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치는 살아있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치는 살아있다》는 1958년, 나치 전직자들이 정부 요직에 남아있는 상황 속에서 젊은 검사 요한 라드만이 프랑크푸르트의 한 학교 교사이자 전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 지휘관 카를 슐츠 사건을 파헤치며 정의를 실현하려는 과정을 그린 영화이다. 라드만은 프리츠 바우어 검찰총장의 지원을 받아 아우슈비츠 수용소 전직 관계자들을 조사하고, 모사드와의 협력을 통해 아돌프 아이히만을 체포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인다. 영화는 라드만의 개인적인 갈등과 고뇌, 그리고 1963년 프랑크푸르트 아우슈비츠 재판의 시작을 보여주며, 역사적 진실과 정의, 개인의 책임과 용기, 기억과 망각의 투쟁을 주제로 다룬다. 평론가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2014년 레제자르크 유럽 영화제에서 심사위원 특별 언급과 관객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홀로코스트의 여파 - 홀로코스트 생존자
    홀로코스트 생존자는 나치에 의해 자행된 대량 학살에서 살아남은 유대인들을 지칭하며, 강제 수용소, 죽음의 행진 등 다양한 상황에서 살아남아 심리적, 사회적 어려움을 겪었으며, 2024년 1월 기준 약 245,000명으로 추산된다.
  • 홀로코스트의 여파 - 집념의 검사 프리츠 바우어
    2015년 독일 영화 《집념의 검사 프리츠 바우어》는 1950년대 후반 서독에서 나치 전범 아돌프 아이히만을 추적하는 프리츠 바우어 검사의 이야기로, 모사드 협력, 젊은 검사와의 갈등, 아우슈비츠 재판 성사 투쟁을 그리며 독일 사회의 과거사 청산 노력과 동성애 혐오 문제를 다룬다.
  • 변호사를 소재로 한 영화 - 사계절의 사나이
    사계절의 사나이는 1966년 프레드 진네만 감독이 연출한 영화로, 토머스 모어의 삶을 다루며, 헨리 8세의 이혼과 잉글랜드 국교회 설립에 대한 모어의 저항과 순교를 통해 권력과 양심의 갈등을 그린다.
  • 변호사를 소재로 한 영화 - 미스컨덕트
    《미스컨덕트》는 거대 제약회사 CEO의 부정행위를 폭로하려는 변호사를 중심으로 음모와 배신을 그린 영화로, 예상치 못한 반전과 미스터리가 긴장감을 고조시키지만 비평가로부터 혹평을 받고 흥행에 실패했다.
  • 1950년대를 배경으로 한 영화 - 그리스 (영화)
    1978년 개봉한 미국 뮤지컬 로맨틱 코미디 영화 《그리스》는 1950년대 미국 고등학교를 배경으로 십대들의 사랑 이야기와 록앤롤 음악을 다루며 전 세계적인 흥행을 거두었으나, 최근에는 성차별적 요소에 대한 비판도 있다.
  • 1950년대를 배경으로 한 영화 - 마지막 황제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감독의 영화 《마지막 황제》는 청나라 마지막 황제 푸이의 파란만장한 삶을 20세기 중국 역사 배경 속에서 시간 순서대로 묘사하며,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9개 부문을 수상했다.
나치는 살아있다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영화 포스터
영화 포스터
원제Im Labyrinth des Schweigens (침묵의 미로)
감독줄리오 리차렐리
제작자야코프 클라우센
울리케 푸츠
자비네 람비
각본줄리오 리차렐리
엘리자베트 바르텔
주연알렉산더 페링
음악니키 라이저
세바스티안 필레
촬영마르틴 랑거
로만 오신
편집안드레아 메르텐스
제작사Claussen Wobke Putz Filmproduktion
Naked Eye Filmproduktion
배급사앳 엔터테인먼트
개봉일2014년 9월 6일 (TIFF)
2014년 11월 6일 (독일)
상영 시간122분
제작 국가독일
사용 언어독일어
영화제 출품 및 수상
영화제2014 토론토 국제 영화제
독일 아카데미상최우수 작품상 후보
관련 정보
관련 작품낸시 드루 컴퓨터 게임

2. 역사적 배경

1958년, 젊고 이상주의적인 검사 요한 라드만은 프랑크푸르트암마인의 한 학교에서 교사로 재직 중인 전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 지휘관 카를 슐츠 사건에 관심을 갖게 된다. 라드만은 슐츠를 정의의 심판대에 세우려 하지만, 정부 요직에 나치 전직자들이 많고 서로를 비호하는 탓에 그의 노력은 좌절된다.

