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형 (1949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진형은 1949년생으로, 인공지능 분야의 권위자이다. 1973년부터 KAIST에서 소프트웨어 개발자로 일했으며, UCLA에서 컴퓨터과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휴즈 연구소에서 인공지능 연구를 수행하고, 1985년부터 2014년까지 KAIST 전산학부 교수로 재직하며 인공지능연구실을 이끌었다. 한국정보과학회 인공지능연구회 설립을 주도하고, 환태평양인공지능학술대회 조직위원장을 역임했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원장,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초대 소장, 공공데이터전략위원회 민간위원장 등을 역임했으며, 인천재능대학교 총장을 지냈다. 베이시안 네트웍, 신경망, 패턴인식 등 인공지능 분야를 연구했으며, 한국과학기술한림원, 한국공학한림원 원로회원, 한국정보과학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는 'KAIST 김진형 교수에게 듣는 AI 최강의 수업'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학 총장 - 존 매카서 (목사)
존 맥아더는 성경 중심의 강해 설교를 통해 왜곡된 복음주의를 비판하고 성경적 가르침을 강조하는 미국의 목사이자 기독교 정통 보수주의를 대표하는 인물이다. - 대한민국의 컴퓨터 과학자 - 박찬모
박찬모는 서울대학교 화학공학과를 졸업하고 메릴랜드대학교에서 공학 석박사 학위를 받은 대한민국의 공학자이자 교육자로, 포항공과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교수 및 총장, 한국연구재단 이사장, 대통령실 과학기술특별보좌관을 역임하고 현재 평양과학기술대학 명예총장으로 재직 중이다. - 대한민국의 컴퓨터 과학자 - 김용민 (과학자)
김용민은 서울대학교 전자공학과 졸업 후 위스콘신 대학교 매디슨에서 전자공학 박사 학위를 받고 워싱턴 대학교 교수를 거쳐 포항공과대학교 총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과학자이자 교육자이다. - 인공지능학자 - 앨런 튜링
앨런 튜링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에니그마 암호 해독에 기여하고 컴퓨터 과학 분야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영국의 수학자, 컴퓨터 과학자이며, 동성애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은 후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 인공지능학자 - 얀 르쿤
프랑스 컴퓨터 과학자 얀 르쿤은 딥 러닝 분야의 선구자로서 합성곱 신경망을 제안하여 이미지 인식 발전에 기여했고, 뉴욕 대학교 교수이자 메타 AI 연구소 초대 소장을 역임했으며, 제프리 힌턴, 요슈아 벤지오와 함께 튜링상을 공동 수상했다.
김진형 (1949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949년 3월 27일 (75세) |
성별 | 남성 |
2. 생애
김진형은 1973년부터 KAIST에서 소프트웨어 개발자로 일했으며, UCLA에서 Judea Pearl 교수의 지도 아래 컴퓨터과학 박사 학위를 받은 후 https://web.archive.org/web/20190821163927/http://www.hrl.com/ 미국 휴즈 연구소에서 인공지능을 연구했다. 1985년부터 2014년까지 KAIST https://cs.kaist.ac.kr/ 전산학부에서 인공지능연구실을 이끌었고, 현재는 명예교수이다. 그는 인공지능 분야, 특히 베이시안 네트워크, 신경망, 패턴인식 분야를 연구했다. KAIST에서 학과장, 인공지능연구센터(Center for AI Research, CAIR) 소장, 소프트웨어 대학원장 등을 역임했다. 또한, https://web.archive.org/web/20171223203814/http://aisociety.kr/sub/index.php 정보과학회 인공지능연구회, https://web.archive.org/web/20191223133148/https://www.pricai.org/ 환태평양인공지능학술대회, 국제문서인식학술대회 등 여러 학술 단체 및 학술대회 설립과 운영에 기여했다.
1995년부터 1999년까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당시 KORDIC) 원장으로 근무했다. 2010년에는 https://web.archive.org/web/20191123003803/http://swkorea.org/ (사)앱센터운동본부를 설립하여 모바일 앱 활성화와 사회적 약자를 위한 소프트웨어 교육 봉사에 힘썼다.
2014년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초대 소장을 역임하며 소프트웨어 중심사회 정책을 제안 및 홍보했고, 2014년부터 2017년까지 공공데이터전략위원회 민간위원장으로서 공공데이터 전략을 수립했다. 2016년 지능정보기술연구원( 2018년 ㈜인공지능연구원으로 개명) 설립에 참여하였다. 2019년부터 2021년 8월까지 중앙대학교 석좌교수로 근무했고, 2021년 9월 인천재능대학교 총장으로 재직하며 AI 교육 중심의 개혁 사업을 추진하다 퇴임했다.
그는 한국과학기술한림원과 한국공학한림원 원로회원이며, 한국정보과학회, 한국인지과학회, 대한의료정보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또한, https://web.archive.org/web/20200510223609/https://iapr.org/ 국제패턴인식학회 석학회원이다. 2001년 홍조근조훈장, 2015년 동탑산업훈장, 2010년 인터넷 대상(개인공로부문) 및 대통령상(한글 발전 공로), 2017년 공학한림원 일진상 등을 수상했다.
