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꿀주머니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꿀주머니쥐는 오스트레일리아 서부 지역에 서식하는 유대류의 일종이다. 몸길이는 수컷 4–9cm, 암컷 6-9cm이며, 몸에는 갈색 줄무늬가 특징이다. 긴 주둥이와 혀, 작은 이빨을 통해 화분과 꿀을 섭취하는 데 특화되어 있다. 암컷은 난잡성으로 여러 수컷과 짝짓기하며, 포유류 중 가장 큰 정자를 가진 수컷은 번식 경쟁을 벌인다. 임신 기간은 28일이며, 2~4마리의 새끼를 낳고, 새끼는 어미의 육아낭에서 성장한다. 꿀주머니쥐는 꿀만을 주식으로 하는 드문 포유류이며, 서식지 파괴, 포식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42년 기재된 포유류 - 작은넓적코박쥐
    작은넓적코박쥐는 덥고 건조한 지역에 서식하며 좁고 짧은 코와 넓은 주둥이를 가진 호주 박쥐로, 곤충을 먹고 야행성 생활을 하며 동면을 통해 건조한 환경에 적응하지만 개체 수 감소로 보존 노력이 필요하다.
  • 1842년 기재된 포유류 - 흰노랑마모셋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꿀주머니쥐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null
상태LC (관심 필요)
학명Tarsipes rostratus
명명자폴 제르베 & 쥘 베로, 1842
꿀주머니쥐 분포 지역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아강유대아강
캥거루목
아목쿠스쿠스아목
꿀주머니쥐과 (Tarsipedidae)
과 명명자폴 제르베 & 쥘=피에르 베로, 1842
꿀주머니쥐속 (Tarsipes)
속 명명자폴 제르베 & 쥘 베로, 1842
학명 이명

2. 분포

꿀주머니쥐는 오스트레일리아(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의 고유종이다. 서부 오스트레일리아 남서부의 비교적 좁은 지역에 서식하지만, 지역적으로 흔하며, 황무지, 관목지, 숲과 같은 서식지가 온전하고 다양하게 유지되는 한 멸종 위협을 받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서부 오스트레일리아 박물관에 보관된 기록에 따르면, 꿀주머니쥐는 프로테아과 식물의 다양성이 높은 지역, 즉 일년 내내 여러 종의 꽃을 볼 수 있는 뱅크시아 숲과 같은 지역에서 더 흔하게 발견된다.

3. 형태

몸길이는 수컷이 4cm에서 9cm이고, 암컷이 6cm에서 9cm이다. 꼬리 길이는 4.5cm에서 11cm이며, 몸무게는 수컷이 7g에서 11g, 암컷이 8g에서 16g으로 암컷이 수컷보다 크다. 몸의 뒷쪽은 회갈색, 옆구리는 적갈색, 배쪽은 누런색 털로 덮여있다. 머리쪽부터 꼬리 기부까지 뚜렷한 암갈색을 띄며, 그 양쪽에 불분명한 연한 갈색의 총 3개의 세로줄이 나있다.[9]

고울드와 리히터의 삽화, 1863년


꿀주머니쥐는 작은 쥐나 오스트레일리아의 수목성 포섬과 비슷하며, 유난히 긴 주둥이와 머리에서 엉덩이까지 이어진 세 개의 갈색 줄무늬로 쉽게 구별된다. 털은 아랫쪽은 크림색이고 옆구리에서 적갈색으로 변하며, 상체 전체는 갈색과 회색 털이 섞여 있다. 짙은 갈색의 중앙 줄무늬는 엉덩이에서 귀 사이의 중간 지점까지 뻗어 있으며, 이는 두 개의 옅은 인접 줄무늬보다 더 뚜렷하다. 꼬리의 길이는 70mm에서 100mm이며, 65mm에서 85mm인 몸과 머리를 합한 길이보다 길고, 기어오르는 데 도움이 되는 만곡성 능력을 가지고 있다. 기록된 체중 범위는 5g에서 10g이다.

이빨의 수는 유대류에서 전형적인 것보다 적고 대부분 훨씬 작으며, 어금니는 작은 원뿔로 줄어들었다. 치아식은 I2/1 C1/0 P1/0 M3/3으로 총 22개 이하의 이빨을 가진다. 길쭉한 주둥이의 턱과 치아의 형태는 화분식물 섭식자이자 꿀 섭취자로서의 전문화에 적합한 여러 가지 고유한 특징을 나타낸다. ''Tarsipes'' 혀는 신축성이 있으며 끝은 붓과 같은 설유두로 덮여 있으며, 변형되거나 줄어든 이빨의 불필요한 작용은 혀, 용골 모양의 아래쪽 앞니 및 입천장의 미세한 빗질 표면의 상호 작용으로 대체된다.