라드만의 상사 프리츠 바우어 검찰총장은 그에게 아우슈비츠 수용소의 전직 관계자들을 조사하도록 지시한다. 미군 점령군은 그에게 관련 자료를 제공했고, 그는 8,000명의 관계자가 있었음을 발견한다. 그는 요제프 멩겔레를 쫓는데, 그는 아르헨티나에 거주하면서도 서독으로 돌아와 가족을 방문했다. 당국이 라드만의 체포 영장 발부를 막자, 그의 상사는 그에게 경고하고 덜 주목받는 용의자들을 조사하도록 지시한다. 검찰청은 모사드 요원들을 초청하여 정보를 공유한다. 그 결과 아돌프 아이히만이 납치되어 이스라엘로 옮겨져 그의 범죄에 대해 재판을 받고 유죄 판결을 받은 후 처형된다. 이 작전을 성공시킨 이스라엘은 멩겔레를 추적하는 것을 포기한다.

한편, 라드만은 자신의 아버지 또한 나치 당원이었다는 사실을 발견하면서 위기에 직면한다.

2. 1. 전후 독일 사회

1950년대 말, (서독)은 경제 부흥을 이루었지만, 제2차 세계 대전의 참혹한 과거는 점차 잊혀 갔다. 나치 전범들은 사회 곳곳에 복귀하여 과거를 은폐하려 했다.

젊은 검사 요한 라드만은 프랑크푸르트암마인의 한 학교 교사로 재직 중인 전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 지휘관 카를 슐츠 사건을 통해 이러한 현실을 마주한다. 그는 슐츠를 법정에 세우려 하지만, 정부 요직에 포진한 나치 전력자들의 방해로 어려움을 겪는다.

프리츠 바우어 검찰총장은 라드만에게 아우슈비츠 수용소 전직 관계자들을 조사하도록 지시한다. 미군 점령군으로부터 관련 자료를 넘겨받은 라드만은 8,000명에 달하는 관계자 명단을 확보하고, 요제프 멩겔레를 추적하지만, 당국의 비협조로 좌절된다.

한편, 라드만은 자신의 아버지와 연인 마를레네의 아버지 역시 나치 당원이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서 고뇌에 빠진다. 그는 공직에서 사임하고 변호사 사무실에 취업하려 하지만, 과거 자신이 조사했던 나치 전범을 변호하는 동료와 협력해야 한다는 사실에 환멸을 느끼고 검찰청으로 복귀한다.

라드만의 노력은 결실을 맺어 1963년 프랑크푸르트 아우슈비츠 재판이 시작된다. 바우어 검찰총장은 라드만에게 "자랑스럽게 생각한다"라는 격려를 보내며, 역사를 다시 쓸 중대한 재판의 시작을 알린다.

2. 2. 프랑크푸르트 아우슈비츠 재판

1963년, 서독에서 최초의 프랑크푸르트 아우슈비츠 재판이 시작되었다. 이 재판은 프리츠 바우어 검찰총장의 주도로, 젊은 검사 요한 라드만이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에서 벌어진 나치 친위대(SS)의 범죄를 조사하면서 시작되었다.[1]

라드만은 전직 아우슈비츠 지휘관 카를 슐츠 사건을 통해 나치의 과거사 청산에 관심을 갖게 되었지만, 정부 요직에 나치 전직자들이 많아 어려움을 겪었다. 그러나 바우어 검찰총장의 지시와 미군 점령군의 자료 제공으로 8,000명에 달하는 아우슈비츠 관계자 명단을 확보하고, 요제프 멩겔레를 추적하는 등 적극적인 수사를 진행했다.[1]

모사드의 도움으로 아돌프 아이히만이 체포되어 이스라엘에서 재판을 받고 처형되었지만, 멩겔레 추적은 중단되었다. 라드만은 루돌프 회스의 부관 로베르트 물카와 아우슈비츠의 마지막 수용소장 리하르트 베어를 체포하는 성과를 거두었지만, 멩겔레는 체포하지 못했다.[1]

수사 과정에서 라드만은 자신의 아버지와 연인의 아버지도 나치 당원이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서 개인적인 갈등을 겪기도 했다. 술에 의존하고 동료와 갈등을 겪으며 사표를 제출하기도 했지만, 결국 검찰청으로 복귀하여 재판을 이끌었다.[1]

이 재판은 독일 사회가 나치의 과거를 직시하고 반성하는 계기가 되었다. 한국의 관점에서 볼 때, 이 재판은 친일파 청산 문제, 민주화 운동 관련 진실 규명 등 과거사 청산 노력과 비교해 볼 수 있다.

3. 주요 등장인물

영화의 주요 등장인물은 다음과 같다.

배우역할설명
알렉산더 페링요한 라드만젊은 검사. 프리츠 바우어 검찰총장의 지시로 아우슈비츠 관련 사건을 조사한다.
안드레 스지만스키토마스 그니엘카기자. 아우슈비츠 절멸 수용소 전 간수에 대한 정보를 제공, 라드만과 협력한다.
프레더릭케 베흐마를레네라드만의 연인. 재봉사이며, 의류 디자이너 사업을 시작한다.
거트 보스프리츠 바우어검찰총장. 라드만에게 아우슈비츠 수용소 전직 관계자 조사를 지시하고 지원한다.
조한스 크리쉬시몬 키르슈아우슈비츠 절멸 수용소 생존자이자 화가. 그의 증언과 소지품은 사건 해결에 중요한 단서가 된다.
요한 폰 뷜로오토 할러검사.
로베르트 훙거-뷔엘러발터 프리드베르크검사장.
한시 요흐만에리카 슈미트비서.
루카스 미코헤르만 랑바인



이들은 1950년대 말 독일 사회에서 나치 과거사 청산 문제를 둘러싸고 갈등하는 인물들이다. 특히 라드만, 그닐카, 바우어는 나치의 만행을 밝히고 정의를 실현하려 노력하지만, 사회 곳곳에 남아있는 나치 잔재와 은폐 시도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다.

