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태양반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태양반경은 태양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로, 일반적으로 태양의 광구 반지름을 의미한다. 2015년 국제천문연맹은 명목 태양 반지름을 695,700km로 정의했다. 태양반경은 다른 천체의 크기를 비교하는 데 사용되며, 태양에 근접하는 우주선의 거리를 설명하는 데에도 활용된다. 지구에서 태양의 시반경은 약 16분(각도)이며, 태양의 적도 반지름은 자오선 반지름보다 약간 크다.

2. 측정

무인 우주선 SOHO는 2003년과 2006년에 수성이 태양 앞을 지나가는 현상을 관측하여 그 시간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태양의 반지름을 계산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 측정 결과 태양 반지름은 696342km ± 65km로 나타났다.[3]

2008년 Haberreiter, Schmutz & Kosovichev는 태양 광구에 해당하는 반지름을 695660km ± 140km로 결정했다.[4] 이 값은 헬리오지진학적 방법으로 추정한 값과 잘 일치하며, 같은 연구에서 이전의 굴곡점 방법을 사용한 추정치가 실제보다 약 300km 크게 측정되었음을 보여주었다.

2. 1. 명목 태양 반지름

2015년, 국제천문연맹은 별과 행성 천문학 분야에서 사용될 일련의 명목 변환 상수를 정의하는 결의안 B3을 통과시켰다. 이 결의안 B3은 명목 태양 반지름(기호 R^{N}_{\odot})을 정확히 695700km로 정의했다.[5] 이 명목 값은 Haberreiter, Schmutz & Kosovichev (2008)가 제시한 불확실성 범위 내에서 반올림한 값이다. 이는 천문학자들이 미래 관측을 통해 태양의 실제 광구 반지름(현재[6] 약 ±100km~200km 정도의 정확도로만 알려져 있다)을 더 정확하게 측정할 가능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태양 반지름 단위를 사용하여 다른 별의 반지름을 표기할 때 발생할 수 있는 혼란을 줄이기 위해 채택되었다.

3. 다른 천체와의 비교

태양 반지름은 태양에 가깝게 이동하는 우주선을 설명할 때 흔히 사용되는 단위이다. 2010년대의 두 우주선은 다음과 같다.



태양 반지름을 기준으로 한 다른 물체의 반지름
이름반지름 (태양 반지름)반지름 (km)
은하수5.94 × 10114.134 × 1017[7]
WOH G64 (가장 큰 별로 알려짐)1,540[8]1071378000km
UY Scuti909[9]632400000km
베텔게우스764[10]531500000km
안타레스 A680[11]473076000km
리겔 A74.1[12]51550000km
알데바란45.1[13]31375000km
아크투루스25.4[14]17670000km
폴룩스9.06[15]6300000km
시리우스 A1.711[16]1190350km
태양1695700km
프록시마 센타우리0.1542[17]107275km
목성0.102871492km[18]
토성0.086660268km[18]
천왕성0.0367325559km[18]
해왕성0.0355924764km[18]
지구0.0091686378km[18]
금성0.008696051.8km[18]
화성0.004883396.19km[18]
수성0.00352440.53km[18]
0.00251738.1km[19]
명왕성0.00171188.3km[18]



지구- 계에서의 비교를 하면, 지구과의 거리가 평균 약 384400km이며, 태양 반지름의 55%이다. 만약 지구 대신에 태양을 놓으면, 달은 태양 안에 매몰된다. 만약 태양의 크기가 원래의 절반이라면, 달은 태양의 표면 바깥쪽에 붙어있는 구형 천체가 된다.

4. 겉보기 크기

지구에서 볼 때, 태양의 시반경은 16'이므로 시직경은 32', 즉 0.53이다. 지구 궤도가 타원이기 때문에 발생하는 거리 변화는 1.7%이다. 이로 인해 지구가 근일점을 통과하는 1월 초에는 시직경이 32' 32가 되고, 원일점을 통과하는 7월 초에는 31' 28”가 된다. 이러한 태양의 겉보기 크기는 달의 겉보기 크기와 비슷하여, 달이 태양을 가리는 엄폐 현상인 일식이 일어날 수 있게 한다.

5. 편평도

이론적으로 태양은 자전하기 때문에 적도 반지름이 자오선 반지름보다 약간 더 크다.[1] 이 차이를 편평도라고 부르는데, 태양의 편평도는 매우 작다.[2] 또한 태양 표면의 온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이 작은 차이를 실제로 측정하여 확인하기는 어렵다.[2]

참조

[1] 웹사이트 NASA RHESSI oblateness measurements 2012 https://science.nasa[...] 2017-07-12
[2] 간행물 The Sun and Stars as the Primary Energy Input in Planetary Atmospheres https://www.cambridg[...] 2009-08
[3] 간행물 Measuring the Solar Radius from Space during the 2003 and 2006 Mercury Transits
[4] 간행물 Solving the Discrepancy between the Seismic and Photospheric Solar Radius
[5] 간행물 IAU 2015 Resolution B3 on Recommended Nominal Conversion Constants for Selected Solar and Planetary Properties
[6] 간행물 Solar radius determined from PICARD/SODISM observationsand extremely weak wavelength dependence in the visibleand the near-infrared
[7] 간행물 The relative size of the Milky Way https://ui.adsabs.ha[...] 1998-08-01
[8] 간행물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Red Supergiant WOH G64: The Largest Star Known? https://ui.adsabs.ha[...] 2009-06-01
[9] 간행물 Red Supergiant Candidates for Multimessenger Monitoring of the Next Galactic Supernova 2024-03-23
[10] 간행물 Standing on the Shoulders of Giants: New Mass and Distance Estimates for Betelgeuse through Combined Evolutionary, Asteroseismic, and Hydrodynamic Simulations with MESA 2020-10-01
[11] 간행물 High spectral resolution imaging of the dynamical atmosphere of the red supergiant Antares in the CO first overtone lines with VLTI/AMBER https://ui.adsabs.ha[...] 2013-07-01
[12] 간행물 Fundamental Parameters of 87 Stars from the Navy Precision Optical Interferometer 2018-01-01
[13] 간행물 Long-lived, long-period radial velocity variations in Aldebaran: A planetary companion and stellar activity https://ui.adsabs.ha[...] 2015-08-01
[14] 간행물 Fundamental Parameters and Chemical Composition of Arcturus https://ui.adsabs.ha[...] 2011-12-01
[15] 간행물 Fundamental Parameters of 87 Stars from the Navy Precision Optical Interferometer 2017-12-21
[16] 간행물 The Age and Progenitor Mass of Sirius B https://ui.adsabs.ha[...] 2005-09-01
[17] 간행물 Proxima's orbit around Alpha Centauri 2017-02
[18] 웹사이트 Planetary Physical Parameters https://ssd.jpl.nasa[...] 2024-01-24
[19] 웹사이트 Moon Fact Sheet https://nssdc.gsfc.n[...] 2024-01-24
[20] 문서 Astronomical constants http://asa.usno.nav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