고환은 크기가 매우 크며, 체중의 4.6%로 포유류에서 비율적으로 가장 큰 것으로 기록되었다. 정자 또한 예외적으로 길며, 꼬리(편모)의 길이는 360 마이크로미터로 알려진 가장 긴 길이로 인용된다. ''T. rostratus''의 특화된 특징에는 ''Banksia attenuata''의 밝은 노란색 꽃차례를 감지하는 시각적 예민함이 포함된다.

삼색각 시력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일부 유대류뿐만 아니라 영장류와 유사하지만 대부분의 포유류가 가지고 있는 두색각 시력과는 다르다.[3] 주둥이는 가늘고 길다. 치열은 앞니가 위턱 4개, 아래턱 2개, 송곳니가 위턱에만 2개, 작은 어금니가 위턱에만 2개, 큰 어금니가 위아래 3개씩 총 22개의 이를 가지고 있다. 이는 작고 빈약하다. 혀는 붓 모양이다. 손가락 끝에는 육구가 있다. 또한 뒷다리의 첫 번째 손가락은 길고 다른 손가락과 마주 볼 수 있기 때문에 물건을 잡을 수 있다. 꼬리는 길고, 물건에 감을 수 있다. 이러한 뒷다리와 꼬리의 형태는 나무 위에서의 생활 (나뭇가지를 잡거나 감아서 이동하거나 몸을 지탱)에 적합하다. 젖꼭지는 4개이다.

4. 생태

꿀주머니쥐는 주로 야행성이지만, 날씨가 서늘할 때는 낮에도 나와 먹이를 먹는다. 보통 바위틈, 나무 구멍, 풀나무 속 빈 곳, 버려진 새 둥지 등 편리한 곳에 둥지를 틀고 낮에는 잠을 잔다. 먹이가 부족하거나 추운 날씨에는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 무활동 상태가 된다. 비슷한 크기의 다른 유대류와 비교했을 때, 꿀주머니쥐는 높은 체온과 정온성(euthermic)이라고 불리는 신진대사율을 가지고 있다. 지방 축적이 없지만 체온을 낮출 수 있으며, 더 낮은 온도에 노출되거나 먹이가 부족하면 두 가지 무활동 상태 중 하나가 유도된다. 한 가지 반응은 주머니고양이와 유사한 얕고 짧은 기간으로, 체온이 10~15°C 이상이고, 다른 하나는 부레주머니쥐와 같이 며칠 동안 지속되며 온도를 10°C 미만으로 낮추는 더 깊은 상태이다.[4]

꿀주머니쥐는 물건을 잡을 수 있는 꼬리와 원숭이 발처럼 잡을 수 있는 긴 뒷발의 첫 번째 발가락 덕분에 기어오를 수 있다. 혀 윗부분에 있는 털 같은 유두는 끝으로 갈수록 길이가 증가하며, 꽃차례에서 꿀과 꽃가루를 빠르게 쓸어 모으는 데 사용된다. 앞발과 뒷발 모두 물건을 잡는 데 능숙하여 나무를 쉽게 오를 수 있으며, 빠른 속도로 관목을 가로지를 수 있다. 꿀주머니쥐는 또한 또 다른 팔처럼 물건을 잡기 위해 자신의 물건을 잡을 수 있는 꼬리(머리와 몸을 합친 것보다 더 길다)를 사용할 수 있다.

무선 추적 결과, 특히 수컷은 매우 활동적이어서 밤에 최대 0.5km까지 이동하며 평균 0.8헥타르의 지역을 사용한다. 수컷은 더 넓은 범위로 모험을 하는 경향이 있으며, 일부 증거에 따르면 더 먼 거리를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지역에서 한 개체에서 발견된 꽃가루는 채집 장소에서 3km 이내에서 발견되지 않은 뱅크시아에서 온 것이었다.

