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요제프 멩겔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제프 멩겔레는 나치 친위대(SS) 장교이자 의사로,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에서 수감자들을 대상으로 비윤리적인 인체 실험을 자행하여 '죽음의 천사'라는 악명을 얻었다. 1911년 독일에서 태어난 그는 의학 및 인류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나치당에 가입, 제2차 세계 대전 중 군 복무를 거쳐 1943년 아우슈비츠에 배치되었다. 수용소에서 멩겔레는 특히 쌍둥이, 기형인, 이색증 환자 등을 대상으로 잔혹한 실험을 반복했으며, 전쟁 후에는 도피 생활을 이어갔다. 그는 1979년 브라질에서 익사체로 발견되었으며, 1993년 DNA 검사를 통해 신원이 최종 확인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우생학자 - 아르투어 쇼펜하우어
    아르투어 쇼펜하우어는 19세기 독일 철학자로, 세계의 본질을 '의지'로 파악하고 동정심을 도덕의 근거로 삼았으며 비관적 세계관은 사후 문학, 예술, 심리학 등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독일의 군의관 - 에두아르트 부흐너
    에두아르트 부흐너는 무세포 효모 추출물 연구로 발효에 효모 세포가 필수적이지 않음을 밝혀 생기론에 타격을 주고 1907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독일의 화학자이자 생화학자이며, 부흐너 반응을 발견했고 제1차 세계 대전 중 전사했다.
  • 독일의 군의관 - 카스파르 프리드리히 볼프
    카스파르 프리드리히 볼프는 18세기 독일의 발생학자, 해부학자, 식물학자로, 학위 논문 《발생 이론》에서 후성설을 주장하여 전성설에 반박했으며, 닭의 발생 과정을 연구한 《장의 형성에 관하여》 등의 저서를 통해 후대 발생학 발전에 기여하여 그의 이름이 해부학적 명칭에 남아있다.
  • SS최고돌격지도자 - 에리히 프리프케
    에리히 프리프케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아르데아티네 학살에 가담한 독일 나치 친위대 장교로, 전쟁 후 아르헨티나로 도망쳐 1995년 체포되어 종신형을 선고받았으며, 2013년 사망했다.
  • SS최고돌격지도자 - 클라우스 바르비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프랑스 리옹에서 게슈타포 책임자로 활동하며 수많은 전쟁 범죄와 반인륜적 범죄를 저지른 나치 전범 클라우스 바르비는 "리옹의 도살자"라는 악명으로 불렸으며, 전후에는 볼리비아로 도피하여 군사 정권과 결탁하여 활동하다 프랑스로 인도되어 종신형을 선고받고 복역 중 사망했다.
요제프 멩겔레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요제프 멩겔레
출생 이름요제프 루돌프 멩겔레
별명죽음의 천사 (독일어: Todesengel)
하얀 천사 (독일어: der weiße Engel 또는 weißer Engel)
볼프강 게르하르트 (매장 이름)
출생일1911년 3월 16일
출생지독일 제국 귄츠부르크
사망일1979년 2월 7일
사망지브라질 상파울루 주 베르티오가
요제프 멩겔레 서명
군사 경력
소속[[파일:Flag Schutzstaffel.svg|23px]] 나치 독일 친위대
복무 기간1938년–1945년
최종 계급SS-하웁트슈투름퓌러 (대위)
군 복무 번호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5,574,974
SS #317,885
수상 내역
훈장철십자 1급장
철십자 2급장
전쟁 공로 십자 2급장 (검 부착)
검은색 부상 훈장
독일 국민 관리 메달
가족 관계
배우자이레네 쇤바인(1939년 결혼, 1954년 이혼)
마르타 멩겔레 (1958년 결혼)
자녀롤프 멩겔레
학력
출신 학교본 대학교
뮌헨 대학교 (철학 박사)
프랑크푸르트 대학교 (의학 박사)
기타
별칭죽음의 천사 (독일어: Todesengel)
별칭 (독일어)
또는
볼프강 게르하르트
사진
1944년 졸라휘테에서 멩겔레
추가 정보
매장 이름볼프강 게르하르트

2. 생애

멩겔레는 1911년 3월 16일 바이에른 주 귄츠부르크에서 사업가인 아버지 카를 멩겔레와 어머니 발부르가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카를과 알로이스라는 두 남동생이 있었다. 1930년 귄츠부르크 김나지움(고등학교)을 졸업한 후 뮌헨 대학교에서 약학인류학을 공부했다. 테오도르 몰리슨 교수의 지도로 1935년 인류학 박사 학위를, 프랑크푸르트 대학교에서 오트마 폰 페르슈어와 함께 연구하며 1938년 '갈라진 입술과 구개에 관한 가족사 연구'라는 논문으로 약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뮌헨 대학교와 프랑크푸르트 대학교는 전후 1964년 그의 학위를 취소하였다.[7] 1939년 7월 28일 멩겔레는 이레네 쇤바인과 결혼했고, 1944년 외아들 롤프를 낳았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멩겔레는 1911년 3월 16일 바이에른 주 귄츠부르크에서 가톨릭 집안의 장남으로 태어났다.[6] 아버지 카를 멩겔레는 농업 기계를 생산하는 회사의 설립자였고, 어머니는 발부르가였다. 멩겔레는 카를과 알로이스라는 두 남동생이 있었다.