3. 1. 요한 라드만

알렉산더 페링이 연기한 요한 라드만은 젊고 이상주의적인 검사이다. 그는 프랑크푸르트암마인의 한 학교에서 교사로 재직 중인 전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 지휘관 카를 슐츠 사건에 관심을 갖게 된다. 라드만은 슐츠를 정의의 심판대에 세우려 하지만, 정부 요직에 나치 전직자들이 많아 어려움을 겪는다.

프리츠 바우어 검찰총장은 라드만에게 아우슈비츠 수용소 전직 관계자들을 조사하도록 지시한다. 라드만은 미군 점령군으로부터 관련 자료를 받아 8,000명의 관계자가 있었음을 발견하고, 요제프 멩겔레를 추적하지만, 당국이 체포 영장 발부를 막자 덜 주목받는 용의자들을 조사하게 된다.

라드만은 의류 디자이너 사업을 시작한 재봉사 마를레네에게 매료되지만, 자신의 아버지 또한 나치 당원이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서 위기에 직면한다. 마를레네에게 그녀의 아버지도 당원이었다고 말하자, 그녀는 관계를 끝낸다. 하지만 영화 마지막 부분에서 라드만은 마를레네에게 다시 받아들여질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후 라드만은 공직에서 사임하고 사업가 밑에서 일하게 되지만, 옳은 일과 시스템의 요구 사이에서 딜레마에 직면한다. 전 나치를 변호했던 동료와 협력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자, 그 자리에서 나와 정의를 추구하기로 결심한다. 그는 아우슈비츠에서 사망한 친구의 두 딸을 위해 카디쉬를 드린 후, 서독 검찰청에서 다시 일하게 된다. 영화는 프랑크푸르트 아우슈비츠 재판의 시작으로 끝을 맺는다.

제2차 세계 대전의 사건이 잊혀져 갈 무렵, 라드만은 학교 운동장에서 발견된 교사가 전 간수라는 정보를 얻은 저널리스트 토마스 그닐카와 함께 사건을 조사한다.[1] 프리츠 바우어의 지원을 받아 강제 수용소 범죄 증언을 할 수 있는 범인이나 증인을 찾는다.[1]

라드만과 그닐카는 화가 키르슈의 아파트에서 나치 친위대(SS) 대원 명단을 발견하고, 독일 연방 공화국 전역의 전화번호부에서 해당 인물을 목록으로 작성한다.[1] 프랑크푸르트의 미국 문서 센터에서 더 자세한 자료를 찾고, 루돌프 회스 수용소장의 부관 로베르트 물카나 아우슈비츠의 마지막 수용소장 리하르트 베어 등을 체포하지만, SS 의사 요제프 멩겔레는 체포하지 못한다.[1] 라드만은 어머니의 재혼 상대와 자신의 연인 마를레네의 아버지가 나치 당원이었음을 알고 갈등을 겪고 술에 빠지지만, 결국 검찰청으로 돌아가기로 결심한다.[1]

3. 2. 프리츠 바우어

프리츠 바우어 검찰총장은 요한 라드만의 상사로, 아우슈비츠 수용소 전직 관계자들을 조사하도록 지시했다.[1] 그는 라드만에게 미군 점령군으로부터 받은 관련 자료를 제공했고, 8,000명의 관계자가 있었음을 발견하도록 도왔다.[1] 또한 요제프 멩겔레 추적을 지원했다.[1] 당국이 라드만의 체포 영장 발부를 막자, 바우어는 그에게 경고하고 덜 주목받는 용의자들을 조사하도록 지시했다.[1]

바우어는 검찰청에 모사드 요원들을 초청하여 정보를 공유했고, 그 결과 아돌프 아이히만이 납치되어 이스라엘에서 재판을 받고 처형되도록 이끌었다.[1] 프랑크푸르트 아우슈비츠 재판 시작 전, 바우어는 라드만과 할러에게 "여러분, 역사를 다시 쓸 겁니다"라고 격려하며, 라드만에게는 "자랑스럽게 생각한다"라고 말했다.[2]

3. 3. 토마스 그닐카

토마스 그닐카는 기자로서, 지인 시몬 키르슈에게서 학교 운동장에서 발견한 교사가 아우슈비츠 절멸 수용소 간수였다는 정보를 듣는다. 그닐카는 프랑크푸르트 법원에 고발하려 했지만 거절당한다. 그러나 젊은 검사 요한 라드만이 이 사건을 담당하게 되면서, 그닐카는 라드만에게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협력한다. 이들은 화가 키르슈의 아파트에서 나치 친위대 (SS) 대원 명단을 발견한다.

