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종대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종대학교는 1940년 경성인문학원으로 설립되어 1987년 종합대학교로 승격된 대한민국의 사립 대학이다. 애지정신, 기독교정신, 훈민정신을 교육이념으로 삼고 있으며, 인문, 사회, 경영, 관광, 법학, 자연과학, 생명과학, 인공지능, 공학, 예체능 등 다양한 분야의 학부와 대학원을 운영한다. 세종대학교는 2015년 개교 75주년을 맞이하였으며, 2024년 QS 아시아 대학평가에서 국내 12위, 아시아 76위에 올랐다. 또한, 2007년 경영학과는 AACSB 인증을 획득하였으며, 2023년에는 THE 아시아 대학 평가에서 국내 9위를 기록하는 등 국내외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부속기관으로는 도서관, 박물관, 부속 초·고등학교 등이 있으며, 세종호텔, 세종컨벤션센터 등도 운영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종대학교 - 청색 숙고사 장옷
    청색 숙고사 장옷은 조선 시대 양반집 부녀자들이 여름철 외출 시 겉옷 위에 걸쳐 입어 몸 전체를 가리는 용도로 사용되었으며, 일반적인 장옷 색상과 달리 귀족 여성들이 멋을 내기 위해 드물게 착용했던 숙고사 견직물로 만든 장옷의 일종이다.
  • 대한관광대학학생회의 - 경기대학교
    경기대학교는 1947년 서울에 설립되어 1984년 종합대학교로 승격되었으며, 현재 수원과 서울에 캠퍼스를 운영하는 사립 대학이다.
  • 대한관광대학학생회의 - 숙명여자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는 1906년 순헌황귀비의 후원으로 설립되어 명신여학교에서 시작, 숙명여자고등보통학교, 숙명여자전문학교를 거쳐 1948년 대학교로 승격, 1955년 종합대학교로 발전하였으며, 격변기 속에서도 꾸준히 성장하여 제2창학 선언, 여성 학군단 설립, 공과대학 신설 등의 성과를 이루며 리더십 함양 교육과 문화시설을 운영하고 있는 대한민국의 사립 여자대학교이다.
  • 서울 광진구의 학교 - 건국대학교
    건국대학교는 1946년 설립된 조선정치학관을 모체로 하여 1959년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었으며, 서울과 충주에 캠퍼스를 두고 13개 학부와 13개 대학원, 7개 학부와 4개 대학원을 운영하며 교육 혁신을 위해 노력한다.
  • 서울 광진구의 학교 - 장로회신학대학교
    장로회신학대학교는 1901년 설립되어 일제강점기 폐교 후 1961년 재개교한 대한민국의 사립 신학교로, 통전적 신학을 기반으로 다양한 신학 분야의 전문 인력을 양성하며 한국 장로교회의 발전과 깊은 연관을 맺고 활발한 연구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세종대학교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세종대학교
영어 이름Sejong University
한자 표기世宗大學校
로마자 표기Sejong Daehakgyo
모토Creativitas Servitium (창조와 봉사)
설립일1940년
학교 종류사립 연구 대학
인증AACSB
신문세종대신문
별칭SJU
교색세종 크림슨 레드
세종 회색
국가대한민국
위치서울특별시 광진구 능동로 209
캠퍼스도시형
웹사이트세종대학교 홈페이지
세종대학교 영문 홈페이지
학교법인대양학원
설립자주영하
학교 운영
총장엄종화
이사장최세모
교원1,365명
직원375명
총 직원1,700명
학생
전체 학생 수20,391명
학부생16,634명
대학원생3,757명
역사
이전 이름경성인문중등학원 (1940-1947)
서울여자전문학관 (1947-1948)
서울가정보육사범학교 (1948-1954)
수도여자사범대학 (1954-1978)
세종대학 (1978-1987)
상징
상징 꽃에델바이스
세종대학교 권위 마크
대학 정보
학부9개 대학, 1개 교양대학
대학원1개 일반대학원, 1개 전문대학원, 5개 특수대학원
기타
학술 제휴AACSB
SFUP

2. 연혁


  • 1940년 '''경성인문학원'''으로 현재 서울특별시 광희동에 설립되었다.[41]
  • 1947년 '''서울여자전문학관'''을 설립하고, 국문과와 가정과를 설치하였다.[43]
  • 1948년 '''서울가정보육사범학교'''가 되었다.[46]
  • 1954년 여자교육 진흥 정책의 일환으로 '''서울가정보육사범대학교'''로 승격되었다.[47]
  • 1979년 남녀공학이 되었고, 교명이 '''세종대학'''으로 변경되었다.[63]
  • 1987년 대학교(종합대학)로 승격하여 '''세종대학교'''가 되었다.[66]

2. 1. 1940~1948: 설립 초기

1940년 5월 20일 경성인문중등학원(京城人文中等學院, Kyungsung Humanites Institute)서울특별시 중구 광희동에 설립되었다.[41] 1946년 5월 주영하, 최옥자 박사가 성동병원에서 대학 설립이사회를 개최하고 1947년 5월 3일 교육으로부터 소외 받은 여성들에게 참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재단법인 서울여자학원을 설립하였다.[42] 5월 15일 서울여자전문학관(서울女子專門學館, Seoul Women Teachers' Institute)미군정으로부터 정식으로 인가되었다.[43] 5월 20일 개관(開館)을 예정해 두고 신입생을 모집하였다. 개관 목적은 '새조선이 요구하는 지도적 여성 양성'이었으며, 부설된 학과로는 문과, 가사과, 문화과, 상경과, 양재수예과가 있었다.[44] 6월 2일 서울여자전문학관은 임시교사인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 소재 승동교회 예배당에서 신입생 120명과 다수의 내빈 참석하에 개관식을 거행하였으며, 설립자겸 교장은 주영하 박사였다.[45] 1948년 서울가정간호전문학교로 개편되었다.[2]

2. 2. 1948~1954: 서울가정보육사범학교

1948년 8월 26일 서울여자전문학관은 중등교원 양성을 위한 '''서울가정보육사범학교(서울家政保育師範學校, Seoul Women Teachers' Training School)'''로 학교명을 변경하였다.[46] 서울여자가정보육사범학교는 가정학과와 국어국문학과, 보육학과를 2년제 과정으로, 전수과를 1년제 과정으로 개설하였다. 9월 주영하 박사가 초대 학장에 취임하였다. 10월 현재 세종호텔이 위치한 서울특별시 중구 충무로2가 제헌국회의원회관을 신교사로 개축 완료하고 대학을 이전하였다. 1950년 6월 25일 한국 전쟁의 발생에 따라 학교를 휴교하였고, 전쟁 중 충무로에 위치한 신교사가 폭격으로 손실되었고, 1951년 1월 4일 재단법인 서울여자학원은 경상남도 마산시 두월동에 마산성동병원을 개설하고, 대학 재건사무소를 설치하여 대학 재건에 착수하였다. 한국 전쟁 휴전 이후 1953년 6월부터 충무로 교사가 재건되기 시작하였다.[1][2]

2. 3. 1954~1978: 수도여자사범대학

1954년 4월 서울가정보육사범학교가 폐지됨과 동시에 '''수도여자사범대학(首都女子師範大學, Soodo Women's Teachers College)'''의 설립 인가를 받았다.[47] 수도여자사범대학은 가사과, 보육과, 국문과, 음악과, 체육과를 설치하였다. 이는 대한민국 문교부가 교육법에 따라 여성 교육을 담당할 여학교 교사 양성을 추진하는 일환이었으며,[48] 대한민국 최초의 2년제 사범대학으로 개편되었다.[49] 서울특별시 중구 소공동에 있는 서울대학교 치과대학에서 신입생 모집을 실시하였다. 1955년 2월 14일 충무로에 신교사를 재건하고 국문과와 영문과, 가정과로 구성된 야간부를 개설하였으며, 영어영문학과와 체육과 증설 인가를 받았다. 4월에는 충무로에 제2교사가 준공되었다. 1955년 9월 창립자 주영하 박사는 현 군자동 교지를 구황실로부터 매입하여 재단법인 서울여자학원에 교지로 기증하였다. 1956년 2월 수도여자사범대학은 미술과를 설치하였는데, 이는 대한민국 최초의 생활미술 교육 기관이었다.[50] 1959년 2월 1일 부속중학교와 부속고등학교(현 서울세종고등학교)를 설립하여 신입생을 모집하였다.[51]

1961년 11월 18일 대한민국 문교부의 전국 사립대학 정비 최종단안 발표에 따라 4년제 대학으로 승격 개편 인가를 받았다.[52] 11월 22일 대한민국 문교부의 사립대학 학과별 학생정원 조정 정책에 따라 주간 가정과, 음악과, 미술과, 체육과를 유지하고 야간 가정과, 국문과, 영문과는 폐지하였다.[53] 1962년 11월 9일 성심여자대학교 재단, 홍익대학교 재단과 함께 사립 초등학교 설립을 인가받았다.[54] 12월 18일 충무로 캠퍼스에서 현 군자캠퍼스로 대학의 모든 기구와 기관이 이전하였다. 1963년 3월 9일 세종관과 대학교회가 준공되었고 수도여자사범대학 부속 국민학교(현 세종대학교 부설 세종초등학교)를 설립하였다. 11월 1일 도산관이 준공되었다. 12월 24일 생활미술과와 식품화과를 신설하였다.[55] 1965년 2월 4년제 대학교로 승격 개편된 후, 졸업생 27명을 대상으로 한 첫 학위수여식이 실시되었다. 1966년 2월 25일 대학원 석사과정이 설립 인가를 받았으며 초대 대학원장에 최옥자 박사가 취임하였다. 12월 7일 무용과를 증설하였다.[56] 1968년 2월 호텔경영과와 관광개발과를 신설하였다. 이로써 수도여자사범대학 호텔경영과는 대한민국 최초의 호텔경영과가 되었다. 5월 28일 호텔경영과와 관광개발과의 부속연구기관인 세종호텔 신관이 준공되었다.[57] 10월 10일 대한민국 문교부는 호텔경영과와 관광개발과의 졸업생에게는 중등교사 교원자격증을 수여하지 않겠다고 밝혔다.[58] 12월 16일 호텔경영과를 증설하였다.[59] 1969년 9월 율곡관과 세종화랑이 준공되었다.

