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오창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오창가는 푸만의 넷째 아들로, 1542년부터 1571년까지 건주좌위지휘사를 역임했다. 그는 허투알라를 근거지로 삼고, 닝구타 베이러를 이끌고 주변 부족을 통합하여 세력을 확장했다. 명나라와의 관계에서는 조공을 바치는 한편, 군사적 긴장을 조성하기도 했다. 1583년, 명나라가 아타이를 토벌할 때 길 안내를 맡았으나, 아타이를 회유하려다 명군에 의해 아들 탁시와 함께 살해되었다. 그의 죽음은 손자 누르하치가 후금을 건국하는 계기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나라의 추존황제 - 천명제
천명제는 만주를 통일하고 후금을 건국한 인물로, 명나라에 반기를 들고 건주여진을 통합하여 세력을 확장했으며, 만주 문자를 창제하고 팔기 제도를 정비하여 후금의 기틀을 다졌다. - 청나라의 추존황제 - 탁시
탁시는 건주좌위지휘사 맹특목의 아들이자 누르하치의 아버지로, 부족 통합과 세력 확장을 통해 자립적인 세력 기반을 구축하려 했으며 사후 청나라 현조 선황제로 추존되었다. - 후금 - 팔기제
팔기제는 17세기 초 누르하치가 여진족을 통일하며 만든 군사·행정 조직으로, 8개의 기로 확장되어 만주족, 몽골족, 한족 등으로 구성되었고 청나라 통치 기반 확립에 기여했으며 현대 만주족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 후금 - 탁시
탁시는 건주좌위지휘사 맹특목의 아들이자 누르하치의 아버지로, 부족 통합과 세력 확장을 통해 자립적인 세력 기반을 구축하려 했으며 사후 청나라 현조 선황제로 추존되었다. - 1526년 출생 - 라파엘 봄벨리
라파엘 봄벨리는 이탈리아의 수학자로, 1572년 『대수』에서 복소수 개념을 체계적으로 다루고 허수의 산술 규칙을 명확히 제시하며 삼차방정식 해법에서 복소수가 나타나는 경우를 최초로 지적하는 등 후대 수학 발전에 기여했다. - 1526년 출생 - 이양원
조선 명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영의정까지 오른 문신 이양원은 뛰어난 행정 능력과 학문적 업적을 인정받았으나, 임진왜란 당시 영의정으로서 서울 수비를 맡았음에도 선조의 파천 소식을 듣고 자결하였다.
| 기오창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원래 이름 | |Giocangga}} |
| 휘 | 기오창가(}}, ) |
| 묘호 | 경조(景祖) |
| 시호 | 익황제(翼皇帝) |
| 출생일 | 1526년 |
| 사망일 | 1583년 (57세) |
| 왕조 | 건주여진 |
| 할라 | 아이신 할라 |
| 무쿤 | 기오로 무쿤 |
| 아버지 | 푸만 |
| 자녀 | 탁시 |
| 관직 | |
| 작위 | 건주여진 오돌리 아이만 만호 |
| 작위2 | 건주좌위지휘사 |
| 재위2 | 1542년-1571년 |
| 전임자2 | 푸만 |
| 후임자2 | 탁시 |
2. 가족 관계
푸만 도독의 넷째 아들이다. 아버지 푸만과 다섯 형제(더시쿠, 러오단, 소오창가, 보올룽가, 보오시)와 함께 '육조(六祖)'로 불리며, 각자 성을 쌓고 세력을 이루었다.[4] 기오창가는 허투알라를 근거지로 삼았다.[4]
슬하에 다섯 아들(리둔 바투루, 아르군, 자이칸, 탁시, 타차 피양구)을 두었다. 이 중 넷째 아들인 탁시는 후금을 건국하고 청나라의 태조가 되는 누르하치의 아버지이다. 이로써 기오창가는 청나라 황실의 직계 조상이 된다.
장남 리둔 바투루의 딸은 그레(Gure, ᡤᡠᡵᡝmnc) 성주 아타이(Atai, 阿台)와 혼인했다.
2. 1. 형제
wikitext| 순서 | 이름 | 만주어 표기 및 한자 표기 |
|---|---|---|
| 장형 | 더시쿠 | ᡩᡝᠰᡳᡴᡠ|데시쿠mnc (德世庫, Déshìkù) |
| 차형 | 러오단 / 리오찬 | ᠯᡳᠣᠴᠠᠨ|리오찬mnc (劉闡/瑠闡, Liúchǎn) |
| 삼형 | 소오창가 | ᠰᠣᠣᠴᠠᠩᡤᠠ|소창가mnc (索長阿, Suǒcháng'ā) |
| 오제 | 보올룽가 / 보오란가 | ᠪᠣᠣᠯᠠᠩᡤᠠ|보오랑가mnc (包朗阿/寶朗阿, Bāolǎng'ā) |
| 육제 | 보오시 | ᠪᠣᠣᠰᡳ|보오시mnc (寶實, Bǎoshí) |
2. 2. 아들
- 리둔 바투루(Lidun Baturu, ᠯᡳᡩᡠᠨ
ᠪᠠᡨᡠᡵᡠ|리둔 바투루mnc, 禮敦巴圖魯 ''Lǐdūn Bātúlǔ'') - * 딸: 이름 불명. 그레(Gure, ᡤᡠᡵᡝmnc) 성주 아타이(Atai, 阿台)의 아내.