2. 1. 학문적 활동
1973년부터 KAIST에서 소프트웨어 개발자로 일했다. UCLA에서 Judea Pearl 교수의 지도 아래 컴퓨터과학 박사학위를 받은 후 [https://web.archive.org/web/20190821163927/http://www.hrl.com/ 미국 휴즈 연구소]에서 인공지능을 연구했으며, 1985년부터 2014년까지 KAIST https://cs.kaist.ac.kr/ 전산학부에서 인공지능연구실을 이끌며 약 100명의 석박사 전문인력을 양성했다. 현재는 명예교수이다.그의 연구 관심은 인공지능, 그 중에서도 베이시안 네트웍, 신경망, 패턴인식 분야이다. KAIST에서 학과장, 인공지능연구센터(Center for AI Research, CAIR) 소장, 소프트웨어 대학원장을 역임했다. 1985년 [https://web.archive.org/web/20171223203814/http://aisociety.kr/sub/index.php 정보과학회 인공지능연구회] 설립을 주도하고 초대 연구회장을 역임했다. [https://web.archive.org/web/20191223133148/https://www.pricai.org/ 환태평양인공지능학술대회] 설립에 참여하고 1992년 제2회 대회(서울) 조직위원장으로 봉사했다. [https://www.computer.org/csdl/magazine/an/2019/04/08736780/1aR7QSDQtwY 국내 초기 인공지능 연구]의 방향을 한글 및 한국어의 컴퓨터 처리에 관심을 갖도록 하는 데 일조했으며, 2005년 서울에서 개최한 국제문서인식학술대회의 대회장으로 봉사했다.
한국과학기술한림원, 한국공학한림원의 원로회원, 한국정보과학회, 한국인지과학회 및 대한의료정보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https://web.archive.org/web/20200510223609/https://iapr.org/ 국제패턴인식학회] 석학회원이다.
2. 2. 사회적 활동
1995년부터 1999년까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당시 KORDIC) 원장으로 근무했다. 2010년 (사)앱센터운동본부를 설립하여 모바일 앱 활성화를 위해 다수의 스타트업 위크엔드, 핵커톤 등의 행사를 조직 운영했다. 이 조직은 현재 사회적 약자들을 위한 소프트웨어교육 봉사에 집중하고 있다.2014년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설립을 주도하고 초대 소장을 역임하며 여러 소프트웨어 중심사회 정책을 제안, 홍보했으며, 2014년부터 2017년까지 공공데이터전략위원회 민간위원장으로서 공공데이터 전략을 수립했다. 2016년 지능정보기술연구원( 2018년 ㈜인공지능연구원으로 개명) 설립에 참여하였다. 2019년부터 2021년 8월까지 중앙대학교 석좌교수로 근무했다. 2021년 9월 인천재능대학교 총장으로 부임하여 AI 교육 중심으로 만들기 위하여 여러 가지 개혁 사업을 추진하고 퇴임했다.
한국과학기술한림원, 한국공학한림원의 원로회원, 한국정보과학회, 한국인지과학회 및 대한의료정보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국제패턴인식학회 석학회원이다. 2001년에 홍조근조훈장, 2015년에 동탑산업훈장, 2010년에 인터넷 대상(개인공로부문), 2010년 대통령상 (한글 발전 공로), 2017년 공학한림원 일진상을 수상했다.
3. 저서
김진형은 인공지능 분야의 전문가로, 이와 관련된 다양한 서적을 저술, 번역하거나 공동 집필했다.
3. 1. 단독 저서
- KAIST 김진형 교수에게 듣는 AI 최강의 수업한국어, 발행일: 2020년 11월 20일, (주)매경신문사, 쪽 수: 374쪽, ISBN: 979-11-6484-190-5 (03550), 키워드: AI; 인공지능; 딥러닝; 기계학습; 자율주행; 챗봇 병렬현실; 비전시스템; 딥페이크; 왓슨; 알파고
3. 2. 공동 집필
- 《AI와 사회변화》 (소이문화연구원 AI연구회, 2022년 6월 22일)
- 《청소년을 위한 AI 최강의 수업》 (김태년과 공동 집필, ㈜한국어매경출판, 2021년 10월 30일)
- 《명강의에서 길을 찾다》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2017년 7월)
- 《계단을 오르니 바람이 새로웠다》 (도서출판 자유미디어, 2020년 6월 20일)
- 《인공지능 이론과 실제》 (Thomas Dean영어, James Allen영어, Yiannis Aloimonos영어 공저, ㈜한국어사이텍미디어, 1998년)
- 《국가발전 리더들이 토론하다》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2015년 12월 17일)
- 《Digital Power영어 2021: SW영어가 주도하는 미래사회의 비전》 (하다, 2021년 1월 22일)
- 《Digital Power영어 2022: 디지털 대전환과 미래 변화》 (하다, 2021년 11월 4일)
3. 3. 번역서
- Thomas Dean영어, James Allen영어, Yiannis Aloimonos영어 공저, 《인공지능 이론과 실제》 (공동 번역), (주)사이텍미디어한국어, 1998년, ISSN 89-386-103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