3. 4. 마를레네

마를레네는 라드만의 연인으로, 재봉사이다. 의류 디자이너 사업을 시작하려는 라드만의 도움을 받는다. 그러나 라드만이 마를레네의 아버지 또한 나치 당원이었다고 말하자, 그녀는 라드만과의 관계를 끝낸다. 영화 마지막 부분에서 그녀가 그를 다시 받아들일 가능성을 보여주는데, 이는 라드만이 겪는 내적 갈등과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작용한다.

3. 5. 시몬 키르슈

요하네스 크리쉬가 연기한 시몬 키르슈는 아우슈비츠 절멸 수용소 생존자이다. 그의 친구인 토마스 그닐카는 학교 운동장에서 한 교사를 발견했는데, 그 교사가 키르슈가 아우슈비츠에 수용되었을 때 간수였다는 정보를 키르슈에게서 얻었다.[1] 키르슈는 화가였으며, 그의 아파트 가방 속에는 소련군에 의해 강제 수용소가 해방되었을 때 가져온 나치 친위대 (SS) 대원 명단이 있었다.[1]

4. 영화의 주요 내용

1950년대 말, 독일 경제는 기적적으로 성장했지만, 제2차 세계 대전의 참상은 서서히 잊혀 가고 있었다.[1] 이러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젊은 검사 요한 라드만은 프랑크푸르트암마인의 한 학교 교사이자 전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 지휘관 카를 슐츠 사건에 관심을 갖게 된다.

라드만은 슐츠를 정의의 심판대에 세우려 하지만, 정부 요직에 나치 전직자들이 많아 서로를 비호하는 탓에 좌절된다. 그러나 프리츠 바우어 검찰총장의 지시로 아우슈비츠 수용소 전직 관계자들을 조사하게 되면서 사건은 새로운 국면을 맞는다. 미군 점령군으로부터 관련 자료를 받은 라드만은 8,000명의 관계자가 있었음을 확인하고, 요제프 멩겔레를 추적하지만, 당국이 체포 영장 발부를 막아 덜 주목받는 용의자들을 조사하게 된다.

한편, 저널리스트 토마스 그닐카의 지인 시몬 키르슈는 학교 운동장에서 발견한 교사가 아우슈비츠의 전 간수라는 정보를 얻는다.[1] 라드만은 강제 수용소 범죄를 증언할 범인이나 증인을 찾던 중, 화가 키르슈의 아파트에서 나치 친위대 (SS) 대원 명단을 발견한다.[1]

라드만과 동료들은 독일 연방 공화국 전역의 전화번호부와 프랑크푸르트의 미국 문서 센터 자료를 통해 SS 대원 명단에 해당하는 인물을 추적한다.[1] 당국의 완강한 저항에도 불구하고 루돌프 회스 수용소장의 부관 로베르트 물카나 아우슈비츠의 마지막 수용소장 리하르트 베어 등을 체포하지만, 요제프 멩겔레는 체포하지 못한다.[1]

이 과정에서 라드만은 자신의 아버지와 연인 마를레네의 아버지 모두 나치 당원이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서 개인적인 갈등과 고뇌를 겪는다.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도 그는 진실을 향한 노력을 멈추지 않고, 결국 1963년 최초의 프랑크푸르트 아우슈비츠 재판을 시작하게 된다.

4. 1. 아우슈비츠 생존자 증언

1958년, 젊은 검사 요한 라드만은 프랑크푸르트암마인의 한 학교에서 교사로 재직 중인 전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 지휘관 카를 슐츠 사건에 관심을 갖게 된다. 그는 슐츠를 정의의 심판대에 세우려 하지만, 정부 요직에 나치 전직자들이 많아 어려움을 겪는다.

저널리스트 토마스 그닐카의 지인 시몬 키르슈는 학교 운동장에서 발견한 교사가 과거 아우슈비츠 절멸 수용소 간수였다는 정보를 얻는다.[1] 그닐카는 프랑크푸르트 법원에 고발하려 했지만 거절당한다.[1] 그러나 라드만이 이 사건을 담당하게 되고, 검찰총장 프리츠 바우어의 지원을 받아 조사를 시작한다.[1]

라드만은 강제 수용소 범죄를 증언할 수 있는 범인이나 증인을 찾던 중,[1] 화가 키르슈의 아파트에서 강제 수용소에서 죄수를 살해한 나치 친위대 (SS) 대원 명단을 발견한다.[1]

4. 2. 진실을 밝히기 위한 노력

1958년, 프랑크푸르트암마인의 젊은 검사 요한 라드만은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 지휘관 출신 교사 카를 슐츠 사건을 맡게 된다. 그러나 정부 요직에 나치 전직자들이 많아 서로를 비호했기에 슐츠를 정의의 심판대에 세우려는 라드만의 노력은 좌절된다.