학교에서 음악, 미술, 스키에 관심을 보이며 성공적인 학창 시절을 보냈다. 1930년 4월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뮌헨 대학교에서 철학과 약학, 인류학을 공부했다. 1931년에는 준군사 조직인 Der Stahlhelm에 가입했는데, 이 조직은 1934년 나치 돌격대(SA)에 흡수되었다.

1935년 뮌헨 대학교에서 인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37년 1월 프랑크푸르트 대학교의 유전 생물학 및 인종 위생 연구소에서 오트마르 폰 페어셔의 조수로 일하며 쌍둥이 연구에 관심을 가졌다. 1938년 구순구개열 관련 논문으로 프랑크푸르트 대학교에서 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9] 멩겔레의 두 학위는 1960년대에 모두 취소되었다.

1939년 7월 28일, 멩겔레는 이레네 쇤바인과 결혼했고, 1944년 외아들 롤프가 태어났다.

2. 2. 나치 가담 및 군 복무

1931년 멩겔레는 20세에 바이마르 공화국에 반대하는 우익 정치 단체인 철모단에 가입했다.[10] 이 단체는 1933년 나치당(국가사회주의독일노동자당)의 정권 획득 후 나치 돌격대(SA)에 흡수되었으며,[11] 멩겔레는 건강상의 문제로 조직을 떠났다. 1937년 나치당에, 1938년에는 친위대(SS)에 가입했다. 1938년부터 1939년까지 6개월 동안 티롤 제137산악병연대에서 의무병으로 복무했다.

1939년 멩겔레는 이레네 쇤바인과 결혼하여 1944년 아들 롤프를 낳았다.[12][13] 1940년 무장친위대에 지원하여 예비 의료 부대를 거쳐 제5SS기갑사단 "비킹"에 군의관으로 배속되어 동부 전선에 참전했으나, 1942년 부상을 입었다.[14] 멩겔레는 1급·2급 철십자훈장, 흑색 전상 훈장, 동부 전선 참전 기념 메달 등을 받았다.[15] 1943년 4월 20일 친위대 대위로 진급했고, 같은 해 5월 30일 아우슈비츠 강제수용소에 배속되었다.[16]

아우슈비츠 강제수용소에서 촬영(왼쪽부터 리히하르트 베어, 요제프 멩겔레, 루돌프 횔스)

3. 아우슈비츠에서의 범죄 행위

1943년 멩겔레는 병에 걸린 전임 의사 대신 비르케나우 강제 수용소로 배정되었다. 5월 24일 아우슈비츠와 비르케나우 강제 수용소의 '집시 캠프' 의무관으로 임명되었으며, 1944년 8월 수용자들이 모두 가스실로 보내진 후 캠프가 해체되면서 비르케나우 강제 수용소의 주임 의무관이 되었다. 당시 아우슈비츠의 주임 의무관은 그의 상관 에두아르트 비르츠였다.

멩겔레는 선별 과정에서 자신의 실험 대상을 찾았으며, 특히 쌍둥이에게 관심이 많았다. 대부분의 다른 SS 의사들이 선별을 가장 스트레스가 많고 불쾌한 의무 중 하나로 여긴 것과 달리, 그는 종종 미소를 짓거나 모차르트의 곡을 휘파람으로 불며 화려한 분위기 속에서 그 일을 수행했다.[1]

3. 1. '죽음의 천사'

1943년 비르케나우 강제수용소에 배정된 멩겔레는 수용소에서 21개월 동안 '죽음의 천사'라는 별명을 얻었다.[1] 그는 다른 의무관과 교대로 가스실로 보낼 유대인과 강제노역에 동원할 유대인 선별 작업을 담당하였다.

1944년 5월/6월, 비르케나우 램프에서 헝가리 유대인들의 '선별'이 있었다. 1942년, 원래 강제 노동자 수용을 목적으로 건설된 아우슈비츠 II(비르케나우)는 강제 수용소이자 절멸 수용소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수감자들은 나치가 지배하는 유럽 전역에서 철도를 통해 매일 호송대를 이루어 수송되었다. 1942년 7월까지, SS 의사들은 선별을 실시하여 유대인들을 분류했고, 노동 능력이 있다고 판단된 사람들은 수용소에 수용되는 반면 노동에 부적합하다고 판단된 사람들은 즉시 가스실에서 살해되었다. 살해 대상자는 전체의 약 4분의 3으로, 거의 모든 어린이, 어린 자녀를 둔 여성, 임산부, 노인, 그리고 SS 의사의 간단하고 피상적인 검사에서 완전히 건강하지 않다고 여겨진 모든 사람이 포함되었다.