1970년 종합미술관이 준공되었다. 12월 23일 가정과를 40명, 사회교육과, 식품화학과, 성악과, 기악과, 무용과를 각 10명, 교육과와 체육교육과를 각 5명씩 증설하였다.[60] 1972년 재단 명칭을 학교법인 대양학원으로 변경하였다. 12월 9일 과학교육과를 신설하였다.[61] 1973년 5월 28일 수도박물관(현 세종박물관)을 준공 및 개관하였다. 이를 통해 수도여자사범대학 수도박물관은 대한민국 최초의 생활 민속 박물관으로 설치되었다.[62]

2. 4. 1978~1987: 세종대학

1978년 10월 7일 수도여자사범대학은 여자대학에서 남녀공학 대학으로 개편하여 학교명을 '''세종대학(世宗大學, Sejong College)'''으로 변경하였다.[63] 세종대학은 주영하 박사의 창학이념 중 하나인 세종대왕의 훈민정신을 계승하자는 의미다. 주영하 박사가 평생 세종대왕을 흠모했으며, 국어순화추진회 회장을 맡아 한글선앙운동을 펼치는 등 한글과 국어를 위해서 헌신했다는 것을 감안하면, 주 박사의 세종대왕에 대한 존경심이 교명 선정에 반영됐음을 알 수 있다.[64] 세종대학은 야간 대학을 신설하며 경영과, 무역과, 회계과, 영문과를 설치하였다.[65] 1979년 3월 세종대학은 첫 입학식을 거행하였다. 1980년 8월 21일 주영하 박사가 재단 이사장으로 취임하였다. 1981년 5월 20일 대양홀을 준공하였고 국어국문학과와 영어영문학과, 경제학과의 대학원 박사 과정을 신설하였다. 1982년 5월 20일 군자관을 증축하였다. 8월 20일 후기 학위수여식에서 가정학과 이순재 이학박사에게 첫 박사 학위를 수여하였다.

2. 5. 1987~2015: 세종대학교

1987년 10월 종합대학교로 승격되어 학교명을 '''세종대학교(世宗大學校, Sejong University)'''로 변경했다.[66] 1997년 미국 항공기 제작사인 록히드 마틴과 기술협력사업 양해각서를 체결하였다.[66] 1998년 세종대학교 야간대학 학부생 전원을 주간대학으로 전환하였고, 1999년 세종대학교 도서관이 대한민국 최초로 세계무역기구(WTO) 전문도서관으로 지정되었다.

세종대학교는 종합대학교 승격 이후 학부 과정과 대학원 과정을 대폭적으로 신설, 증원시켰다. 1987년 행정학과, 수학과, 물리학과, 전산과학과, 정보처리학과, 응용통계학과, 1995년 영상만화과, 1996년 전자공학, 건축공학, 토목공학, 컴퓨터공학과, 1997년 신문방송학과, 기계항공우주공학부, 영화예술학과, 1998년 생명공학과, 1999년 신소재공학과, 2009년 에너지자원공학과, 2012년 바이오자원공학전공, 정보보호학과, 자유전공학부, 국방시스템공학과,[67] 2013년 항공시스템공학과, 원자력공학과,[68] 2014년 호텔외식관광프랜차이즈경영학과를 신설했다.[69]

록히드 마틴 항공우주와의 협력 계약에 따라 한국 항공우주 산업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세종-록히드 마틴 항공우주 연구센터가 설립되었으며, 과학기술 개발 협력을 위한 유사한 계약이 하나로통신, 한솔 PCS, 온세통신, 프라임 회사와 체결되었다.[4]

세종대학교는 26개국의 133개 대학 및 기관과 국제학술교류협정을 체결했고, 16개국 88개 대학 및 기관과 자매결연을 체결하여 다양한 학술교류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등 국제교류를 확대하고 있다. 2003년 2월 25일 세종대학교 호텔관광대학과 미국 코넬대학교 간에 상호교류협정을 체결, 2012년 2월 9일 일본의 요코하마 국립대학과 MOU 및 MO 체결이 국제교류 확대의 대표적인 예이다.

2000년에는 영화예술대학원과 테크노디자인대학원이 설립되었고, 경영대학원은 글로벌경영대학원으로 개편되었으며, 관광학과는 호텔관광학과로 개편되었다. 40만 권 이상의 장서를 소장한 새로운 도서관이 개관하였으며, 이는 한국 최초의 WTO 도서관이다.

2. 6. 2015~현재: 개교 84주년

2015년 세종대학교는 개교 75주년을 맞아 5월 8일 신규 엠블럼과 75주년 기념 엠블럼을 정식으로 선포하였다. 신규 엠블럼은 기존 교표의 형태, 색, 요소 등을 유지하면서 월계수에 세종 크림슨 레드 대신 메탈릭 골드를 사용하고, 영문 로고 글씨체를 'Times New Roman Bold'체로 변경하였다. 75주년 기념 엠블럼에는 세종 베이지 색상을 사용하여 표현하였다.[70]

2017년 3월 미래창조과학부 소프트웨어 중심대학 사업의 일환으로 소프트웨어융합대학을 신설하고, 자유전공학부를 폐지, 법학부를 신설하였다.[71] 8월에는 교양학부를 대양휴머니티칼리지로 명칭을 변경하여 독립 대학으로 승격시켰다.

2018년 신문방송학과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로 변경됐다.

2020년 사회과학대학 경제통상학과가 경영경제대학 경제학과로 변경됐다. 사회과학대학 경제통상학과와 경영대학 경영학부(경영학전공)를 통합하여 경영경제대학(경제학과, 경영학부)으로 변경했다. 에너지자원공학과를 지구자원시스템공학과로, 원자력공학과를 양자원자력공학과로 변경했다.

2021년 학생생활상담소가 학생지원처 산하로 이동했다. 스마트생명산업융합학과, 인공지능학과가 신설됐다. 대학평가기획단과 미래전략추진단을 폐지하고 기획처 산하에 미래전략과를 신설했다. 취업지원처 취업지원센터를 진로취업지원센터로 변경했다.

2022년 대외협력처 국제교류센터가 외국인입학과로 변경되고, 원스탑서비스센터를 신설됐다. 수학통계학부 수학전공과 응용통계학전공이 수학통계학과로 통합됐다. 건축공학부 건축공학전공과 건축학전공이 건축공학과, 건축학과로 변경됐다.

2023년 반도체시스템공학과를 신설했다. 지능기전공학부 무인이동체공학전공과 스마트기기공학전공을 지능기전공학과로 변경했다. 기계항공우주공학부 기계공학전공과 항공우주공학전공을 기계공학과와 우주항공시스템공학부 우주항공공학전공, 항공시스템공학전공으로 변경했다.

2024년 첨단학과인 AI로봇학과, 인공지능데이터사이언스학과, 우주항공드론공학부 지능형드론융합전공을 신설했다. 우주항공시스템공학부가 우주항공드론공학부로 변경됐다.

2001년에는 한국과학문화재단과의 협력 관계가 구축되었다. 영어로 진행되는 아시아학 석사(M.A.) 프로그램과 세종대학교와 미국의 시러큐스대학교(Syracuse University)가 공동으로 운영하는 글로벌 MBA 프로그램이 개설되었다.[5] 2002년 1월에는 한국의 주요 기업 CEO 30명으로 구성된 대학 발전 자문 위원회가 설립되어 산업계와의 유대 관계를 강화했다. 같은 해 교육개혁심의위원회는 세종대학교의 구조조정 및 혁신을 공식적으로 인정했다. 2004년에는 대한민국 교육인적자원부가 독창성, 혁신, 학문적 성취 증진에 대한 우수성을 인정하여 세종대학교를 인증했다. 2007년에는 경영대학원이 미국 대학 경영대학원 협회(Association of Advanced Collegiate Schools of Business)의 인증을 받았다.

3. 이념

세종대학교는 학술연구·인재양성·사회봉사의 교육목적 아래 애지정신, 기독교정신, 훈민정신을 교육이념을 중시하고 있다. 위의 교육이념, 목적에 따라 세종대학교는 창조적 지성인의 양성·실천적 전문인, 전인적 교양인, 헌신적 사회인의 양성을 교육목표로 삼고 있다.

4. 상징

세종대학교 교표는 세종대왕이 창제한 해시계의 영침과 승리를 상징하는 월계수를 단순화한 것이다. 이는 자기를 헌신하는 이타적인 사랑, 창의, 봉사 정신을 바탕으로 세상에서 으뜸가는 인재를 키워낸다는 교육 의지를 담고 있다.

5. 위상

2001년 중앙일보세종대학교를 한국의 123개 대학 중 "가장 두드러지게 발전한" 대학으로 선정하였고, 2002년 대학 순위에서 전체 16위로 평가했다. 2008년에는 의과대학이 없는 대학 중 9위, 교수 연구 성과 부문에서 4위를 기록했다.[30] 2007년 4월에는 세종대 경영학과가 서울대, 고려대, KAIST에 이어 국내 4번째로 AACSB(미국경영대학연합회) 인증을 받았다.[31][32]

QS 아시아 대학 순위 2010에서 세종대학교는 아시아 대학 중 181위, 한국 대학 중 39위를 기록했다.[33] 2010년, 교육과학기술부(MoEST)는 세종대학교를 교육 개혁 우수 대학으로 선정했고, 2012년 중앙일보 평가에서 한국 대학 중 40위, 2013년에는 26위를 기록했다. 2014년과 2015년 조선일보-QS 평가에서 의과대학이 없는 중소형 대학 중 한국 4위를 기록했으며, 아시아 순위는 각각 24위, 18위를 기록했다.

