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요쿠모 에이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요쿠모 에이준은 1950년생으로, 일본의 전 축구 선수이자 지도자이다. 선수 시절에는 후루카와 전기에서 활약하며 일본 사커 리그와 천황배 우승을 경험했으며, 1974년부터 1980년까지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42경기에 출전했다. 은퇴 후에는 후루카와 전기의 감독을 맡아 팀의 아시아 클럽 챔피언십 우승을 이끌었고, 일본 국가대표팀 코치와 U-20 대표팀 감독을 역임했다. 또한 오미야 아르디자의 감독을 맡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 U-20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오쿠마 기요시
오쿠마 기요시는 일본의 축구 선수 출신 지도자로, FC 도쿄 감독 시절 J2 리그와 천황배 우승을 이끌었으며 현재 교토 상가 FC의 GM을 맡고 있다. - 일본 U-20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마쓰모토 이쿠오
마쓰모토 이쿠오는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공격수로서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 동메달 획득에 기여했으며, 은퇴 후 J리그 클럽 및 U-20 국가대표팀 감독을 역임하고 가와사키 프론탈레를 J1리그로 승격시키는 등 지도자로서도 활약하여 일본 축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지바의 축구 감독 - 오쿠데라 야스히코
오쿠데라 야스히코는 1970년대 독일 분데스리가에서 활약한 최초의 일본인 선수로, 일본 리그 우승과 천황배 우승, 분데스리가 우승, UEFA 챔피언스리그 아시아 선수 최초 득점을 기록했으며, 일본 대표팀으로 32경기 출전 후 은퇴하여 지도자, 해설가, 구단 사장 등으로 활동하며 일본 축구 발전에 기여했다. - 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지바의 축구 감독 - 나가누마 겐
나가누마 겐은 일본의 축구 선수, 감독, 행정가로, 선수로서는 올림픽에 출전하고, 감독으로서는 올림픽 메달을 획득했으며, 행정가로서 일본 축구 발전에 기여했다. - 오미야 아르디자의 축구 감독 - 장외룡
장외룡은 1980년대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한 왼쪽 풀백 출신 축구 선수이자 지도자로, K리그 우승과 아시아 클럽 챔피언십 우승을 경험했으며, 은퇴 후 K리그 감독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 오미야 아르디자의 축구 감독 - 핌 베어벡
핌 베어벡은 네덜란드 출신 축구인으로 선수와 지도자로 활동했으며, 2002년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코치로 2002년 FIFA 월드컵 4강 진출에 기여하고 2006년 대한민국 대표팀 감독으로 2007년 AFC 아시안컵 3위를 이끌었으며, 오스트레일리아, 모로코, 오만 대표팀 감독을 역임하다가 2019년 사망했다.
기요쿠모 에이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전체 이름 | 기요쿠모 에이준 |
본명 | 기요쿠모 에이준 |
로마자 표기 | Kiyokumo Eijun |
출생일 | 1950년 9월 11일 |
출생지 | 야마나시현 고슈시 |
신장 | 1.80m |
포지션 | 수비수 |
선수 경력 | |
유소년 클럽 | 히카와 고등학교 (1966–1968) 호세이 대학 (1969–1972) |
프로 클럽 | 후루카와 전기 (1973–1982) |
클럽 출장 및 득점 | 149경기 6골 |
국가대표 경력 | |
국가대표팀 | 일본 (1974–1980) |
국가대표 출장 및 득점 | 42경기 0골 |
감독 경력 | |
감독 클럽 | 후루카와 전기 (1984–1990) 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1994–1995) 일본 U-20 (1998) 오미야 아르디자 (2003) |
수상 내역 (선수) | |
일본 사커 리그 | 우승 (1976) |
JSL컵 | 우승 (1977, 1982), 준우승 (1979) |
천황배 | 우승 (1976) |
2. 선수 경력
기요쿠모 에이준은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과 후루카와 전기에서 선수로 활약했다.
야마나시현 출신으로, 호세이 대학 졸업 후 1973년 후루카와 전기에 입단했다.[5] 1976년 일본 사커 리그와 천황배 우승에 기여했고, 1977년 JSL컵과 1982년 JSL컵 우승도 이끌었다. 1982년 은퇴할 때까지 리그 149경기에서 6골을 기록했으며, 1974년부터 1976년까지 3년 연속 리그 베스트 일레븐에 선정되었다.