멩겔레는 자신의 실험 대상을 찾기 위해, 특히 쌍둥이들을 찾는 데 관심을 가지고 선별 작업을 수행했다. 그는 비르케나우 가스실에서 대량 학살에 사용된 시안화물계 살충제인 치클론 B의 사용을 감독하는 SS 의사 중 한 명이었다. 그는 화장터 IV와 V에 있는 가스실에서 이 역할을 수행했다.

유대인 쌍둥이는 멩겔레의 의학 실험에 사용하기 위해 아우슈비츠에 생존해 있었다. 붉은 군대는 1945년 1월에 이 아이들을 해방시켰다.


멩겔레는 수용소에 있는 동안 수감자들을 이용하여 그의 유전학에 관한 연구를 지속하였다. 그는 특히 쌍둥이 연구에 관심이 많아서 이들을 선별하고 특별 병영에 따로 수용하여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멩겔레는 또한 집시 캠프에 있었던 시절 발병하여 특히 어린이들에게 많은 영향을 끼쳤던 수암이라는 질병을 연구하였는데, 그 원인은 밝히지 못했지만 이 질병이 영양실조 등으로 면역체계가 무너진 아이들에게 주로 발병하여 홍역결핵 등으로 이어진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멩겔레는 수암이 인종적 열성요소 때문에 발병한다는 것을 증명하고자 하였지만 실패하였다.

멩겔레는 수용소에 도착한 수감자 가운데 기형인 사람들에게 관심이 많았는데, 이들 가운데 오비츠(Ovitz) 가족도 있었다. 루마니아 출신 예술가 가족인 이들은 열 명 가족 가운데 7명이 난쟁이였으며, 끌려오기 전 릴리풋 곡예단이라는 이름으로 동유럽을 전전하며 공연을 하였다. 멩겔레는 이들을 종종 '나의 난쟁이 가족'이라고 부르며 아꼈다. 멩겔레의 실험은 과학적 가치가 모호한 것들이 많았는데, 아이들의 눈에 염색약을 주사해 눈 색깔을 바꾸는 실험이나 마취 없는 늑골 적출, 기타 잔인한 외과 실험들이 포함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숨을 거둔 피실험자들의 눈은 멩겔레의 수집품이 되었다. 레나 겔리센이 아우슈비츠에 있었던 동안의 증언에 따르면 1943년 10월경 멩겔레는 여자 수감자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하기도 하였다고 한다. 멩겔레는 특별 작업을 할 사람을 선발한다는 명목으로 여자 수감자들을 선택하였으며, 이를 중노동에서 해방될 기회로 생각한 여자 수감자들은 멩겔레에게 끌려갔다가 불임수술과 충격요법 등을 받고 병에 걸리거나 죽음을 맞기도 했다.

헝가리 출신의 유태인 의사이던 니슬리 미클로시는 법의학독일어를 공부한 덕에 멩겔레에게 선발되어 그의 조수로 일하였으며, 훗날 멩겔레의 실험들에 대한 기록을 남겼다. 그에 따르면 멩겔레의 실험 대상이 된 이들은 일반 수감자들보다 나은 주거 환경에서 보다 좋은 음식을 먹었으며 가스실에 갈 위험도 없었지만 멩겔레는 이들을 실험재료로 생각하였을 뿐 결코 이들을 인간으로 대우하지 않았다고 한다. 멩겔레는 필요에 따라 이들을 간단히 살해하고 해부하였다.

3. 2. 비윤리적인 인체 실험

멩겔레는 아우슈비츠 수용소에서 수감자들을 대상으로 유전학 연구를 계속했다. 그는 특히 쌍둥이에 관심이 많아 이들을 특별 병영에 수용하여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1] 멩겔레는 1943년 악성 종기증(입과 얼굴의 괴저성 세균 질환) 연구를 통해 질병의 원인을 밝히려 했지만 실패했다. 그는 기형인 사람들에게도 관심이 많았는데, 난쟁이 가족인 오비츠 가족을 '나의 난쟁이 가족'이라 부르며 아꼈다.[2]

멩겔레의 실험은 과학적 가치가 모호한 경우가 많았다. 아이들의 눈에 염색약을 주사해 눈 색깔을 바꾸는 실험,[28] 마취 없는 늑골 적출, 기타 잔인한 외과 실험 등이 포함되었다.[30] 피실험자들의 눈은 멩겔레의 수집품이 되기도 했다. 멩겔레는 여자 수감자들을 대상으로 불임수술과 충격요법 등의 실험을 하기도 했다.[30]

헝가리 출신 유태인 의사 미클로시 니슬리는 멩겔레의 조수로 일하며 그의 실험에 대한 기록을 남겼다. 니슬리에 따르면, 멩겔레는 실험 대상들을 인간으로 대우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살해하고 해부했다.

