

절대등급 ''H''를 통해 다양한 상황에서 천체들의 겉보기등급을 계산할 수 있다. 태양광을 반사하는 물체의 경우, H와 겉보기 등급 m은 다음 관계를 가진다.[19]

:m = H + 5 \log_{10}{\left(\frac{d_{BS} d_{BO}}{d_0^2}\right)} - 2.5 \log_{10}{q(\alpha)},

여기서 \alpha는 위상각으로, 물체-태양과 물체-관측자 사이의 각도이다. q(\alpha)는 위상 적분이다(반사된 빛의 적분; 0에서 1 사이의 숫자).[19]

코사인 법칙에 의해 다음이 성립한다.

:\cos{\alpha} = \frac{ d_\mathrm{BO}^2 + d_\mathrm{BS}^2 - d_\mathrm{OS}^2 } {2 d_\mathrm{BO} d_\mathrm{BS}}

거리:

  • d_\mathrm{BO}는 물체와 관측자 사이의 거리이다.
  • d_\mathrm{BS}는 물체와 태양 사이의 거리이다.
  • d_\mathrm{OS}는 관측자와 태양 사이의 거리이다.
  • d_0단위 변환 계수이며, 지구와 태양 사이의 평균 거리인 1 AU이다.


q(\alpha)의 값은 반사 표면의 특성, 특히 거칠기에 따라 달라진다. 실제로 표면의 알려지거나 추정되는 특성에 따라 다양한 근사가 사용된다. 육상 행성의 표면은 일반적으로 가스 행성의 표면보다 모델링하기 더 어렵고, 가스 행성의 표면은 더 매끄러운 가시 표면을 가지고 있다.[19]

행성체는 이상적인 확산 반사 로 합리적으로 잘 근사될 수 있다. \alpha 단위의 위상각이라고 하면,[20]

:q(\alpha) = \frac23 \left(\left(1-\frac{\alpha}{180^{\circ}}\right)\cos{\alpha}+\frac{1}{\pi}\sin{\alpha}\right).

전 위상 확산 구는 같은 지름을 가진 확산 평면 디스크보다 2/3만큼 더 많은 빛을 반사한다. 1/4 위상(\alpha = 90^{\circ})은 전 위상(\alpha = 0^{\circ})보다 \frac{1}{\pi}만큼 더 많은 빛을 가지고 있다.

기하 알베도 p의 정의는 행성 표면의 반사율을 측정하는 척도이며, 확산 디스크 반사 모델을 기반으로 한다. 물체의 절대 등급 H, 지름 D(킬로미터 단위) 및 기하 알베도 p는 다음과 같이 관련되어 있다.[21][23]

:D = \frac{1329}{\sqrt{p}} \times 10^{-0.2H} \mathrm{km}

태양계 천체는 완벽한 확산 반사체가 아니므로, 천문학자들은 천체의 알려지거나 가정된 속성을 기반으로 겉보기 등급을 예측하기 위해 다른 모델을 사용한다.[19] 행성의 경우, 공식의 수정 항 -2.5\log_{10}{q(\alpha)}에 대한 근사는 다양한 위상각에서의 관측과 일치하도록 경험적으로 파생되었다. 천문 연감(Astronomical Almanac)[8]에서 권장하는 근사는 다음과 같다(여기서 \alpha는 도 단위):

행성참조 계산[3]-2.5\log_{10}{q(\alpha)}에 대한 근사
수성+6.328\times10^{-2}\alpha - 1.6336\times10^{-3}\alpha^{2}+3.3644\times10^{-5}\alpha^{3}-3.4265\times10^{-7}\alpha^{4}+1.6893\times10^{-9}\alpha^{5}-3.0334\times10^{-12}\alpha^{6}
금성
지구-1.060\times10^{-3}\alpha+2.054\times10^{-4}\alpha^{2}
[4]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8.4\times10^{-4}\phi'+6.587\times10^{-3}\alpha+1.045\times10^{-4}\alpha^{2} (for \alpha < 3.1^{\circ})
해왕성+7.944\times10^{-3}\alpha+9.617\times10^{-5}\alpha^{2} (for \alpha < 133^{\circ} and t > 2000.0)



여기서 \beta토성의 고리의 유효한 기울기(관찰자에 대한 기울기)로, 지구에서 볼 때 토성의 한 궤도 동안 0°에서 27° 사이로 변하며, \phi'는 천왕성의 지구-중심 위도와 태양-중심 위도에 따라 달라지는 작은 수정 항이다. t서기 연도이다. 해왕성의 절대 등급은 행성이 태양 주위를 165년 궤도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계절적 효과로 인해 천천히 변하며, 위의 근사는 2000년 이후에만 유효하다.

