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의 관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트남의 관광 산업은 배낭여행객, 문화 및 자연 애호가, 해변 관광객 등 다양한 관광객에게 인기 있는 동남아시아의 주요 관광지 중 하나이다. 베트남은 31개의 국립공원, 유네스코 세계 유산, 세계 생태 저수지, 국가 관광 지구 등 다양한 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하노이, 호이안, 호치민시 등 주요 도시가 관광 명소로 자리 잡고 있다. 2019년에는 1,800만 명 이상의 외국인 관광객이 방문했으며, 2024년 11월까지 대한민국에서 413만 명이 방문하여 가장 많은 방문객 수를 기록했다. 베트남 정부는 관광 산업을 경제 성장의 핵심 목표로 삼고, 2018년부터 2030년까지 관광 산업 발전을 위한 전략을 추진하고 있지만, 환경 오염, 부실한 인프라 등 해결해야 할 과제도 안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트남의 관광 - 주사이공 미국 대사관
주사이공 미국 대사관은 1907년 영사관으로 시작하여 남베트남 주재 대사관으로 운영되었으며, 1975년 사이공 함락으로 폐쇄되었다가, 1995년 미-베트남 외교 관계 정상화 이후 철거되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베트남의 관광 | |
---|---|
지도 | |
일반 정보 | |
![]() | |
공식 명칭 |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
로마자 표기 | Cộng hòa xã hội chủ nghĩa Việt Nam (꽁 화 싸 호이 쭈 응이어 비엣 남) |
관광 슬로건 | 베트남 – 숨겨진 매력 |
관광객 수 | 18,008,600명 (2019년) |
통계 | |
2010년 외국인 방문객 | 5,049,799명 |
2011년 외국인 방문객 | 6,070,000명 |
2012년 외국인 방문객 | 6,847,678명 |
2013년 외국인 방문객 | 7,572,352명 |
2014년 외국인 방문객 | 7,874,312명 |
2015년 외국인 방문객 | 7,943,651명 |
2016년 외국인 방문객 | 10,012,735명 |
2017년 외국인 방문객 | 12,922,151명 |
2018년 외국인 방문객 | 15,497,911명 |
2019년 외국인 방문객 | 18,008,600명 |
2020년 외국인 방문객 | 3,837,323명 |
2. 관광 산업
베트남 경제가 농업 중심에서 서비스 경제로 전환되면서 관광 산업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국내총생산(GDP)에서 호텔, 요식업, 운송업 등을 포함한 서비스 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졌으며,[8] 관광은 이러한 서비스 경제 성장에 기여하는 주요 산업 중 하나이다.[9] 베트남 정부는 관광 산업 육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베트남, 시간을 초월하는 매력"(Vietnam Timeless Charmvie)이라는 관광 슬로건을 사용하고 있다.[50]
2. 1. 주요 관광 목적지
베트남은 배낭여행객, 문화 및 자연 애호가, 해변 애호가, 군인 및 퇴역 군인 등 다양한 여행객에게 매력적인 동남아시아의 새로운 관광지로 부상했다. 국내외 여행사들은 소수 민족 투어, 도보 및 자전거 투어, 사진 투어, 카약 여행 등 다채로운 상품을 제공하며, 캄보디아, 라오스, 태국 등 인접 국가를 연계한 다국가 여행도 가능하다. 1997년부터 외국인 관광객은 베트남 내에서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게 되었다.
관광 산업은 베트남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베트남 경제가 농업 중심에서 서비스 중심으로 전환되면서 관광을 포함한 서비스 부문이 국내총생산(GDP)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8] 2007년 기준 관광은 GDP의 4.5%를 기여했으며,[9] 2016년에는 GDP의 6.6%에 해당하는 279.287조베트남 동를 기여하며 운송, 엔터테인먼트, 요식업 등 관련 산업 발전을 이끌었다. 특히 외국인 투자의 상당 부분이 호텔 건설 등 관광 분야에 집중되고 있다.[9]
베트남은 풍부한 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전국적으로 다수의 국립공원이 지정되어 자연환경 보존과 생태 관광의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후에, 호이안, 하롱 베이 등 여러 유네스코 세계유산은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인정받아 많은 관광객이 찾는다. 이 외에도 다양한 생물권 보전 지역과 국가에서 지정한 여러 관광 지구가 있어 다채로운 여행 경험을 선사한다. 많은 외국인 관광객들은 베트남의 아름다운 시골 풍경을 높이 평가한다.
