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테아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로테아과는 프로테아속을 포함하는 속씨식물 과로, 다양한 모습으로 변신하는 그리스 신화 속 프로테우스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이 과는 40m 높이의 나무부터 관목, 초본까지 다양한 형태를 가지며 잎과 꽃의 형태 또한 다양하다. 프로테아과는 복합 위꽃차례를 특징으로 하며, 크고 화려한 꽃차례를 통해 곤충, 조류, 포유류 등 다양한 매개체를 통해 수분을 한다. 주로 남반구에 분포하며, 오스트레일리아와 남아프리카에 주요 다양성 중심지가 있다. 인간과의 관계에서 식량, 약재, 건축재 등으로 사용되며, 관상용으로도 널리 재배된다. 프로테아과는 벨렌데노이데아아과, 페르소니오이데아아과, 심피오네마토이데아아과, 프로테오이데아아과, 그레빌레오이데아아과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로테아과 - 뱅크시아 에리시폴리아
뱅크시아 에리시폴리아는 1770년에 수집된 관목으로, 뱅크시아속에 속하며 잎은 가늘고 짙은 녹색이며 가을에 다양한 색상의 꽃이 피고, 두 아종으로 나뉘어 시드니 분지 등에서 발견되며, 다양한 동물에게 꿀을 제공하고 수분 매개자 역할을 하며 재배가 용이하여 다양한 품종이 개발되었고 시드니의 공식 식물로 지정되었다. - 프로테아과 - 마카다미아
마카다미아는 마카다미아속 나무에서 생산되는 식용 견과류를 지칭하며, Macadamia integrifolia와 Macadamia tetraphylla가 상업적으로 재배되고, 고소한 맛과 높은 지방 함량을 특징으로 하며, 개와 고양이에게는 독성이 있다.
프로테아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Proteaceae |
명명자 | Juss. |
로마자 표기 | Proteaceae |
과 | ヤマモガシ科 (야마모가시科) |
과 | 프로테아과 |
속의 수 | 약 80개 |
분류 | |
계 | 식물계 |
문 | 피자식물문 |
강 | 쌍떡잎식물강 |
아강 | 장미아강 |
목 | 프로테아목 |
목 | ヤマモガシ目 (야마모가시目) |
생물학적 정보 | |
화석 범위 | 세노마눔절-현세 |
2. 어원
프로테아과의 모식속인 프로테아속(''Protea'')의 명칭은 그리스 신화에서 갖가지 모습으로 둔갑하는 프로테우스 신의 이름에서 유래했다.[4][5] 프로테아과(Proteaceae)라는 이름은 1773년생 식물학자 로버트 브라운이 1789년에 앙투안 로랑 드 쥐시가 프로테아속(''Protea'')을 기반으로 명명한 Proteae에서 따온 것이다. 카롤루스 린네우스는 1767년에 여러 형태로 변신할 수 있는 그리스 신 프로테우스의 이름에서 이 속명을 따왔다. 이것은 적절한 비유인데, 이 과는 꽃과 잎의 놀라운 다양성으로 유명하기 때문이다.
많은 프로테아과 식물은 특수한 단단한뿌리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측근과 털이 방사상으로 흡수면을 형성하는 덩어리로 계절적 생장 동안 낙엽층에서 생성되며, 일반적으로 생장기가 끝나면 시든다. 이것은 인이 부족한 불량한 토양에서의 생장에 대한 적응으로, 카르복실레이트를 분비하여 식물이 부족한 물과 영양분을 획득할 수 있도록 돕는다.[8] 이러한 특수한 단단한뿌리 때문에 프로테아과는 균근 균류와 공생 관계를 형성하지 않는 몇 안 되는 속씨식물과 중 하나이다. 이들은 인산염의 이동과 흡수를 돕기 위해 2~3일마다 다량의 유기산(구연산과 말산)을 분비한다.