3. 1. 2. 소행성의 겉보기 등급

태양계행성소행성의 절대등급(''H'')은 해당 천체가 태양지구와의 거리가 모두 1 AU이고, 완벽하게 태양과 일 때의 이론적 겉보기등급으로 정의된다(현실에서 이 상황은 불가능하다).[54] 태양계 천체들은 태양빛을 반사해서 빛나기 때문에 등급은 위상각에 따라 달라지며, 절대등급은 이 위상각이 0도라고 이론적으로 가정했을 때의 등급이다.

절대등급 ''H''를 통해 다양한 상황에서 천체들의 겉보기등급을 계산할 수 있다.

:m = H + 2.5 \log_{10}{\left(\frac{d_\mathrm{BS}^2 d_\mathrm{BO}^2}{p(\chi) d_0^4}\right)}

여기서 d_0는 1 AU이고, 위상각 \chi는 천체와 태양·관측자를 각각 이은 선이 만드는 각의 크기이다.

코사인 법칙에 따라, 다음을 유도할 수 있다.

:\cos{\chi} = \frac{ d_\mathrm{BO}^2 + d_\mathrm{BS}^2 - d_\mathrm{OS}^2 } {2 d_\mathrm{BO} d_\mathrm{BS}}

여기서 p(\chi)는 위상 적분 값으로, 범위는 0부터 1까지이다.

예시로, 완벽히 빛이 분산돼 반사되는 에서, 다음과 같다.

:p(\chi) = \frac23 \left( \left(1 - \frac{\chi}{\pi}\right) \cos{\chi} + \frac{1}{\pi} \sin{\chi} \right)

정면으로 빛이 쬐여지는 구는 지름이 같은 원에 비해 빛을 2/3배만큼 반사한다.

각종 거리 변수들은 다음과 같다.

  • d_\mathrm{BO}는 천체(Body)와 관측자(Observer)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 d_\mathrm{BS}는 천체(Body)와 태양(Sun)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 d_\mathrm{OS}는 관측자(Observer)와 태양(Sun)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위상각이 0°, 7°, 33°인 소행성 1 세레스(Ceres)를 (Dawn) 우주선이 촬영한 이미지. 셋 사이의 밝기 차이는 실제이다. 위상각 0°의 왼쪽 이미지는 반대 효과로 인한 밝기 급증을 보여준다.


다양한 G 값에 대한 위상 적분


240px


물체가 대기를 가지고 있다면, 모든 방향으로 빛을 거의 등방적으로 반사하며, 밝기는 확산 반사체로 모델링할 수 있다. 소행성이나 위성처럼 대기가 없는 물체는 입사광 방향으로 빛을 더 강하게 반사하는 경향이 있으며, 위상각이 0^{\circ}에 접근함에 따라 밝기가 급격히 증가한다. 이 반대 방향에서의 급격한 밝기 증가는 반대 효과라고 불린다. 그 강도는 물체 표면의 물리적 특성에 따라 다르며, 따라서 소행성마다 다르다.[19]

1985년, IAU는 반경험적 HG-시스템을 채택했는데, 이는 소행성 센터에서 발행하는 역성서에 대한 반대 효과를 모델링하기 위해 '절대 등급' 및 '경사'라고 하는 두 개의 매개변수 HG를 기반으로 한다.[27]

:m = H + 5\log_{10}{\left(\frac{d_{BS}d_{BO}}{d_{0}^{2}}\right)}-2.5\log_{10}{q(\alpha)},