- 아르군(Argun, ᡝᡵᡤᡠᠸᡝᠨ|얼궈원mnc, 額爾袞 ''É'ěrgǔn'')
- 자이칸(Jaikan, ᠵᠠᡳᡴᠠᠨ|자이칸mnc, 界堪 ''Jièkān'')
- 탁시(Taksi, ᡨᠠᡴᠰᡳ|탁시mnc, 塔克世 ''Tǎkèshì'')
- * 아들: 누르하치(Nurhaci) - 후금의 건국자이자 청나라의 태조.
- 타차 피양구(Taca Fiyanggū, ᡨᠠᠴᠠ
ᡶᡳᠶᠠᠩᡤᡡ|타차 피양구mnc, 塔察篇古 ''Tǎchá Piāngǔ'')[4][9]
3. 생애
(내용 없음)
3. 1. 초기 활동과 부족 통합
도독 푸만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푸만의 여섯 아들(육조)은 각자 성을 쌓고 분거했으며, 기오창가는 다른 다섯 성에서 "가까운 곳은 5리, 먼 곳은 20리" 거리에 위치한 허투알라 지방을 근거지로 삼았다.[4]육조가 각자 거점을 마련하기 시작했을 무렵, 인근 부락에는 유력한 두 씨족이 있었다. 석색납쇼세나의 아홉 아들은 모두 강인했으며, 가호개프의 일곱 아들은 모두 날쌔고 힘이 셌다. 두 세력 모두 무력을 믿고 각지를 침범하여 약탈을 일삼았다. 그러나 재치가 풍부했던 기오창가는 아들 리둔, 그리고 형제인 녕고탑 베이러닝구타 베이러를 이끌고 출병하여 쇼세나의 아홉 아들과 개프의 일곱 아들을 토벌했다. 그 결과, 오령 동쪽과 숙수후 강 서쪽 200리 지역의 여러 부족이 복속하여 육조의 세력이 커졌다.[4]
한편, 요동 순무 후여량의 주청 문서에는 기오창가가 "적의 수괴"로 이름이 거론된 것으로 보아, 그가 건주우위도지휘사 왕고의 명나라 변방 침입에 관여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이후 마음을 고쳐 명나라에 입공하였다고 전해진다.[8]
3. 2. 명과의 관계
요동 순무(遼東巡撫) 후여량(侯汝良)의 주청(奏請) 문서에는 기오창가가 "적의 수괴"로 언급되기도 했다.[8] 이는 기오창가가 건주우위도지휘사 왕고의 명나라 변방 침입에 관여했음을 시사한다.[8] 하지만 이후 명나라 측 기록에 따르면 기오창가는 태도를 바꾸어 명에 조공을 바치게 되었다고 한다.[8]3. 3. 죽음
명 만력 11년(1583년) 구력 2월, 명나라는 변방을 자주 침범하여 혼란을 일으킨다는 이유로 수쿠수후・비라부의 그레성 성주 아타이를 토벌하기로 결정했다. 이때 명나라는 이성량을 장수로 삼고, '''기오창가'''와 그의 아들 탁시에게 길 안내를 맡겼다. '''기오창가'''는 명나라 군대와 함께 그레성으로 갔으나, 아타이에게 시집간 손녀를 구하고 아타이를 설득하기 위해 성 안으로 들어갔다. 그러나 같은 수쿠수후・비라부 소속인 투룬성의 성주 니칸 와이란의 선동을 받은 명나라 군대에 의해 아들 탁시와 함께 오살(誤殺, 잘못 죽임)당했다.이 사건은 훗날 누르가치가 명나라를 공격하는 이유로 내세운 7대 한의 첫 번째 조항(恨一)이 되었으며, 누르가치가 명나라 정벌을 결심하는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4. 평가 및 영향
기오창가는 아버지 푸만의 뒤를 이어 건주여진의 세력을 확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이다. 그는 허투알라 지방을 근거지로 삼아, 주변의 다른 다섯 형제(오조)와 함께 세력을 이루었다.[4]
당시 인근에는 쇼세나(石色納)와 개프(加虎)라는 강력한 씨족이 있었는데, 이들은 무력을 바탕으로 주변 지역을 침범하고 약탈했다. 기오창가는 아들 리둔 바투루와 함께 이들을 토벌하여 오령 동쪽과 숙수후 강 서쪽 200리 지역의 여러 부족을 복속시켰다. 이를 통해 기오창가를 포함한 육조(六祖)의 세력은 크게 신장되었다.[4] 이러한 군사적 성공은 건주여진 내부에서 그의 영향력을 강화하는 기반이 되었다.
한편, 명나라와의 관계에서는 초기 건주좌위 지휘사 왕고의 명나라 변경 침입에 관여했던 것으로 보이나, 이후 명나라에 조공하며 관계를 유지하려 한 것으로 추정된다.[8]
기오창가의 이러한 활동과 세력 확장은 훗날 그의 손자인 누르하치가 여러 여진 부족을 통합하고 후금을 건국하는 데 중요한 발판이 되었다. 그의 아들 탁시를 거쳐 손자 누르하치로 이어지는 가계는 청나라 황실의 직접적인 기원이 되었으며, 기오창가는 청나라에서 경조(景祖)로 추존되었다.
참조
[1]
뉴스
"1.5m Chinese 'descendants of one man'"
http://news.bbc.co.u[...]
BBC
2005-11-01
[2]
서적
神宗顯皇帝實錄
[3]
웹사이트
(愛新覺羅)覺昌安
https://newarchive.i[...]
2024-07-06
[4]
서적
太祖高皇帝實錄
[5]
웹사이트
(愛新覺羅)覺昌安
https://newarchive.i[...]
2024-07-06
[6]
서적
满汉大辞典
遼寧民族出版社
[7]
서적
太宗文皇帝實錄
[8]
서적
清朝全史
[9]
서적
滿洲實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