1974년 대한민국과의 경기에서 국가대표로 데뷔하여, 1976년 하계 올림픽 예선, 1978년 월드컵 예선, 1980년 하계 올림픽 예선 등에 출전했다.[3] 1980년까지 A매치 42경기에 출전했다.
은퇴 후에는 후루카와 전기 감독으로 취임하여 1985-86 일본 사커 리그, 1986 JSL 컵에서 우승을 이끌었고, 1986년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에서 일본 클럽 최초로 아시아 챔피언에 올랐다.
2. 1. 클럽 경력
기요쿠모는 1973년 호세이 대학을 졸업한 후, 후루카와 전기에 입단했다. 1976년 일본 사커 리그와 천황배에서 우승을 차지했으며, 1977년 JSL컵과 1982년 JSL컵에서도 우승했다. 1982년에 은퇴했으며, 리그에서 149경기에 출전하여 6골을 기록했다. 1974년 일본 사커 리그, 1975년 일본 사커 리그, 1976년 일본 사커 리그에서 베스트 일레븐으로 선정되었다.2. 2. 국가대표 경력
기요쿠모 에이준은 1974년 9월 28일 대한민국과의 경기에서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데뷔전을 치렀다.[3] 그는 1976년 하계 올림픽 예선, 1978년 월드컵 예선, 1980년 하계 올림픽 예선에 출전했다.[3] 1980년까지 일본 대표팀에서 42경기를 뛰었다.[3]연도 | 출장 | 득점 |
---|---|---|
1974 | 6 | 0 |
1975 | 21 | 0 |
1976 | 16 | 0 |
1977 | 19 | 0 |
1978 | 1 | 0 |
1979 | 19 | 0 |
1980 | 9 | 0 |
통산 | 91 | 0 |
No. | 개최일 | 개최 도시 | 경기장 | 상대 팀 | 결과 | 대회 |
---|---|---|---|---|---|---|
1 | 1974년 9월 28일 | 도쿄도 |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 대한민국 | ○4-1 | 한일 정기전 |
2 | 1975년 6월 14일 | 홍콩 | 홍콩 | △0-0 (PK3-4) | 아시안컵 예선 | |
3 | 1975년 6월 17일 | 홍콩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0-1 | 아시안컵 예선 | |
4 | 1975년 6월 21일 | 홍콩 | 싱가포르 | ○2-1 | 아시안컵 예선 | |
5 | 1975년 6월 23일 | 홍콩 | 중국 | ●1-2 | 아시안컵 예선 | |
6 | 1975년 6월 26일 | 홍콩 | 홍콩 | ○1-0 | 아시안컵 예선 | |
7 | 1975년 7월 30일 | 쿠알라룸푸르 | 홍콩 | ●0-2 | 머데카컵 | |
8 | 1975년 8월 2일 | 쿠알라룸푸르 | 말레이시아 | ●0-2 | 머데카컵 | |
9 | 1975년 8월 4일 | 쿠알라룸푸르 | 방글라데시 | ○3-0 | 머데카컵 | |
10 | 1975년 8월 7일 | 쿠알라룸푸르 | 인도네시아 | ○4-1 | 머데카컵 | |
11 | 1975년 8월 9일 | 쿠알라룸푸르 | 대한민국 | ●1-3 | 머데카컵 | |
12 | 1975년 8월 11일 | 쿠알라룸푸르 | 태국 | ○4-0 | 머데카컵 | |
13 | 1975년 8월 14일 | 쿠알라룸푸르 | 버마 | ○2-0 | 머데카컵 | |
14 | 1975년 9월 8일 | 서울 | 대한민국 | ●0-3 | 한일 정기전 | |
15 | 1976년 1월 25일 | 도쿄도 |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 불가리아 | ●1-3 | 아사히 국제 축구 대회 |
16 | 1976년 1월 28일 | 오사카부 | 나가이 육상 경기장 | 불가리아 | △1-1 | 아사히 국제 축구 대회 |
17 | 1976년 2월 1일 | 도쿄도 |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 불가리아 | ●0-3 | 아사히 국제 축구 대회 |