여기서

  • 위상 적분은 q(\alpha)=\left(1-G\right)\phi_{1}\left(\alpha\right)+G\phi_{2}\left(\alpha\right)이며,
  • \phi_{i}\left(\alpha\right) = \exp{\left(-A_i \left(\tan{\frac{\alpha}{2}}\right)^{B_i}\right)} for i = 1 or 2, A_{1}=3.332, A_{2}=1.862, B_{1}=0.631 and B_2 = 1.218이다.[28]


이 관계는 위상각 \alpha < 120^{\circ}에 유효하며, \alpha < 20^{\circ}일 때 가장 잘 작동한다.[29]

경사 매개변수 G는 물체가 반대 방향에 가까울 때의 밝기 급증과 관련되며, 일반적으로 0.3\text{ mag}이다. 소수의 소행성에 대해서만 정확하게 알려져 있으므로, 대부분의 소행성에 대해 G=0.15 값이 가정된다.[29] 드문 경우지만, G는 음수가 될 수 있다.[28][30] 예로는 G=-0.08인 101955 벤누(101955 Bennu)가 있다.[31]

2012년, HG-시스템은 공식적으로 세 개의 매개변수 H, G_1, G_2를 가진 개선된 시스템으로 대체되었으며, 반대 효과가 매우 작거나 매우 작은 위상각으로 제한되는 경우 더 만족스러운 결과를 생성한다. 그러나 2022년 현재, 이 H G_1 G_2-시스템은 소행성 센터나 제트 추진 연구소에서 채택되지 않았다.[19][32]

소행성의 겉보기 등급은 자전에 따라 초에서 주 단위로 2\text{ mag} 이상까지 자전 주기에 따라 변동한다.[33] 또한, 절대 등급은 축 기울기에 따라 관측 방향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많은 경우 자전 주기와 축 기울기 모두 알려져 있지 않아 예측 가능성을 제한한다. 여기에 제시된 모델은 이러한 효과를 포착하지 못한다.[29][19]

3. 1. 3. 혜성의 겉보기 등급

혜성의 밝기는 '총 등급'(m_{1}, 코마의 전체 가시 범위에 걸쳐 통합된 밝기)과 '핵 등급'(m_{2}, 핵 영역만의 밝기)으로 제공된다.[34] 이 둘은 행성소행성에 사용되는 등급 척도와는 다른 척도이며, 소행성의 절대 등급과 크기를 비교하는 데 사용할 수 없다.

혜성의 활동성은 태양과의 거리에 따라 달라진다. 혜성의 밝기는 다음과 같이 근사할 수 있다.

:m_{1} = M_{1} + 2.5\cdot K_{1}\log_{10}{\left(\frac{d_{BS}}{d_0}\right)} + 5\log_{10}{\left(\frac{d_{BO}}{d_0}\right)}

:m_{2} = M_{2} + 2.5\cdot K_{2}\log_{10}{\left(\frac{d_{BS}}{d_0}\right)} + 5\log_{10}{\left(\frac{d_{BO}}{d_0}\right)}

여기서 m_{1,2}는 혜성의 총 및 핵 겉보기 등급, M_{1,2}는 "절대" 총 및 핵 등급, d_{BS}d_{BO}는 천체-태양 및 천체-관측자 거리, d_{0}는 천문 단위, K_{1,2}는 혜성의 활동성을 특징짓는 기울기 매개변수이다. K=2인 경우, 이는 순전히 반사하는 천체(혜성 활동을 보이지 않음)에 대한 공식으로 축소된다.[35]

예를 들어, C/2011 L4 혜성의 광도 곡선은 M_{1}=5.41\text{, }K_{1}=3.69.[36]로 근사할 수 있다. 2013년 3월 10일, 근일점 통과 당일, PANSTARRS 혜성은 태양으로부터 0.302AU 떨어져 있었고, 지구로부터는 1.109AU 떨어져 있었다. 총 겉보기 등급 m_{1}은 당시 m_1 = 5.41 + 2.5\cdot3.69\cdot\log_{10}{\left(0.302\right)}+5\log_{10}{\left(1.109\right)} = +0.8로 예측되었다. 소행성체 센터는 이 값에 가까운 m_{1} = +0.5 값을 제공한다.[37]

혜성 핵의 절대 등급과 크기
혜성절대
등급 M_{1}[38]