5. 1. 정부 평가

세종대학교는 2014년 재학생들의 '일을 통한 행복 찾기'에 기여한 공로로 국무총리 표창을 수상하였다.[72] 2015년 교육부 주관 대학구조개혁평가에서 최우수 A등급을 받아 강제적인 정원감축이나 정부 재정지원 수혜 제한을 받지 않게 되었다.[73] 2018년에는 교육부한국교육개발원이 주관한 대학기본역량진단 결과 자율개선대학으로 선정되었고,[74] 2019년에는 대학⋅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자율협약형 대학으로 선정되었다.[75] 2021년 대학기본역량진단 결과 일반재정지원대학으로 선정되었으며,[76] 2024년에는 교육부 주관 대학혁신지원사업 성과평가 교육혁신 성과 부문에서 최우수 S등급을 받았다.[77]

2001년 중앙일보는 세종대학교를 한국의 123개 대학 중 "가장 두드러지게 발전한" 대학으로 선정하였고, 2002년 대학 순위에서 전체 16위로 평가했다. 2008년에는 의과대학이 없는 대학 중 9위, 교수 연구 성과 부문에서 4위를 기록했다.[30] 2007년 4월에는 경영학과가 서울대, 고려대, KAIST에 이어 국내 4번째로 AACSB(미국경영대학연합회) 인증을 받았다.[31][32]

QS 아시아 대학 순위 2010에서 세종대학교는 아시아 대학 중 181위, 한국 대학 중 39위를 기록했다.[33] 2010년, 교육과학기술부(MoEST)는 세종대학교를 교육 개혁 우수 대학으로 선정했고, 2012년 중앙일보 평가에서 한국 대학 중 40위, 2013년에는 26위를 기록했다. 2014년과 2015년 조선일보-QS 평가에서 의과대학이 없는 중소형 대학 중 한국 4위를 기록했으며, 아시아 순위는 각각 24위, 18위를 기록했다.

5. 2. 대외 평가

영국의 대학교 평가기관 QS대한민국의 신문사 조선일보가 공동으로 진행한 2024 QS 아시아 대학평가 순위에서 국내 12위, 아시아 76위에 순위되었다.[78] 세종대학교는 2016년 93위로 처음 상위 100위 내에 진입한 이후 계속해서 순위가 상승하고 있다. 2024 QS 세계 대학 순위 학과별 순위에서 호텔관광대학이 4년 연속 국내 1위, 세계 43위에 순위되었다.[79]

영국의 대학교 평가기관 타임즈 고등교육이 실시한 2025 세계대학평가에서 국내 7위, 세계 200-251위권에 순위되었다.[80] 논문의 질적 우수성을 반영하는 논문 피인용 항목이 포함된 연구품질 부문에서 94.3점을 받아 국내 대학 중 유일하게 90점대 점수를 받았다. 순위에서도 작년에 비해 세 계단 상승한 세계 55위, 국내 순위는 작년에 이어 2년 연속 1위를 기록했다. 또한 2023 THE 아시아대학평가에서 국내 9위, 아시아 39위에 순위되었다.[81]

논문의 질을 평가하는 2024 라이덴랭킹에서 2년 연속 국내 1위에 올랐다.[82] 라이덴랭킹은 네덜란드 라이덴대학(Leiden University)이 ‘전체 논문 중 피인용수 우수 논문의 비율'을 기준으로 발표하는 세계대학 순위다. 다른 세계대학순위가 평판도, 대학의 규모, 논문의 양 등을 고려하는 것과 달리, 라이덴랭킹은 논문의 피인용수로 순위를 산정하기에 대학의 연구능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2001년, 중앙일보는 세종대학교를 한국의 123개 대학 중 "가장 두드러지게 발전한" 대학으로 선정했습니다. 중앙일보는 2002년 대학 순위에서 세종대학교를 전체 16위로 평가했다. 2008년에는 의과대학이 없는 대학 중 9위, 교수 연구 성과 부문에서는 4위를 기록했다.[30]

2007년 4월, 세종대학교 경영학과는 서울대학교, 고려대학교, KAIST에 이어 국내 4번째로 AACSB(미국경영대학연합회) 인증을 받았다.[31][32]

QS 아시아 대학 순위 2010: 상위 200위에서 세종대학교는 아시아 대학 중 181위, 한국 대학 중 39위를 기록했다.[33]

2010년, 교육과학기술부(MoEST)는 세종대학교를 교육 개혁 우수 대학으로 선정했다.

중앙일보 평가에서 2012년에는 한국 대학 중 40위, 2013년에는 한국 대학 중 26위를 기록했다.

2014년, 세종대학교는 조선일보-QS 평가에서 의과대학이 없는 중소형 대학 중 한국 4위, 아시아 24위를 기록했다. 2015년에는 의과대학이 없는 중소형 대학 중 한국 4위, 아시아 18위를 기록했다.

5. 3. 국책사업 활동

2014년 미래창조과학부는 세종대학교의 신입생 대상 예비대학을 소프트웨어 교육과정 모범사례로 선정하고, 정보통신기술 인력양성 지원사업 전국대학 순회 설명회에서 이를 소개하며 소프트웨어 교육과정 확산 및 보급을 독려하는 홍보자료로 사용하였다.[83] 윤종록 차관은 세종대학교 예비대학이 사회적 흐름을 잘 반영하고 있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83]

2015년 세종대학교는 미래창조과학부의 소프트웨어 중심대학으로 선정되어 2016년 세종이노베이션센터를 착공하고, 2017년 소프트웨어융합대학을 신설하였다. 2018년부터는 신입생 입학 요강에 전공 입학인원의 20%를 소프트웨어 특기자로 선발하는 내용을 포함시켰다.

2016년 세종대학교 국제학부의 아시아태평양 미래개척 창의인재 양성단이 교육부의 대학 특성화 사업에 선정되어, 국제학부 재학생은 '나침반 교육모델'에 따라 4차 산업에 대응하기 위한 교육을 받는다. 아태문화, 미래융합, 통상개척 등의 세 가지 트랙을 수강할 수 있으며, 교과 및 비교과 해외 프로그램과 산학연계 전공심화 교과와 멘토링제 등을 제공받는다.

같은 해, 세종대학교 모바일 가상현실 연구센터는 미래창조과학부의 대학 ICT 연구센터 육성 지원사업에 선정되어 성균관대학교, 홍익대학교 등과 함께 가상 현실 콘텐츠와 기술 연구 및 개발을 주관하였다. 또한, 세종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연구팀은 대한민국 방위사업청의 국방특화 연구실 사업에 선정되어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등과 함께 국내 최초로 ‘사이버전 특화 연구사업'을 주관하였다.

2018년 세종대학교는 행정안전부의 지진분야 전문 인력 양성 대학에 선정되어 2년간 매년 2억 원의 국비를 지원받아 지진 분야 석·박사급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연구 및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한다.

2019년에는 교육부와 연구재단이 발표한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사업의 2단계 신규 진입 대학으로 선정되어 3년간 연 평균 약 10억 원을 지원받는다. 4개 학과(호텔관광경영학과, 외식경영학과, 만화애니메이션텍, 컴퓨터공학과)가 협력해 3개의 융·복합 교육 트랙(호스피탈리티기술경영, 스마트 외식경영, 글로벌 CGI 애니메이션 트랙)을 운영한다.

2021년 세종대학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정보보호 특성화대학에 선정되어 최대 6년간 총 32억 4,000억 원을 지원받아 정보보호 실무인력을 양성한다. 세종대 정보보호학과는 보안소프트웨어개발 직무를 맡았으며, 스틸리언, 한국전자기술연구소 등 6개 기관이 공동 참여한다. 또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대학ICT연구센터(ITRC) 신규 지원과제에 선정되어 최대 8년간 매년 약 8억 원의 연구비를 지원받고 메타버스 자율트윈 분야 핵심기술을 연구할 예정이다.

2022년 세종대학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미래우주교육센터’와 방위산업청의 ‘방위산업 계약학과 지원사업’ 주관대학으로 동시에 선정되었다. ‘미래우주교육센터’는 석·박사 과정 학생들에게 미래우주기술을 집중 교육하여 국내 우주 인재를 양성하고, ‘국방우주공학과’는 국방우주전력 사업추진과 미래 국방우주력 건설에 필요한 전문인력을 양성할 계획이다. 세종대학교는 미래 핵심원료자원 확보를 위한 자원특화대학사업에도 선정되어 2025년 2월까지 연간 1억 5,000만 원 ~ 2억 원의 사업비를 지원받아 자원공학 전문인력을 양성한다.

2023년 세종대학교는 교육부와 환경부가 공동 운영하는 ‘디지털 물산업 혁신인재 양성산업(Water+AI분야)’에 선정되어 2025년 2월까지 총 16억 원을 지원받는다.[84] 세종대 디지털 물산업 혁신인재양성 사업단은 Water-AI 융합 전공을 신설하고 지역 물 문제 해결을 위한 디지털 물관리 혁신인재를 양성한다.

2024년 세종대는 LIG넥스원과 미래 신기술을 선도할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미래우주 현장실무 산학인턴십 과정을 열었다.[85] 이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미래우주교육센터 사업의 일환으로, 세종대는 방위사업청의 방위산업 계약학과 지원사업 주관대학으로도 선정되었다.[85]

2002년 과학기술부는 세종대학교의 우주구조 및 진화 천체물리학 연구센터(ARCSEC)를 최우수 신규 연구소로 선정하고 9년간 90억 원의 연구비를 지원했다.

2007년 10월호 분자 세포(Molecular Cell)에는 엄수종 박사 연구팀의 획기적인 논문 "[http://www.cell.com/molecular-cell/abstract/S1097-2765(07)00667-3 Active Regulator of SIRT1 Cooperates with SIRT1 and Facilitates Suppression of p53 Activity]"이 게재되었다.[21][22]

2009년 이재우 천문우주학과 교수 연구팀은 "[http://www.nature.com/nature/index.html 네이처(Nature)]"에 "[http://www.nature.com/nature/journal/v462/n7272/full/nature08565.html 구상성단에서 다중 집단의 초신성에 의한 풍부화]"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하였다.[23] 그는 2010년 NASA 허블 망원경 사용권을 획득한 최초의 한국 과학자가 되었다.[24] 같은 해 교육과학기술부는 세종대학교 생명공학과를 5년간 12억 원의 연구비를 지원받는 혁신 기술 개발 연구 과제 수행 대상 기관으로 선정했다.[25]

2010년 5월 세종대학교는 지식경제부로부터 자원 개발 특성화 대학으로 선정되어 100억 원의 연구비를 지원받아 자원 전문가를 양성한다.[26] 9월에는 세종대학교 그래핀연구소가 교육과학기술부 산하 한국연구재단의 우수연구센터로 선정되어 9년간 49억 원의 연구비를 지원받게 되었다.[27] 10월에는 세계적인 스위스 농업생명공학 기업인 신젠타 AG(Syngenta AG)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28] 12월에는 세종대학교 천문우주학과 김성은 박사가 [https://web.archive.org/web/20101227010933/http://www.mest.go.kr/main.do 교육과학기술부(MoEST)]와 [https://web.archive.org/web/20110110011302/http://www.nrf.go.kr/html/en/ 한국연구재단(NRF)]으로부터 올해의 여성과학자로 선정되었다.[29]

6. 교육

세종대학교는 인문대학, 사회과학대학, 경영경제대학, 관광호텔경영학과, 법과대학,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대학, 인공지능융합대학, 공과대학, 예체능대학 등 9개 단과대학과 교양학부, 7개 대학원을 두고 있다.


