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남원 진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원 진씨는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는 옥동랑이며, 고려 현종 때 상서좌복야를 지낸 진함조를 중시조로 한다. 고려 시대에는 진석이 거란의 침입 때 공을 세워 남원군에 봉해졌으며, 진효경을 1세 중시조로 하는 계통이 있다. 고려 말기에는 4개 파로 분파되었으며, 주요 인물로는 진긍, 진광인 등이 있다. 조선 시대에는 임진왜란 때 순절한 진벽, 병자호란 때 활약한 진종립 등이 있으며, 현대에는 진직현, 진구, 진용진 등이 있다. 문화유산으로는 방동서당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원 진씨 - 진구
    진구는 2003년 드라마 《올인》으로 데뷔하여 영화와 드라마를 넘나들며 연기 활동을 펼치고, 《태양의 후예》, 《연평해전》 등 다양한 작품에 출연한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남원 진씨 - 진영수
    진영수는 날카로운 플레이 스타일과 여성스러운 외모로 다양한 별명을 얻었지만, 승부조작 사건에 연루되어 영구 제명된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이다.
남원 진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남원 진씨
성씨남원 진씨
南原 晉氏
나라한국
관향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시조진함조(晉含祚)
중시조진효경(晋孝經)
주요 인물진긍, 진광인, 진종립, 진직현, 진구, 진영수, 진용진
년도2015
인구7,128명
비고남원진씨 대종회

2. 역사

1023년(현종 14)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를 역임하고, 내사시랑평장사(內史侍郞平章事)에 이르렀던 진함조(晋含祚)를 시조로 한다.

고려 고종 때 거란의 침입이 있었을 때 크게 전공을 세워 남원군(南原君)에 봉해졌다고 하는 진석(晉錫)을 거쳐, 고려 충렬왕 때 예부상서를 역임한 진효경(晋孝經)을 1세 중시조로 한다.

2. 1. 시조 및 기원

1699년에 편찬된 《용성지(龍城誌)》와 《남원진씨족보(南原秦氏族譜)》 기록에는 진씨의 기원에 대해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전한다.

9세기 말엽 이른 봄 따스한 어느 날, 교룡산의 정기가 한데 뭉친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대산면의 옥정(玉井)이라는 샘에서 상서로운 기운이 서리고 오색찬란한 무지갯빛이 일었다. 그때 마침 한 옥녀(玉女)가 옥정 샘가에 이르러 옥동자(玉童子)가 목편(木片)을 타고 샘 가운데서 노니는 것을 보았다. 그녀가 가까이 가자 옥동자는 별안간 숨어 버렸다. 신기하게 여긴 옥녀는 샘가에 숨어 동정을 살피다가 동자가 다시 물 위에 나타나자 재빠르게 잡아 자세히 보니 옥인(玉人)이었다. 얼굴은 백옥같이 희고 눈은 영롱하게 빛났으며 이마는 번듯하고 콧날은 준수하며 입은 한일자로 다물고 손은 산뜻하게 희며 나이는 열대여섯 살가량 되어 보이고 키가 훤칠하여 대장부다웠다. 이렇게 인연이 된 옥동과 옥녀는 함께 돌아와 부부가 되어 살았다. 이 옥동랑이 진성(晉姓) 비조이고, 옥정은 진씨의 발상지가 되었으며, 샘 이름은 ‘옥정’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옥동과 옥녀가 얼마 후 아들을 낳으니 그 아들이 남원 진씨의 시조 진함조다. 그는 10여 세 때부터 역사와 고경(古經)에 통달했으며, 역학(易學)과 술수(術數)에도 정통했다. 고려 현종이 사부로 예우하고 호부상서에 등용한 뒤 좌복야 겸 도정상서 좌복야를 역임했다.

2. 2. 중시조 및 고려 시대

1023년(현종 14)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를 역임하고, 내사시랑평장사(內史侍郞平章事)에 이르렀던 진함조(晋含祚)를 시조(始祖)로 한다.

고려 고종 때 거란의 침입이 있었을 때 크게 전공을 세워 남원군(南原君)에 봉해졌다고 하는 진석(晉錫)을 거쳐, 고려 충렬왕 때 예부상서를 역임한 진효경(晋孝經)을 1세 중시조로 한다.

2. 3. 분파

고려 말기 8세손에서 4개의 파로 분파되었다.

파명파조관직
판서공파(判書公派)진안(晉安)병조판서(兵曹判書)
첨정공파(僉正公派)진숙(晉淑)안의현감(安義縣監)
감무공파(監務公派)진여란(晉如蘭)진원감무(珍原監務)
학사공파(學士公派)진우란(晉于蘭)한림원 학사(翰林院學士)


3. 주요 인물


  • 진직현(1901년 ~ ?) :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 진명돌 : 전 프로 복싱 선수
  • 진구(1980년 ~ ) : 배우
  • 진영수(1988년 ~ ) : 전 프로게이머
  • 진용진(1992년 ~ ) : 유튜버
  • 진중현(1973년 ~ ) : 세종대학교 스마트생명산업융합학과 교수, 2006~2015까지 IRRI 재직, 온대지역 고염분 간척지 재배가능 벼 개발