프리츠 바우어 검찰총장은 라드만에게 아우슈비츠 수용소 전직 관계자 조사를 지시한다. 미군 점령군으로부터 관련 자료를 받은 라드만은 8,000명의 관계자가 있었음을 확인하고, 요제프 멩겔레를 추적한다. 그러나 당국이 체포 영장 발부를 막자, 바우어는 덜 주목받는 용의자들을 조사하도록 지시한다. 검찰청은 모사드 요원들을 초청하여 정보를 공유했고, 그 결과 아돌프 아이히만이 납치되어 이스라엘에서 재판을 받고 처형된다. 그러나 이스라엘은 멩겔레 추적을 포기한다.

한편, 라드만은 재봉사 마를레네에게 매료되지만, 자신의 아버지 또한 나치 당원이었다는 사실을 알고 위기에 직면한다. 마를레네에게 그녀의 아버지도 당원이었다고 말하자, 그녀는 관계를 끝낸다. 라드만은 공직에서 사임하고 사업가 밑에서 일하게 되지만, 그곳에서 다시 딜레마에 직면한다. 자신이 조사했던 전 나치를 변호했던 동료와 협력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된 라드만은 그 자리에서 나와버린다. 그는 정의가 아니라 고통받은 사람들의 삶과 이야기에 대한 관심이 공포를 완화할 수 있음을 깨닫는다. 그는 친구의 두 딸을 위해 카디쉬를 드리기 위해 아우슈비츠에 간 후, 서독 검찰청에서 다시 일하게 된다.

저널리스트 토마스 그닐카의 지인 시몬 키르슈는 학교 운동장에서 발견한 교사가 아우슈비츠의 전 간수라는 정보를 얻었다. 그닐카는 프랑크푸르트 법원에 고발하려 했지만 거절당한다. 그러나 라드만이 이 사건을 담당하게 되고, 프리츠 바우어의 지원을 받아 조사를 시작한다.

라드만은 강제 수용소 범죄를 증언할 수 있는 범인이나 증인을 찾는다. 라드만과 그닐카는 화가 키르슈의 아파트 가방 속에서 강제 수용소에서 죄수를 살해한 나치 친위대(SS) 대원 명단을 발견한다. 소련군에 의해 강제 수용소가 해방되었을 때 가져온 것이라고 한다. 라드만과 동료는 독일 연방 공화국 전역의 전화번호부에서 SS 대원 명단에 해당하는 인물을 목록으로 작성하고, 프랑크푸르트의 미국 문서 센터에서 더 자세한 자료를 찾는다.

당국의 완강한 저항에도 불구하고 라드만은 루돌프 회스 수용소장의 부관 로베르트 물카나 아우슈비츠의 마지막 수용소장 리하르트 베어 등을 체포할 수 있었다. 그러나 SS 의사 요제프 멩겔레는 체포할 수 없었다.

라드만은 어머니의 재혼 상대와 연인 말레네의 아버지가 나치 당원이었음을 알고 갈등한다. 술에 빠지고, 그닐카와도 사이가 틀어지며, 바우어에게 사표를 제출한다. 그러나 법률 사무소 면접에서 과거 자신이 심문했던 용의자를 변호하는 변호사와 일할 것을 요구받자, 결국 검찰청으로 돌아간다. 바우어는 라드만의 사표를 찢어 버린다.

이러한 노력은 결실을 맺어 1963년 최초의 아우슈비츠 재판이 시작되었다.

4. 3. 개인적 갈등과 고뇌

라드만은 의류 디자이너 사업을 시작한 재봉사 마를레네에게 매료된다. 그러나 라드만은 자신의 아버지가 나치 당원이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서 위기에 처한다. 마를레네에게 그녀의 아버지도 나치 당원이었다고 말하자, 그녀는 그와의 관계를 끝낸다. 하지만 영화 마지막 부분에서 그녀가 그를 다시 받아들일 가능성을 보여준다.

라드만은 어머니의 재혼 상대가 나치 당원임을 반대하지만, 어머니는 "너의 아버지(어머니의 남편)도 나치 당원이었다. 나치 시대에는 모두 당원이 될 수밖에 없었다"라고 반박하며 다툰다. 또한 연인 마를레네 아버지의 신원을 조사해 보니 나치 당원이었고, 그녀와의 관계가 잘 풀리지 않게 된다. [1]

이러한 개인적인 갈등과 고뇌는 라드만이 진실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보여준다. 그는 공직에서 사임하고 사업가 밑에서 일하게 되지만, 그곳에서 다시 딜레마에 직면한다. '옳은 일을 할 것인가, 아니면 시스템이 요구하는 대로 할 것인가?'

결국 라드만은 자신이 조사했던 전 나치를 변호했던 동료와 협력해야 한다는 것을 알고 그 자리에서 나와버린다. 그는 이상주의와 현실 세계와의 힘든 만남을 통해 시련을 겪는다. 모든 순간마다 "시스템"은 순응을 원하지만, 그는 정의를 원한다. 그는 그 공포를 완화할 수 있는 유일한 것은 정의가 아니라 고통받은 사람들의 삶과 이야기에 대한 관심임을 깨닫는다. 단순한 선과 악의 도덕관에서 벗어나, 그는 삶을 더 복잡하게 이해하게 되었고, 자신의 열정 속에서 그가 가한 크고 작은 모든 피해를 복구하려고 노력한다.