멩겔레는 오슈비츠에서 수감자들을 이용한 의학 실험을 수행했다. 그의 의학 실험은 피해자의 건강, 안전, 신체적/정신적 고통을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 그는 일란성 쌍둥이, 이색증(두 가지 다른 색깔의 눈을 가진 사람), 난쟁이, 신체적 기형을 가진 사람들에게 특히 관심이 많았다.

멩겔레는 쌍둥이 연구를 통해 '인종적으로 바람직한' 독일인들이 더 많은 쌍둥이를 낳는 전략을 찾으려 했을 수도 있다. 그는 독일 연구진흥협회('독일 연구 재단')의 연구비 지원을 받아 오슈비츠 II-비르케나우의 화장장 II에 부속된 병리학 연구소를 건설했다.

멩겔레의 연구 대상자들은 다른 수감자들보다 더 잘 먹고 좋은 환경에서 생활했으며, 일시적으로 가스실에서 벗어났다. 그는 어린 연구 대상자들에게 자신을 "멩겔레 삼촌"이라고 소개하고 사탕을 주기도 했다.

쌍둥이 실험에서 멩겔레는 쌍둥이들에게 매주 신체 검사를 받도록 했다. 그는 건강한 사지를 절단하고, 티푸스와 같은 질병을 고의로 감염시키고, 한 쌍둥이의 혈액을 다른 쌍둥이에게 수혈하는 등의 실험을 했다. 많은 사람들이 실험 중에 사망했고,[29] 생존자들은 종종 죽임을 당하고 해부되었다. 멩겔레는 14명의 쌍둥이의 심장에 클로로포름을 주사하여 동시에 죽인 경우도 있었다. 일부 쌍둥이는 붙어 있는 쌍둥이를 만들기 위해 등을 맞대고 꿰매어졌다.[27]

멩겔레는 수감자의 눈에 화학 물질을 주사하여 눈 색깔을 바꾸는 실험, 사망한 수감자의 눈을 제거하여 벽에 꽂는 실험, 난쟁이와 신체적 기형이 있는 수감자의 치아와 혈액을 제거하고, 수감자들에게 불필요한 약물 및 X선 치료를 강요하는 실험 등을 했다. 임신한 여성들도 이러한 실험의 희생자였다. 멩겔레는 마취 없이 피해자의 심장과 위를 제거했고, 신장을 제거한 후에도 진통제 없이 일하도록 한 수감자도 있었다.

멩겔레는 유대인들을 열등하고 위험한 인종으로 제거해야 한다고 믿었다. 그는 실험, 치사 주사, 구타 및 총격을 통해 알 수 없는 수의 사망에 책임이 있었다.

요제프 멩겔레는 실험 대상 수감자들을 기니피그라고 부르며, 수감자들에게 치명적인 상해를 입히는 실험을 반복했다.[23][24]

멩겔레는 쌍둥이에게 특별한 관심을 가졌다.[27] 쌍둥이에 대한 실험은 1944년에 시작되었고, 그의 조수는 수천 명의 실험 대상을 모아 특별실에 수용했다. 그는 어린이의 눈에 화학 약품을 주입하여 눈 색깔을 바꾸는 실험 등 잔혹한 외과 수술을 행했다.[28] 또한, 두 개의 동일한 장기가 하나의 신체에서 정상적으로 기능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쌍둥이의 등을 맞대어 정맥을 봉합하여 인공 "샴쌍둥이"를 만들려고 시도했다.[29]

실험에서 살아남은 수감자들조차 대부분 해부되어 살해되었고, 쓸모없는 실험 대상은 처분되었다. 전쟁이 끝나기 직전에 인체 실험의 증거를 인멸하기 위해 수감자들을 모두 살해하려고 시도했지만, 독가스가 바닥나서 석방했다. 이때 약 3,000명의 쌍둥이 중 180명이 살아남았지만, 후유증과 정신적 충격이 이어졌다.

