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성 경구개 마찰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성 경구개 마찰음은 혀의 앞부분과 경구개 사이에서 공기가 마찰하며 나는 소리이다. 이 소리는 폐에서 기류가 발생하고 성대의 진동을 동반하는 유성음이며, 조음 위치와 방법 등의 특징을 갖는다. 스코틀랜드 게일어, 아스투리아스어, 카탈루냐어, 덴마크어, 네덜란드어, 독일어, 그리스어, 헝가리어, 아일랜드어, 이탈리아어, 카빌어, 한국어, 리투아니아어, 마푸체어, 노르웨이어, 파슈토어, 리푸아리아어, 러시아어, 스페인어, 스웨덴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나타나며, 언어별로 발음 및 표기 방식에 차이가 있다. 일부 언어에서는 근사음이나 후경구개음의 변이음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구개음 - 무성 경구개 설측 접근음
- 경구개음 - 무성 경구개 마찰음
무성 경구개 마찰음은 혀 앞부분과 경구개 사이에서 혀 중앙의 틈새로 기류를 내보내 마찰을 일으켜 내는 소리이며, 한국어 '힘'의 'ㅎ', 일본어 '히' 등에서 그 예를 찾아볼 수 있다. - 마찰음 - 무성 양순 마찰음
무성 양순 마찰음은 입술을 가볍게 맞대고 공기를 강하게 내쉬어 만드는 무성 구강음으로, 일부 언어에서 음소로 나타나거나 다른 자음의 변이음으로 나타나며 한국어와 일본어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 마찰음 - 유성 치경 마찰음
유성 치경 마찰음은 혀끝과 치조릉 사이의 마찰로 나는 유성음으로, 국제 음성 기호는 /z/이며, 다양한 변종이 존재하고, 한국어에는 없지만 중세 한국어의 반치음과 관련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유성 경구개 마찰음 | |
---|---|
음성 기호 정보 | |
![]() | |
IPA 번호 | 139 |
십진수 | 669 |
X-SAMPA | j" |
키르셴바움 | C |
브라유 점자 | hh |
브라유 점자 (대안) | j |
음성학적 정보 | |
설명 | 유성 치경구개 비-치찰 마찰음 |
IPA 기호 (대안 1) | ɹ̠ʲ˔ |
IPA 기호 (대안 2) | ʝ˖ |
음성 파일 | Voiced palatal fricative.ogg |
발음 및 표기 | |
한국어 | ㅈ (예: leisure - 레저) |
영어 | j |
다른 표기 | |
IPA (후퇴) | ʝ̠ |
IPA (더 후퇴) | ʝ˗ |
IPA | ʝ |
IPA (전진) | ɣ̟ |
IPA (더 전진) | ɣ˖ |
IPA | ɣ |
IPA (구개음화) | ɣʲ |
2. 특징
- 기류 발생 - 폐장기류기구.
- 발성 - 성대의 진동을 동반하는 유성음.
- 조음
- * 조음 위치 - 앞 혀와 경구개에 의한 경구개음.
- * 조음 방법
- ** 구강 내 기류 - 혀의 중앙 틈새로 기류가 통과하는 중설음.
- ** 조음 기관의 접근 정도 - 틈새를 만들어 공기를 통과시키기 어렵게 하고, 거기에 기류를 통과시키는 것에 의한 마찰음.
- ** 연구개의 위치 - 연구개를 들어 올려 비강으로의 통로를 막은 구강음.
3. 언어별 예시
유성 경구개 마찰음은 여러 언어에서 발견되는 자음이다.
스코틀랜드 게일어에서는 좁은 자음 'gh'나 모음 사이가 아닌 'dh'에서 이 소리가 난다.[22] 한국어에서는 /h/가 유성음화되고 /i/, /t/, /j/와 결합될 때 이 소리를 들을 수 있다.[12]
다음은 소스에 제시된 유성 경구개 마찰음([ʝ])의 예시이다.