18 | 1976년 3월 14일 | 도쿄도 |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 필리핀 | ○3-0 | 올림픽 예선 |
19 | 1976년 3월 17일 | 도쿄도 |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 필리핀 | ○3-0 | 올림픽 예선 |
20 | 1976년 3월 21일 | 도쿄도 |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 대한민국 | ●0-2 | 올림픽 예선 |
21 | 1976년 3월 31일 | 서울 | 이스라엘 | ●0-3 | 올림픽 예선 | |
22 | 1976년 4월 11일 | 텔아비브 | 이스라엘 | ●1-4 | 올림픽 예선 | |
23 | 1976년 8월 10일 | 쿠알라룸푸르 | 인도네시아 | ○6-0 | 머데카컵 | |
24 | 1977년 3월 6일 | 텔아비브 | 이스라엘 | ●0-2 | 월드컵 예선 | |
25 | 1977년 3월 10일 | 텔아비브 | 이스라엘 | ●0-2 | 월드컵 예선 | |
26 | 1977년 3월 26일 | 도쿄도 |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 대한민국 | △0-0 | 월드컵 예선 |
27 | 1977년 4월 3일 | 서울 | 대한민국 | ●0-1 | 월드컵 예선 | |
28 | 1977년 6월 15일 | 서울 | 대한민국 | ●1-2 | 한일 정기전 | |
29 | 1979년 3월 4일 | 도쿄도 |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 대한민국 | ○2-1 | 한일 정기전 |
30 | 1979년 5월 31일 | 도쿄도 | 국립 니시가오카 축구장 | 인도네시아 | ○4-0 | 재팬컵 |
31 | 1979년 6월 16일 | 서울 | 대한민국 | ●1-4 | 한일 정기전 | |
32 | 1979년 6월 27일 | 쿠알라룸푸르 | 말레이시아 | △1-1 | 머데카컵 | |
33 | 1979년 6월 29일 | 쿠알라룸푸르 | 태국 | ○2-1 | 머데카컵 | |
34 | 1979년 7월 1일 | 쿠알라룸푸르 | 버마 | ○1-0 | 머데카컵 | |
35 | 1979년 7월 11일 | 쿠알라룸푸르 | 인도네시아 | △0-0 | 머데카컵 | |
36 | 1979년 7월 13일 | 쿠알라룸푸르 | 싱가포르 | ○3-1 | 머데카컵 | |
37 | 1979년 8월 23일 | 평양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0-0 | 국제 친선 경기 | |
38 | 1980년 3월 22일 | 쿠알라룸푸르 | 대한민국 | ●1-3 | 올림픽 예선 | |
39 | 1980년 3월 24일 | 쿠알라룸푸르 | 필리핀 | ○10-0 | 올림픽 예선 | |
40 | 1980년 3월 28일 | 쿠알라룸푸르 | 인도네시아 | ○2-0 | 올림픽 예선 | |
41 | 1980년 3월 30일 | 쿠알라룸푸르 | 말레이시아 | △1-1 | 올림픽 예선 | |
42 | 1980년 4월 2일 | 쿠알라룸푸르 | 브루나이 | ○2-1 | 올림픽 예선 |
기요쿠모 에이준은 은퇴 후 1984년 우치노 마사오의 후임으로 후루카와 전기의 감독이 되었다. 그는 팀을 이끌고 1985-86 일본 사커 리그, 1986 JSL 컵에서 우승했다. 아시아에서는 1986년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는데, 이는 일본 클럽 최초의 아시아 챔피언 타이틀이었다. 그는 1990년에 감독직에서 사임했다. 1992년에는 일본 국가대표팀에서 한스 오프트 감독 아래 코치를 맡았다. 1994년, 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구 ''후루카와 전기'')로 복귀하여 1995년까지 팀을 감독했다. 1998년에는 일본 U-20 국가대표팀 감독이 되었다. 1999년, 오미야 아르디자와 계약하여 단장이 되었다. 2003년 10월, 칸노 마사아키의 후임으로 감독이 되었다.
