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기본 모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본 모음은 모음도에서 기준점을 설정하여 음성학자들이 특정 모음의 위치를 상대적으로 정확하게 기술할 수 있도록 하는 체계이다. 이 체계는 혀의 위치, 높이, 입술 모양을 기준으로 18개의 모음으로 구성되며, 제1 기본 모음과 제2 기본 모음으로 나뉜다. 제1 기본 모음은 조음 음성학적으로 정의되는 두 개의 모음과, 이들의 중간 위치에 배치되는 다른 모음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2 기본 모음은 제1 기본 모음의 원순/평순을 반전시키거나 중설 모음을 추가하여 구성된다. 기본 모음 체계는 언어의 모음을 측정하는 시스템이지만, 일부 언어의 모음이 기본 모음과 유사한 경우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음성학 - 음성 인식
    음성 인식은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기술로, 인공지능과 심층 학습의 발전으로 인식 정확도가 향상되어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지만 보안 문제가 남아있다.
  • 음성학 - 음성 합성
    음성 합성은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기술(TTS)로, 기계 장치에서 컴퓨터 기반 시스템으로 발전해왔으며 통계적 모델과 심층 학습 기반 기술 발전을 거쳐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지만 윤리적 문제와 기술적 과제도 안고 있다.
기본 모음
개요
종류모음
음성학분절음
발음입술 모양과 위치, 혀의 위치에 따라 달라짐
정의혀의 가장 높은 지점의 앞뒤 위치와 입술의 둥근 정도로 정의되는 참조 모음
기본 모음 (Cardinal Vowels)
설명혀의 가장 높은 지점의 앞뒤 위치와 입술의 둥근 정도로 정의되는 일련의 참조 모음
다른 모음 소리를 설명하는 데 사용
역사다니엘 존스가 개발
폴 파시의 연구를 기반으로 함
알렉산더 멜빌 벨의 보이는 말과 알렉산더 존 엘리스의 자연의 알파벳에 뿌리를 둠
주요 모음전설 비원순 고모음 i
후설 원순 고모음 u
후설 비원순 저모음 ɑ
전설 비원순 저모음 a
2차 모음1차 모음과 "반대" 입술 모양을 가짐
추가 모음ɨ, ʉ

2. 목적

기본 모음 체계를 정의하는 주된 목적은 모음도 상에 명확한 기준점을 설정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음성학자들은 특정 모음을 들었을 때, 그 모음의 위치를 기본 모음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정확하게 기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모음이 "와 의 중간 소리"와 같이 기술될 수 있다. 이는 특별한 기계적 장치 없이도 모음의 음가를 객관적으로 표현하는 데 도움을 준다.[7][8]

3. 제1 기본 모음

제1 기본 모음은 8개의 모음으로 구성되며, 혀의 전후 위치와 높이, 입술 모양을 기준으로 설정된다. 이 중 (1)와 (5) 두 가지는 순수하게 조음 음성학적으로 정의된다.[10]

다른 모음들은 이 두 모음 사이에서 청각적으로 등거리에 위치하며, 4단계의 개구도(폐쇄, 반폐쇄, 반개, 개)를 가진다. 이러한 개구도와 전후 구분에 따라 8개의 기준점이 정의되며, 이를 제1 기본 모음이라고 한다. 이 모음들은 세계 여러 언어에서 흔히 발견된다.


3. 1. 조음적 정의

세 개의 기본 모음 , , 는 조음적 정의를 가지고 있다. 는 혀를 입 안에서 가능한 가장 앞으로, 가장 높게 위치시키고 입술을 퍼뜨려 소리낸다(마찰을 일으키지 않음). 는 혀를 입 안에서 가능한 가장 낮고, 가장 뒤로 위치시켜 소리낸다.[10]

  • (1): 유성 경구개 마찰음 이 되지 않는 한계 내에서 혀가 가장 앞쪽으로, 가장 경구개에 가까워져서 조음되는 소리이다. 입술은 옆으로 당긴다(평순).
  • (5): 유성 인두 마찰음 이 되지 않는 한계 내에서 가능한 한 혀를 아래, 뒤쪽 위치에 둔다. 입술은 옆으로 당기지 않고, 둥글게 말지도 않는다.


그 외의 (2)・(3)・(4)는 (1)과 (5)의 중간인 전설 모음으로, 포르만트 F1의 주파수가 등간격으로 높아지도록 배치된다. 평순의 정도도 점차 낮춰간다.

(6)・(7)・(8)는 후설 모음으로, 역시 F1이 등간격으로 낮아지도록 배치된다. 입술은 점차 원순도를 높여가며, 는 가능한 한 가장 좁고 가장 내민 원순 후설 모음이 된다.