3. 1. 고려


  • 진긍(晋兢) : 958년(고려 광종 9년) 쌍기(雙冀)의 건의에 따라 최초로 실시된 과거시험에서 최섬(崔暹)과 함께 진사(進士) 갑과(甲科)로 급제하여 광문원소감(光文院少監)을 역임했다.[1]
  • 진광인(晋光仁, 1128년 ~ 1186년) : 조부는 진중선(晉仲善)이다. 고려 의종 때에 삼척현위(三陟縣尉)로 파견되어 치적이 있었으며, 무신정권이 수립된 이후인 1171년(명종 1) 사경원판관(寫經院判官)에 이어 대영승(大盈丞), 대관령(大官令), 전중시어사(殿中侍御史), 이부원외랑(吏部員外郎), 고공낭중(考功郎中), 어사잡단(御史雜端) 등을 거쳐 1185년 병부시랑(兵部侍郞)에 이르렀다. 사위는 추밀원부사 채정(蔡靖)이다.[2]


남원 진씨는 고려시대 문과 급제자 3명을 배출하였다.

고려 문과 급제자
진긍(晉兢)
진광인(晉光仁)
진영무(晉英茂)


3. 2. 조선


  • 진벽(晋壁) : 조선 선조 때 좌승지(左承旨)로서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창의(倡義)하여 여러 곳에서 왜군(倭軍)을 맞아 싸워 혁혁한 전공(戰功)을 세운 후 금산 전투에서 순절(殉節)하였다.[1]
  • 진종립(晋宗立) : 조선 인조 때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병자호란 때 전라도 병마절도사(全羅道兵馬節度使) 김준용의 휘하에서 수원 광교 전투에 참전하여 적장(敵將)을 사살하고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올랐다.[1]
  • 진창복(晋昌復) : 조선 철종 11년(1860년) 정시(庭試) 을과(乙科)로 문과에 급제하여 박사(博士)를 지냈다.[1]


남원 진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1명, 무과 급제자 1명, 사마시 3명을 배출하였다.[1]

문과
진명복(晉命復)



무과
진영찬(晉英纘)



생원시
진자강(晉自康)진형승(晉亨升)



진사시
진창욱(晉昌旭)


3. 3. 대한민국


  • 진긍 : 향공진사로서 958년(고려 광종 9년) 쌍기의 건의에 따라 최초로 실시된 과거시험에서 최섬과 함께 진사(進士) 갑과(甲科)로 급제하여 광문원소감(光文院少監)을 역임했다.
  • 진광인(1128년 ~ 1186년) : 조부는 진중선(晉仲善). 고려 의종 때 삼척현위(三陟縣尉)로 파견되어 치적이 있었으며, 무신정권 수립 이후인 1171년(고려 명종 1) 사경원판관(寫經院判官)에 이어 대영승(大盈丞), 대관령(大官令), 전중시어사(殿中侍御史), 이부원외랑(吏部員外郎), 고공낭중(考功郎中), 어사잡단(御史雜端) 등을 거쳐 1185년 병부시랑(兵部侍郞)에 이르렀다. 사위는 추밀원부사 채정이다.
  • 진벽(晋壁) : 조선 선조 때 좌승지(左承旨)로서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창의(倡義)하여 여러 곳에서 왜군(倭軍)을 맞아 싸워서 혁혁한 전공(戰功)을 세운 후 금산 전투에서 순절(殉節)하였다.
  • 진종립(晋宗立) : 조선 인조 때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병자호란때 전라도 병마절도사 김준용의 휘하에서 광교산 전투에 참전하여 적장(敵將)을 사살하고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올랐다.
  • 진창복(晋昌復) : 조선 철종 11년(1860년) 정시(庭試) 을과(乙科)로 문과에 급제하여 박사(博士)를 지냈다.
  • 진직현(1901년 ~ ?) :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 진명돌 (晋明乭) : 전 프로 복싱 선수
  • 진구(1980년 ~ ) : 배우
  • 진영수(1988년 ~ ) : 전 프로게이머
  • 진용진(1992년 ~ ) : 유튜버
  • 진중현(晋중현, 1973년 ~ ) : 세종대학교 스마트생명산업융합학과 교수, 2006~2015까지 IRRI 재직, 온대지역 고염분 간척지 재배가능 벼 개발

4. 문화유산

방동서당(芳洞書堂)은 1800년 진순응(晉順應)이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대강면 방동리 방골마을에 사숙(私塾) 형태로 처음 열었다. 진정표(晉廷表)와 진우복 등은 차례로 방동서당의 훈장을 지냈다. 1860년(철종 11) 진명복(晉命復)은 문과 을과에 급제하였다. 이후 진순응의 후손들이 장학답을 마련하여 훈장에게 보수를 지급하였다.[2]

5. 인구

연도인구
1985년7,868명
2000년5,084명
2015년7,128명


참조

[1] 역사서 《고려사》 세가 권제5 현종(顯宗) 14년 1월 http://db.history.go[...]
[2] 백과사전 방동서당 - 남원향토문화백과 http://namwon.grand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