3. 3. 헝가리 유대인 학살

1942년, 원래 강제 노동자 수용을 목적으로 건설된 아우슈비츠 II(비르케나우)는 강제 수용소이자 절멸 수용소로 사용되기 시작했다.[1] 수감자들은 나치가 지배하는 유럽 전역에서 철도를 통해 매일 호송대를 이루어 수송되었다.[2] 1942년 7월까지, SS 의사들은 선별을 실시하여 유대인들을 분류했고, 노동 능력이 있다고 판단된 사람들은 수용소에 수용되는 반면 노동에 부적합하다고 판단된 사람들은 즉시 가스실에서 살해되었다.[3] 살해 대상자는 전체의 약 4분의 3에 해당하였으며,[4] 여기에는 거의 모든 어린이, 어린 자녀를 둔 여성, 임산부, 노인, 그리고 SS 의사의 간단하고 피상적인 검사에서 완전히 건강하지 않다고 여겨진 모든 사람이 포함되었다.[5]

1944년 5월/6월, 비르케나우 램프에서 헝가리 유대인들의 '선별'


1943년 초, 폰 페어슈어는 멩겔레에게 강제 수용소 근무로의 전근을 신청하도록 독려했다.[6] 멩겔레의 신청은 받아들여졌고 그는 아우슈비츠에 배치되었다. 아우슈비츠의 수석 의무관인 에두아르트 비르츠(Standortarztde)는 멩겔레를 비르케나우의 Zigeunerfamilienlagerde(로마 가족 수용소) 수석 의사로 임명했다.[7] 이곳은 아우슈비츠 주요 시설에 위치한 하위 수용소였다. SS 의사들은 아우슈비츠 수감자들에게 치료를 제공하지 않았지만, 수용소 의료 서비스에서 일하도록 강제된 수감자 의사들의 활동을 감독했다.[8] 멩겔레는 매주 병원 막사를 방문하여 2주간의 병상 치료 후 회복되지 않은 수감자들을 가스실로 보낼 것을 명령했다.[9]

멩겔레는 선별 작업도 담당했는데, 자신의 실험 대상을 찾기 위해 이 작업을 이용하기도 했다.[10] 그는 특히 쌍둥이들에게 관심을 가졌으며, 선별 임무가 지정되지 않았을 때에도 이 작업을 수행했다.[11] 대부분의 다른 SS 의사들이 선별을 가장 스트레스가 많고 불쾌한 의무 중 하나로 여긴 것과 달리, 그는 종종 미소를 짓거나 모차르트 교향곡을 휘파람 불며 화려한 분위기 속에서 그 일을 수행했다.[12] 그는 비르케나우 가스실에서 대량 학살에 사용된 시안화물계 살충제인 치클론 B의 사용을 감독하는 SS 의사 중 한 명이었으며, 화장터 IV와 V에 있는 가스실에서 이 역할을 수행했다.[13]

1943년 악성 종기증(입과 얼굴의 괴저성 세균 질환)이 로마 수용소에서 발생했을 때, 멩겔레는 질병의 원인을 밝히고 치료법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시작했다. 그는 프라하 대학교의 유대인 소아과 의사이자 교수인 수감자 베르톨트 에프스타인의 도움을 받았다. 환자들은 별도의 막사에 격리되었고, 보존된 머리와 장기를 그라츠의 SS 의학 아카데미와 다른 시설로 보내 연구할 수 있도록 여러 명의 환아가 살해되었다. 이 연구는 1944년 로마 수용소가 해체되고 남은 주민들이 살해될 때까지 계속 진행되었다.[14]

여성 수용소에서 티푸스가 유행하기 시작했을 때, 멩겔레는 유대인 여성 600명으로 구성된 한 블록을 비워 가스실에서 살해하도록 보냈다. 그 건물은 청소 및 소독되었고, 이웃 블록의 거주자들은 목욕을 하고, 이가 제거되었으며, 깨끗한 블록으로 이동하기 전에 새 옷을 받았다. 모든 막사가 소독될 때까지 이 과정이 반복되었다. 이와 유사한 절차가 이후 홍역과 다른 질병의 유행에 사용되었으며, 감염된 수감자들은 가스실에서 살해되었다. 이러한 행동으로 멩겔레는 전쟁 공로 훈장(2급 검)을 받았고, 1944년 비르케나우 하위 수용소의 제1의사로 승진했다.[15]

4. 전후 도피 생활

멩겔레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에서 가명을 쓰며 숨어 지내다가 남아메리카로 도주했다. 1949년 적십자 국제위원회의 도움으로 "헬무트 그레고어(Helmut Gregor)"라는 가명 여권을 발급받아 아르헨티나로 이주했다.[36][37] 그는 탈출 루트를 이용하여 제노아(Genoa)로 이동했고, 아내는 그와 동행하지 않아 1954년 뒤셀도르프에서 대리 이혼했다.

멩겔레의 아르헨티나 신분증 사진(1956년)


몇 달 동안 도피 생활을 한 후, 소련 점령 지역으로 돌아가 아우슈비츠 기록을 회수하는 여정을 포함하여, 멩겔레는 로젠하임(Rosenheim) 근처에서 농장 일꾼으로 일했다. 그는 체포되면 재판과 사형 선고를 받을 것이라고 확신하여 1949년 4월 17일에 독일을 탈출했다.