2. 1. 1. 국립공원
베트남에는 31개의 국립공원이 있다.- 바베 국립공원 (Ba Bể National Park)
- 바비 국립공원 (Ba Vì National Park)
- 박마 국립공원 (Bạch Mã National Park)
- 바이뜨롱 국립공원 (Bái Tử Long National Park)
- 벤엔 국립공원 (Bến En National Park)
- 비도웁 누이바 국립공원 (Bidoup Núi Bà National Park)
- 부자멉 국립공원 (Bù Gia Mập National Park)
- 깟바 국립공원 (Cát Bà National Park)
- 깟띠엔 국립공원 (Cát Tiên National Park)
- 쯔몸라이 국립공원 (Chư Mom Ray National Park)
- 쯔양신 국립공원 (Chư Yang Sin National Park)
- 꼰다오 국립공원 (Côn Đảo National Park)
- 꾹프엉 국립공원 (Cúc Phương National Park )
- 황리엔 국립공원 (Hoàng Liên National Park)
- 꼰까낀 국립공원 (Kon Ka Kinh National Park)
- 로고-싸맛 국립공원 (Lò Gò-Xa Mát National Park)
- 무이까마우 국립공원 (Mũi Cà Mau National Park)
- 누이쭈어 국립공원 (Núi Chúa National Park)
- 퐁냐깨방 국립공원 (Phong Nha-Kẻ Bàng National Park)
- 푸꾸옥 국립공원 (Phú Quốc National Park)
- 프억빈 국립공원 (Phước Bình National Park)
- 푸맛 국립공원 (Pù Mát National Park)
- 땀다오 국립공원 (Tam Đảo National Park)
- 짬찜 국립공원 (Tràm Chim National Park)
- 우민하 국립공원 (U Minh Hạ National Park)
- 우민트엉 국립공원 (U Minh Thượng National Park)
- 부꽝 국립공원 (Vũ Quang National Park)
- 쑤언선 국립공원 (Xuân Sơn National Park)
- 쑤언트어 국립공원 (Xuân Thủy National Park)
- 욕돈 국립공원 (Yok Đôn National Park)
2. 1. 2. 세계유산 관광
베트남에는 여러 유네스코 세계유산이 있다. 주요 세계유산으로는 후에, 호이안, 미선 유적 (꽝남성), 하롱베이 (꽝닌성), 퐁냐깨방 국립공원 (꽝빈성), 탕롱 황성 (하노이), 호조의 성새 (타인호아성) 등이 있다. 특히 하롱베이는 세계 7대 자연 경관 중 하나로 선정되기도 했다.2. 1. 3. 생태 관광지
베트남에는 31개의 국립공원이 있다.국립공원 이름 |
---|
바베 국립공원 |
바비 국립공원 |
박마 국립공원 |
바이뜨롱 국립공원 |
벤엔 국립공원 |
비도웁 누이바 국립공원 |
부자멉 국립공원 |
깟바 국립공원 |
깟띠엔 국립공원 |
쯔몸라이 국립공원 |
쯔양신 국립공원 |
꼰다오 국립공원 |
꾹프엉 국립공원 |
황리엔 국립공원 |
꼰까낀 국립공원 |
로고-싸맛 국립공원 |
무이까마우 국립공원 |
누이쭈어 국립공원 |
퐁냐깨방 국립공원 |
푸꾸옥 국립공원 |
프억빈 국립공원 |
푸맛 국립공원 |
땀다오 국립공원 |
짬찜 국립공원 |
우민하 국립공원 |
우민트엉 국립공원 |
부꽝 국립공원 |
쑤언선 국립공원 |
쑤언트어 국립공원 |
욕돈 국립공원 |
베트남은 북쪽에서 남쪽으로 11개의 세계 생물권 보전 지역을 보유하고 있다.[16]
생물권 보전 지역 | 위치 |
---|---|
깟바 생물권 보전 지역 | 하이퐁 |
홍강 삼각주 생물권 보전 지역 | 타이빈성, 남딘성, 닌빈성 |
서부 응에안 | 응에안성 |
꾸라오짬 해양 공원 | 꽝남성 |
꼰하능 생물권 보전 지역 | 자라이성 |
랑비앙 생물권 보전 지역 | 럼동성 |
누이쭈어 국립공원 | 닌투언성 |
동나이 생물권 보전 지역 | 동나이성 |
껀저 생물권 보전 지역 | 호찌민시 |
끼엔장 생물권 보전 지역 | 끼엔장성 |
까마우곶 국립공원 | 까마우성 |
외국인 관광객들은 베트남의 시골 풍경을 높이 평가하며, 동아시아에서 아름다운 곳 중 하나로 꼽기도 한다.
