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현 (프로게이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승현은 대한민국의 전직 프로게이머로, 스타크래프트와 스타크래프트 II에서 활동했다. 2007년 한빛 스타즈에 입단하여 프로게이머 생활을 시작했으며, 웅진 스타즈에서 주전으로 활약하며 2010년 신한은행 위너스리그 09-10에서 올킬을 기록했다. 이후 공군 ACE에서 복무하며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에 참가했고, 제대 후에는 아프리카TV에서 방송 활동을 시작했다. 그는 경기 내용으로 인해 '오메킴'이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으며, 여러 리그에서 수상 경력을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군 ACE의 선수 - 한동욱
한동욱은 2003년 스파키즈에 입단하여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로 데뷔, 아마추어 신분으로 스타리그에 진출한 마지막 선수이자 2006년 신한은행 스타리그 시즌1 우승, 프로리그 프로토스전 17연패 기록을 가진 선수이다. - 공군 ACE의 선수 - 이주영 (프로게이머)
이주영은 드론 활용 전략으로 "드론의 아버지"라는 별명을 얻은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이자 GSL 해설가로, 공군 ACE 소속으로 활동하며 대 프로토스와 대 저그전에서 강점을 보였다. - 아프리카 프릭스의 스타크래프트 II 선수 - 이동녕 (프로게이머)
이동녕은 GSL 등 국내외 스타크래프트 II 대회에서 프리미어 개인리그 4회 우승 및 2회 준우승을 기록한 프로게이머이다. - 아프리카 프릭스의 스타크래프트 II 선수 - 조지현
조지현은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로, 프리미어 개인리그에서 우승 1회, 준우승 1회를 기록했고, DreamHack Open, IEM, GSL 등 여러 국내외 대회에 참가했다. - 웅진 스타즈의 선수 - 박상우 (프로게이머)
박상우는 이스트로와 웅진 스타즈에서 활동하며 프로토스전 12연승과 저그전 11연패를 기록하는 등 특정 종족전에 극단적인 성적을 보였던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이다. - 웅진 스타즈의 선수 - 노준규
노준규는 웅진 스타즈, SK텔레콤 T1, 삼성 갤럭시 칸에서 활동한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 출신으로, 2017년 은퇴 후 아프리카TV에서 방송을 진행하며 개그맨 정형돈과 닮은 외모로 '항도니테란'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김승현 (프로게이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김승현 |
국적 | 대한민국 |
출생일 | 1989년 11월 8일 () |
출생지 | 대한민국 전라남도 목포시 |
종족 | 프로토스 |
아이디 | SeaGuemChi, IamMang |
소속팀 | 무엔터테인먼트, 바르셀로나 |
별명 | 오메킴, 의사토스, Yes토스, 전투의사, 히포크라토스, 스팸토스, 홍탁킴, 빠삐킴 |
2. 프로게이머 시절
김승현은 2007년 하반기 드래프트에서 한빛 스타즈(현 웅진 스타즈)에 2차 지명으로 입단하며 프로게이머 생활을 시작했다.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후기리그 데뷔전에서 염보성, 강민, 허영무를 상대로 3연승을 거두며 윤용태를 이을 한빛 토스의 유망주로 기대를 모았다. 하지만 이후 연승과 연패를 반복하며 큰 주목을 받지 못했고, 특히 저그전에 약한 모습을 보였다.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시즌에는 개인리그에 진출하고, 팀 내에서 윤용태와 김명운 다음으로 많은 승수를 올리며 팀의 주축 선수로 성장했다. 신한은행 위너스리그 09-10에서는 첫 올킬을 기록하고 공식전 9연승을 달리며 웅진 스타즈의 포스트시즌 진출에 기여했다.
09-10 시즌이 끝난 후 은퇴했으나, 웅진 스타즈로 복귀하여 공군 ACE에 지원, 합격하여 입대했다.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시즌 2에서는 공군 에이스 소속으로 활동했다. 2014년 3월 4일 제대한 후 아프리카TV에서 활동을 시작하면서 사실상 은퇴했다.
2010년에는 STARTALE에 입단하여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로 잠시 활동했으나, 뚜렷한 활약을 보이지 못하고 2011년 1월 웅진 스타즈로 복귀하여 다시 스타크래프트 선수로 활동했다. 이는 스타크래프트 II로 전향했던 프로게이머가 다시 스타크래프트로 복귀한 첫 사례였다.
2. 1. 스타크래프트 (2007-2010, 2011-2014)
2007년 하반기 드래프트에서 한빛 스타즈(현 웅진 스타즈)의 2차 지명으로 입단하였다.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후기리그 데뷔전에서 염보성, 강민, 허영무를 꺾고 3연승을 기록, 윤용태를 잇는 한빛 토스의 탄생으로 기대를 모았으나, 이후 연패와 연승을 반복하며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특히 프로토스전과 테란전에서는 끈질긴 경기를 통해 승리했지만, 저그전에서는 약한 모습을 보였다.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시즌에는 개인리그에 진출하고, 팀 내에서 윤용태-김명운 다음으로 많은 승수를 올리는 등 활약하며 팀의 주전으로 성장하였다.
신한은행 위너스리그 09-10에서 첫 올킬을 시작으로 공식전 9연승을 달리며 웅진 스타즈의 포스트시즌 진출에 기여했다. 09-10 시즌 종료 후 은퇴했으나, 웅진 스타즈로 복귀하여 공군 ACE에 지원, 합격하여 입대했다.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시즌 2에서는 공군 에이스 소속으로 활약했다. 2014년 3월 4일 제대 후 아프리카TV 활동을 시작하면서 사실상 은퇴했다.