1959년 브라질로 이주한 멩겔레는 남동생의 미망인과 재혼하였으며, 말년에는 자신이 붙잡힐 것을 무서워하여 집 주변에서 조금이라도 소리가 나면 깜짝 놀라 밖을 내다보았으며, 불면증 등 여러 정신병적인 행태를 보였다고 한다. 1979년 브라질 상파울루에서 바다 수영 중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그의 사망 사실은 1985년 브라질에서 발견된 유골의 DNA 분석을 통해 1993년에야 확인되었다.

4. 1. 독일 내 은신

멩겔레는 1945년 1월 17일, 소련 붉은 군대가 아우슈비츠 강제수용소를 해방시키기 직전 그로스로젠 강제수용소로 이동했다.[31] 독일 패전 후에는 국방군 병사로 변장하여 바이에른에서 미국군의 포로가 되었다.[32] 하지만, 원래 SS 대원들은 부상을 대비하여 팔에 혈액형 문신(친위대 혈액형 문신)을 새겼는데, 멩겔레는 그 문신이 없었기 때문에 미국군은 멩겔레가 SS 대원이라는 것을 알아채지 못하고 그대로 석방했다.[33] 이후 독일 남부 망골딩 마을에 몸을 숨기고 프리츠 홀만이라는 가명을 사용하여 농가의 품삯 일꾼으로 일했다.[34]

뉘른베르크 재판에서는 동료였던 카를 게프하르트 등이 피고로 출석했고, 이 재판에서 멩겔레의 이름도 여러 번 언급되었지만, 연합군 측에서는 멩겔레가 이미 사망한 것으로 간주했다.[35] 이 "의사 재판"에 의해 게프하르트 등 7명은 1948년에 처형되었다.

몇 달 동안 도피 생활을 한 후, 소련 점령 지역으로 돌아가 아우슈비츠 기록을 회수하는 여정을 포함하여, 멩겔레는 로젠하임(Rosenheim) 근처에서 농장 일꾼으로 다시 일자리를 구했다. 그는 결국 체포되면 재판과 사형 선고를 받을 것이라고 확신하고 1949년 4월 17일에 독일을 탈출했다.

4. 2. 남아메리카로의 도주

멩겔레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에서 가명을 쓰며 숨어 지내다가 남아메리카로 도주했다. 1949년 적십자 국제위원회의 도움으로 가명 여권을 발급받아 아르헨티나로 이주했다.[36][37] 부에노스아이레스에 정착하여 목수, 농기구 회사 영업사원 등으로 일하면서 파라과이를 자주 방문했다. 1954년에는 아내와 이혼하고, 1956년에는 자신의 실명으로 서독 여권을 발급받아 유럽을 여행하기도 했다. 1958년에는 동생의 미망인인 마르타와 재혼했다.[36]

멩겔레의 여권


1959년 파라과이 시민권을 얻었고, 1960년 아돌프 아이히만이 체포되자 이스라엘의 추적을 피해 파라과이브라질 등지로 도피 생활을 했다. 1979년 브라질 상파울루에서 바다 수영 중 심장마비로 사망했다.[36] 그의 사망 사실은 1985년 브라질에서 발견된 유골의 DNA 분석을 통해 1993년에야 확인되었다.

4. 3. 추적과 체포 실패

1959년 브라질로 이주한 멩겔레는 심장마비로 사망하기 전까지 도피생활을 하였다.[5] 멩겔레는 1945년 1월 17일 아우슈비츠 수용소에서 실험했던 표본과 기록들을 가지고 그로스로젠 집중 수용소로 이송되었다. 멩겔레는 소련군이 도착하기 일주일 전인 2월 18일에 그로스로젠에서 도망쳐 독일 국방군(Wehrmacht) 장교로 변장했다. 그는 체코슬로바키아의 자테츠(Žatec)에서 간호사에게 자신의 범죄 증거가 될 만한 서류들을 맡겼다. 1945년 6월, 멩겔레는 미군에 의해 포로로 잡혔지만, 연합군의 수배자 명단 배포 혼란과 SS 혈액형 문신이 없었던 탓에 주요 전범으로 확인되지 않았다. 그는 7월 말에 석방되어 "프리츠 울만(Fritz Ulmann)", "프리츠 홀만(Fritz Hollmann)" 등의 가명으로 허위 서류를 얻었다.

멩겔레는 체포와 사형 선고를 피하기 위해 1949년 4월 17일 독일을 탈출했다. 전직 SS 대원들의 도움을 받아 탈출 루트를 이용하여 제노아(Genoa)로 이동, 적십자 국제위원회로부터 "헬무트 그레고어(Helmut Gregor)"라는 가명으로 여권을 얻어 1949년 7월 아르헨티나로 갔다.

1960년 5월, 모사드(Mossad) 국장 이세르 하렐(Isser Harel)은 아돌프 아이히만(Adolf Eichmann) 체포 작전을 성공시킨 후, 멩겔레도 체포하여 재판하기를 원했다. 아이히만 심문에서 얻은 하숙집 주소를 감시했지만 멩겔레는 발견되지 않았다. 멩겔레 소유의 기계 공장 조사에서도 단서를 찾지 못해 수색을 포기해야 했다.

