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꾸찌 터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꾸찌 터널은 베트남 전쟁 당시 베트콩이 사용한 지하 터널 시스템으로, 현재는 전쟁 기념 공원과 관광 명소로 활용되고 있다. 베트콩은 이 터널에서 열악한 환경 속에서 생활하며 미군의 공격에 대응했고, 미군은 터널을 파괴하기 위해 다양한 작전을 펼쳤으나, 터널의 구조와 함정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전쟁 후 꾸찌 터널은 베트남 정부에 의해 보존되어 벤딘과 벤즈억 두 곳의 전시 구역으로 나뉘어 일반에 공개되었으며, 관광객들은 터널의 안전한 부분을 직접 체험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트남의 터널 - 빈목 터널
    빈목 터널은 베트남 전쟁 중 빈목 마을 주민들이 미군의 폭격을 피해 건설한 지하 터널로, 3층 구조에 총 길이 약 2800m에 달하며, 전쟁 후에는 관광지로 개발되어 전쟁의 참상과 인간의 생존 의지를 보여주는 역사적인 장소이다.
  • 베트남의 터널 - 사이공강 터널
    사이공강 터널은 베트남 호치민시의 동서 대로 건설 프로젝트의 일부로, 북위 10° 46', 동경 106° 42'에 위치한 터널이다.
  • 호찌민시의 역사 - 사이공 함락
    사이공 함락은 1975년 북베트남군의 사이공 점령으로 베트남 전쟁이 종식되고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통일된 사건이다.
  • 호찌민시의 역사 - 끼호아 전투
    끼호아 전투는 1861년 프랑스-스페인 연합군이 응우옌 찌 프엉이 이끄는 베트남군의 강력한 방어선을 공격하여 승리한 전투로, 프랑스의 베트남 지배 발판 마련과 베트남 민족 저항 의지 표출의 의미를 지닌다.
꾸찌 터널
위치 정보
기본 정보
위치호찌민시
좌표11° 7′ 55″ N
106° 28′ 10″ E
개방1960년대
폐쇄현재까지 유지
길이120km 이상
깊이최대 10m
용도군사 작전, 은신처, 보급로
역사
건설 시작1940년대 후반
건설 목적프랑스군과의 전투 지원
주요 사용 시기베트남 전쟁
주요 사용자베트콩
주요 활동은신
거주
군사 작전
보급 및 통신
시설
주요 시설병원
침실
주방
회의실
무기 공장
접근 및 관광
접근 방법호찌민시에서 자동차 또는 버스 이용
관광 정보가이드 투어 이용 가능
터널 일부 구간 체험 가능
전쟁 역사 관련 전시 관람 가능
기타 정보
보존 상태일부 구간은 관광 목적으로 보존
중요성베트남 전쟁의 상징적인 유적지

2. 역사

꾸찌 터널은 프랑스 식민 지배에 저항하던 시기에 처음 만들어졌다. 초기에는 단순한 은신처나 통신 용도로 사용되었지만, 베트남 전쟁을 거치면서 매우 복잡한 지하 네트워크로 발전하여 베트콩의 주요 전략 거점으로 활용되었다.

호주 전문 공병 부대인 제3 야전 부대는 터널을 철저하게 수색하여 탄약, 무전 장비, 의료 용품, 식량 등 중요한 물품들을 발견했다. 이 과정에서 베트콩의 상당한 흔적도 발견되었으며, 이는 터널의 군사적 중요성을 처음으로 드러낸 사건이었다. 이 공로로 지휘관 알렉산더 "샌디" 매그리거 대위는 무공 십자 훈장을 받았다.[2] 당시 매그리거 대위는 자신의 부하들을 "터널 족제비"라고 불렀는데, 한 미국 기자가 이를 "터널 쥐"로 잘못 표현하면서 이 용어가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2]

베트콩에게 터널에서의 생활은 고된 것이었다. 공기, 음식, 물이 부족했고, 터널은 개미, 독이 있는 지네, 뱀, 전갈, 거미, 그리고 설치류로 가득했다. 베트콩 병사들은 대부분의 시간 동안 터널 안에서 일하거나 휴식을 취하며 낮을 보내고, 밤에만 나와서 물자를 찾아다니거나, 농작물을 돌보거나, 적과 전투를 벌였다.[1] 때로는 심한 폭격이나 미군의 이동 기간 동안 며칠 동안 지하에 갇혀 지내야 했다. 터널에서 생활하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질병이 만연했는데, 특히 전투 부상 다음으로 두 번째로 많은 사망 원인이었던 말라리아가 심각했다. 포획된 베트콩 보고서에 따르면, 남베트남 민족해방군(PLAF) 부대의 절반이 말라리아에 걸려 있었고, "100%가 심각한 장내 기생충 감염을 겪고 있었다."[1]