언어 | 단어 | IPA | 의미 | 비고 |
---|---|---|---|---|
아스투리아스어 | frayarast | '파괴하다' | ||
카탈루냐어 (마요르카어)[2] | figueraca | '무화과 나무' | 와 상보적 분포. 다른 변종에서는 에 해당. | |
덴마크어 (표준)[3] | talgda | '말기름' | 다음에 오는 경우 의 어말 변이음일 수 있음.[3] | |
네덜란드어 (표준)[4] | janl | '예' | 특히 강조하는 말에서 의 빈번한 변이음.[4] | |
독일어 (표준 독일어)[5][6] | Jackede | '재킷' | IPA로 로 가장 자주 표기되며, 근사음 [7][8]으로도 설명. | |
그리스어 | 표준 | γειαel | '안녕' | |
키프로스[10] | ελιάel | '올리브' | 의 변이음 | |
헝가리어[11] | dobj behu | '던져 넣다' | 의 변이음. | |
아일랜드어[12] | an ghrianga | '태양' | ||
이탈리아어 (남부 방언) | figlioit | '아들' | 표준 이탈리아어에서 에 해당. | |
카빌어 | cceǥkab | '미끄러지다' | ||
한국어 | 사향노루한국어/ | '사향노루' | /h/가 유성음화되고 /i/, /t/, /j/와 결합될 때. | |
리투아니아어[13][14] | jilt | '그녀' | IPA로 로 가장 자주 표기되며, 근사음 로도 설명.[15] | |
마푸체어[17] | kayuarn | '여섯' | 이 음소는 마푸둔군에서 문자 Y에 해당. | |
노르웨이어 (도시 동부 노르웨이어)[18][19] | gino | '주다' | 특히 폐쇄 모음 앞뒤와 격앙된 말에서 의 변이음.[19] | |
파슈토어 | 길자이 방언[20] | موږps | rowspan="2" | | '우리' |
와르다크 방언[20] | ||||
리푸아리아어 | zeijeksh | '보여주다' | ||
러시아어[21] | ямаru | '구덩이' | 강조하는 말에서 의 변이음.[21] | |
스코틀랜드 게일어[22] | dhiubhgd | '그들 중' | 약한 마찰음; 일부 방언에서 와 병합. | |
스페인어[23] | sayoes | '스목' | 많은 방언에서 로도 나타낼 수 있음. | |
스웨덴어[24] | jordsv | '토양' | 의 변이음. | |
베트남어 (중기 베트남어)[25] | Gió [𩙋]vi | (통킹 방언) | '바람' |
3. 1. 경구개음
경구개음은 앞 혀와 경구개를 사용하여 발음하는 소리이다. 유성 경구개 마찰음은 혀의 중앙 틈새로 기류가 통과하는 중설음이며, 틈새를 만들어 공기를 통과시키기 어렵게 하고, 거기에 기류를 통과시키는 마찰음이다. 또한, 연구개를 들어 올려 비강으로의 통로를 막은 구강음이며, 성대의 진동을 동반하는 유성음이다.몇몇 언어에서는 경구개음과 비슷하지만, 경구개 뒤쪽에서 발음되어 연구개 에 약간 더 가깝게 들리는 소리가 나타나기도 한다.
다음은 여러 언어에서 나타나는 유성 경구개 마찰음의 예시이다.
언어 | 단어 | IPA | 의미 | 비고 |
---|---|---|---|---|
아스투리아스어 | frayarast | '파괴하다' | ||
카탈루냐어 (마요르카어)[2] | figueraca | '무화과 나무' | 와 상보적 분포. 다른 변종에서는 에 해당. | |
덴마크어 (표준)[3] | talgda | '말기름' | 다음에 오는 경우 의 어말 변이음일 수 있음.[3] | |
네덜란드어 (표준)[4] | janl | '예' | 특히 강조하는 말에서 의 변이음.[4] | |
독일어 (표준 독일어)[5][6] | Jackede | '재킷' | IPA로 로 가장 자주 표기되며, 근사음 [7][8]으로도 설명. | |
그리스어 | 표준 | γειαel | '안녕' | |
키프로스[10] | ελιάel | '올리브' | 의 변이음 | |
헝가리어[11] | dobj behu | '던져 넣다' | 의 변이음. | |
아일랜드어[12] | an ghrianga | '태양' | ||
이탈리아어 (남부 방언) | figlioit | '아들' | 표준 이탈리아어에서 에 해당. | |
카빌어 | cceǥkab | '미끄러지다' | ||
한국어 | 사향노루한국어 / | '사향노루' | /h/가 유성음화되고 /i/, /t/, /j/와 결합될 때. | |
리투아니아어[13][14] | jilt | '그녀' | IPA로 로 가장 자주 표기되며, 근사음 로도 설명.[15] | |
마푸체어[17] | kayuarn | '여섯' | 이 음소는 마푸둔군에서 문자 Y에 해당. | |
노르웨이어 (도시 동부 노르웨이어)[18][19] | gino | '주다' | 특히 폐쇄 모음 앞뒤와 격앙된 말에서 의 변이음.[19] | |
파슈토어 | 길자이 방언[20] | موږps | rowspan="2" | | '우리' |
와르다크 방언[20] | ||||
리푸아리아어 | zeijeksh | '보여주다' | ||
러시아어[21] | ямаru | '구덩이' | 강조하는 말에서 의 변이음.[21] | |
스코틀랜드 게일어[22] | dhiubhgd | '그들 중' | 약한 마찰음; 일부 방언에서 와 병합. | |
스페인어[23] | sayoes | '스목' | 많은 방언에서 로도 나타낼 수 있음. | |
스웨덴어[24] | jordsv | '토양' | 의 변이음. | |
베트남어 (중기 베트남어)[25] | Gió [𩙋]vi | (통킹 방언) | '바람' |
3. 2. 후경구개음
wikitext언어 | 단어 | IPA | 의미 | 비고 |
---|---|---|---|---|
벨라루스어 | г'''еаграфія|벨라루스어 알파벳be | '지리학' | 일반적으로 {{lang|be|ɣʲ|} | }로 IPA에 표기. 벨라루스어 음운론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