서독은 1956년 멩겔레에게 실명 법적 서류를 제공하여 아르헨티나 영주권을 얻게 했지만, 이후 그의 체포에 현상금을 걸었다. 멩겔레는 1960년 다시 이주, 전직 조종사 한스-울리히 루델(Hans-Ulrich Rudel)의 소개로 볼프강 게르하르트(Wolfgang Gerhard)를 만나 브라질 국경을 넘었다. 그는 상파울루 근처 게르하르트의 농장에 머물다가 헝가리 망명자 부부와 함께 농장을 경영하며 1962년 세라 네그라(Serra Negra)에 농장을 샀다. 게르하르트는 부부에게 멩겔레의 가명을 알려줬지만, 1963년 그의 진짜 정체를 알게 된 부부는 탈주자를 숨긴 혐의로 연루될까 봐 신고하지 못했다. 1961년 2월, 서독은 멩겔레의 브라질 이주 가능성을 입수하고 범죄인 인도 요청을 확대했다.

모사드(Mossad) 요원 츠비 아하로니(Zvi Aharoni)는 멩겔레를 추적하는 팀을 지휘했지만, 파라과이 조사와 멩겔레 아내와의 서신 가로채기는 실패했다. 루델의 동선을 추적해도 단서를 찾지 못했다. 아하로니 팀은 상파울루 근교에서 게르하르트를 추적하여 멩겔레로 추정되는 남성을 확인했지만, 작전의 어려움, 예산 제약, 이집트와의 관계 악화로 인해 1962년 추적을 중단했다.[5]

4. 4. 브라질에서의 죽음

멩겔레는 1972년부터 건강이 꾸준히 나빠졌다. 1976년에는 뇌졸중을 겪었고, 고혈압과 평형 감각에 영향을 미치는 귀 감염이 발생했다.[40] 1979년 2월 7일, 브라질 상파울루 해안 휴양지 베르티오가(Bertioga)에서 친구 부부와 함께 수영을 하던 중 심장마비를 일으켜 익사했다.[40] 그의 시신은 엠부다스아르테스(Embu das Artes)에 "볼프강 게르하르트"라는 가명으로 매장되었다.[40]

1986년 법의학 인류학자들이 멩겔레의 두개골을 조사하는 모습.


전후 수십 년 동안 전 세계적으로 멩겔레를 목격했다는 이야기가 끊이지 않았다. 시몬 비젠탈은 멩겔레가 그리스, 카이로, 스페인, 파라과이 등지에 있었다고 주장했다.[40] 1985년에는 멩겔레 체포에 100000USD의 현상금이 걸리기도 했다.[40]

같은 해 서독 검찰은 멩겔레의 친구 집을 급습하여 멩겔레의 사망 사실을 알리는 편지를 발견했다.[40] 브라질 경찰은 멩겔레의 묘를 찾아 유골을 발굴했고, 법의학 조사 결과 멩겔레의 시신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결론이 나왔다.[40] 1992년 DNA 검사를 통해 멩겔레의 신원이 최종 확인되었다.[40]

멩겔레의 유골은 상파울루 법의학 연구소에 보관되어 상파울루 대학교 의과대학의 법의학 강의에 교육 자료로 사용되고 있다.[40]

5. 유산 및 평가

2007년, 미국 홀로코스트 기념관은 카를 프리드리히 회커가 촬영한 아우슈비츠 수용소 직원 사진 앨범인 회커 앨범을 기증받았다. 이 앨범의 사진 여덟 장에는 멩겔레의 모습이 담겨 있다.[1] 2010년 2월, 멩겔레의 일기 180페이지 분량이 알렉산더 오토그래프 경매에서 홀로코스트 생존자의 손자에게 익명의 금액으로 팔렸다. 브라질에서 일기를 입수한 신원 미상의 이전 소유주는 멩겔레 가족과 가까운 사이였다고 알려졌다. 홀로코스트 생존자 단체는 이 판매를 "가장 극악무도한 나치 범죄자 중 한 명의 글을 이용해 이익을 얻으려는 냉소적인 착취 행위"라고 비난했다.[2] 사이먼 위젠탈 센터의 마빈 히어 랍비는 일기가 유대인의 손에 들어간 것을 다행으로 여기며 이 인수를 중대한 사건이라고 평가했다.[3] 2011년(멩겔레 탄생 100주년)에는 멩겔레의 일기 31권이 다시 한번 항의 속에 같은 경매 회사를 통해 제2차 세계 대전 관련 기념품 수집가에게 245000USD에 팔렸다.[4]