  • '''인문대학:''' 한국어문학, 영어영문학, 일본어문학, 중국무역상학, 역사학, 교육학[6]
  • '''사회과학대학:''' 행정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7]
  • '''경상대학:''' 경영학, 경제학[8]
  • '''관광외식경영대학:''' 관광외식경영학, 식품서비스경영, 호텔외식관광프랜차이즈경영, 글로벌요리제빵[9]
  • '''법과대학:''' 법학[10]
  • '''자연과학대학:''' 수학통계학과, 물리천문학과, 화학과[11]
  • '''생명과학대학:''' 식품생명공학과, 통합생명공학과, 생물자원공학과[12]
  • '''인공지능융합대학:''' 전기공학과, 반도체시스템공학과, 컴퓨터공학과, 컴퓨터정보보안학과, 소프트웨어학과, 인공지능데이터사이언스학과, 무인항공기공학과, 스마트기기공학과, 인공지능로봇학과, 혁신디자인학과, 만화애니메이션학과[13]
  • '''공과대학:''' 건축공학과, 건축학과, 토목환경공학과, 환경에너지지리정보학과, 에너지자원공학과, 기계항공우주공학부, 나노첨단재료공학과, 양자핵공학과, 국방시스템공학과, 항공시스템공학과[14]
  • '''예체능대학:''' 회화과, 패션디자인학과, 음악과, 체육학과, 무용학과, 영화예술학과[15]


세종대학교는 인문학 교육의 핵심 원칙에 전념하는 대양휴머니티칼리지도 운영하고 있다.[16] 이 대학은 인간 본성, 사회, 그리고 문화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함양하는 데 중점을 두고 급변하는 세상을 헤쳐나가고 형성하는 데 있어 인문학의 시대를 초월한 중요성을 강조한다. 대양휴머니티칼리지는 다양한 인문학 과목을 통해 변화의 이유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다른 사람들과 효과적으로 소통하며, 평생 학습과 적응력의 기반을 구축하는 학생들의 능력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세종대학교 대학원[17]
  • 경영대학원
  • 행정대학원
  • 교육대학원
  • 관광대학원
  • 융합예술대학원
  • 산업대학원

6. 1. 강의 방식

세종대학교는 2014년 1학기부터 교양 과목 일부를 온라인과 오프라인 병합 형태인 블렌디드 강의로 개설하였다.[86] 이는 25분 동영상 강의와 75분 오프라인 수업으로 진행되며, 학생들의 적극적인 학습 참여와 높은 학습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같은 시기부터 전공 과목 일부를 PBL 과목으로 지정하여 운영하고 있다.[86] PBL 과목은 실제 또는 가상의 문제를 제시하여 학생 주도의 개별 및 협동 학습을 통해 해결안을 마련하는 방식으로, 문제해결능력, 창의적 사고력, 의사소통능력 등을 배양하는 데 중점을 둔다. PBL 과목은 강좌당 30명으로 수강 인원이 제한되며 3시간 연강으로 운영된다.

2017년 1학기부터는 전공 과목 일부를 FL 과목으로 지정하여 운영하고 있다. FL 과목은 사전 학습 후 교실 수업에서 학생 참여형 수업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향상과 학습 참여도 및 만족도 제고를 목표로 한다. FL 과목은 강좌당 40명으로 수강 인원이 제한되며 절대평가로 운영된다.

세종대학교는 학생들이 영어로 수업을 이수할 수 있는 영어 트랙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19] 학부에는 경영학, 관광경영학, 행정학, 컴퓨터공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 응용음악, 경제학 등이 있으며, 대학원에는 MBA, 관광경영학, 아시아학, 행정학 석사(MPA), SAS MBA 등이 있다. 모든 공학 및 과학 대학원 프로그램은 100% 영어 트랙 학위로 제공된다.

6. 2. 강의 프로그램

세종대학교는 입학 장학금 수여 학생 등을 대상으로 세종 아너스 프로그램(SHP) 집현전 강좌를 진행한다. 세종 아너스 프로그램(SHP)는 대양휴머니티칼리지 주관으로 진행하며, 현행 중핵필수과목의 심화강좌를 개설하여 진행한다. 이는 세종대학교형 세종 창의 리더 양성을 목적으로 진행되며, 학생은 고전 기초 소양과 철학적 사고력 및 문제해결능력, 창의, 소통능력을 증진할 수 있다.

세종대학교는 자기주도 창의교양과 자기주도 창의전공을 수강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세종창의학기제를 진행한다. 세종창의학기제는 학생 스스로 학습 주제와 과제를 설계하고 다양한 체험과 경험을 통해 창의적이고 전문적인 학습과제를 도전하고 수행하면서 정규 학점으로 인정받는 교육 과정이다. 학생은 획일화된 교과과정의 한계를 극복하고, 자기주도적, 자기설계 학습을 할 수 있다. 자기주도 창의교양은 6학점까지, 자기주도 창의전공은 12학점까지 인정되며, 학점은 지도 교수와 함께 창의학습운영위의 평가를 통해 부여받는다.

세종대학교는 학생들이 수업을 전적으로 영어로 이수할 수 있는 포괄적인 영어 트랙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19] 학부 영어 트랙 프로그램에는 경영학, 관광경영학, 행정학, 컴퓨터공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 응용음악, 경제학 등이 있다. 대학원 영어 트랙에는 MBA, 관광경영학, 아시아학, 행정학 석사(MPA), SAS MBA 등이 있으며, 모든 공학 및 과학 대학원 프로그램은 100% 영어 트랙 학위로 제공되어 학생들이 영어로 심화 연구 및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19]

6. 3. 졸업 요건

세종대학교는 2001년 입학자부터 TOEIC, TOEIC Speaking, TOEFL, TEPS, OPIc 등의 기준 성적 이상을 받아야 졸업할 수 있게 하는 영어졸업인증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87] 2012년 입학자부터는 교내 국제화 정책에 따라 요건이 강화되었다.[87] 다만 예체능대학 재학생과 편입생, 한국어 자격 기준으로 입학한 외국인은 조건에서 제외된다.[87]

한국어 자격을 기준으로 입학한 외국인 유학생은 TOPIK 기준 성적 이상을 받아야 졸업할 수 있다.

2012년 입학자부터는 고전독서 10권 이상을 인증받아야 졸업할 수 있는 고전독서졸업인증 제도가 시행되고 있다. 이는 특색 있는 인문교육을 강화하기 위해 개설되었다. 고전 도서 분야로는 서양의 역사와 사상, 동양의 역사와 사상, 동서양의 문학, 과학 사상 등이 있다. 인증 방법으로는 독서당 검증시험과 독서경시대회와 고전PT대회 등의 경시고사 및 수업 대체 인증이 있다.

6. 4. 졸업인증제

세종대학교는 2007년 공학계열을 한국공학교육인증원(ABEEK)의 공학교육인증을 신청하여, 11개의 공학인증프로그램을 인증받았다. 현재 공과대학 내의 7전공, 전자정보공학대학 내의 5전공에서 공학교육인증제도에 의한 인증프로그램이 실시되고 있다. 공학교육인증제도로 인증받은 학부와 학과 또는 전공은 한국공학교육인증원의 인증 기준에 맞춰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한다. 공학교육인증제도를 시행하는 곳의 학생은 먼저 인증프로그램에 따라 전공을 이수하는 전문과정과 인증프로그램을 포기하는 일반과정을 두고 선택할 수 있다. 전문과정을 이수하는 학생은 한국공학교육인증원과 해당 인증프로그램에서 제시하는 인증기준을 동시에 충족하여야 하며, 정해진 인증프로그램의 교과목 커리큘럼에 따라 과목을 이수해야 공학인증을 받을 수 있다. 전문과정을 이수한 졸업생은 학적부와 각종 증명서 등에 인증 사실이 기재되며, 증명서에서 전공을 표기할 때, 인증프로그램 이수자는 전공 명칭에 ‘전문’을 추가하여 표기한다. 그러나 일반과정을 이수한 졸업생은 전공 명칭에 ‘일반’을 추가 기재해 전문과정 이수자와 차이를 두게 된다.

세종대학교는 2007년 세계 최대의 국제적 경영 및 회계학 교육 인증기관인 국제경영대학발전협의회의 경영학인증을 취득하였다. 대한민국 대학에서는 서울대학교, 한국과학기술원, 고려대학교에 이어 네 번째로 인증받았다.[88] 경영학인증제도로 인증받은 경영학과는 세계적인 수준의 경영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학업 성취능력을 정확하게 평가하여 결과를 반영 함으로써 질적으로 우수한 경영교육 개선을 도모하고, 외부 자문 시스템을 도입하여 사회에서 요구하는 전문경영인력을 양성한다. 동시에 세계 유수의 AACSB인증을 받은 경영대학들과 학문적 교류를 통해 글로벌 경영인재를 배출한다. 이를 통해 세종대학교 경영학과는 경영교육에 대한 엄격한 기준의 평가를 통해 우수한 경영교육을 실행할 수 있는 역량을 검증 받는 과정으로 학교의 비전, 지원 시설, 재정적 지원능력, 지원 프로그램, 교수진,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종합적인 인증을 받게 되었다. 이후 세종대학교 경영학 학사학위 과정의 상위 10% 또는 경영학 석사학위 과정의 상위 20%내 학생은 베타 감마 시그마의 회원자격을 부여받는다. 베타 감마 시그마는 비즈니스 프로그램의 졸업생들을 위한 세계에서 가장 큰 동문집단이다.