프로테아과는 주로 남반구에 분포하며, 오스트레일리아와 남아프리카에 주요 다양성 중심지가 있다. 또한 중앙아프리카, 남아메리카, 중앙아메리카, 인도, 동남아시아 및 오세아니아에서도 발견된다.[8] 뉴질랜드에서는 두 종만 알려져 있지만, 화석 꽃가루 증거는 이전에 더 많은 종이 있었음을 시사한다.[9]
프로테아속( ''Protea''), 뱅크시아속(''Banksia''), 마카다미아속(''Macadamia'') 등을 포함한다. 마카다미아(마카다미아 너트)는 식용으로 재배되며, 관상용으로도 많은 종이 재배된다.
프로테아과는 최근 분자계통학 연구에 따라 버즘나무과와 연꽃과를 포함하는 계통으로 밝혀졌다. 하위 분류는 여러 아과 단위를 인정하는 연구자가 많다.
3. 형태
프로테아과는 40m 높이의 옆으로 퍼지는 관목에서 키 큰 숲의 나무까지 다양하며, 일부 스터링기아속 종이 초본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개 중간 높이 또는 낮거나 다년생 관목이다. 일부 종은 낙엽성(facultatively deciduous)이며 (''엠보트리움 코키네움''), 드물게 무경성(acaulescent)이고, 줄기 부분은 종종 근목으로 두꺼워진다. 3세포 털의 털은 때로는 선모(glandular)이고, 드물게 없으며, 끝 세포는 보통 길고 뾰족하며, 때로는 동일하거나 불균등하게 이분지(bifid)된다.[6]
잎은 드물게 향이 나며, 보통 어긋나고, 나선형으로 배열되며, 드물게 마주나거나 윤생한다. 가죽질이며, 드물게 다육질이거나 가시가 있고, 단순하거나 복엽(우상복엽, 우상 2회 복엽 또는 드물게 장상 또는 손바닥 모양의 우상 열편)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3-)우상 열편(고사리 모양)이며, 드물게 이분지로 갈라지고, 종종 멀리 떨어진 톱니, 둥근톱니 또는 톱니가 있다. 잎자루가 있거나 없으며, 잎자루는 종종 기부가 부풀어 있지만 드물게 엽초가 있으며 (때로는 ''시나페아속''에서), 턱잎이 없다. 깃 모양, 때로는 손바닥 모양 또는 평행 잎맥, 그물맥 또는 하나의 뚜렷한 맥으로 축소되며, 잎의 전개 상태는 일반적으로 접힌 상태이다. 잎의 이형성은 종종 다른 생장 기간 동안 발생하며, 잎몸은 배면성, 양면성 또는 중심성이며, 엽육 조직에는 보통 후각세포(돌세포)가 있으며, 드물게 분비강이 있다. 단세포 기공은 ''벨렌데나속''에 있다.[6]
식물 줄기에는 두 가지 유형의 반경(넓고 다중 톱니 또는 좁고 단일 톱니)이 있고, 체관부는 층을 이루거나 이루지 않으며, 삼환절(trilacunar nodes)은 세 개의 잎흔적(드물게 일환절(unilacunar)로 한 개의 흔적)을 가지며, 후각세포가 흔하다. 수피에는 종종 수평으로 확장된 피목이 있으며, 코르크 형성층이 있고, 보통 표면적이다. 뿌리는 측근이고 짧으며, 종종 다발로 묶여 있으며(proteoid roots) 매우 밀집된 뿌리털을 가지며, 드물게 균근이 있다.[6]
일반적으로 프로테아과의 진단 형질은 복합 위꽃차례이다. 많은 속에서 가장 눈에 띄는 특징은 크고 종종 매우 화려한 꽃차례로, 작은 꽃들이 빽빽하게 모여 머리 모양 또는 수상꽃차례를 이룬다. 그러나 이러한 특징이 모든 프로테아과 식물에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아데난토스속'' 종은 꽃이 하나씩 핀다. 대부분의 프로테아과 종에서 수분 메커니즘은 매우 특수화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꽃가루 제시체"를 사용하는데, 이는 암술대 끝에 있는 꽃가루를 수분 매개체에 제공하는 부위이다.[7]