6. 관련 작품


  • 아이라 레빈의 소설 ''브라질에서 온 소년''(1976년)
  • 마이클 바-조하의 저서 ''복수자들''(광세순홍 역, 하야카와문고 NF, 1989년)
  • 올리비에 게즈의 소설 ''요제프 멩겔레의 도망''(고바야시 히로시 역, 도쿄소겐샤, 2018년)
  • 제2독일텔레비전(ZDF) 다큐멘터리 ''히틀러의 측근들'' 시리즈 제2편 "요제프 멩겔레 죽음의 천사"(1998년)
  • 내셔널 지오그래픽 다큐멘터리 "나치 잔혹 의사의 쌍둥이 연구"
  • 영화 ''마라톤 맨''(존 슐레진저 감독, 더스틴 호프만, 로렌스 올리비에 출연, 1976년)
  • 영화 ''브라질에서 온 소년''(프랭클린 J. 샤프너 감독, 그레고리 펙, 로렌스 올리비에 출연, 1978년)
  • 영화 ''나의 아버지, 죽음의 천사''(에지디오 에로니코 감독, 찰턴 헤스턴, 토마스 크레치만 출연, 2003년)
  • 영화 ''낯선 의사''(루시아 푸엔소 감독, 알렉스 브렌데뮤르 출연, 2013년)
  • 영화 ''얼굴 없는 히틀러들''(줄리오 리차렐리 감독, 알렉산더 페링 출연, 2014년)

참조

[1] 뉴스 Auschwitz survivor describes how Dr Mengele whistled Mozart as he selected victims for gas chambers https://www.telegrap[...] 2024-12-20
[2] 뉴스 JERUSALEM LISTENS TO THE VICTIMS OF MENGELE https://www.nytimes.[...] 2024-12-20
[3] 뉴스 Shadow of Josef Mengele still hangs over his Paraguayan bolthole https://www.thetimes[...] 2024-12-20
[4] 뉴스 Mengele Hunt Focuses on Paraguay https://www.washingt[...] 2024-12-20
[5] 뉴스 Mossad chose not to nab Mengele, didn’t hunt down Munich terrorists, book claims https://www.timesofi[...] 2024-12-20
[6] 서적 クノップ(2001年)
[7] 서적 クノップ(2001年)
[8] 서적 クノップ(2001年)
[9] 서적 クノップ(2001年)
[10] 서적 クノップ(2001年)
[11] 서적 クノップ(2001年)
[12] 서적 クノップ(2001年)
[13] 서적 クノップ(2001年)
[14] 서적 クノップ(2001年)
[15] 서적 クノップ(2001年)
[16] 서적 クノップ(2001年)
[17] 서적 クノップ(2001年)
[18] 서적 クノップ(2001年)
[19] 서적 クノップ(2001年)
[20] 서적 クノップ(2001年)
[21] 서적 クノップ(2001年)
[22] 서적 クノップ(2001年)
[23] 서적 クノップ(2001年)
[24] 서적 クノップ(2001年)
[25] 서적 クノップ(2001年)
[26] 방송 ヒトラーの側近たちII 第2回「ヨーゼフ・メンゲレ -死の天使-」 日本放送協会 2022-03-06
[27] 서적 クノップ(2001年)
[28] 서적 クノップ(2001年)
[29] 서적 クノップ(2001年)
[30] 서적 クノップ(2001年)
[31] 서적 クノップ(2001年)
[32] 서적 クノップ(2001年)
[33] 서적 クノップ(2001年)
[34] 서적 クノップ(2001年)
[35] 서적 クノップ(2001年)
[36] 서적 ヒトラーの共犯者12人の側近たち 原書房 2001-06-00
[37] 서적 ヒトラーの共犯者12人の側近たち 原書房 2001-06-00
[38] 뉴스 Nazi angel of death Josef Mengele 'created twin town in Brazil' http://www.telegraph[...]
[39] 뉴스 Nazi 'Angel of Death' not responsible for town of twins http://www.newscient[...] 2009-01-27
[40] 웹사이트 Josef Mengele (1911 - 1979) - Find A Grave Memorial https://www.findagra[...]
[41] 웹사이트 Auschwitz through the lens of the SS https://www.ushmm.or[...]
[42] 서적 ヒトラーの共犯者12人の側近たち 原書房 2001-06-00
[43] 서적 ヒトラーの共犯者12人の側近たち 原書房 2001-06-00
[44] 서적 ヒトラーの共犯者12人の側近たち 原書房 2001-06-00
[45] 서적 ヒトラーの共犯者12人の側近たち 原書房 2001-06-00
[46] 서적 ヒトラーの共犯者12人の側近たち 原書房 2001-06-00
[47] 서적 ヒトラーの共犯者12人の側近たち 原書房 2001-06-00
[48] 서적 ヒトラーの共犯者12人の側近たち 原書房 2001-06-00
[49] 서적 ヒトラーの共犯者12人の側近たち 原書房 2001-06-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