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하류 철새 도래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낙동강 하류 철새 도래지는 부산과 김해평야 사이의 하구 지역에 위치하며, 을숙도 철새 도래지 또는 철새 도래지로도 불린다. 삼각주와 모래언덕이 발달하여 도요새, 물떼새, 겨울 철새 등 다양한 조류의 서식지이며, 특히 재두루미, 저어새 등의 희귀 조류도 관찰된다. 하구둑 건설, 매립, 수질 오염, 농지 개간 등으로 인해 환경 파괴가 진행되어 철새의 종류와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으며, 국제적으로 중요한 지역이다. 문재인 정부는 생태계 복원을 추진했으나, 윤석열 정부 들어 관련 정책 변화로 보전의 불확실성이 제기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 사상구의 문화유산 - 운수사 대웅전
운수사 대웅전은 조선 후기에 건립된 부산 소재의 건축물로, 독특한 건축 양식과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보존 및 관리되고 있다. - 부산광역시의 천연기념물 - 부산 전포동 구상반려암
부산 전포동 구상반려암은 아시아에서 유일하게 기록된 희귀한 암석으로, 반려암 속에 구상암이 들어있는 형태이며, 중생대 백악기에 관입한 불국사 화강암류에 속하고 부산국가지질공원의 으뜸 명소로 지질학적 연구 가치가 높다. - 부산 사하구의 문화유산 - 다대포성지
다대포성은 14세기 말 왜구 방어를 위해 축조되어 조선시대 동남 해안 방어를 담당했던 부산 사하구 다대동 소재 성곽으로, 임진왜란 때 파괴 후 재건되었으며 현재 일부 성벽과 동헌이 남아있다. - 부산 사하구의 문화유산 - 몰운대
몰운대는 부산 사하구 해안가에 있는 지질 명소로, 다대포층의 퇴적암 지층과 다양한 암석, 특이한 지질구조를 가지며, 낙동강 퇴적으로 육지와 연결되었고, 조선시대 국방 요충지이자 임진왜란 격전지로서 충장공 정운의 사당과 비석이 있다.
낙동강 하류 철새 도래지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낙동강 하류 철새 도래지 |
로마자 표기 | Nakdonggang Haryu Cheolsae Doraeji |
영어 이름 | Sanctuary of Migratory Birds at Nakdonggang River Estuary |
유형 | 천연기념물 |
지정 번호 | 179 |
지정일 | 1966년 7월 23일 |
주소 |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 |
소유자 | 건설부 외 |
관리 | 부산광역시 |
참고 |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생물과학기념물 / 생물상 |
면적 | 87,279,741m2 |
꼬리표 | 부산 하단동 |
문화재청 | 16,01790000,21 |
2. 명칭
낙동강 하류 철새 도래지는 을숙도 철새 도래지[7], 철새 도래지[8]라고도 불린다.
낙동강 하류 철새 도래지는 부산과 김해 평야 사이의 넓은 하구 지역으로, 수많은 삼각주와 모래언덕(사구)이 만들어져 있다. 이 모래언덕은 낙동강의 물이 넘치거나 태풍 등에 의해 옮겨지거나 없어지기도 한다. 철새들은 이러한 변화에 따라 모래언덕을 중심으로 주변의 갯벌을 따라 먹이를 찾아 장소를 옮겨가며 지낸다. 이곳은 물에 사는 작은 동·식물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갈대밭이 있는, 아직 개간하지 않은 넓은 지역으로 물새들의 안식처로 적합하다.[9]
낙동강 하구둑 건설, 매립, 폐수 및 가정 하수 등으로 인한 수질 오염, 농지 개간 등으로 철새 서식지가 파괴되면서 철새의 종류와 개체 수가 줄어들고 있다.[9]
3. 지리적 특징 및 생태 환경
봄과 가을에는 도요새와 물떼새류의 대집단이 이곳을 거쳐가며, 겨울(11월~3월)에도 낙동강 하류의 삼각주 일대는 거의 얼지 않아 해마다 규칙적으로 많은 겨울 철새가 모여든다. 간혹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재두루미, 저어새 등이 보이며, 제비물떼새, 넙적부리도요 등의 희귀한 새도 볼 수 있다.[9]
4. 환경 문제 및 보존 노력
4. 1. 관련 정책 및 논란
2020년 2월 5일 문화재청은 「문화재보호법」제13조 및「토지이용규제기본법」제8조에 따라 국가지정문화재(천연기념물)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 내 건축행위 등에 관한 허용기준 구역조정 및 지형도면을 고시하였다.[10][11]
5. 학술적, 교육적 가치
낙동강 하류 철새 도래지는 일본, 한국, 러시아를 잇는 중요한 철새 이동 경로로서 국제적인 중요성을 가진다.[9] 이 지역의 생물, 지질 및 해양 환경은 학술적, 교육적 가치가 높아 연구 및 교육 자료로 활용되며,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9]
참조
[1]
문서
문화재청 주소에선 강서구 대저1동으로 지정되어있지만 위치 안내에서는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이다.
[2]
문서
지금의 국토교통부로 통합되었다.
[3]
웹인용
겨울철새들의 놀이터, 을숙도 철새도래지
https://www.busan.go[...]
2022-02-02
[4]
웹인용
낙동강하류 철새 도래지
https://www.sasang.g[...]
2022-01-29
[5]
웹인용
낙동강하류 철새도래지
http://www.k-heritag[...]
2022-01-29
[6]
웹인용
대한민국 철새공화국 낙동강 하류 철새 도래지
https://www.cha.go.k[...]
2022-01-29
[7]
웹인용
을숙도철새도래지
https://www.saha.go.[...]
2022-02-02
[8]
웹인용
철새도래지
https://www.saha.go.[...]
2022-02-02
[9]
문서
현지 안내문 인용
[10]
간행물
문화재청고시제2020-11호(국가지정문화재<천연기념물>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 내 건축행위 등에관한 허용기준 구역조정 및 지형도면)
http://gwanbo.mois.g[...]
관보(정호)
2020-02-05
[11]
웹인용
낙동강하류 철새도래지 이미지 자료집 제2권
http://book.busan.go[...]
2022-01-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