프로테아과 꽃의 부분은 4개씩 있다. 4개의 꽃덮이조각은 길고 좁은 통으로 합쳐져 있으며, 꼭대기에는 닫힌 컵이 있다. 그리고 4개의 수술의 꽃실은 꽃덮이조각에 붙어 있어 꽃밥이 컵 안에 싸여 있다. 암술은 처음에 화피통 안쪽을 따라 지나가므로 암술머리도 컵 안에 싸여 있다. 꽃이 발달함에 따라 암술이 빠르게 자란다. 암술머리가 갇혀 있기 때문에 암술대가 길어지려면 구부러져야 하며, 결국 너무 많이 구부러져서 화피가 한쪽 이음매를 따라 갈라진다. 암술대는 개화될 때까지 계속 자라며, 이때 밀선이 꿀을 생산하기 시작한다. 이때 화피는 구성 요소인 꽃덮이조각으로 갈라지고, 컵이 갈라지며, 암술이 방출되어 거의 직립으로 솟아오른다.[6]
모두 상록이며, 대부분이 목본이고 일부는 초본이다. 꽃은 양성화이며, 꽃덮이(꽃받침과 꽃잎의 구별이 없다)는 통 모양이고 끝이 4갈래로 갈라지며, 각각에 수술이 하나씩 달린다. 암술은 하나이고 씨방은 상위이며, 견과 같은 열매가 된다. 꽃차례는 총상꽃차례, 수상꽃차례, 두상꽃차례 등이다.[6]
이 과 식물은 일부를 제외하고 필수 영양소인 인의 결핍에 대해 뿌리를 특수한 형태로 변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뿌리는 토양에 유기산을 분비하여 식물이 일반적으로 이용할 수 없는 형태의 인을 용해하여 흡수하므로 인이 부족한 환경에서도 생육할 수 있다. 이 뿌리는 처음에 이 과의 학명 Proteaceae에서 유래하여 프로테오이드근(proteoid root)이라고 불렸지만, (팥꽃나무과), (뽕나무과), (콩과), (측백나무과)에 속하는 일부 종에도 같은 목적으로 비슷한 형태로 뿌리가 변화하는 것이 알려지면서 클러스터근(cluster root)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일본의 야마모가시(ヤマモガシ)도 이러한 구조의 뿌리를 가지고 있다.[16] 마찬가지로 뿌리의 기능을 강화하는 것으로 균류와 뿌리의 공생 형태인 균근, 콩과를 중심으로 알려진 뿌리혹 등이 있지만, 클러스터근을 형성하는 소귀나무과(팥꽃나무과)나 콩과 에는 균근이나 뿌리혹을 만드는 것이 알려져 있지 않다.[17][18]
4. 생태
많은 종들은 화재에 적응된 식물(파이로파이트)이며, 서식지를 휩쓸고 지나가는 화재에서 살아남기 위한 전략을 가지고 있다. 일부는 재생식물로, 땅속에 묻힌 두꺼운 뿌리줄기가 있어 화재 후 새로운 줄기를 돋아내고, 다른 일부는 종자재생식물로, 성체 식물은 화재로 죽지만, 연기 자극에 의해 뿌리를 내리고 자라는 종자를 분산시킨다. 이전에는 열이 생장을 자극한다고 생각되었지만, 이제는 연기 속의 화학 물질이 원인으로 밝혀졌다.
암수딴그루 속은 ''Aulax'', ''Dilobeia'', ''Heliciopsis'', ''Leucadendron'' 네 종류이고, 암수한그루 속은 11개이며, 다른 속들 중 일부는 암수한그루인 종이 있다. ''Lomatia tasmanica'', ''Hakea pulvinifera'' 두 종은 불임이며 영양 생식만 한다.