2. 1. 터널의 기원과 발전

꾸찌 터널은 프랑스 식민 지배에 저항하던 시기에 처음 만들어졌다. 초기에는 단순한 은신처나 통신 용도로 사용되었지만, 베트남 전쟁을 거치면서 매우 복잡한 지하 네트워크로 발전하였다. 이 터널은 베트콩의 주요 전략 거점으로 활용되었다.

호주 전문 공병 부대인 제3 야전 부대는 터널을 철저하게 수색하여 탄약, 무전 장비, 의료 용품, 식량 등 중요한 물품들을 발견했다. 이 과정에서 베트콩의 상당한 흔적도 발견되었으며, 이는 터널의 군사적 중요성을 처음으로 드러낸 사건이었다. 이 공로로 지휘관 알렉산더 "샌디" 매그리거" 대위는 무공 십자 훈장을 받았다.[2] 당시 매그리거 대위는 자신의 부하들을 "터널 족제비"라고 불렀는데, 한 미국 기자가 이를 "터널 쥐"로 잘못 표현하면서 이 용어가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2]

2. 2. 베트콩의 터널 생활

베트콩에게 터널에서의 생활은 고된 것이었다. 공기, 음식, 물이 부족했고, 터널은 개미, 독이 있는 지네, 뱀, 전갈, 거미, 그리고 설치류로 가득했다. 베트콩 병사들은 대부분의 시간 동안 터널 안에서 일하거나 휴식을 취하며 낮을 보내고, 밤에만 나와서 물자를 찾아다니거나, 농작물을 돌보거나, 적과 전투를 벌였다.[1] 때로는 심한 폭격이나 미군의 이동 기간 동안 며칠 동안 지하에 갇혀 지내야 했다. 터널에서 생활하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질병이 만연했는데, 특히 전투 부상 다음으로 두 번째로 많은 사망 원인이었던 말라리아가 심각했다. 포획된 베트콩 보고서에 따르면, 남베트남 민족해방군(PLAF) 부대의 절반이 말라리아에 걸려 있었고, "100%가 심각한 장내 기생충 감염을 겪고 있었다."[1]

3. 미군의 대응과 작전

미군은 베트콩이 꾸찌 터널을 통해 얻는 이점을 알고, 터널을 찾아 파괴하기 위한 여러 작전을 시작했다. 1966년 1월 크림프 작전에서는 B-52 폭격기가 30톤의 폭탄을 투하했고, 8,000명의 병력이 투입되어 수색 작전을 펼쳤다. 하지만 터널 안에는 부비 트랩죽창 함정이 설치되어 있어 수색은 매우 위험했다.

부비 트랩죽창


일반적인 터널 입구 처리 방법은 가스, 물, 뜨거운 타르를 사용하거나 수류탄을 던져 넣는 것이었지만, 터널의 설계와 공기 여과 시스템 때문에 효과가 없었다. 호주 공병 부대가 터널을 수색하여 중요한 정보를 발견하기도 했지만, 미군은 새로운 방식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이에 따라 "터널 쥐"라고 불리는 터널 전쟁 전문가들이 훈련을 받았다. 이들은 권총, 칼, 손전등, 끈만으로 무장하고 터널 내부를 수색했다. 1967년 세다 폴스 작전에서는 30,000명의 병력이 투입되어 대규모 공격을 감행했고, 터널 쥐들은 베트콩 지구 본부에서 50만 건의 군사 전략 문서를 발견하기도 했다.

1969년까지 B-52는 꾸찌 지역에 융단 폭격을 가했고, 전쟁 말기에는 일부 터널이 파괴되기도 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터널은 파괴되지 않았고, 베트콩은 터널을 이용하여 보급품을 이동시키고 병력을 수용하며 전쟁을 계속 이어갈 수 있었다. 이는 결국 1973년 미군 철수와 1975년 남베트남의 패배로 이어졌다.

3. 1. 터널 탐지 및 소탕 작전

미군은 꾸찌 터널을 통해 베트콩이 얻는 이점을 인지하고 터널 시스템을 찾고 파괴하기 위한 여러 작전을 시작했다. 주요 작전으로는 크림프 작전과 세다 폴스 작전이 있었다.