트로턴의 기사 "꿀쥐"의 삽화 (1922)


꿀주머니쥐에게 꿀과 꽃가루를 제공하는 식물은 주로 프로테아과, ''뱅크시아''와 ''아데난토스'', 그리고 도금양과, 유칼립투스와 ''아고니스'', 그리고 진달래과의 관목 같은 히스 식물이며, 애니고잔토스의 꽃차례, 캥거루 발, 그리고 ''잔토로이아''의 키가 큰 가시, 풀나무를 방문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꿀과 꽃가루 양에 대한 연구 결과, 9g의 개체는 에너지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매일 약 7ml의 꿀과 1g의 꽃가루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양의 꽃가루는 종의 높은 활동 대사에 충분한 질소를 제공하며, 수유 중인 암컷의 추가적인 질소 요구량은 ''뱅크시아'' 종의 꽃가루에서 얻을 수 있다. 호우 지역에서 젖은 꽃에서 먹이를 먹을 때 과도한 물을 섭취하는 것은 동물의 체중의 최대 2배의 물을 처리할 수 있는 신장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꽃가루 입자는 6시간에 걸쳐 소화되어 포함된 거의 모든 영양소를 추출한다.

꿀주머니쥐(''Tarsipes rostratus'')는 오스트레일리아 남서부 해안 모래 지역의 생태계, 즉 광원(kwongan)으로 알려진 복잡한 식물 군집의 핵심종이며, 뱅크시아(banksia)와 ''Adenanthos''와 같은 목본 관목의 주요 수분(pollinator) 매개자일 가능성이 높다. 이들의 먹이 활동은 많은 개별 식물을 방문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머리에는 동일한 꽃을 방문하는 새보다 더 효과적으로 꽃가루를 운반할 수 있는 작은 꽃가루 부하를 가지고 있다. 선호되는 종인 ''Banksia attenuata''는 이 동물에게 수분 매개체로 의존하는 것으로 보이며, 두 종 모두 상호주의(Mutualism (biology))적 상호 작용에 적합하도록 진화했다.

23년 동안의 연구를 통해 화재 빈도가 꿀주머니쥐 개체수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했으며, 이는 해당 지역의 첫 번째 화재와 6년 후의 후속 화재에 대한 종의 회복력을 보여주었다. 지구 온난화와 계획 화재로 인한 화재 빈도와 강도의 증가는 지역 서식지의 적합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 종은 유칼립투스 숲과 이 지역의 뱅크시아 숲에서 산림 고사(forest dieback)와 관련된 토양 매개 진균 유사 종인 ''Phytophthora cinnamomi''의 영향에 취약하다. ''T. rostratus''가 가장 선호하는 9가지 식물 종의 꽃은 일년 내내 먹이를 제공하며, 이 중 5가지는 ''P. cinnamomi'' 병원균으로 인한 시들음 상태에 취약하다.

꿀주머니쥐는 박쥐가 아닌 유일한 완전한 꿀 섭취자(nectarivore) 포유류이다.[5] 길고 뾰족한 주둥이와 꿀빨이새나 벌새처럼 꽃가루와 꿀을 모으는 솔 끝이 달린 길고 튀어나오는 혀를 가지고 있다. 꿀주머니쥐는 연중 꿀 공급 없이는 생존할 수 없고 꿀을 먹는 새와 달리 신선한 공급원을 찾아 멀리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꽃의 다양성이 특히 중요하다. 숲에 서식하며, 나무 위에서 생활한다.

4. 1. 번식

번식은 꿀의 가용성에 따라 달라지며 연중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다. 암컷은 난잡하여 많은 수의 수컷과 짝짓기를 하며 여러 조상으로부터 온 배아를 동시에 품을 수 있다. 경쟁으로 인해 수컷은 몸무게에 비해 매우 큰 고환을 갖게 되었으며, 상대적 질량은 4.2%로 포유류에서 알려진 것 중 가장 크다. 그들의 정자는 포유류 세계에서 가장 커서 365 마이크로미터에 달한다.