꽃은 대개 웅예선숙이다. 개화 직전에 수술은 화분을 방출하여 암술머리에 묻히는데, 많은 경우 암술머리는 자체 화분을 붙이기 위한 커다란 다육질 부분을 가지고 있다. 꿀을 먹는 동물은 수술 자체와 접촉할 가능성이 적지만, 암술머리와 접촉하지 않을 수 없으므로, 암술머리는 화분 매개체 역할을 하여 꿀을 먹는 동물을 수분 매개자로 이용한다.
수분은 벌, 딱정벌레, 파리, 나방, 조류(꿀빨이새, 태양새, 설탕새, 벌새) 및 포유류(설치류, 작은 유대류, 코끼리땃쥐, 박쥐)에 의해 수행된다.
일부 종의 종자 산포는 열개를 보이는데, 이는 그들의 파이로파이트 행동과 관련이 있다. 이 나무들은 가지에 열매를 축적하는데, 그 외층이나 보호 구조(포린)는 매우 목질화되어 화재에 강하다. 열매는 불에 탄 후에만 종자를 방출하며, 땅이 화재의 재로 비옥해지고 경쟁자가 없을 때 종자를 방출한다. 많은 종은 엘라이오좀이 있는 종자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개미에 의해 분산된다.
건조한 지역에 적응하여 자라는 종이 많다.
특히 산불이 빈번한 오스트레일리아에 분포하는 것을 중심으로, 이 과의 일부 종은 산불의 강한 열에 의해 열매가 터져 그 안의 종자가 퍼지는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다. 산불 직후에 퍼져 발아함으로써, 주변의 식생이 파괴된 환경에서 햇빛과 영양분을 독점하고, 토양 속의 병원균도 열에 의해 살균되어 고사하기 어려운 등의 이점이 있다고 생각된다.
많은 곤충이 프로테아과 식물을 이용한다. 일본산 프로테아과 식물은 사쓰마니시키(''Erasmia pulchella'')라는 아름다운 나방의 유충의 먹이식물로 알려져 있다.
5. 분포
프로테아과는 고대 초대륙 곤드와나의 잔재로 여겨지는 거의 모든 육지에서 분류군이 발견되는 곤드와나 식물군의 좋은 예이다. 단, 남극 대륙은 제외한다. 이 과와 아과는 곤드와나의 분열 이전에 이미 다양화되었을 것으로 생각되며, 따라서 모두 9천만 년 이상 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를 뒷받침하는 증거로는 뉴질랜드 남섬의 백악기 석탄 퇴적층에서 발견된 풍부한 프로테아과 꽃가루가 있다. 현재의 분포는 주로 대륙 이동에 의해 이루어졌고, 해양 간의 확산에 의한 것은 아니라고 여겨진다.[10]
6. 인간과의 관계
7. 하위 분류
우의목아과, 페르소니오이데아 아과, 프로테아아과는 각각 하위 속(屬)들을 포함한다.
