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민 (과학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용민은 1953년 제주 출생의 과학자이다. 서울대학교 전자공학과에서 학사 학위를 받고, 위스콘신 대학교 매디슨에서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워싱턴 대학교에서 조교수로 임용되었으며, 생명공학과 학과장과 석좌교수를 역임했다. 2003년 호암상 공학상을 수상했고, 2011년 포항공과대학교 차기 총장으로 선임되었다. 컴퓨터 아키텍처, 이미징 시스템, 의료 이미징, 컴퓨터 그래픽, 멀티미디어 시스템 등을 연구했으며, 36개의 특허와 20개의 실용화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항공과대학교 총장 - 백성기
백성기는 코넬 대학교에서 재료공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한국과학기술연구소와 오크리지 국립연구소 연구원을 거쳐 포항공과대학교 교수, 부총장, 포항가속기연구소 소장, 포스텍 총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재료공학자이다. - 포항공과대학교 총장 - 김호길
대한민국의 물리학자이자 교육자인 김호길은 한국 최초의 가속기물리학자로서 포항공과대학교 초대 총장을 역임하며 연구 중심 대학 시스템 구축과 포항방사광가속기 건설을 주도하여 한국 과학기술 교육 발전과 기초과학 역량 강화에 기여했다. - 호암 공학상 수상자 - 현택환
현택환은 나노 입자 합성 분야의 권위자로, 승온법을 개발하고 균일한 나노 입자 합성 및 MRI 조영제 개발 등의 업적을 통해 젊은 화학자상과 호암상 공학상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화학자이다. - 호암 공학상 수상자 - 서남표
서남표는 MIT와 카네기 멜론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MIT 교수와 NSF 부총재를 거쳐 KAIST 총장을 지낸 대한민국의 기계공학자이자 교육자이다. - 대한민국의 컴퓨터 과학자 - 박찬모
박찬모는 서울대학교 화학공학과를 졸업하고 메릴랜드대학교에서 공학 석박사 학위를 받은 대한민국의 공학자이자 교육자로, 포항공과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교수 및 총장, 한국연구재단 이사장, 대통령실 과학기술특별보좌관을 역임하고 현재 평양과학기술대학 명예총장으로 재직 중이다. - 대한민국의 컴퓨터 과학자 - 차미영
차미영은 대한민국의 데이터 과학자이자 KAIST 전산학부 교수로, 막스 플랑크 협회 과학 이사로 임명되어 '인류를 위한 데이터 과학' 연구 그룹을 이끌고 있으며, 코로나19 인포데믹 대응 캠페인을 주도하고, 홍진기 창조인상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표창 등을 수상했다.
김용민 (과학자)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김용민 |
원어명 | 金用民 |
로마자 표기 | Gim Yong-min |
출생일 | 1953년 5월 19일 |
출생지 | 제주도 |
국적 | 대한민국 |
직업 | 컴퓨터 과학자 |
소속 | 포항공과대학교 |
학력 및 경력 | |
학력 | 미국 워싱턴대 생명공학과/전자공학과 |
경력 | 미국 워싱턴대 생명공학과/전자공학과 교수 제6대 포항공과대학교 총장 |
2. 학력
- 대광고등학교 (1971년 졸업)
- 서울대학교 전자공학과 (1975년 학사)
- 위스콘신 대학교 매디슨 전자공학 석사 (1979년)
- 위스콘신 대학교 매디슨 전자공학 박사 (1982년)
3. 약력
1953년 제주도에서 태어났으며, 1975년 서울대학교 전자공학과에서 학사학위를 받았다. 1982년 미국 위스콘신대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같은 해 워싱턴대 전자공학과 조교수로 임명됐다.[1]
1999년부터 2007년까지 워싱턴대 생명공학과 학과장을 역임했으며, 2004년부터 2007년까지는 생명공학과 W.Hunter and Dorothy L. Simpson 석좌교수를 역임했다. 2003년에는 호암상 공학상을 수상했다. 2011년 4월 포항공과대학교 차기 총장으로 선임됐다.[1]
4. 학술 활동
- IEEE 펠로우 (1996년-)[1]
- AIMBE 펠로우 (1995년-)[2]
-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 (1999년-)
- EMBS 회장 (2005년-2006년)
5. 주요 연구 분야
김용민 교수의 주요 연구 분야는 컴퓨터 아키텍처, 이미징 시스템, 의료 이미징, 컴퓨터 그래픽, 멀티미디어 시스템 등이다.
5. 1. 연구 성과 및 특허
컴퓨터 아키텍처, 이미징 시스템, 의료 이미징, 컴퓨터 그래픽, 멀티미디어 시스템 등 분야에서 36개의 특허와 20개 실용화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연구 성과의 대부분이 실용화된 점이 높게 평가되어 2003년 호암상 공학상을 수상했다.[2]참조
[1]
뉴스
연합뉴스 2011년 4월 21일
http://news.naver.co[...]
연합뉴스
2011-04-21
[2]
웹인용
워싱턴대 전자공학과 홈페이지
https://web.archive.[...]
2011-07-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