중학교 시절까지 야구를 했다.[5] 야마나시 현립 히카와 고등학교 입학 후, 반 대항 럭비 대회에서의 활약으로 럭비부에서 스카우트되었고, 이후 축구부에도 들어가 두 부를 겸하게 되었다. 고등학교 동급생으로는 아리가 켄과 점보 쓰루타가 있다. 일반 입시로 호세이 대학 사회학부에 입학, 재학 중에는 축구부에 들어가 4학년 때는 주장을 맡았다.
기요쿠모 에이준은 감독으로 재임하면서 다음과 같은 주요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3. 지도자 경력
그의 지도자 경력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기간 팀 직책 1982년-1983년 후루카와 전기공업 코치 1984년-1990년 후루카와 전기공업 감독 1992년-1993년 일본 대표팀 코치 1994년-1995년 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감독 1996년-1997년 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팀 총괄 부장 1997년-1998년 U-18 일본 대표팀 감독 1999년-2003년 오미야 아르디자 제너럴 매니저 2003년 10월-12월 오미야 아르디자 감독 (겸임) 2004년-2012년 7월 오미야 아르디자 토탈 어드바이저 2012년 7월- 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지바 토탈 어드바이저
4. 기타 경력
1999년부터 오미야 아르디자에서 제너럴 매니저를 맡았고(2003년 10월부터 12월까지는 시즌 도중 해임된 스게노 마사아키를 대신해 감독 겸임), 2004년부터 토탈 어드바이저를 맡았다. 2004년부터 모교인 호세이 대학의 교수로 취임하여, 2004년에는 공학부에, 2009년부터는 신설된 스포츠 건강학부에 소속되어 있다. 2012년 12월, 지바의 운영 회사인 제프 유나이티드 주식회사의 이사로 취임했다.
5. 수상
5. 1. 감독
기요쿠모는 은퇴 후 1984년 우치노 마사오의 후임으로 후루카와 전기의 감독이 되었다. 1985-86 일본 사커 리그, 1986 JSL 컵에서 우승을 차지했으며, 1986년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에서 일본 클럽 최초로 아시아 챔피언 타이틀을 획득했다.[1] 1990년에 감독직에서 물러났고,[1] 1992년에는 한스 오프트 감독 아래에서 일본 국가대표팀 코치를 맡았다.[1] 1994년 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구 ''후루카와 전기'')로 복귀하여 1995년까지 팀을 감독했고,[1] 1998년에는 일본 U-20 국가대표팀 감독을 맡았다.[1] 1999년 오미야 아르디자 단장으로 취임, 2003년 10월에는 칸노 마사아키의 후임으로 감독이 되었다.[1]
기요쿠모 에이준의 감독 경력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소속팀 | 직책 |
---|---|---|
1984-1990 | 후루카와 전기공업 | 감독 |
1992-1993 | 일본 대표팀 | 코치 |
1994-1995 | 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 감독 |
1997-1998 | U-18 일본 대표팀 | 감독 |
2003 | 오미야 아르디자 | 감독 |
감독으로서의 리그 및 컵 대회 성적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소속 | 클럽 | 리그전 | 컵 대회 | ||||||
---|---|---|---|---|---|---|---|---|---|---|
순위 | 경기 | 승점 | 승 | 무 | 패 | JSL컵/나비스코컵 | 천황배 | |||
1984 | JSL 1부 | 후루카와 | 4위 | 18 | 21 | 8 | 5 | 5 | 8강 | 준우승 |
1985 | 우승 | 22 | 35 | 15 | 5 | 2 | 4강 | 8강 | ||
1986-87 | 4위 | 22 | 26 | 10 | 6 | 6 | 우승 | 기권 | ||
1987-88 | 7위 | 22 | 21 | 6 | 9 | 7 | 8강 | 4강 | ||
1988-89 | 6위 | 22 | 29 | 8 | 5 | 9 | 2회전 | 2회전 | ||
1989-90 | 4위 | 22 | 38 | 10 | 8 | 4 | 2회전 | 1회전 | ||
1994 | J | 이치하라 | 9위 | 44 | - | 19 | - | 25 | 8강 | 2회전 |
1995 | 5위 | 52 | 88 | 28 | - | 24 | - | 1회전 | ||
2003 | J2 | 오미야 | 6위 | 6 | 12 | 4 | 0 | 2 | - | - |
기타 주요 성적으로는 아시아 클럽 선수권 1986 우승(1986년)과 아프로-아시아 클럽 선수권 1987 준우승(1988년)이 있다.