7. 캠퍼스

세종대학교 캠퍼스는 11만 8262㎡의 면적을 가지고 있으며, 한강 북쪽 광진구 군자동 98번지에 위치해 있다.[34] 캠퍼스에는 현대적이고 전통적인 한국 건축 양식이 조화를 이루고 있다.[34]

정문 (2023년)


정문은 대한민국의 보물 제385호인 창경궁 명정문과 같은 단층 팔작지붕 형식으로, 국내 대학교 중 가장 한국적인 정문으로 꼽힌다.[89] 서울 지하철 7호선 어린이대공원역(세종대역) 6번 출구와 가깝다.[89]

집현관은 세종대학교의 주요 부서들이 위치한 건물로, 총장실과 이사장실, 인문과학대학, 사회과학대학 등이 있다.[90] 2006년 주식회사 서희건설이 증축했다.[90]

군자관에는 서점, 은행, 우체국,[91] 생활협동조합 등 편의 시설과 패션디자인학과, 만화애니메이션학과, 경영대학, 호텔관광대학 등이 있다. 소강당인 집현전에서는 대학교 주요 행사나 강연이 열린다.

Alt text
시계탑과 학술정보원, 박물관(2011년)


광개토관


광개토관은 경영대학, 호텔관광대학, 일반대학원, 국제어학원 등이 있는 건물이다. 외국인 기숙사, 스카이라운지, 게스트하우스, 소극장, 헬기 착륙장, 수영장 시설, 세종컨벤션센터, 카페, GS25 등이 있다. 2018 LoL KeSPA컵 결승전이 열리기도 했다.

대양 AI센터는 2019년 3월 8일 준공되었으며, 'SW중심대학' 사업의 일환으로 건립되었다. 인공지능 융합 연구 및 교육 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AI 콜라보레이션랩, 벤처기업, 창업공간, SW융합대학 학과 사무실, 교수연구실, 대학원 연구실 등이 있다.

대양홀은 지하 1층, 지상 5층 건물로, 2,029석 규모의 대강당과 음악과 연습실이 있다. 세종대학교 설립 30주년을 기념하여 1981년 완공되었다.

모차르트홀은 세종초등학교 강당으로 1969년 완공되었으며, 현재는 음악과 강의실로 사용되고 있다. 노후화 및 도로 계획으로 인해 철거될 예정이다.

캠퍼스는 학생식당, 체육관, 정원, 산책로 등 녹지 공간과 세종초등학교 건물, 학생회관, 운동장도 갖추고 있다.[34] 서울 어린이대공원과 가까워 여가 및 야외 활동을 위한 공간도 제공한다.

8. 부속기관

정보서비스기술센터(ITSC)는 세종대학교의 모든 학생, 교수, 직원에게 정보기술 지원 및 관련 서비스를 제공한다. 지원 및 서비스에는 최첨단 유선 및 무선 네트워크, 서버 등 IT 인프라의 운영 및 유지 관리, 행정 및 학술 시스템과 데이터 보호, 대학 정보 기술의 통합 시스템 개발 및 운영 등이 포함된다.

세종학당은 한국어, 영어, 중국어 세 가지 언어의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제공되는 언어 프로그램은 6단계(초급, 중급, 고급)의 한국어 프로그램, 영어회화 프로그램(특수 목적 영어, 비즈니스 글로벌 의사소통 기술 영어, 글로벌 리더를 위한 영어), 중국어 프로그램(한자 수업, 비즈니스 의사소통 중국어)이 있다.

==== 도서관 ====

세종대학교 학술정보원은 학교 연구활동과 관련된 자료를 수집, 정리, 보존하여 학교 구성원들에게 교육 관련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49년 3월 서울가정보육사범학교 도서실로 처음 문을 열었으며, 1954년 수도여자사범대학 도서관으로 이름을 바꾸었다.[92] 이후 1978년 세종대학 도서관, 1987년 세종대학교 도서관으로 변경하였고, 2000년 현재 이름인 세종대학교 학술정보원으로 최종 변경하였다.[92] 2010년 2월 기준으로 국내외 단행본 총 793,019권을 소장하고 있다.[92]

학술정보원 산하에는 정보처리과, 정보운영과 및 전자정보과가 있다. 정보처리과는 일반서무, 자료 구입 및 등록, 기증 관련 업무를 담당한다. 정보운영과는 자료 선정, 분류, 목록, 참고봉사, 이용자교육, 대출, 반납, 원문복사, 상호대차, 연속간행물 제본, 서고, 열람실, 시설 관리, 장서점검 등의 역할을 맡고 있다. 전자정보과는 학술정보원 서버, 전산장비, DB, 홈페이지 관리, 비도서자료, 전자자료 선정, 분류, 목록, 구독관리, 전자정보실, A/V실 운영 및 관리를 담당한다.

2023년 10월, 세종대 학술정보원은 9개월간의 리모델링을 통해 복합문화공간 및 감성적 학습•정보공간으로 재개장했다. '공존', 'Young Zone', 'Zero Zone'의 3가지 개념을 중심으로 학습 환경을 개선하였다. 특히 개방형 스터디룸 공간을 마련하여 기존의 밀집되고 폐쇄적인 학습 공간에서 디지털 학습 정보 기반의 카페형 스터디 공간으로 변화하였다.[93] 1947년 설립된 세종대학교 도서관은 2000년 12층 건물로 새롭게 단장했습니다. 84만 권의 장서와 1,500종의 정기 간행물, 2만 종의 전자 저널, 2만 3천 종의 전자 책을 소장하고 있으며, 3,200석의 열람실과 그룹 스터디 공간을 갖추고 있다. 한국 최초의 WTO 도서관이다.

==== 박물관 ====

Alt text
세종대학교 박물관 (2011년)


세종대학교 박물관은 1973년 5월 5일 백제탑 양식의 4층 건물로 준공, 개관됐다.[94] 1977년 5월 20일 증축하여 현재의 5층 박물관 모습을 갖게 되었다. '세종대학교박물관'은 1959년 충무로 교사(현 세종호텔)에 부설됐던 '수도화랑'이 효시이며, 1973년 독립된 건물을 준공하면서 지금의 '세종대박물관'이 만들어졌다.[94] 1979년 교명이 세종대학교로 변경됨에 따라 박물관의 명칭도 '세종대학교박물관'으로 개칭되어, 한국의 문화, 예술, 민속, 고고학 등의 연구에 있어 국내외 학자는 물론 학생들에게도 생생한 실물을 제공하고 있다.[94] 개관시간은 평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3시까지로 주말 및 공휴일은 문을 닫는다. 세종대학교 박물관 건물은 서울특별시가 지정한 '아름다운 건축물'에 선정되었다.[95]

세종대학교 박물관은 주로 민속, 도자기, 궁중 의상, 서화류 등 총 5천여 점을 소장하고 있고, 1998년부터 주로 민속관련 소장품 중에서 엄선하여 전시하고 있다.[96] 곤룡포(중요민속문화재 제58호)를 비롯한 중요민속문화재 14점을 소장하고 있다.[96] 2층은 세종대학교의 역사실과 전통 가옥을 재현한 민속실이 있고, 3층은 궁중 의상을 비롯한 관복, 군복과 여염의 의상류, 4층은 선조들이 애용하던 반상류와 소품, 5층은 대형 목공예품등을 전시하고 있다.

개관 당시 한국에서 가장 큰 대학박물관이었으며, 국내 최초의 생활민속박물관이라는 명성을 자랑한다. 1973년 5월 5일, 박정희 전 대통령과 육영수 여사가 참석한 가운데 공식 개관식이 열렸다. 박물관은 독특한 백제식 탑 형태로 설계되었으며, 민속예술부터 도자기, 궁중 의상, 서예, 그림에 이르기까지 5,000여 점이 넘는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 그 중에는 중요민속문화재 제58호인 곤룡포를 포함하여 국가지정 중요민속문화재 14점이 있다.

캠퍼스 동쪽 끝에 위치한 세종대학교 박물관은 대학교 설립자들이 수집한 유물과 골동품을 전시하고 있다. 이들은 학술 연구 목적으로 대학교에 기증되었다. 박물관의 역사는 1959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소장품에는 왕실 의례용품, 궁중 의상, 개인 장신구, 펜던트, 한국 전통 수묵화, 서예, 도자기 등이 포함된다. 박물관은 발굴 사업에도 참여하고 있다. 박물관은 일반인에게 공개되며 입장료는 무료이다.[35] 박물관 앞에는 '아사달'이라는 작은 호수가 있다.

==== 교회 ====

세종대학교 애지헌교회는 세종대학교 교내에 있는 기독교 교회 시설이다. 세종대학교의 교양학부 수업인 채플과 예체능대학 음악과의 오케스트라 공연의 용도로 사용된다. 교회의 담임 목사는 세종대학교 교목실장, 사역자 목사와 전도사는 세종대학교 행정조교를 겸임하고 있다.

==== 사회교육원 ====

세종대학교 사회교육원은 1993년 3월 전문지식과 사회실무를 겸비한 평생교육의 가치를 펼치기 위한 목적으로 개원하였다. 1998년 3월 학점은행제 시범운영기관으로 선정된 이후, 현재까지 학점은행제 교육기관으로 평가인증을 받고 있다.

학점은행제 과정으로는 호텔경영학, 외식경영학, 디지털콘텐츠, 음악학, 실용음악학, 무용학, 체육학, 패션디자인학, 패션비즈니스학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전문교육과정으로는 CEO과정, 인문과정, 음악과정, 요가과정, 패션과정 등을 운영하고 있다.