1966년 1월 7일, 크림프 작전은 B-52 폭격기가 꾸찌 지역에 30톤의 고성능 폭탄을 투하하면서 시작되었다. 이로 인해 무성했던 정글은 구멍이 숭숭 뚫린 달 표면처럼 변했다. 미국 제1 보병 사단, 제173 공수 여단 전투단(뉴질랜드 왕립 포병 연대의 포병 부대 포함), 제1 대대, 호주 왕립 연대에서 8,000명의 병력이 PLAF 활동의 단서를 찾기 위해 지역을 샅샅이 뒤졌다.

그러나 작전은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병사들이 터널을 발견했을 때, 그 크기를 과소평가하는 경우가 많았다. 터널 수색은 매우 위험했는데, 터널 안에는 폭발성 부비 트랩이나 죽창 함정이 설치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일반적인 터널 입구 처리 방법은 가스, 물, 뜨거운 타르를 사용해 베트콩 병사들을 밖으로 몰아내거나, 수류탄 몇 개를 던져 넣고 입구를 막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터널의 설계, 함정 문, 공기 여과 시스템 때문에 효과가 없었다.

알렉산더 "샌디" 매그리거 대위가 지휘하는 호주 전문 공병 부대인 제3 야전 부대는 터널을 철저히 수색하여 탄약, 무전 장비, 의료 용품, 식량, 그리고 상당한 베트콩의 존재 흔적을 발견했다.[2] 이 과정에서 로버트 "밥" 보우텔 하사가 터널에 갇혀 사망하기도 했다. 하지만 호주군은 터널의 군사적 중요성을 처음으로 밝혀냈다. 크림프 작전 직후 사이공에서 열린 국제 기자 회견에서 매그리거는 그의 부하들을 "터널 족제비"라고 불렀는데, 한 미국 기자가 이를 "터널 쥐"라고 칭하면서 이 용어가 굳어졌다. 매그리거는 꾸찌에서의 발견으로 무공 십자 훈장을 받았다.[2]

미국 지휘부는 호주군의 발견을 통해 새로운 방식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윌리엄슨 장군은 연합군에게 터널을 발견하면 적절하게 수색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권총, 칼, 손전등, 끈만으로 무장한 터널 전쟁 전문가, 일명 "터널 쥐"들이 훈련을 받았다. 이들은 터널에 들어가 부비 트랩과 PLAF를 조심하며 수색했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작전은 터널을 완전히 제거하지 못했다. 1967년, 윌리엄 웨스트모어랜드 장군은 꾸찌와 철의 삼각지대에 대한 대규모 공격인 세다 폴스 작전을 시작했다. 이 작전에는 30,000명의 병력이 투입되었다. 1월 18일, 제5 보병 연대 제25 보병 사단의 터널 쥐들이 꾸찌의 베트콩 지구 본부를 발견했는데, 여기에는 50만 건의 군사 전략 문서가 있었다. 여기에는 미국 기지 지도, PLAF 이동 기록, 정치적 동조자 명단, 로버트 맥나마라 암살 시도 계획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1969년까지 B-52는 꾸찌와 철의 삼각지대에 대한 "융단 폭격"을 시작했다. 전쟁 말기에 일부 터널은 심하게 폭격되어 무너지거나 노출되기도 했지만, 대부분은 파괴되지 않았다.

전쟁 기간 동안 꾸찌와 그 주변의 터널은 미군에게 큰 골칫거리였다. 베트콩은 1965년까지 이 지역에 잘 자리 잡았고, 전투 시기와 장소를 통제할 수 있었다. 꾸찌 터널은 보급품 이동과 병력 수용을 도왔고, 남베트남 지역의 북베트남 군인들이 생존하여 전쟁을 연장하고 미국의 비용과 사상자를 증가시키는 데 기여했다. 이는 1973년 미군 철수와 1975년 남베트남의 패배까지 이어졌다.

