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꽃박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꽃박쥐는 말루쿠 제도, 뉴기니, 오스트레일리아 등지에서 발견되는 박쥐의 일종이다. 열대 우림과 해안 우림에 서식하며, 중요한 수분 매개자 역할을 한다. 단독 또는 소규모 그룹으로 은신하며, 주로 열대 우림 하층 수관에서 생활한다. 밤에 36-48개의 해안 뱅크시아 꽃에 해당하는 양을 방문하며, 식량 부족이나 낮은 온도에서는 동면에 들어간다. 왕도마뱀, 수목성 뱀, 고양이 등이 포식자이며, 보름달에는 포식자를 피해 늦게 활동을 시작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67년 기재된 포유류 - 남극밍크고래
    남극밍크고래는 남극해를 중심으로 남반구에 서식하는 수염고래로, 북방쇠정어리고래와는 다른 종이며, 일반 밍크고래와 형태적 차이를 보이고 크릴을 주식으로 하며, 범고래가 주요 천적이고 국제적인 보호를 받고 있다.
  • 1867년 기재된 포유류 - 산양
    산양은 험준한 산악 지형에 서식하며 2~5마리씩 무리 생활을 하는 우제목/경우제목 소과의 포유류로, 한반도에서는 천연기념물 및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지만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인해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 큰박쥐과 - 큰박쥐류
    큰박쥐류는 박쥐목에 속하는 과로, 큰 크기를 가지며, 오스트랄라시아에서 기원하여 아시아와 아프리카로 확산되었고, 시각과 후각에 의존하여 과일 등을 먹으며, 멸종 위기에 처해있고, 바이러스 질병의 숙주로서 인간에게도 영향을 미친다.
  • 큰박쥐과 - 망치머리박쥐
    망치머리박쥐는 아프리카에 서식하며 수컷의 독특한 머리 형태로 이름 붙여진 과일박쥐로, 렉 시스템을 통해 번식하고 과일을 섭취하며 에볼라 바이러스의 잠재적 매개체로 연구되기도 하는 종이다.
  • 빌헬름 페테르스가 명명한 분류군 - 바다사자
    한국바다사자는 과거 동해와 일본 열도에 서식했으나 무분별한 남획으로 20세기 중반 멸종된 암갈색 또는 회색 털색을 띈 멸종위기 바다사자 종으로, 독도가 주요 번식지였다.
  • 빌헬름 페테르스가 명명한 분류군 - 파카라나
    파카라나는 콜롬비아, 브라질 등 남아메리카 서부에 분포하며, 야행성 초식 동물로 최대 13kg까지 자라며, 식용으로 남획되어 개체 수가 감소하는 설치류이다.
꽃박쥐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꽃박쥐
꽃박쥐
학명Syconycteris australis
명명자Peters, 1867
멸종 위기 등급LC (관심 필요)
IUCN 평가 기준 버전IUCN3.1
커먼꽃박쥐의 분포 지역
커먼꽃박쥐의 분포 지역
생물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하강진수하강
상목로라시아상목
박쥐목
아목음박쥐아목
큰박쥐과
아과긴혀과일박쥐아과
꽃박쥐속

2. 분포 및 서식지

꽃박쥐는 말루쿠 제도, 살라와티, 비악, 야펜, 뉴기니, 아루 제도, 비스마르크 제도, 마누스 섬, 당트르카스토 제도, 루이지애드 제도, 오스트레일리아뉴사우스웨일스, 그리고 오스트레일리아 동부 퀸즐랜드에서 발견된다. 해발 0m~3000m 높이에서 서식한다.[1] 주로 고지대 열대 우림뉴사우스웨일스주 연안 우림에서 발견된다.[4]

3. 생태

꽃박쥐는 주로 열대 우림의 하층 수관에서 단독 또는 작은 무리를 이루어 생활하며,[1][5] 매일 은신처를 바꿀 수 있다.[5] 꽃꿀과 꽃가루를 주식으로 삼으며, 하룻밤에 새보다 많은 양의 꽃가루를 더 멀리 운반하기 때문에 중요한 수분 매개자로 여겨진다.[6] 에너지 요구량이 높아 밤 시간의 상당 부분을 먹이 활동에 사용한다.[2][5]

올빼미, 왕도마뱀, 나무 위에 사는 뱀 등이 주요 포식자이며, 집고양이에 의해 피해를 입기도 한다.[7][5][8] 먹이가 부족하거나 주변 온도가 26°C 미만으로 떨어지면 동면에 들어가는데, 다른 박쥐 종들과 달리 겨울보다 여름에 동면하는 경우가 더 흔하고 뚜렷하게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9]

3. 1. 수분 매개자로서의 역할

꽃박쥐는 하룻밤에 새보다 6배나 많은 꽃가루를 운반하고 더 멀리 이동하기 때문에 중요한 수분 매개자로 여겨진다.[6] 오스트레일리아 노스 퀸즐랜드 지역에서는 범피 사티나시 나무가 꽃박쥐에게 중요한 먹이 공급원이다. 실제로 꽃이 핀 범피 사티나시 나무 근처에서 잡힌 꽃박쥐 털에서 발견된 꽃가루의 95%가 이 나무의 것이었다.[6] 꽃박쥐의 행동 반경은 12ha에서 1796ha에 이른다. 먹이를 찾을 때는 하천변 완충지대를 따라 비행하는 경향이 있다.[6]

