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 양동리 고분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김해 양동리 고분군(金海 良洞里 古墳群)은 경상남도 김해시 주촌면 양동리에 있는 가야 시대의 고분군입니다. 2004년 7월 24일에 사적 제454호로 지정되었습니다.
위치 및 규모:
- 김해시 주촌면 양동리 가곡마을 뒷산에 위치하며, 김해시에서 서쪽으로 약 8km 떨어져 있습니다.
- 전체 규모는 약 9만㎡ (약 3만 평) 정도로 추정되며, 김해에서 가장 큰 규모의 고분군입니다.
형성 시기 및 특징:
- 기원전 1세기부터 기원후 5세기까지 오랜 기간에 걸쳐 형성되었습니다.
- 변한의 구야국부터 금관가야가 가장 발전했던 5세기 전반까지 지속적으로 조성된 유적입니다.
- 다양한 형태의 무덤(묘제)이 확인되었습니다:
- 나무널무덤(목관묘)
- 덧널무덤(목곽묘)
- 구덩식돌덧널무덤(수혈식석곽묘)
- 독무덤(옹관묘)
- 돌널무덤(석관묘)
- 돌방무덤(석실묘)
- 무덤들은 주 능선에 집중적으로 분포하며, 여러 무덤들이 심하게 겹쳐져 있습니다.
- 수많은 유물이 출토되어 가야 국가 형성기로부터 발전기의 역사적 사실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입니다.
발굴 경위 및 결과:
- 1969년 중국 거울과 칼자루 끝 장식이 발견되면서 처음 알려졌습니다.
- 1984년 국립문화재연구소(현 국립문화유산연구원)의 첫 발굴 조사를 시작으로, 동의대학교 박물관, 국립김해박물관, 해동문화재연구원, 한화문물연구원 등에서 여러 차례 발굴 조사가 이루어졌습니다.
- 2020년까지 총 8차례의 발굴 조사를 통해 644기의 무덤이 확인되었습니다.
- 토기, 청동기, 철기 등 5,100여 점에 이르는 유물이 출토되었습니다.
주요 출토 유물:
- 162호분 (대형 덧널무덤): 판상철부(板狀鐵斧), 중국 거울(방제경), 철복 등
- 235호분 (대형 덧널무덤): 판상철부, 수정 및 유리제 옥으로 만든 경식
- 322호분: 명문이 있는 청동 솥(靑銅鼎) - "西口宮鼎, 容一斗, 幷重十七斤七兩, 七" (서구궁정, 용일두, 병중십칠근칠량, 칠)
- 78호 목곽묘: 외절구연고배, 직구대부호, 소형기대, 고사리무늬 판갑, 몽고발형 주, 목심등자, 재갈, 유자이기
의의:
- 각 시기별 가야 문물의 정수를 보여주는 유적입니다.
- 낙동강 하류 지역 가야 사회의 성장과 국가적 성격을 밝히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합니다.
- 구야국(狗耶國) 또는 본가야(本伽倻)가 활발한 해상 활동을 통해 번성한 해양 왕국이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 2세기 후반에서 4세기까지가 가야 철(伽倻鐵)의 전성기였으며, 해상 활동이 활발하여 외래 문물이 해로를 통해 유입되었음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김해 양동리 고분군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이름 | 김해 양동리 고분군 |
한자 표기 | 金海 良洞里 古墳群 |
지정 종류 | 사적 |
지정 번호 | 454 |
지정일 | 2004년 7월 24일 |
종류 | 기념물 (1993년 12월 7일 지정, 2004년 7월 24일 해제, 지정번호 136) |
면적 | 51,826m² |
위치 | 경상남도 김해시 주촌면 양동리 산3번지 등 |
역사 | |
시대 | 가야 |
추가 정보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