계속교육센터는 기존 대학에서 제공하는 교육을 보완하며 개방적이고 평생에 걸친 학습 기회를 제공한다. 세종 글로벌 해외연수 프로그램, 카지노 딜러 과정 전문 프로그램, 디지털 콘텐츠, 요리 및 외식 사업, 호텔 사업, 체육, 음악(피아노) 등을 다루며, 학점은행제를 기반으로 하는 학사 학위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 호텔 · 관광시설 ====

1966년 12월 서울특별시 중구 퇴계로에서 개관한 특1급 호텔인 세종대학교 세종호텔은 수도여자사범대학 시절의 옛 캠퍼스 위치에 자리하고 있다.[97] 개관 이래 학교법인 대양학원에서 운영하였으나 1978년 이후 학교법인 대양학원에서 출자한 세종투자개발이 운영을 전담하고 있다. 서울대학교병원과 고려대학교병원의 식당을 개관 및 운영한다.[98]

2012년 3월 서울특별시 광진구 군자동에 개관한 세종대학교 세종컨벤션센터는 대한민국 대학교 유일의 국제회의 전문시설로, 세종대학교에서 직접 운영하며 수익금은 대학 발전기금과 장학금으로 활용된다. 식음료 서비스는 세종호텔에서 제공하고 있다.

세종대학교 대양홀은 서울특별시 광진구 군자동에 위치한 콘서트홀로, 총 2,029석 규모이다. MBC 수요예술무대, 중앙일보 영화감상회, 제14회 월드미스유니버시티 선발대회 등을 개최하였고, 영화 라디오 스타 촬영지로도 사용되었다. S.E.S., 슈퍼주니어-D&E, 임창정, 거미, 세븐, 에일리 등 여러 가수의 단독 콘서트 및 팬미팅이 이곳에서 열렸다.

세종대학교 호텔관광외식경영학부는 세종호텔과 세종컨벤션센터에서 실습 및 인턴쉽 과정을 담당하고 있다.

==== 학술 · 연구시설 ====

세종대학교는 다양한 연구시설을 운영하며 학술 연구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 융합창업기업가센터: 교원 및 학생의 창업을 지원하고, 융합창업 인재 육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과 창업동아리, 창업경진대회 등 관련 행사를 주관한다.
  • 기후변화센터: 2009년 8월 설립되어 기후변화 관련 고급인력 양성 및 민관산학연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해외 연구기관과 협력, 학술발표회, 전문가 양성 강좌 등을 운영하며, 2012년 7월에는 한국형 온실가스배출 경로분석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99] 2003년부터 산업자원부, 에너지관리공단, 지식경제부, 환경부 등과 함께 기후변화 관련 특성화대학원을 운영해왔다.
  • 빅데이터산업진흥센터: 2014년 5월 16일 미래창조과학부와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의 지원으로 개소하여,[100] 빅데이터 산업 지원 및 중소기업 기술 개발을 돕고 있다. 레드테이블은 이 센터의 지원을 받아 제2회 공공데이터 활용 창업경진대회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했다.[101] 성균관대학교, 국민대학교와 함께 서울특별시청이 추진하는 빅데이터 캠퍼스에 선정되었다.[102]
  • 엔터테인먼트 소프트웨어센터: 엔터테인먼트 소프트웨어(ES) 복수학위제를 운영하며, 방송, 영화, 음악, 게임, 공연예술 등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융합 인력을 양성한다.


2002년 과학기술부는 세종대학교의 우주구조 및 진화 천체물리학 연구센터(ARCSEC)를 최우수 신규 연구소로 선정하였다.

2007년 10월, 엄수종 박사 연구팀은 분자 세포(Molecular Cell)에 AROS(Active Regulator of SIRT1)에 관한 논문을 게재하였다.[21][22]

2009년, 이재우 천문우주학과 교수 연구팀은 네이처(Nature)에 구상성단 형성 과정을 설명하는 논문을 발표하였고,[23] 2010년 NASA 허블 망원경 사용권을 획득한 최초의 한국 과학자가 되었다.[24]

2009년, 교육과학기술부는 세종대학교 생명공학과를 혁신 기술 개발 연구 과제 수행 기관으로 선정했다.[25]

2010년 5월, 세종대학교는 지식경제부로부터 자원 개발 특성화 대학으로 선정되었다.[26]

2010년 9월, 세종대학교 그래핀연구소는 한국연구재단의 우수연구센터로 선정되었다.[27]

2010년 10월, 세종대학교는 신젠타 AG(Syngenta AG)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28]

2010년 12월, 세종대학교 천문우주학과 김성은 박사는 올해의 여성과학자로 선정되었다.[29]

==== 부속 초등학교 ====

1962년 10월 국민학교 설립 인가를 받아 1963년 3월 수도여자사범대학 부속초등학교로 개교하였다. 1979년 세종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1996년 대한민국 교육법 개정 공포 이후 현재 명칭인 세종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했다.

세종초등학교(세종대학교 부설 세종초등학교)는 세종대학교1967년 4월 26일에 설립한 사립 초등학교이다. 서울특별시교육청의 감독을 받으며, 세종대왕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학업 성취도와 문화 유산에 대한 중점을 반영한다. 본교는 다양한 교과목과 특별활동을 포함하는 교육과정으로 초등교육을 제공한다. 학생들의 지적 및 인격적 성장을 모두 목표로 하는 균형 잡힌 교육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세종초등학교는 지역 내 중요한 교육기관으로 자리매김하였다. 손연재를 비롯한 많은 유명 졸업생들이 본교를 다녔다.

==== 부속 고등학교 ====

1958년 12월 수도여자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로 개교하였다. 1971년 11월 학칙 변경 후 여자고등학교에서 남녀공학 고등학교로 변경하였고, 1979년 9월 현재 명칭인 서울세종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했다. 1989년 2월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 현 위치로 이전했다.

8. 1. 도서관

세종대학교 학술정보원은 학교 연구활동과 관련된 자료를 수집, 정리, 보존하여 학교 구성원들에게 교육 관련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49년 3월 서울가정보육사범학교 도서실로 처음 문을 열었으며, 1954년 수도여자사범대학 도서관으로 이름을 바꾸었다.[92] 이후 1978년 세종대학 도서관, 1987년 세종대학교 도서관으로 변경하였고, 2000년 현재 이름인 세종대학교 학술정보원으로 최종 변경하였다.[92] 2010년 2월 기준으로 국내외 단행본 총 793,019권을 소장하고 있다.[92]

학술정보원 산하에는 정보처리과, 정보운영과 및 전자정보과가 있다. 정보처리과는 일반서무, 자료 구입 및 등록, 기증 관련 업무를 담당한다. 정보운영과는 자료 선정, 분류, 목록, 참고봉사, 이용자교육, 대출, 반납, 원문복사, 상호대차, 연속간행물 제본, 서고, 열람실, 시설 관리, 장서점검 등의 역할을 맡고 있다. 전자정보과는 학술정보원 서버, 전산장비, DB, 홈페이지 관리, 비도서자료, 전자자료 선정, 분류, 목록, 구독관리, 전자정보실, A/V실 운영 및 관리를 담당한다.

2023년 10월, 세종대 학술정보원은 9개월간의 리모델링을 통해 복합문화공간 및 감성적 학습•정보공간으로 재개장했다. '공존', 'Young Zone', 'Zero Zone'의 3가지 개념을 중심으로 학습 환경을 개선하였다. 특히 개방형 스터디룸 공간을 마련하여 기존의 밀집되고 폐쇄적인 학습 공간에서 디지털 학습 정보 기반의 카페형 스터디 공간으로 변화하였다.[93] 1947년 설립된 세종대학교 도서관은 2000년 12층 건물로 새롭게 단장했습니다. 84만 권의 장서와 1,500종의 정기 간행물, 2만 종의 전자 저널, 2만 3천 종의 전자 책을 소장하고 있으며, 3,200석의 열람실과 그룹 스터디 공간을 갖추고 있다. 한국 최초의 WTO 도서관이다.

8. 2. 박물관



세종대학교 박물관은 1973년 5월 5일 백제탑 양식의 4층 건물로 준공, 개관됐다.[94] 1977년 5월 20일 증축하여 현재의 5층 박물관 모습을 갖게 되었다. '세종대학교박물관'은 1959년 충무로 교사(현 세종호텔)에 부설됐던 '수도화랑'이 효시이며, 1973년 독립된 건물을 준공하면서 지금의 '세종대박물관'이 만들어졌다.[94] 1979년 교명이 세종대학교로 변경됨에 따라 박물관의 명칭도 '세종대학교박물관'으로 개칭되어, 한국의 문화, 예술, 민속, 고고학 등의 연구에 있어 국내외 학자는 물론 학생들에게도 생생한 실물을 제공하고 있다.[94] 개관시간은 평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3시까지로 주말 및 공휴일은 문을 닫는다. 세종대학교 박물관 건물은 서울특별시가 지정한 '아름다운 건축물'에 선정되었다.[95]

세종대학교 박물관은 주로 민속, 도자기, 궁중 의상, 서화류 등 총 5천여 점을 소장하고 있고, 1998년부터 주로 민속관련 소장품 중에서 엄선하여 전시하고 있다.[96] 곤룡포(중요민속문화재 제58호)를 비롯한 중요민속문화재 14점을 소장하고 있다.[96] 2층은 세종대학교의 역사실과 전통 가옥을 재현한 민속실이 있고, 3층은 궁중 의상을 비롯한 관복, 군복과 여염의 의상류, 4층은 선조들이 애용하던 반상류와 소품, 5층은 대형 목공예품등을 전시하고 있다.

개관 당시 한국에서 가장 큰 대학박물관이었으며, 국내 최초의 생활민속박물관이라는 명성을 자랑한다. 1973년 5월 5일, 박정희 전 대통령과 육영수 여사가 참석한 가운데 공식 개관식이 열렸다. 박물관은 독특한 백제식 탑 형태로 설계되었으며, 민속예술부터 도자기, 궁중 의상, 서예, 그림에 이르기까지 5,000여 점이 넘는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 그 중에는 중요민속문화재 제58호인 곤룡포를 포함하여 국가지정 중요민속문화재 14점이 있다.