꽃박쥐는 에너지 요구량이 높은 반면, 꽃 하나에서 얻는 에너지는 적기 때문에 매일 밤 해안 뱅크시아 꽃 36개에서 48개에 해당하는 양의 꿀을 먹어야 한다.[2]

3. 2. 행동 특성

개체들은 단독으로 또는 소규모 그룹으로 은신하는데, 이 때문에 육안 관찰만으로는 개체 수를 추정하기 어렵다.[1] 주로 열대 우림의 하층 수관에 숨어 지낸다. 매일 은신처를 바꿀 수 있으며, 먹이가 있는 경우 NSW에서의 이동 거리는 비교적 짧다(일루카 평균 42m, 해링턴 평균 125m).[5]

꽃박쥐는 하룻밤에 새보다 6배나 많은 꽃가루를 운반하고 더 멀리 이동하기 때문에 중요한 수분 매개자일 가능성이 높다. 노스 퀸즐랜드에서는 범피 사티나시 나무가 중요한 먹이 공급원이며, 이 나무 근처에서 잡힌 박쥐 털에서 발견된 꽃가루의 95%가 해당 나무의 것이었다.[6] 행동 반경은 12ha에서 1796ha에 이른다.[6] 먹이를 찾을 때는 하천변 완충지대를 따라 비행하는 것을 선호한다.[6]

에너지 요구량이 높고 꽃 하나당 에너지 함량이 낮기 때문에, 매일 밤 해안 뱅크시아 꽃 36~48개에 해당하는 양을 섭취해야 한다.[2] 필요한 에너지를 얻기 위해 밤 시간의 상당 부분을 활동적으로 보낸다.[5] 보름달이 뜨는 밤에는 포식자를 피해 은신처에서 늦게 출발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시각에 의존해 사냥하는 올빼미와 같은 포식자를 경계하기 때문으로 보인다.[7] 다른 잠재적 포식자로는 왕도마뱀과 나무 위에 사는 뱀 종류가 있다.[5] 집고양이에게 잡혀 부상을 입는 경우도 보고되었다.[8]

먹이가 부족하거나 주변 온도가 26°C 미만으로 떨어지면 동면 상태에 들어간다. 다른 박쥐 종들과는 달리, 꽃박쥐의 동면은 겨울보다 여름에 더 흔하고 뚜렷하게 나타나는 특징을 보인다.[9]

3. 3. 동면

꽃박쥐는 먹이가 부족하거나 주변 온도가 26°C 미만일 때 동면 상태에 들어간다.[9] 다른 박쥐 종들과는 다르게, 꽃박쥐의 동면은 겨울철보다 여름철에 더 흔하고 뚜렷하게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9]

4. 위협 요인

꽃박쥐는 여러 자연적 위협 요인에 직면해 있다. 시각에 의존하여 사냥하는 올빼미와 같은 포식자를 피하기 위해, 보름달이 밝은 밤에는 은신처에서 나오는 시간을 늦추는 행동을 보인다.[7] 또한, 왕도마뱀이나 나무 위에서 생활하는 종류도 꽃박쥐를 노리는 잠재적인 포식자로 알려져 있다.[5]

인간 활동과 관련된 위협도 존재한다. 집고양이가 꽃박쥐를 공격하여 부상을 입히는 경우가 보고되었다.[8]

생존을 위한 에너지 요구량이 높다는 점도 잠재적인 위협 요인이 될 수 있다.[2] 꽃박쥐는 매일 밤 많은 양의 꽃꿀을 섭취해야 하므로, 먹이가 되는 꽃의 개화 시기나 양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다. 실제로 먹이 자원이 부족하거나 주변 온도가 26°C 아래로 내려가면 에너지 소모를 줄이기 위해 동면 상태에 들어간다.[9] 이는 환경 변화에 대한 취약성을 나타낸다.

참조

[1] 간행물 "''Syconycteris australis''"
[2] 논문 "The Maintenance Nitrogen Requirements of the Queensland Blossom Bat (''Syconycteris australis'') on a Sugar/Pollen Diet: Is Nitrogen a Limiting Resource?"
[3] 서적 Australian bats New Holland
[4] 논문 "The diet of the common blossom bat (''Syconycteris australis'') in upland tropical rainforest and the importance of riparian areas"
[5] 논문 "Roosting and foraging ecology of the Queensland blossom bat (''Syconycteris australis'') in north-eastern New South Wales: Flexibility in response to seasonal variation"
[6] 논문 "Common blossom bats (Syconycteris australis) as pollinators in fragmented Australian tropical rainforest"
[7] 논문 "The Lunar Cycle Influences Time of Roost Departure in The Common Blossom Bat, ''Syconycteris australis''"
[8] 논문 "An Observation of Cat Predation Upon an Eastern Blossom Bat ''Syconycteris Australis''"
[9] 논문 "Seasonal changes in energetics and torpor patterns in the subtropical blossom-bat Syconycteris australis (Megachiroptera)"
[10] 문서 "Roosting and Foraging Ecology of the Queensland Blossom Bat (''Syconycteris australis'') in North-eastern New South Wales: Flexibility Response to Seasonal Variation"
[11] 웹사이트 "Eastern Tube-nosed Bat – profile" http://threatenedspe[...] Department of Environment and Conservation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