직경
사라바트 혜성−3.0≈100km?
헤일-밥 혜성−1.360 ± 20 km
핼리 혜성4.014.9 x 8.2 km
평균 새로운 혜성6.5≈2km[39]
C/2014 UN271 (Bernardinelli-Bernstein)6.7[5]60–200 km?[6][7]
289P/Blanpain (1819년 폭발 시)8.5[41]320m[40]
289P/Blanpain (정상 활동)22.9[42]320m



주어진 혜성의 절대 등급은 극적으로 변동될 수 있다. 혜성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 활발해지거나 덜 활발해지거나, 또는 폭발을 겪는 경우 변경될 수 있다. 이것은 절대 등급을 크기 추정에 사용하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 1819년에 289P/Blanpain 혜성이 발견되었을 때, 그 절대 등급은 M_{1} = 8.5로 추정되었다.[41] 이후 사라졌다가 2003년에만 다시 발견되었다. 그 당시, 절대 등급은 M_{1} = 22.9로 감소했고,[42] 1819년의 관측이 폭발과 일치했다는 것이 밝혀졌다. 289P/Blanpain은 1819년에 맨눈으로 볼 수 있는 밝기(5–8 등급)에 도달했는데, 이는 물리적으로 특성화된 가장 작은 핵을 가진 혜성이며, 일반적으로 18등급보다 밝아지지 않는다.[41][40]

코마에서 반사된 빛과 핵 자체의 빛을 구별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큰 헬리오 중심 거리에 관측된 일부 혜성의 경우, 소행성에 사용되는 것과 유사한 절대 등급이 계산되어 핵의 크기를 추정할 수 있다.[43]

4. 유성의 절대등급

유성의 절대등급을 측정할 때는 관측자 천정 상공 100km를 기준으로 한다.[55][56][57]