캠퍼스 동쪽 끝에 위치한 세종대학교 박물관은 대학교 설립자들이 수집한 유물과 골동품을 전시하고 있다. 이들은 학술 연구 목적으로 대학교에 기증되었다. 박물관의 역사는 1959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소장품에는 왕실 의례용품, 궁중 의상, 개인 장신구, 펜던트, 한국 전통 수묵화, 서예, 도자기 등이 포함된다. 박물관은 발굴 사업에도 참여하고 있다. 박물관은 일반인에게 공개되며 입장료는 무료이다.[35] 박물관 앞에는 '아사달'이라는 작은 호수가 있다.

8. 3. 교회

세종대학교 애지헌교회는 세종대학교 교내에 있는 기독교 교회 시설이다. 세종대학교의 교양학부 수업인 채플과 예체능대학 음악과의 오케스트라 공연의 용도로 사용된다. 교회의 담임 목사는 세종대학교 교목실장, 사역자 목사와 전도사는 세종대학교 행정조교를 겸임하고 있다.

8. 4. 사회교육원

세종대학교 사회교육원은 1993년 3월 전문지식과 사회실무를 겸비한 평생교육의 가치를 펼치기 위한 목적으로 개원하였다. 1998년 3월 학점은행제 시범운영기관으로 선정된 이후, 현재까지 학점은행제 교육기관으로 평가인증을 받고 있다.

학점은행제 과정으로는 호텔경영학, 외식경영학, 디지털콘텐츠, 음악학, 실용음악학, 무용학, 체육학, 패션디자인학, 패션비즈니스학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전문교육과정으로는 CEO과정, 인문과정, 음악과정, 요가과정, 패션과정 등을 운영하고 있다.

계속교육센터는 기존 대학에서 제공하는 교육을 보완하며 개방적이고 평생에 걸친 학습 기회를 제공한다. 세종 글로벌 해외연수 프로그램, 카지노 딜러 과정 전문 프로그램, 디지털 콘텐츠, 요리 및 외식 사업, 호텔 사업, 체육, 음악(피아노) 등을 다루며, 학점은행제를 기반으로 하는 학사 학위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8. 5. 호텔 · 관광시설

1966년 12월 서울특별시 중구 퇴계로에서 개관한 특1급 호텔인 세종대학교 세종호텔은 수도여자사범대학 시절의 옛 캠퍼스 위치에 자리하고 있다.[97] 개관 이래 학교법인 대양학원에서 운영하였으나 1978년 이후 학교법인 대양학원에서 출자한 세종투자개발이 운영을 전담하고 있다. 서울대학교병원과 고려대학교병원의 식당을 개관 및 운영한다.[98]

2012년 3월 서울특별시 광진구 군자동에 개관한 세종대학교 세종컨벤션센터는 대한민국 대학교 유일의 국제회의 전문시설로, 세종대학교에서 직접 운영하며 수익금은 대학 발전기금과 장학금으로 활용된다. 식음료 서비스는 세종호텔에서 제공하고 있다.

세종대학교 대양홀은 서울특별시 광진구 군자동에 위치한 콘서트홀로, 총 2,029석 규모이다. MBC 수요예술무대, 중앙일보 영화감상회, 제14회 월드미스유니버시티 선발대회 등을 개최하였고, 영화 라디오 스타 촬영지로도 사용되었다. S.E.S., 슈퍼주니어-D&E, 임창정, 거미, 세븐, 에일리 등 여러 가수의 단독 콘서트 및 팬미팅이 이곳에서 열렸다.

세종대학교 호텔관광외식경영학부는 세종호텔과 세종컨벤션센터에서 실습 및 인턴쉽 과정을 담당하고 있다.

8. 6. 학술 · 연구시설

세종대학교는 다양한 연구시설을 운영하며 학술 연구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 융합창업기업가센터: 교원 및 학생의 창업을 지원하고, 융합창업 인재 육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과 창업동아리, 창업경진대회 등 관련 행사를 주관한다.
  • 기후변화센터: 2009년 8월 설립되어 기후변화 관련 고급인력 양성 및 민관산학연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해외 연구기관과 협력, 학술발표회, 전문가 양성 강좌 등을 운영하며, 2012년 7월에는 한국형 온실가스배출 경로분석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99] 2003년부터 산업자원부, 에너지관리공단, 지식경제부, 환경부 등과 함께 기후변화 관련 특성화대학원을 운영해왔다.
  • 빅데이터산업진흥센터: 2014년 5월 16일 미래창조과학부와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의 지원으로 개소하여,[100] 빅데이터 산업 지원 및 중소기업 기술 개발을 돕고 있다. 레드테이블은 이 센터의 지원을 받아 제2회 공공데이터 활용 창업경진대회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했다.[101] 성균관대학교, 국민대학교와 함께 서울특별시청이 추진하는 빅데이터 캠퍼스에 선정되었다.[102]
  • 엔터테인먼트 소프트웨어센터: 엔터테인먼트 소프트웨어(ES) 복수학위제를 운영하며, 방송, 영화, 음악, 게임, 공연예술 등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융합 인력을 양성한다.


2002년 과학기술부는 세종대학교의 우주구조 및 진화 천체물리학 연구센터(ARCSEC)를 최우수 신규 연구소로 선정하였다.

2007년 10월, 엄수종 박사 연구팀은 분자 세포(Molecular Cell)에 AROS(Active Regulator of SIRT1)에 관한 논문을 게재하였다.[21][22]

2009년, 이재우 천문우주학과 교수 연구팀은 네이처(Nature)에 구상성단 형성 과정을 설명하는 논문을 발표하였고,[23] 2010년 NASA 허블 망원경 사용권을 획득한 최초의 한국 과학자가 되었다.[24]

2009년, 교육과학기술부는 세종대학교 생명공학과를 혁신 기술 개발 연구 과제 수행 기관으로 선정했다.[25]

2010년 5월, 세종대학교는 지식경제부로부터 자원 개발 특성화 대학으로 선정되었다.[26]

2010년 9월, 세종대학교 그래핀연구소는 한국연구재단의 우수연구센터로 선정되었다.[27]

2010년 10월, 세종대학교는 신젠타 AG(Syngenta AG)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28]

2010년 12월, 세종대학교 천문우주학과 김성은 박사는 올해의 여성과학자로 선정되었다.[29]

8. 7. 부속 초등학교

1962년 10월 국민학교 설립 인가를 받아 1963년 3월 수도여자사범대학 부속초등학교로 개교하였다. 1979년 세종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1996년 대한민국 교육법 개정 공포 이후 현재 명칭인 세종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했다.

세종초등학교(세종대학교 부설 세종초등학교)는 세종대학교1967년 4월 26일에 설립한 사립 초등학교이다. 서울특별시교육청의 감독을 받으며, 세종대왕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학업 성취도와 문화 유산에 대한 중점을 반영한다. 본교는 다양한 교과목과 특별활동을 포함하는 교육과정으로 초등교육을 제공한다. 학생들의 지적 및 인격적 성장을 모두 목표로 하는 균형 잡힌 교육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세종초등학교는 지역 내 중요한 교육기관으로 자리매김하였다. 손연재를 비롯한 많은 유명 졸업생들이 본교를 다녔다.

8. 8. 부속 고등학교

1958년 12월 수도여자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로 개교하였다. 1971년 11월 학칙 변경 후 여자고등학교에서 남녀공학 고등학교로 변경하였고, 1979년 9월 현재 명칭인 서울세종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했다. 1989년 2월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 현 위치로 이전했다.

9. 동문

청하, 가수

공효진, 배우

거스 히딩크, 축구 감독

펜타곤의 멤버 키노 (가수), 가수

한지혜, 배우

마이네임의 멤버 강인수, 가수

강신효, 배우

밀크의 멤버 김보미, 배우 겸 가수

김희찬, 배우

김소혜, 배우 겸 가수

김성은, 배우

견미리, 배우 겸 가수

이아현, 배우

이다희, 배우

이준익, 영화 감독

이세은, 배우

이서원, 배우

2PM의 멤버 이준호, 배우 겸 가수

남인순, 운동가 겸 정치인

오창석, 배우

밀크의 멤버 박희본, 배우 겸 가수

프로듀스 101 시즌 2의 참가자 박성우, 배우

심지호, 배우

신혜선, 배우

신수지, 리듬체조 선수

송건희, 배우

송혜교, 배우

엠블랙의 멤버 양승호, 가수

연우진, 배우

유하, 영화 감독, 시나리오 작가 겸 시인

유연석, 배우

윤진이, 배우

윤영아, 배우

10. 학생 활동

세종대학교는 세종장학금을 포함하여 90여 종의 장학금을 학생들에게 제공한다. 학생 시설로는 2,800석 규모의 다목적 공연장, 메인 운동장, 스포츠 콤플렉스, 테니스장, 보건진료소, 식당, 카페테리아, 커피숍, 은행, 우체국, 서점, 문구점, 여행사 등이 있다.

세종대학교 학생 동아리는 공연, 스포츠, 봉사, 문화, 학술, 종교의 여섯 가지 분야로 분류된다. 각 분야에는 다양한 전공의 학생들이 공통의 관심사를 공유하는 중앙 동아리와 특정 전공에 맞춰 구성된 소규모 동아리가 모두 포함된다. 대부분의 동아리방은 정문 근처에 있는 학생회관 5층과 6층에 위치해 있다. 하지만 시끄러운 공연과 관련된 일부 동아리는 같은 건물 지하 2층에 위치해 있다.

분류학생 동아리 목록
공연가퍼, 늘혬코러스, 더 블랙, 사운드 플러스, 소울 트레인, 세종극예술연구회, 인트로 앤 댄스, 터벌림, 페이지 7, 한울림
스포츠러시, 발파람, 브라운 스킨, 비화랑, 세종테니스클럽(STC), 요트부, 세종킹스, FC 태클, 휠링, 도프 보이즈, 점프
봉사도덕재무장운동(MRA), SELS, 죽순회, 로타랙트
문화세종서회, 마스터, 율, 유스호스텔, 한손, MIS, 두바퀴, 밤부, 세종문학회
학술별무리, 세종서회, 인터페이스, 유엔학생협회(UNSA), SJFI, KUSA, 유마프랜, 에낙터스(Enactus)
종교레지나, 대학생간 기독교 연합회(IVF), 기쁜 청년 선교회(JYM), 그리스도의 사자 선교회(CAM), 크리스챤 크루세이드 포 크라이스트(C.C.C), 한국창가학회(KSGI)


10. 1. 총학생회

세종대학교 총학생회는 학교 축제 및 각종 학교 문제에 대한 대학 본부와의 협의를 주관한다. 2010년2012년은 선거가 무산되어 총학생회가 공석이었다. 2014년 회장 김종현, 부회장 강희령의 선출로 총학생회는 "액션"이라는 슬로건으로 활동했다. 그러나 2014년 4월 10일 개최된 전체 총회에서 타 총장 직속 기구를 비난하는 투의 발언으로 논란이 일었다.