벨렌데노이데아 아과 | 카르나르보니오이데아 아과 | 아이도테오이데아 아과 | 스팔미오이데아 아과 |
---|---|---|---|
Bellendena | Carnarvonia | Eidothea | Sphalmium |
Austromuellera |
뱅크시아속 (Banksia) |
드리안드라속 (Dryandra) |
Musgravea |
Buckinghamia |
엠보트리움속 (Embothrium) |
Lomatia |
Opisthiolepis |
Oreocallis |
Strangea |
Stenocarpus |
Telopea |
Finschia |
우의목속 (Grevillea) |
하케아속 (Hakea) |
Helicia |
Hollandaea |
Triunia |
Xylomelum |
Cardwellia |
Darlingia |
Eucarpha |
Knightia |
Athertonia |
Brabejum |
Euplassa |
Floydia |
Gevuina |
Heliciopsis |
Hicksbeachia |
Kermadecia |
Lambertia |
마카다미아속 (Macadamia) |
Malagasia |
Panopsis |
Roupala |
Sleumerodendron |
Turillia |
Virotia |
Orites |
Acidonia |
Garniera |
Persoonia |
Placospermum |
Agastachys |
Beaupreopsis |
Beaurea |
Cenarrhenes |
Conospermum |
Dilobeia |
Isopogon |
Petrophile |
Stirlingia |
Symphionema |
Synaphea |
Adenanthos |
Franklandia |
Aulax |
Diastella |
Faurea |
Leucadendron |
Leucospermum |
Mimetes |
Orothamnus |
Paranomus |
프로테아속 (Protea) |
Serruria |
Sorocephalus |
Spatalla |
Vexatorella |
7. 1. 벨렌데노이데아 아과 (Bellendenoideae)
다음 한 속으로 이루어진 단형 아과이다.- '''벨렌데나속''' (''Bellendena'')
: 한국어 이름이 없는 속이다. 타스마니아 고산 지대에 분포하는 '''벨렌데나 몬타나''' (''Bellendena montana'', 현지명 mountain rocket, 산 로켓이라는 뜻) 한 종만이 알려진 단형 속이다.
7. 2. 페르소니오이데아 아과 (Persoonioideae)
Persoonioideae는 플라코스퍼메아족(Placospermeae)과 퍼소니에아족(Persoonieae) 두 족으로 나뉜다. 각 족에 속하는 속은 다음과 같다.[14]족 | 속 |
---|---|
플라코스퍼메아족(Placospermeae) | * 플라코스퍼뭄속(Placospermum) |
퍼소니에아족(Persoonieae) | * Toronia |
* Garniera | |
* Acidonia | |
* Persoonia |
7. 2. 1. 플라코스페르메아 족 (Placospermeae)
- 플라코스페르뭄속(Placospermum)
7. 2. 2. 페르소니에아 족 (Persoonieae)
Persoonioideae는 플라코스퍼뭄족(Placospermeae)과 퍼소니에아족(Persoonieae) 두 족으로 나뉜다. 퍼소니에아 족에 속하는 속은 다음과 같다.- ''Toronia''
: 뉴질랜드에 분포하는 ''Toronia toru'' 한 종만이 알려진 단형 속이다.
- ''Garniera''
: 뉴칼레도니아에 분포하는 ''Garnieria spathulifolia'' 한 종만이 알려진 단형 속이다. 종소명 ''spathulifolia''는 "주걱 모양의 잎"이라는 뜻이다.
- ''Acidonia''
:''Acidonia microcarpa'' 한 종만이 알려진 단형 속이다. 종소명 ''microcarpa''는 "작은 열매"라는 뜻이다. ''Persoonia''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생각하는 연구자도 있다.
- ''Persoonia''
: 오스트레일리아에 분포한다. 꽃은 총상꽃차례이고 열매는 핵과이다. 현지명은 geebungs나 snottygobbles이다.
7. 3. 심피오네마토이데아 아과 (Symphionematoideae)
오스트레일리아 대륙 남동부와 태즈메이니아에 국소적으로 2종이 알려져 있다.7. 4. 프로테오이데아 아과 (Proteoideae)
프로테아아과는 아래 속(屬)들을 포함한다.속 |
---|
Agastachys |
Beaupreopsis (보프레옵시스속) |
Beaurea |
Cenarrhenes (케나르헤네스속) |
Conospermum |
Dilobeia (딜로베이아속) |
Isopogon |
Petrophile |
Stirlingia |
Symphionema |
Synaphea |
Adenanthos |
Franklandia (프랭클란디아속) |
Aulax (아울락스속) |
Diastella (디아스텔라속) |
Faurea (파우레아속) |
Leucadendron (레우카드렌드론속) |
Leucospermum (레우코스페르뭄속) |
Mimetes (미메테스속) |
Orothamnus |
Paranomus (파라노무스속) |
프로테아속 (Protea) |
Serruria (세루리아속) |
Sorocephalus (소로케팔루스속) |
Spatalla (스파탈라속) |
Vexatorella (벡사토렐라속) |
7. 4. 1. 속(incertae sedis, 분류 불확실)
- Eidotheala (아이도테아속): 오스트레일리아에 2종이 알려져 있다. 수고(樹高) 40m 이상의 고목이다. 현지명은 nightcap oak(나이트캡 지역의 참나무라는 뜻)이다.