배반포의 발달은 짧은 광주기에 의해 유도되는 낮의 길이에 해당하지만, 다른 생식 과정은 아마도 먹이 가용성과 같은 다른 요인에 의해 촉진된다. 임신 기간은 28일이며, 2~4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태어날 때 그들은 모든 포유류 중에서 가장 작고, 무게는 0.005g이다. 육아와 주머니 내 발달은 약 60일 동안 지속되며, 그 후 털로 덮이고 눈을 뜬 채로 나오며, 무게는 약 2.5g이다. 나오자마자 종종 어미가 스스로 먹이를 찾는 동안 그들은 보호된 지역(예: 나무 구멍)에 남겨지지만, 며칠 안에 어미의 등에 매달려 함께 이동하는 것을 배운다. 그러나 곧 그들의 무게가 너무 많이 나가고 약 11주에 수유를 멈추며 그 직후에 스스로 집을 짓기 시작한다. 유대류에서 흔히 볼 수 있듯이, 첫 번째 새끼가 주머니를 비울 때 두 번째 새끼가 종종 태어나고, 수정된 배아는 휴지 상태가 된다.

대부분의 경우, 꿀주머니쥐는 번식기를 제외하고 약 1헥타르(2.5ha)의 별도 영역에 머문다. 그들은 10마리 이하의 소규모 그룹으로 살며, 그 결과 서로 거의 싸우지 않는다. 번식기 동안 암컷은 새끼와 함께 더 작은 지역으로 이동하며, 특히 수컷으로부터 맹렬하게 방어할 것이다.

꿀주머니 쥐는 연중 번식하며 한 번에 2~4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새끼는 생후 8주 정도는 어미의 육아낭 안에서 지낸다. 새끼가 성장하면 어미는 새끼를 수목 동굴 등에 두고 먹이를 구하러 나선다(새끼의 체중 합계가 자신의 체중을 넘어서 움직일 수 없기 때문). 수유 기간은 약 11주 정도이다. 배아 휴면 현상이 있으며, 새끼를 낳은 어미의 자궁 안에는 또 다른 수정란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먼저 태어난 새끼가 육아낭에서 나오거나 수유 기간을 마치면 바로 다음 새끼를 낳을 수 있다. 생후 6개월 정도면 성적으로 성숙한다. 수명은 1~2년이다.

5. 분류

꿀주머니쥐는 쌍기문목에 속하는 종으로, 1842년 폴 제르베와 쥘 베로가 처음으로 발표했다. 이들은 쥘 베로가 수집한 표본을 바탕으로 꿀주머니쥐를 설명했으며, 렉토타입은 프랑스 국립 자연사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이 표본은 스완 강 식민지에서 수집되었다.

5일 후, 존 에드워드 그레이는 ''Tarsipes spenserae''라는 두 번째 종을 발표했다. 이 종은 1970년대까지 유효했으나, 1984년 마호니의 연구에 의해 꿀주머니쥐(''T. rostratus'')의 동종이명으로 밝혀졌다. 윌리엄 라이드 등이 사용한 ''spencerae''라는 철자 수정 역시 동종이명으로 처리되었다.

조지 그레이가 대영 박물관 자연사 박물관에 제공한 표본은 킹 조지 사운드에서 수집된 수컷 꿀주머니쥐의 피부였다.

꿀주머니쥐는 *Tarsipes* 속에 속하는 유일한 종이며, 단형 쌍기문목 과인 '''꿀주머니쥐과'''(Tarsipedidae)에 속한다. 속명 *Tarsipes*는 "안경원숭이 발"을 의미하며, 이는 안경원숭이의 발과 발가락과 유사한 특징에서 유래했다.

꿀주머니쥐과의 계통 발생은 여러 특성에서 독특하여, 한때 상과 '''Tarsipedoidea'''로 분리되기도 했다. 그러나 현재는 쌍기문목 내에서 Petauroidea 상과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된다.



꿀주머니쥐와 가장 가까운 관계에 있는 동물은 남아메리카의 ''Dromiciops gliroides''로 알려져 있었으나, 현재는 이 이론이 더 이상 사실로 받아들여지지 않는다.[2]

꿀주머니쥐의 종명 *spenserae*는 엘리자 루시 스펜서의 처녀 이름을 따서 붙여졌으며, 그녀는 킹 조지 사운드의 정부 거주자 리처드 스펜서의 딸이었다.

꿀주머니쥐는 꿀과 긴 코의 팔랑게르, 테이트, 눌벵거, 갈색 줄무늬 쥐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Noongar어로는 ''ngoolboongoor''(ngool'bong'oor), ''djebin''(dje'bin), ''dat'' 등으로 불린다. 꿀 쥐라는 이름은 1922년 엘리스 트로턴에 의해 킹 조지 사운드 주변 지역에서 흔히 사용되는 것으로 기록되었다.