2. 1. 4. 국가 관광지
베트남에는 국가에서 지정한 21개의 국가 관광 지구가 있다.[8][9] 주요 관광지는 다음과 같다.
- 김련 (응에안성)
- 퐁냐깨방 국립공원 (꽝빈성)
- 호찌민 루트 (꽝찌성)
- 랑꼬 – 하이반 고개 – 논느억 (트어티엔후에성, 다낭)
- 호이안 (꽝남성)
- 반퐁만 (카인호아성)
- 판티엣 – 무이네 (빈투언성)
- 단키아 호수 - 수오이방
- 뚜옌럼 호수 (럼동성)
- 껀저 맹그로브 숲 (호치민 시)
- 꼰다오 제도 (바리어붕따우성)
- 롱하이 해변 (바리어붕따우성)
- 푸꾸옥 (끼엔장성)
- 까마우 곶 생물권 보전 지역 (까마우성)
2. 1. 5. 도시
하노이는 2014년부터 꾸준히 트립어드바이저의 투표에 의해 세계 10대 여행지로 꼽혔다. 2014년에는 8위,[17] 2015년에는 4위,[18] 2016년에는 8위를 기록했다.[19] 또한 2014년에는 트립어드바이저의 〈여행자 초이스 어워드〉(Traveler's Choice Awards) 아시아 25대 여행지 부문에서 2위를 차지했다.[20]같은 해 트립어드바이저 아시아 25대 여행지에는 호이안(10위)과 호찌민시(18위)도 이름을 올렸다.[20] 2017년에는 달랏이 CNN이 선정한 아시아의 주목받지 못한 장소 목록에 포함되기도 했다.

3. 관광 통계
베트남에서 관광 산업은 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배낭 여행객, 문화 및 자연 애호가, 해변 휴양객, 그리고 베트남 전쟁 관련 군인 및 참전용사들에게 동남아시아의 새로운 인기 관광 목적지로 부상했다. 현지 및 국제 여행사들은 소수 민족 탐방, 도보 및 자전거 여행, 사진 여행, 카약 체험 등 다양한 상품을 제공하며, 캄보디아, 라오스, 태국 등 인접 국가와 연계한 다국적 여행 상품도 운영하고 있다. 외국인 관광객은 1997년부터 베트남 내에서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게 되었다.
베트남 경제는 전통적인 농업 중심에서 서비스업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국내총생산(GDP)의 3분의 1 이상이 호텔, 요식업, 운송업 등 서비스 부문에서 창출된다. 제조업(28%), 농림어업(20%), 광업(10%)이 그 뒤를 잇는다.
관광 산업은 베트남 경제 성장에 직접적으로 기여하고 있다. 2007년 기준으로 관광은 GDP의 4.5%를 차지했으며[49], 세계관광여행협의회(WTTC) 보고에 따르면 2016년에는 GDP의 6.6%에 해당하는 279.287조베트남 동 규모로 성장했다. 이는 교통, 엔터테인먼트, 요식업 등 관련 산업의 발전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중공업과 도시 개발 이후 외국인 투자의 상당 부분이 관광 분야, 특히 호텔 건설 프로젝트에 집중되고 있다.[49]
베트남은 "베트남, 시간을 초월하는 매력"(Vietnam Timeless Charm|베트남 타임리스 참vie)이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관광객 유치에 힘쓰고 있다.[50] 구체적인 외국인 방문객 통계는 베트남 문화체육관광부에서 발표하며, 연도별 및 국가별 상세 현황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