6. 통계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 ||
---|---|---|
연도 | 출장 | 득점 |
1974 | 1 | 0 |
1975 | 13 | 0 |
1976 | 9 | 0 |
1977 | 5 | 0 |
1978 | 0 | 0 |
1979 | 9 | 0 |
1980 | 5 | 0 |
합계 | 42 | 0 |
6. 1. 클럽
기요쿠모는 1973년 후루카와 전기에 입단했다. 1976년 일본 사커 리그와 천황배에서 우승을 차지했고, 1977년 JSL컵과 1982년 JSL컵에서도 우승했다. 1982년에 은퇴할 때까지 리그에서 149경기에 출전하여 6골을 기록했으며, 1974년 일본 사커 리그, 1975년 일본 사커 리그, 1976년 일본 사커 리그에서 베스트 일레븐으로 선정되었다.클럽 기록 | 리그 | |||
---|---|---|---|---|
시즌 | 클럽 | 리그 | 출장 | 골 |
일본 | 리그 | |||
1973 | 후루카와 전기 | JSL 디비전 1 | 17 | 0 |
1974 | 17 | 0 | ||
1975 | 18 | 0 | ||
1976 | 18 | 2 | ||
1977 | 16 | 2 | ||
1978 | 10 | 0 | ||
1979 | 18 | 1 | ||
1980 | 12 | 1 | ||
1981 | 18 | 0 | ||
1982 | 5 | 0 | ||
합계 | 149 | 6 |
6. 2. 국가대표팀
기요쿠모 에이준은 1974년 9월 28일 대한민국과의 경기에서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데뷔전을 치렀다.[1] 1976년 하계 올림픽 예선, 1978년 월드컵 예선, 1980년 하계 올림픽 예선에 출전했으며, 1980년까지 일본 대표팀에서 42경기를 뛰었다.[1]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 ||
---|---|---|
연도 | 출장 | 득점 |
1974 | 1 | 0 |
1975 | 13 | 0 |
1976 | 9 | 0 |
1977 | 5 | 0 |
1978 | 0 | 0 |
1979 | 9 | 0 |
1980 | 5 | 0 |
합계 | 42 | 0 |
국제 A매치 42경기 0득점 (1974-1980)[3]
6. 3. 감독
기요쿠모는 은퇴 후 1984년 우치노 마사오의 후임으로 후루카와 전기의 감독이 되었다. 그는 팀을 이끌고 1985-86 일본 사커 리그, 1986 JSL 컵에서 우승했다. 아시아에서는 1986년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는데, 이는 일본 클럽 최초의 아시아 챔피언 타이틀이었다.[2] 1990년에 감독직에서 사임했다. 1992년에는 일본 국가대표팀의 한스 오프트 감독 아래에서 코치를 맡았다. 1994년, 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구 ''후루카와 전기'')로 복귀하여 1995년까지 팀을 감독했다. 1998년에는 일본 U-20 국가대표팀 감독이 되었다. 1999년에는 오미야 아르디자와 계약하여 단장이 되었고, 2003년 10월 칸노 마사아키의 후임으로 감독이 되었다.[2]팀 | 기간 시작 | 기간 종료 | 경기 | 승 | 무 | 패 | 승률 |
---|---|---|---|---|---|---|---|
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 1994 | 1995 | 96 | 47 | 0 | 49 | 48.96 |
오미야 아르디자 | 2003 | 2003 | 6 | 4 | 0 | 2 | 66.67 |
합계 | 102 | 51 | 0 | 51 | 50.00 |
참조
[1]
데이터베이스
Japan National Football Team Database
http://www.jfootball[...]
[2]
웹사이트
J.League Data Site
https://data.j-leagu[...]
[3]
뉴스
清雲 栄純
http://www.jfootball[...]
サッカー日本代表データベース
[4]
웹사이트
スポーツ健康学部 > 教員紹介-法政大学HP
http://www.hosei.ac.[...]
2012-05-03
[5]
웹사이트
論文
https://web.archive.[...]
2012-09-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