- Beaupreala (보프레아속): 뉴칼레도니아에 약 10종이 알려져 있다. 아프리카에 분포하는 종과 가깝다고 한다.
- Beaupreopsisla (보프레옵시스속)
- Dilobeiala (딜로베이아속)
- Cenarrhenesla (케나르헤네스속)
- Franklandiala (프랭클란디아속)
7. 4. 2. 코노스페르메아 족 (Conospermeae)
- 프로테아아과 (Proteoideae)
- * 코노스페르뭄속 (''Conospermum'')
- * Stirlingia
- * Synaphea
7. 4. 3. 페트로필레아 족 (Petrophileae)
페트로필레속(''Petrophile'')7. 4. 4. 프로테아 족 (Proteeae)
프로테아아과는 다음과 같은 속(屬)을 포함한다.- ''Agastachys''
- ''Beaupreopsis''
- ''Beaurea''
- ''Cenarrhenes''
- ''Conospermum''
- ''Dilobeia''
- ''Isopogon''
- ''Petrophile''
- ''Stirlingia''
- ''Symphionema''
- ''Synaphea''
- ''Adenanthos''
- ''Franklandia''
- ''Aulax''
- ''Diastella''
- ''Faurea''
- ''Leucadendron''
- ''Leucospermum''
- ''Mimetes''
- ''Orothamnus''
- ''Paranomus''
- 프로테아속 (''Protea'')
- ''Serruria''
- ''Sorocephalus''
- ''Spatalla''
- ''Vexatorella''
''Faurea'' 속(屬)은 아프리카 대륙 남부와 마다가스카르에 약 15종이 알려져 있다. 속명 ''Faurea''는 남아프리카의 군인이자 식물학자였던 윌리엄 콜드웰 포어(William Caldwell Faure, 1822-1844)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7. 4. 5. 류카덴드레아 족 (Leucadendreae)
프로테아아과에 속하는 족이다. 아래와 같은 속을 포함하고 있다.속 |
---|
아울락스속 (Aulax) |
디아스텔라속 (Diastella) |
파우레아속 (Faurea) |
레우카드렌드론속 (Leucadendron) |
레우코스페르뭄속 (Leucospermum) |
미메테스속 (Mimetes) |
Orothamnus |
파라노무스속 (Paranomus) |
프로테아속 (Protea) |
세루리아속 (Serruria) |
소로케팔루스속 (Sorocephalus) |
스파탈라속 (Spatalla) |
벡사토렐라속 (Vexatorella) |
7. 5. 그레빌레오이데아 아과 (Grevilleoideae)
우의목아과(Grevilleoideae)에는 다음 속들이 속한다.[1]속 |
---|
Austromuellera |
뱅크시아속 (Banksia) |
드리안드라속 (Dryandra) |
Musgravea |
Buckinghamia |
엠보트리움속 (Embothrium) |
Lomatia |
Opisthiolepis |
Oreocallis |
Strangea |
Stenocarpus |
Telopea |
Finschia |
우의목속 (Grevillea) |
하케아속 (Hakea) |
Helicia |
Hollandaea |
Triunia |
Xylomelum |
Cardwellia |
Darlingia |
Eucarpha |
Knightia |
Athertonia |
Brabejum |
Euplassa |
Floydia |
Gevuina |
Heliciopsis |
Hicksbeachia |
Kermadecia |
Lambertia |
마카다미아속 (Macadamia) |
Malagasia |
Panopsis |
Roupala |
Sleumerodendron |
Turillia |
Virotia |
Orites |
7. 5. 1. 속(incertae sedis, 분류 불확실)
다음 2개 속은 속하는 족(tribe)이 불명확하다.- ''Sphalmium''
- ''Carnarvonia''
7. 5. 2. 루팔레아 족 (Roupaleae)
속 |
---|
마카다미아속( Macadamia) |
Malagasia |
Panopsis |
Roupala |
Sleumerodendron |
Turillia |
Virotia |
Orites |
7. 5. 3. 뱅크시아 족 (Banksieae)
뱅크시아속( ''Banksia'')[1]드리안드라속 (''Dryandra'')[1]