3. 2. 터널 쥐 (Tunnel Rats)

미군은 터널 내부를 수색하고 파괴하기 위해 '터널 쥐'라는 특수 부대를 운영했다. 호주 전문 공병 부대인 제3 야전 부대는 터널을 철저히 수색하여 탄약, 무전 장비, 의료 용품, 식량 등 베트콩의 흔적을 발견했다.[2] 이들의 활약으로 터널의 군사적 중요성이 드러났고, 지휘관이었던 알렉산더 "샌디" 매그리거 대위는 부하들을 "터널 족제비"라 불렀으나, 한 미국 기자가 "터널 쥐"라는 용어를 사용하면서 굳어졌다. 매그리거는 무공 십자 훈장을 받았다.[2]

미국 지휘부는 터널 문제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이 필요함을 깨닫고, 윌리엄슨 장군은 터널을 발견하면 적절히 수색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권총, 칼, 손전등, 끈만으로 무장한 정예 자원봉사자, 즉 "터널 쥐"들은 터널에 들어가 부비 트랩과 베트콩을 조심하며 수색했다. 이들은 터널 전쟁 기술에 정통해야 했으며, 주로 자체적으로 훈련, 장비, 계획을 세웠다.

4. 전후 꾸찌 터널

통일 이후 베트남 정부는 꾸찌 터널의 75km 길이의 터널 단지를 보존하여 전쟁 기념 공원으로 조성했으며[3], 벤딘(Ben Dinh)과 벤즈억(Ben Duoc) 두 구역으로 나뉘어 있다. 이곳은 베트남의 인기 있는 관광 명소가 되었다.

4. 1. 전쟁 기념 공원

통일 이후 베트남 정부는 꾸찌의 75km 길이의 터널 단지를 보존하여 전쟁 기념 공원으로 조성했다.[3] 이곳은 벤딘(Ben Dinh)과 벤즈억(Ben Duoc) 두 구역으로 나뉘어 있으며, 베트남의 인기 있는 관광 명소가 되었다. 방문객들은 터널 시스템의 더 안전한 부분을 직접 기어 다닐 수 있다. 벤즈억 구역에는 원래 터널 시스템의 일부가 포함되어 있으며, 호찌민시에 더 가까운 벤딘 구역은 터널을 재건축하여 일부 터널은 관광객을 수용하기 위해 더 크게 만들어졌다. 두 구역 모두 터널을 더 쉽게 통과할 수 있도록 저전력 조명이 설치되어 있고, 당시 사용된 다양한 종류의 부비 트랩을 전시하고 있다. 1968년 뗏 공세와 같은 작전이 계획된 지하 회의실도 복원되었다.[4]

지상에는 우리에 갇힌 원숭이, 기념품 판매상, 사격장 등이 있다.

꾸찌 터널 복합 단지를 보여주는 비디오


관광객이 꾸찌 터널 복합 단지에서 M60 기관총을 쏘고 있다

4. 2. 관광 명소

꾸찌의 75km 길이의 터널 단지는 통일 이후 베트남 정부에 의해 보존되어[3] 전쟁 기념 공원으로 탈바꿈했으며, 벤딘(Ben Dinh)과 벤즈억(Ben Duoc)의 두 터널 전시 구역이 있다. 이 터널은 베트남의 인기 있는 관광 명소이며, 방문객들은 터널 시스템의 더 안전한 부분을 기어 다닐 수 있다. 벤즈억 구역에는 원래 터널 시스템의 일부가 포함되어 있으며, 호찌민시에 더 가까운 벤딘 구역에는 터널 재건축이 있으며 일부 터널은 관광객을 수용하기 위해 더 크게 만들어졌다. 두 구역 모두 터널을 더 쉽게 통과할 수 있도록 저전력 조명이 설치되어 있으며, 사용된 다양한 종류의 부비 트랩에 대한 전시가 있다. 1968년 뗏 공세와 같은 작전이 계획된 지하 회의실이 복원되었다.[4]

지상에는 우리에 갇힌 원숭이, 기념품 판매상, 사격장 등이 있다. 호찌민시 중심부에서 많은 여행사가 저렴한 투어를 진행하고 있다.

5. 교통

호찌민 시내에서 꾸찌 터널까지는 여러 여행사를 통해 저렴한 투어를 이용할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Life in the Cu Chi Tunnels http://www.cuchitunn[...] IMPRESS TRAVEL COMPANY LIMITED - CU CHI TUNNEL TOURS 2013-09-12
[2] 웹사이트 No Need For Heroes http://home.vicnet.n[...] 2023-06-26
[3] 웹사이트 '"After our country unified (1976), City Party Committee... made decision to keep and protect 02 tunnel monuments as..."' http://www.cuchitunn[...]
[4] 서적 The American War in Contemporary Vietna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