이러한 어려운 상황을 견디지 못하고 술에 빠지게 되고, 전우 그닐카와도 사이가 틀어지며, 프리츠 바우어에게 사표를 제출한다. 그러나 법률 사무소에 취업하기 위해 면접을 보러 가자, 예전에 라드만이 수용소 간수였던 인물을 심문했을 때 수용소에 도착한 사람들을 램프로 선별했던 이 용의자의 행위를 비웃듯이 인정한 변호사와 함께 일할 것을 요구받는다. 결국, 라드만은 검찰청으로 돌아가기로 한다. [1]

4. 4. 프랑크푸르트 아우슈비츠 재판 개정

1958년, 젊고 이상주의적인 검사 요한 라드만은 프랑크푸르트암마인의 한 학교 교사이자 전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 지휘관인 카를 슐츠 사건에 관심을 갖게 된다. 라드만은 슐츠를 법정에 세우려 하지만, 정부 요직에 나치 전직자들이 많아 좌절된다. 프리츠 바우어 검찰총장은 라드만에게 아우슈비츠 수용소 전직 관계자들을 조사하도록 지시한다. 미군 점령군은 관련 자료를 제공했고, 라드만은 8,000명의 관계자가 있었음을 발견한다. 그는 요제프 멩겔레를 쫓지만, 당국이 체포 영장 발부를 막자, 덜 주목받는 용의자들을 조사하라는 지시를 받는다.

한편, 저널리스트 토마스 그닐카의 지인 시몬 키르슈는 학교 운동장에서 발견한 교사가 키르슈가 아우슈비츠에 수용되었을 때의 전 간수라는 정보를 얻었다. 그닐카는 프랑크푸르트 법원에 고발하려 했지만 거절당한다. 그러나 젊은 검사 요한 라드만이 이 사건을 담당하게 되고, 프리츠 바우어 검찰총장의 지원을 받아 조사를 시작한다.

라드만은 강제 수용소 범죄를 증언할 범인이나 증인을 찾는다. 라드만과 그닐카는 화가 키르슈의 아파트 가방 속에서 강제 수용소에서 죄수를 살해한 나치 친위대(SS) 대원 명단을 발견한다. 라드만과 동료는 독일 연방 공화국 전역의 전화번호부에서 SS 대원 명단에 해당하는 인물을 목록으로 작성하고, 프랑크푸르트의 미국 문서 센터에서 더 자세한 자료도 찾는다.

당국의 완강한 저항에도 불구하고 라드만은 루돌프 회스 수용소장의 부관 로베르트 물카나 아우슈비츠의 마지막 수용소장 리하르트 베어 등을 체포할 수 있었다. 그러나 SS 의사 요제프 멩겔레는 체포할 수 없었다.

이러한 노력은 결실을 맺어 1963년 최초의 아우슈비츠 재판이 시작되었다. 프리츠 바우어는 배심 재판 심리에 임하는 라드만과 할러에게 "여러분, 역사를 다시 쓸 겁니다"라고 말하고, 라드만에게 "자랑스럽게 생각한다"라고 말하며, 심리 시작을 위해 법정의 문이 닫히는 장면으로 영화는 끝을 맺는다.

5. 영화의 주제와 의미

이 영화는 제2차 세계 대전의 참상과 나치의 만행이 잊혀져 가는 현실 속에서, 진실을 밝히려는 사람들의 노력을 통해 정의, 개인의 책임, 그리고 기억의 중요성을 이야기한다.

젊은 검사 요한 라드만은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 전직 지휘관이 학교 교사로 있다는 사실을 알고 그를 법정에 세우려 하지만, 정부 요직에 나치 전직자들이 많아 어려움을 겪는다. 프리츠 바우어 검찰총장의 지시로 아우슈비츠 관련자들을 조사하면서, 라드만은 수많은 전범들을 체포하지만, 요제프 멩겔레와 같은 핵심 인물은 놓치고 만다.

자신의 아버지와 연인의 아버지 또한 나치 당원이었다는 사실에 갈등하던 라드만은 결국 정의를 택하고 검찰청으로 복귀한다. 1963년 프랑크푸르트 아우슈비츠 재판이 시작되고, 이는 단순한 과거 청산을 넘어 역사적 진실을 기억하고 망각에 저항하는 투쟁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5. 1. 역사적 진실과 정의

1958년, 젊은 검사 요한 라드만은 프랑크푸르트암마인의 한 학교 교사가 전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 지휘관 카를 슐츠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 라드만은 슐츠를 법정에 세우려 하지만, 정부 요직에 나치 전직자들이 많아 좌절된다.