2. 1. 1. 한빛-웅진 스타즈 시절 (2007-2010)
2007년 하반기 드래프트에서 한빛 스타즈(현 웅진 스타즈)의 2차 지명으로 입단하였다.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후기리그 데뷔전에서 염보성, 강민, 허영무를 꺾고 3연승을 기록, 윤용태를 잇는 한빛 토스의 탄생으로 기대를 모았으나, 이후 연패와 연승을 반복하며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특히 프로토스전과 테란전에서는 끈질긴 경기를 통해 승리했지만, 저그전에서는 약한 모습을 보였다.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시즌에는 개인리그에 진출하고, 팀 내에서 윤용태-김명운 다음으로 많은 승수를 올리는 등 활약하며 팀의 주전으로 성장하였다.
신한은행 위너스리그 09-10에서 첫 올킬을 시작으로 공식전 9연승을 달리며 웅진 스타즈의 포스트시즌 진출에 크게 기여했다.
09-10 시즌 종료 후 은퇴했다.
2. 1. 2. 공군 ACE 복무 및 웅진 스타즈 복귀 (2011-2014)
2010년 신한은행 위너스리그 09-10에서 첫 올킬을 시작으로 공식전 9연승을 달리며 웅진 스타즈의 포스트시즌 진출권 획득에 기여했다. 09-10 시즌 종료 후 은퇴했으나, 웅진 스타즈로 복귀하여 공군 ACE에 지원, 합격하여 입대했다.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시즌 2에서는 공군 에이스 소속으로 활약했다. 2014년 3월 4일 제대 후 아프리카TV 활동을 시작하면서 사실상 은퇴했다.2. 2. 스타크래프트 II (2010-2011)
STARTALE에 입단하여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로 활동했다. 그러나 뚜렷한 활약을 하지 못했고, 2011년 1월 웅진 스타즈에 재입단하여 스타크래프트로 복귀하였다. 스타크래프트 II로 전향한 프로게이머가 다시 스타크래프트로 복귀한 첫 사례였다.3. 김승현과 OME
2009년 6월 1일,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5라운드 삼성전자 칸과의 경기에서 김승현은 이성은 선수를 상대로 졸전을 펼친 끝에 승리했지만, 우스꽝스러운 세리머니와 낮은 평점으로 인해 '오메(OME)킴'이라는 별명을 얻게 되었다. OME는 'Oh My Eyes!!'의 약자로, 수준 낮은 경기를 비꼬는 표현이다.
이후 SK텔레콤 T1과의 경기에서 정명훈 선수에게 전진 게이트 전략을 시도하다 실패하며 '오메킴' 별명이 더욱 굳어졌다. 김승현은 5연승을 기록하면서도 경기 내용이 좋지 않아 '흑마법의 대가'라는 별명도 얻었다.
경남 STX 마스터즈 2009 이스트로전에서는 박상우, 신대근을 연파했으나, 신상호와의 경기에서 서로 본진에 넥서스를 소환하는 진풍경을 연출하며 패배했다.
MBC 게임 김철민 캐스터는 오메킴을 '오컬트 매지션'의 줄임말로 새롭게 정리했으며, 프로리그에서의 활약으로 '오메느님', '오메가' 등으로 별명이 진화하기도 했다. 그러나 최호선과의 경기에서 전투 의사를 밝히며 '전투토스'라는 새로운 별명을 얻기도 했다.
4. 신한은행 위너스리그 09-10 첫 올킬
2010년 1월 27일 CJ 엔투스와의 경기에서 김승현은 4:1로 올킬을 기록했다. 이는 해당 시즌 첫 올킬이었다.
08-09 위너스리그 우승팀인 CJ 엔투스를 상대로 웅진 스타즈의 신예 김민철이 출전했으나, 변형태와의 장기전 끝에 아쉽게 패배했다. 그러나 웅진 스타즈의 두 번째 주자로 나온 김승현은 가스러쉬 이후 3연속 리콜로 변형태의 본진을 초토화하며 승리했다. 이어서 CJ 엔투스의 에이스 김정우를 상대로 커세어와 다크 템플러를 활용하여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다음 상대로 CJ 엔투스의 신예 장윤철을 만난 김승현은 셔틀을 이용한 지속적인 견제로 안정적인 플레이를 펼쳤다. 마지막으로 CJ 엔투스의 대장 진영화를 상대로는 앞마당까지 밀리는 위기를 맞았으나, 리버를 활용한 방어와 함께 진영화의 앞마당을 초토화시키며 올킬을 달성했다.
날짜 | 선수 | vs | 선수 | 비고 |
---|---|---|---|---|
2010년 1월 27일 | 김민철 | 변형태 | 김민철 패 |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3R) |
2010년 1월 27일 | 김승현 | 변형태 | 김승현 승 |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3R) |
2010년 1월 27일 | 김승현 | 김정우 | 김승현 승 |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3R) |
2010년 1월 27일 | 김승현 | 장윤철 | 김승현 승 |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3R) |
2010년 1월 27일 | 김승현 | 진영화 | 김승현 승 |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3R) |
5. 수상 경력
연도 | 대회 | 결과 |
---|---|---|
2007년 | 제29회 커리지매치 | 입상 |
2009년 | 박카스 스타리그 2009 | 36강 |
2009년 | EVER 스타리그 2009 | 36강 |
2009년 | NATE MSL 2009 | 16강 |
2010년 |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1 | 36강 |
2015년 | 스베누 10차 소닉 스타리그 | 16강 |
2015년 | 스베누 11차 소닉 스타리그 시즌2 | 16강 |
2016년 | VANT 36.5 대국민 스타리그 | 8강 |
2017년 | ASL 시즌2 | 8강 |
2017년 | ASL 시즌3 | 16강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