상기처럼 기본 모음의 정의에는 조음과 음향 양쪽 모두가 관여한다. 종종 기본 모음의 "높이"(F1의 주파수)가 혀의 최고점 위치에 대응하는 것처럼 기술되는 경우가 있지만, 이것은 실제 입의 움직임과 일치하지 않는다.[11]

3. 2. 음향적 기준 및 나머지 모음

(1)와 (5)는 조음 음성학적으로 정의된다. 는 혀를 입 안에서 가장 앞쪽으로, 가장 높게 위치시키고 입술을 평순으로 하여 발음한다. 는 혀를 가장 낮고 뒤쪽으로 위치시키고, 입술은 평순으로 유지한다.[10]

(2), (3), (4)는 (1)과 (5) 사이의 전설 모음으로, 포르만트 F1의 주파수가 등간격으로 높아지도록 배치된다. 입술은 점차 평순에서 멀어진다. (6), (7), (8)는 후설 모음으로, F1이 등간격으로 낮아지도록 배치된다. 입술은 점차 원순으로 변하며, 는 가능한 한 가장 좁고 가장 내민 원순 후설 모음이 된다.[11]

기본 모음의 정의에는 조음적 특징과 음향적 특징이 모두 관여한다. 흔히 기본 모음의 "높이"(F1의 주파수)가 혀의 최고점 위치에 대응하는 것처럼 기술되지만, 이는 실제 입의 움직임과 항상 일치하지는 않는다. 전설, 후설이라는 구분 또한 실제로는 음향적으로 정의되며, F1과 F2의 주파수 차이가 큰 것이 전설 모음, 작은 것이 후설 모음이다.

4. 제2 기본 모음

제2 기본 모음은 제1 기본 모음의 입술 모양을 반대로 하여 얻어지는 8개의 모음과, 중설 고모음 2개를 추가하여 총 10개의 모음으로 구성된다. 제2 기본 모음은 국제 음성 기호(IPA)의 모음 차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4]


4. 1. 원순/평순 반전

입술의 위치는 전후 차원의 반대쪽에 있는 해당 모음의 입술 위치와 반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 모음 1은 기본 모음 8과 다소 유사한 둥글림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를 '제2 기본 모음'이라고 한다. 이와 같은 소리는 세계 언어에서 덜 흔하다고 주장된다.[4]

제1 기본 모음 1~8번에 대해, 원순 모음은 평순 모음으로, 평순 모음은 원순 모음으로 바꾼 모음을 제2 기본 모음 9~16번으로 한다. 예를 들어 (9)는 와 같은 혀의 위치에서 와 같은 원순 모음이 된다.

또한, 와 의 중간 위치에 있는 중설 좁은 모음 (17, 비원순)·(18, 원순) 2개를 추가한다.

4. 2. 중설 고모음 추가

와 의 중간 위치에 있는 중설 좁은 모음 (17, 비원순)와 (18, 원순) 두 개를 추가한다.[8] 이 두 모음은 제2차 기본 모음에 포함된다.

5. 기본 모음 목록



기본 모음 19–22는 데이비드 아버크롬비에 의해 추가되었다.[7] IPA 번호에서 기본 모음 1–18은 동일한 번호를 가지지만 300이 더해진다.[8]

6. 시스템의 정확성에 대한 한계

기본 모음 체계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은 숙련된 사용자가 16개의 기본 모음 및 이차 모음과 소수의 중설 모음을 확실하게 구별할 수 있다는 것을 내포한다. 국제 음성 기호 협회에서 제공하는 발음 구별 부호는 중간 값도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음성학자는 근전설 비원순 모음([e])와 전설 비원순 저모음([ɛ])뿐만 아니라 중설 비원순 모음([e̞]), 중설화된 중설 비원순 모음([ë]) 등도 생성하고 인식할 수 있다. 이는 모음의 수가 20개보다 40개 또는 50개에 더 가깝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훈련된 음성학자에게 이러한 능력이 있다는 실증적인 증거는 찾기 어렵다.

6. 1. 음성학자 간 판단 차이 연구

레이드포지드는 1950년대와 60년대에 훈련된 음성학자들이 스코틀랜드 게일어 방언의 모음을 어떻게 판단하는지 연구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그는 18명의 음성학자에게 게일어 원어민이 말한 10개 단어의 녹음을 듣고, 모음을 기본 모음 사변형에 배치하도록 했다. 그 후 음성학자들 간의 일치 또는 불일치 정도를 연구했다.[9]

연구 결과, 대니얼 존스에게 훈련받은 음성학자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서로 더 일관된 판단을 내렸다. 그러나 기본 값에서 멀리 떨어진 모음에 대해서는 모든 음성학자 간에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는 것이 가장 주목할 만한 결과였다.[9]

참조

[1] 서적 An English Pronouncing Dictionary Dent 1917
[2] 서적 The Alphabet of Nature https://archive.org/[...] 1845
[3] 서적 Visible Speech https://archive.org/[...] 1867
[4] 서적 The Sounds of the World's Languages Blackwell 1996
[5] 서적 An Outline of English Phonetics Heffer 1967
[6] 서적 Understanding Phonetics Routledge
[7] 서적 Elements of General Phonetics Edinburgh University Press
[8] 서적 Handbook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A Guide to the Use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서적 Three Areas of Experimental Phonetics Oxford University Press 1967
[10] 서적 Ladefoged (2001)
[11] 서적 Ladefoged (2001)
[12] 서적 An English Pronouncing Dictionary Dent 19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