6. 인간과의 관계

노웅가르족에게 잘 알려져 있고 그들의 문화에 통합된 동물로, 원주민 언어에서 유래된 이름인 ''ngoolboongoor''는 '''눌벤저'''로 표기되어 현대에 일반적인 이름으로 사용될 것을 제안했다. 꿀주머니쥐는 이 지역 사람들에게 상징적인 동물로 남아 있으며, 아목 아일랜드가 밀벨트의 사일로에 있는 대규모 공공 예술 프로젝트에 등장하도록 선정되었다.[6]

이 종에 대한 첫 번째 보고서는 호주 서부 해안의 스완 강에 있는 새로운 식민지로 여행하도록 골드에 의해 의뢰된 신중하고 철저한 현장 수집가인 존 길버트에 의해 작성되었다. 길버트는 동물들의 습성에 대한 이름과 세부 사항을 제공하고, 어려움 끝에 과학적 검사를 위해 4개의 표본을 제공한 노웅가르 정보원들에게 접근할 수 있었다. 그와 골드 모두 알려지지 않은 종의 독특한 특성을 인식했다.

다음 주요 현장 연구는 포유류학자 엘리스 트로턴이 H. L. 화이트의 제안으로 시작되었으며, 그는 전문 수집가인 F. 로슨 휘트락을 소개했다. 트로턴의 킹 조지 사운드 방문은 화이트에게 표본을 보낸 휘트락의 안내를 받았으며, 그는 생물학자를 수용했던 데이비드 모건이라는 같은 지역의 사람이었으며, 추가 표본을 광범위하게 찾았지만 실패했다. 트로턴은 결국 앨버니 항구를 떠날 준비를 할 때, 난나루프의 휴 리시먼의 고양이에 의해 수년간 수집된 12개의 표본을 받았다.

호주 박물관의 컬렉션은 모건이 트로턴에게 표본을 계속 보냄으로써 증가했는데, 처음에는 고양이에게 죽임을 당한 임신한 암컷 두 마리와 5~6주 동안 사육할 수 있었던 살아있는 동물에 대한 보고서가 있었다. 모건은 그의 고양이가 한동안 매일 훼손된 표본을 가져왔고, 해질녘에 꽃이 핀 관목에서 그것들을 찾는 것을 관찰했지만, 그들의 지역적 출현이 계절과 관련이 있으며 번식기 외에는 나타나지 않는다고 생각했다.

1974년에 시작된 사육에서의 첫 번째 성공과 함께 이 종의 포획, 장기간 관찰 및 해부를 통해 생식 과정에 대한 더 자세한 연구가 가능해졌다. 생식 전략의 검토를 통해 특히 배아 휴지의 진화와 관련하여 다른 현대 유대류과의 비교가 가능해졌다.

''T. rostratus''의 개체군 구조와 먹이 습성은 1984년에 피츠제럴드 강 국립공원에서 생물학적 연구가 완료될 때까지 잘 이해되지 않았다.

전적으로 꿀로 구성된 식단은 육상 척추 동물 종에게는 드문 일이며, 보통 조류와 날아다니는 포유류에게 해당하며, 프로테아과도금양과 식물과의 성공으로 제공되는 틈새 시장에 대한 전문화는 약 4천만 년 전에 시작되었다.

개발에 의한 서식지 파괴, 방화, 인간에 의해 유입된 고양이에 의한 포식 등으로 인해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다.

참조

[1] 간행물 Tarsipes rostratus 2016
[2] 학술지 Tracking Marsupial Evolution Using Archaic Genomic Retroposon Insertions Public Library of Science
[3] 학술지 Trichromacy in Australian Marsupials 2002-04-16
[4] 학술지 Metabolic Physiology of Euthermic and Torpid Honey Possums, Tarsipes rostratus 1989
[5] 학술지 Nonflying Mammal Pollination of Southern African Proteas: A Non-Coevolved System https://www.biodiver[...] 1983
[6] 뉴스 Ravensthorpe grain silos to be transformed by international street artist https://www.abc.net.[...] 2016-08-29
[7] MSW3
[8] IUCN2008 Tarsipes rostratus
[9] 웹인용 https://pdfs.semanticscholar.org/9722/b740d40d149f0aad7136beb55da6bfc8e5f9.pdf https://pdfs.semanti[...]
[10] 저널 인용 A phylogeny of Diprotodontia (Marsupialia) based on sequences for five nuclear genes http://www.montclair[...] 2009-02-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