참조

[1] 논문 Observations of the Naked-Eye GRB 080319B: Implications of Nature's Brightest Explosion 2009-01-19
[2] 웹사이트 CNEOS Asteroid Size Estimator https://cneos.jpl.na[...]
[3] 웹사이트 Encyclopedia - the brightest bodies https://promenade.im[...] 2023-05-29
[4] 서적 Allen's Astrophysical Quantities, fourth edition Springer-Verlag
[5] 웹사이트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2014 UN271) https://ssd.jpl.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 2021-09-15
[6] 뉴스 The Largest Comet Ever Found Is Making Its Move Into a Sky Near You https://www.nytimes.[...] 2021-06-28
[7] 웹사이트 Comet C/2014 UN271 (Bernardinelli-Bernstein) exhibited activity at 23.8 au https://www.astronom[...] 2021-07-06
[8] 논문 Computing apparent planetary magnitudes for The Astronomical Almanac 2018-10
[9] 웹사이트 Sun Fact Sheet http://nssdc.gsfc.na[...] NASA Goddard Space Flight Center 2017-02-25
[10] 논문 A Catalog of Neighboring Galaxies 2004
[11] 논문 Transformations from Theoretical Hertzsprung-Russell Diagrams to Color-Magnitude Diagrams: Effective Temperatures, B-V Colors, and Bolometric Corrections 1996-09
[12] 논문 Stars resembling the Sun 1996
[13] 논문 Accurate fundamental parameters for lower main-sequence stars 2006-11
[14] 서적 An Introduction to Modern Astrophysics https://archive.org/[...] Pearson
[15] 간행물 The New Cosmos: An Introduction to Astronomy and Astrophysic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16] 웹사이트 IAU XXIX General Assembly Draft Resolutions Announced http://www.iau.org/n[...] 2015-07-08
[17] 간행물 IAU 2015 Resolution B2 on Recommended Zero Points for the Absolute and Apparent Bolometric Magnitude Scales https://www.iau.org/[...] IAU Inter-Division A-G Working Group on Nominal Units for Stellar & Planetary Astronomy 2015-08-13
[18] 간행물 Astronomical Magnitudes http://www.asterism.[...] 2019-01-11
[19] 서적 Fundamental Astronom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 간행물 Brightness of a planet http://adsbit.harvar[...]
[21] 간행물 Conversion of Absolute Magnitude to Diameter for Minor Planets http://www.physics.s[...] Stephen F. Austin State University 2019-01-12
[23] 논문 Binary asteroid population 1. Angular momentum content https://www.asu.cas.[...]
[24] 간행물 Albedo of the Earth http://hyperphysics.[...] Department of Physics and Astronomy 2019-01-12
[25] 간행물 Albedo – How bright is the Moon? http://www.asterism.[...] 2019-01-12
[26] 간행물 JPL Horizons https://ssd.jpl.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 2019-01-11
[27] 간행물 Minor Planet Circular 10193 https://minorplanetc[...] Minor Planet Center 2019-01-11
[28] 간행물 Physical studies of asteroids. XV – Determination of slope parameters and absolute magnitudes for 51 asteroids https://www.research[...]
[29] 간행물 The H and G magnitude system for asteroids https://www.britastr[...] 2019-01-11
[30] 간행물 JPL Horizons (Version 3.75) ftp://ssd.jpl.nasa.g[...] Jet Propulsion Laboratory 2013-01-11
[31] 간행물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 101955 Bennu https://ssd.jpl.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 2019-01-11
[32] 논문 Asteroid observations at low phase angles. IV. Average parameters for the new H, G1, G2 magnitude system 2016-04
[33] 논문 Asteroid Lightcurve Derived Data V16.0
[34] 간행물 Guide to the MPES https://minorplanetc[...] Minor Planet Center 2019-01-11
[35] 간행물 Comet brightness parameters: Definition, determination, and correlations
[36] 간행물 Comet C/2011 L4 (PANSTARRS) https://cobs.si/anal[...] COBS 2019-01-11
[37] C/2011 L4, ephemeris start date=2013-03-10 Minor Planet & Comet Ephemeris Service https://minorplanetc[...] Minor Planet Center 2019-01-11
[38] 간행물 Comet Hale-Bopp Light Curve http://www2.jpl.nasa[...] NASA JPL 1997-04-03
[39] 논문 Cometary Absolute Magnitudes, their Significance and Distribution 1989-06-16
[40] 논문 Comet D/1819 W1 (Blanpain): Not Dead Yet http://www.ifa.hawai[...] 2019-05-31
[41] 간행물 289P/Blanpain http://www.aerith.ne[...] 2015-01-24
[42] 간행물 289P/Blanpain (2013-07-17 last obs.) https://ssd.jpl.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 2019-05-18
[43] 간행물 The sizes, shapes, albedos, and colors of cometary nuclei https://physics.ucf.[...] University of Arizona Press, Tucson
[44] 웹사이트 Glossary – Absolute magnitude of meteors http://www.imo.net/g[...] International Meteor Organization 2013-05-16
[45] 웹사이트 Solar System Dynamics Glossary – Absolute magnitude of Solar System bodies http://ssd.jpl.nasa.[...] 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 2013-05-16
[46] 문서 更に厳密には\sqrt[5]{100}≒2.5118864315095801…となる
[47] 웹인용 Sun Fact Sheet http://nssdc.gsfc.na[...] NASA Goddard Space Flight Center 2018-01-11
[48] 저널 A Catalog of Neighboring Galaxies http://iopscience.io[...] 2017-02-27
[49] 저널 Stars resembling the Sun 1996
[50] Abstract Accurate fundamental parameters for lower main-sequence stars 2006-11
[51] 서적 An Introduction to Modern Astrophysics Pearson
[52] 서적 The New Cosmos: An Introduction to Astronomy and Astrophysic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3
[53] 웹인용 IAU XXIX General Assembly Draft Resolutions Announced http://www.iau.org/n[...] 2015-07-08
[54] 웹인용 Planetary magnitudes Calculator – update http://www.shatters.[...] 2013-05-16
[55] 웹인용 Glossary – Absolute magnitude of meteors http://www.imo.net/g[...] International Meteor Organization 2018-01-11
[56] 웹인용 Solar System Dynamics Glossary – Absolute magnitude of Solar System bodies http://ssd.jpl.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 2018-01-10
[57] 서적 Asteroids II University of Arizona Press, Tucson 2018-01-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