라드만의 상사 프리츠 바우어 검찰총장은 아우슈비츠 수용소 전직 관계자들을 조사하라고 지시한다. 미군 점령군에게 자료를 받은 라드만은 8,000명의 관계자가 있었음을 발견하고, 요제프 멩겔레를 추적하지만 실패한다. 검찰청은 모사드 요원들을 초청하여 정보를 공유하고, 그 결과 아돌프 아이히만이 납치되어 처형된다.

한편, 라드만은 자신의 아버지 또한 나치 당원이었다는 사실을 알고 위기에 처한다. 공직에서 사임한 그는 한 사업가 밑에서 일하지만, 정의와 시스템 사이에서 딜레마를 겪는다. 결국, 그는 정의를 택하고, 아우슈비츠에서 사망한 친구의 딸들을 위해 카디쉬를 드린 후 검찰청으로 복귀한다.

1950년대 말, 제2차 세계 대전은 잊혀져 가고 있었다. 저널리스트 토마스 그닐카는 지인 시몬 키르슈에게서 한 교사가 전 아우슈비츠 간수였다는 정보를 얻는다. 그닐카는 프랑크푸르트 법원에 고발하려 했지만 거절당한다. 그러나 젊은 검사 요한 라드만이 이 사건을 담당하고, 프리츠 바우어의 지원을 받아 조사를 시작한다.

라드만은 강제 수용소 범죄를 증언할 범인이나 증인을 찾는다. 라드만과 그닐카는 화가 키르슈의 아파트에서 나치 친위대(SS) 대원 명단을 발견한다. 라드만과 동료는 독일 연방 공화국 전화번호부에서 SS 대원 명단에 해당하는 인물을 찾고, 프랑크푸르트의 미국 문서 센터에서 더 자세한 자료를 찾는다.

당국의 저항에도 불구하고 라드만은 루돌프 회스 수용소장의 부관 로베르트 물카나 아우슈비츠의 마지막 수용소장 리하르트 베어 등을 체포하지만, SS 의사 요제프 멩겔레는 체포하지 못한다.

라드만은 어머니의 재혼 상대와 자신의 연인 말레네의 아버지가 나치 당원이라는 사실에 갈등하고, 술에 빠져 전우 그닐카와도 사이가 틀어진다. 그러나 법률 사무소 면접에서 과거 자신이 조사했던 용의자를 변호했던 변호사와 일하라는 요구를 받자, 검찰청으로 돌아간다.

노력은 결실을 맺어 1963년 최초의 프랑크푸르트 아우슈비츠 재판이 시작된다. 프리츠 바우어는 라드만과 할러에게 "역사를 다시 쓸 겁니다", 라드만에게 "자랑스럽게 생각한다"라고 말하며, 심리 시작을 위해 법정의 문이 닫힌다.

5. 2. 개인의 책임과 용기

1958년, 젊은 검사 요한 라드만은 프랑크푸르트암마인의 한 학교 교사가 전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 지휘관 카를 슐츠였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그는 슐츠를 정의의 심판대에 세우려 하지만, 정부 요직에 나치 전직자들이 많아 좌절된다.

프리츠 바우어 검찰총장은 라드만에게 아우슈비츠 수용소 전직 관계자들을 조사하도록 지시한다. 미군 점령군은 관련 자료를 제공했고, 라드만은 8,000명의 관계자가 있었음을 발견한다. 그는 요제프 멩겔레를 쫓지만, 당국은 체포 영장 발부를 막는다. 검찰청은 모사드 요원들을 초청하여 정보를 공유하고, 그 결과 아돌프 아이히만이 납치되어 재판 후 처형된다. 이스라엘은 멩겔레 추적을 포기한다.

라드만은 재봉사 마를레네에게 매료되지만, 자신의 아버지 또한 나치 당원이었다는 사실을 알고 위기에 직면한다. 마를레네에게 그녀의 아버지도 당원이었다고 말하자, 그녀는 관계를 끝낸다.

그는 공직에서 사임하고 사업가 밑에서 일하게 되지만, 또다시 딜레마에 직면한다. 옳은 일을 할 것인가, 아니면 시스템이 요구하는 대로 할 것인가? 그는 전 나치를 변호했던 동료와 협력해야 한다는 것을 알고 그 자리에서 나와버린다.

모든 순간마다 "시스템"은 순응을 원했지만, 그는 정의를 원했다. 그는 그 공포를 완화할 수 있는 유일한 것은 정의가 아니라 고통받은 사람들의 삶과 이야기에 대한 관심임을 깨닫는다. 그는 삶을 더 복잡하게 이해하게 되었고, 자신의 열정 속에서 그가 가한 크고 작은 모든 피해를 복구하려고 노력한다.

그는 친구의 두 딸을 위해 카디쉬를 드리기 위해 아우슈비츠에 간 후, 서독 검찰청에서 다시 일하게 된다. 영화는 프랑크푸르트 아우슈비츠 재판의 시작으로 끝을 맺는다.

5. 3. 기억과 망각의 투쟁

1950년대 말, 제2차 세계 대전의 참상은 독일 사회에서 점차 잊혀 갔다. 그러나 젊은 검사 요한 라드만은 프랑크푸르트암마인의 한 학교 교사가 전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 지휘관이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서 망각에 맞서 싸우기 시작한다.