7. 5. 4. 엠보트리에아 족 (Embothrieae)
- 엠보트리움속 (''Embothrium'')
- ''Lomatia''
- ''Opisthiolepis''
- ''Oreocallis''
- ''Strangea''
- ''Stenocarpus''
- ''Telopea''
7. 5. 5. 마카다미에아 족 (Macadamieae)
마카다미에아 족(Macadamieae)에는 다음 속들이 포함된다.[1]속(Genus) |
---|
마카다미아속(Macadamia) |
Malagasia |
Panopsis |
Brabejum |
Athertonia |
Turrillia |
Virotia |
Sleumerodendron |
Kermadecia |
Hicksbeachia |
Heliciopsis |
Gevuina |
Euplassa |
Floydia |
Lambertia |
Roupala |
Orites |
참조
[1]
웹사이트
Proteales
http://www.mobot.org[...]
2023-06-16
[2]
논문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I
[3]
논문
The number of known plants species in the world and its annual increase
http://biotaxa.org/P[...]
[4]
서적
On the Proteaceae of Jussieu
[5]
서적
Genera plantarum secundum ordines naturales disposita, juxta methodum in Horto Regio Parisiensi exaratum, anno M.DCC.LXXIV.
https://www.biodiver[...]
Paris
[6]
논문
Historical Biogeography and the Origin of Stomatal Distributions in Banksia & Dryandra (Proteaceae) Based on Their cpDNA Phylogeny
[7]
웹사이트
Proteaceae
https://www.delta-in[...]
2006-06-26
[8]
서적
Flora of Australia, Volume 16: Elaeagnaceae, Proteaceae 1
http://www.deh.gov.a[...]
Australian Biological Resources Study / CSIRO Publishing
2006-06-26
[9]
논문
The Proteaceae record in New Zealand
[10]
서적
The origin and evolution of Pacific Island Biotas, New Guinea to eastern Polynesia: Patterns and processes
SPB Academic Publishing
[11]
웹사이트
2006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www.iucnredlist.org
IUCN
2007-02-22
[12]
논문
Xylocaron lockii F.Muell. (Proteaceae) fruits from the Cenozoic of south eastern Australia
https://www.academia[...]
[13]
논문
On the Proteaceae: the evolution and classification of a southern family
[14]
논문
A new suprageneric classification of the Proteaceae, with an annotated checklist of genera
http://www.rbgsyd.ns[...]
2010-03-30
[15]
논문
A smaller Macadamia from a more vagile tribe: inference of phylogenetic relationships, divergence times, and diaspore evolution in Macadamia and relatives (tribe Macadamieae; Proteaceae)
2008-07
[16]
논문
日本産ヤマモガシ(ヤマモガシ科)のクラスター根の発見
[17]
논문
クラスター根形成による植物の養分獲得戦略
[18]
논문
低リン条件で房状の根を形成する植物の機能と分布-低リンストレスに対する植物の適応機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