라드만은 검찰총장 프리츠 바우어의 지원을 받아 아우슈비츠 수용소 관계자들을 조사하고, 나치 친위대(SS) 대원 명단을 발견한다. 독일 연방 공화국 전역의 전화번호부와 미국 문서 센터 자료를 통해 로베르트 물카, 리하르트 베어 등 전범들을 체포하는 데 성공하지만, 요제프 멩겔레와 같은 핵심 인물은 놓치고 만다.

이 과정에서 라드만은 자신의 아버지와 연인의 아버지 또한 나치 당원이었다는 사실을 알고 갈등한다. 술에 의존하고 동료와도 멀어지는 등 좌절을 겪지만, 결국 정의를 향한 신념을 굳건히 한다.

마침내 1963년, 프랑크푸르트 아우슈비츠 재판이 시작된다. 바우어는 라드만에게 "자랑스럽게 생각한다"라고 격려하며, 역사를 다시 쓸 중대한 재판의 시작을 알린다.

이는 단순한 과거 청산을 넘어, 기억과 망각의 투쟁이라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한국 사회에서도 일본군 '위안부' 문제, 5.18 민주화운동과 같이 과거사 관련 논쟁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 영화는 역사적 사실을 기억하고 망각에 저항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다시 한번 상기시켜 준다.

6. 영화에 대한 평가

로튼 토마토에서 82%, 메타크리틱에서 62점으로 대체로 호평을 받았다.[6][7] 레제자르크 유럽 영화제에서 심사위원 특별 언급 및 관객상을 수상했다.[8][9]

6. 1. 비평적 평가

리뷰 애그리게이터 웹사이트 로튼 토마토에서, 이 영화는 79개의 리뷰를 기반으로 82%의 긍정적 평가를 받았으며, 평균 평점은 6.54/10이다. 이 웹사이트의 평론가 평가는 "''거짓의 미궁''은 역사적 교훈이 얼마나 쉽게 잊혀질 수 있는지에 대한 생각을 자극하는 시각을 제공하기 위해 사실과 선의의 허구를 예술적으로 혼합한다"고 적고 있다.[6] 메타크리틱에서, 이 영화는 19명의 평론가를 기반으로 100점 만점에 62점을 받아 "일반적으로 호평"을 받고 있다.[7]

6. 2. 수상 내역

레 자르크 유럽 영화제에서 심사위원 특별 언급 및 관객상(Prix du Public)을 수상했다.[8][9] Bayerischer Filmpreis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

7. 기타


  • 요한 라드만(검사) - 알렉산더 페링
  • 마레네 본드락 - 프레더릭케 베흐
  • 토마스 그닐카(기자) - 안드레 스지만스키
  • 오토 할러(검사) - 요한 폰 뷜로
  • 프리츠 바우어(검찰총장) - 거트 보스
  • 시몬 키르슈 - 조한스 크리쉬
  • 발터 프리드베르크(검사장) - 로베르트 훙거-뷔엘러
  • 에리카 슈미트(비서) - 한시 요흐만
  • 헤르만 랑바인 - 루카스 미코
  • 감독: Giulio Ricciarelli|줄리오 리차렐리de
  • 각본: 엘리자베트 바르텔
  • 제작: Jakob Claussen|야코프 클라우센de, Ulrike Putz|울리케 푸츠de, 사비네 람비
  • 음악: Niki Reiser|니키 라이저de, Sebastian Pille|세바스티안 필레de
  • 촬영: Martin Langer|마르틴 랑거de, 로만 오신
  • 편집: Andrea Mertens|안드레아 메르텐스de

참조

[1] 웹사이트 TIFF Adds 'Clouds of Sils Maria' and 'Two Days, One Night,' Reveals 5 More Lineups http://www.indiewire[...] Penske Business Media 2014-08-12
[2] 웹사이트 Germany Picks Final Eight Titles to Vie for Oscar Submission https://web.archive.[...] 2015-08-13
[3] 웹사이트 Oscars: Germany Picks 'Labryinth of Lies' for Foreign Language Category http://www.hollywood[...] Prometheus Global Media 2015-08-27
[4] 웹사이트 9 Foreign Language Films Advance In Oscar Race https://www.oscars.o[...] Academy of Motion Picture Arts and Sciences 2015-12-18
[5] 웹사이트 Oscars: Nine Titles Advance in Foreign Language Category http://www.hollywood[...] Prometheus Global Media 2015-12-18
[6] 웹사이트 Labyrinth of Lies (2015) https://www.rottento[...] Fandango Media 2020-05-03
[7] 웹사이트 Labyrinth of Lies Reviews https://www.metacrit[...] CBS Interactive 2020-05-03
[8] 웹사이트 "The Fool" de Yuriy Bykov remporte la Flèche de Cristal http://www.ledauphin[...] 2015-01-06
[9] 웹사이트 Yury Bykov's 'The Fool' Wins Top Prize at Les Arcs https://variety.com/[...] Penske Business Media 2015-01-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