세종대학교 학생 동아리는 공연, 스포츠, 봉사, 문화, 학술, 종교의 여섯 가지 분야로 분류된다. 각 분야에는 다양한 전공의 학생들이 공통의 관심사를 공유하는 중앙 동아리와 특정 전공에 맞춰 구성된 소규모 동아리가 모두 포함된다. 대부분의 동아리방은 정문 근처에 있는 학생회관 5층과 6층에 위치해 있다. 하지만 시끄러운 공연과 관련된 일부 동아리는 같은 건물 지하 2층에 위치해 있다.

분류학생 동아리 목록
공연가퍼, 늘혬코러스, 더 블랙, 사운드 플러스, 소울 트레인, 세종극예술연구회, 인트로 앤 댄스, 터벌림, 페이지 7, 한울림
스포츠러시, 발파람, 브라운 스킨, 비화랑, 세종테니스클럽(STC), 요트부, 세종킹스, FC 태클, 휠링, 도프 보이즈, 점프
봉사도덕재무장운동(MRA), SELS, 죽순회, 로타랙트
문화세종서회, 마스터, 율, 유스호스텔, 한손, MIS, 두바퀴, 밤부, 세종문학회
학술별무리, 세종서회, 인터페이스, 유엔학생협회(UNSA), SJFI, KUSA, 유마프랜, 에낙터스(Enactus)
종교레지나, 대학생간 기독교 연합회(IVF), 기쁜 청년 선교회(JYM), 그리스도의 사자 선교회(CAM), 크리스챤 크루세이드 포 크라이스트(C.C.C), 한국창가학회(KSGI)


10. 2. 교내 언론

세종대학교에는 언론기관으로 세종대신문사, 세종대영자신문사, 군자방송국 SKBS가 있다.

《세종대신문》은 1957년 《수도여자사범대학보》로 창간되었으며, 격주로 발행된다. 대학부, 문화부, 사회부 등으로 구성되어, 학내외 소식과 다양한 현상들을 취재한다. 대학 공동체 구성원들의 의견 개진을 돕고 학문 및 학습활동을 활성화하는 역할을 한다.

《세종타임즈》는 1968년 《수도 헤럴드》로 창간되어 1981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연 4회 발행되는 영자 신문이다. 대학부, 사회부, 문화부, 국제부 등으로 구성되어, 영어를 통한 학내 공감대 형성과 외국인 학생들과의 소통을 돕는 역할을 한다.

군자방송국 SKBS는 1957년 개국하여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주중 1일 3회 정규방송과 특별방송을 송출한다. 보도부, 아나운서부, 제작부, 기술부 등으로 구성되어, 학내 여론 형성과 문제점을 파헤치고, 학우들의 정서 함양을 위한 역할을 한다. 오디오 방송은 8시 40분, 12시 40분, 17시 40분에 진행되며, 영상 방송은 엘리베이터 및 각 건물 중앙 TV를 통해 송출된다. 특별 방송 《SKBS LIVE》는 2015년 유튜브를 통해, 2016년부터 페이스북 라이브를 통해 송출되고 있으며, 이는 대한민국 대학 방송국 최초의 페이스북 라이브 방송이다.

《세종니야기》는 세종대학교 총학생회에서 발행하는 소식지로, 타블로이드배판 판형과 올컬러 채색으로 발행된다. 학우들과의 소통을 위해 발행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10. 3. 주요 행사

대동제는 세종대학교의 축제로 매년 5월의 셋째 주에 개최된다. 총학생회와 동아리 협회, 각 단과대학 학생회를 중심으로 진행된다. 최근의 축제는 다양한 동아리들의 공연, 영화제, 전시회 등의 문화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103] 또한 각 학과의 특색을 살린 행사 등으로 진행되고 있다.

대동제는 매년 5월 넷째 주에 개최되는 세종대학교 전교생 축제로, 세종대학교의 창립기념일을 기념하기 위해 열린다. 학생들은 콘서트, 예술 공연, 영화제, 전시회 등 다양한 행사를 통해 축제를 즐긴다.[36] 2023년 행사는 '행복한 세종의 날'이라는 주제로 4년 만에 대면 행사로 개최되었다.[36] 주요 행사로는 개인 및 팀의 버스킹 공연, 다양한 음식을 제공하는 푸드트럭, 그리고 외부 업체와 동아리들이 주최하는 체험 부스 등이 있었다.

11. 국제 교류

세종대학교는 전세계 51개국 337개의 대학 및 기관과 교류하고 있다.[18][20]

아시아유럽북아메리카남아메리카오세아니아



세종대학교는 교환학생 프로그램,[18] 이중 학위 프로그램 (영국 윈체스터 대학교, 중국 상하이 교통대학교), 세종-시러큐스 MBA 공동 프로그램 (미국 시러큐스 대학교), 여름 프로그램 (미국 존슨앤드웨일즈 대학교), 단기 어학 프로그램 (미국 메릴허스트 대학교, 영국 윈체스터 대학교)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샌디에이고 주립대학교(San Diego State University) 겨울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로봇 공학에 대한 실무 경험을 쌓고, 샌디에이고(San Diego)를 탐험하면서 영어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20] 상하이 자오퉁 대학교 이중 학위 프로그램은 중국 상업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중국 최고의 대학과 협력하여 2+2 학습 계획을 제공한다.[20] 요코하마 3+1 국제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일본(Japan)에서 1년 동안 공부하여 일본 문학과 문화에 대한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20]

참조

[1] 웹사이트 세종대학교 http://www.sejong.ac[...] 2024-12-21
[2] 웹사이트 Brief History https://en.sejong.ac[...] 2024-12-21
[3] Youtube [세종대학교SejongUniversity] 2022 세종대학교 인서울 다이나믹 전공토크 7부작 1화 : 세종대학교의 도전과 응전의 역사, 현재의 잠재력과 비전 https://www.youtube.[...] 2024-12-21
[4] 웹사이트 세종대학교 홍보실 http://www.sejongpr.[...] 2024-12-21
[5] 뉴스 Sejong-Syracuse MBA program gets boost from AACSB https://news.syr.edu[...] 2024-12-21
[6] 웹사이트 College of Liberal Arts Overview https://en.sejong.ac[...] 2024-12-14
[7] 웹사이트 College of Social Sciences Overview https://en.sejong.ac[...] 2024-12-14
[8] 웹사이트 College of Business & Economics Overview https://en.sejong.ac[...] 2024-12-14
[9] 웹사이트 College of Hospitality & Tourism Overview https://en.sejong.ac[...] 2024-12-14
[10] 웹사이트 Faculty of Law https://en.sejong.ac[...] 2024-12-14
[11] 웹사이트 College of Natural Sciences Overview https://en.sejong.ac[...] 2024-12-14
[12] 웹사이트 College of Life Sciences Overview https://en.sejong.ac[...] 2024-12-14
[13] 웹사이트 College of AI Convergence Overview https://en.sejong.ac[...] 2024-12-14
[14] 웹사이트 College of Engineering Overview https://en.sejong.ac[...] 2024-12-14
[15] 웹사이트 College of Arts & Physical Education Overview https://en.sejong.ac[...] 2024-12-14
[16] 웹사이트 Daeyang Humanity College https://en.sejong.ac[...] 2024-12-14
[17] 웹사이트 Sejong University http://www.sejong.ac[...] 2022-01-12
[18] 웹사이트 Sejong University http://www.sejong.ac[...] 2022-01-12
[19] 웹사이트 English Track https://en.sejong.ac[...] 2024-12-14
[20] 웹사이트 ETC Program https://en.sejong.ac[...] 2024-12-14
[21] 논문 Active Regulator of SIRT1 Cooperates with SIRT1 and Facilitates Suppression of p53 Activity
[22] 논문 Active regulator of SIRT1 cooperates with SIRT1 and facilitates suppression of p53 activity http://pubpeer.com/p[...] 2007-10-26
[23] 웹사이트 Enrichment by supernovae in globular clusters with multiple populations http://www.nature.co[...]
[24] 뉴스 미 NASA 허블 우주 망원경, 국내 과학자 첫 이용권 획득 http://news.dongasci[...] The Science
[25] 뉴스 세종대 엄수종 교수, 중견연구자지원사업 따냈다 http://www.hani.co.k[...] 한겨레
[26] 웹사이트 Sejong Today http://www.sejongsto[...] 2018-03-01
[27] 웹사이트 세종사이버홍보관 > 프레스룸 1 페이지 http://www.sejongpr.[...] 2011-04-18
[28] 웹사이트 세종사이버홍보관 > 프레스룸 > 세종대, 세계적 농업기업 신젠타와 손잡고 식물육종분야 특성화 본격 추진 http://www.sejongpr.[...] 2011-01-10
[29] 뉴스 http://economy.donga[...] DongA Economy
[30] 웹사이트 세종사이버홍보관 > 세종투데이 > 세종대, 중앙일보 '2008 대학평가'에서 생명공학과 평판도, 교수 연구 부문에서 우수한 평가 받아 http://sejongpr.ac.k[...] 2011-01-10
[31] 웹사이트 세종사이버홍보관 > 세종투데이 > 세계로 비상하는 세종대학교 http://www.sejongpr.[...] 2011-01-10
[32] 뉴스 Sejong-Syracuse MBA Program Gets Boost from AACSB http://whitman.syr.e[...] Whitman School of Management News Room
[33] 웹사이트 QS Top Universities: Asian University Rankings 2010 -Top 200 http://www.topuniver[...]
[34] 웹사이트 Campus Map https://en.sejong.ac[...] 2024-12-15
[35] 웹사이트 세종사이버홍보관 > 세종투데이 > 미지의 그 곳, '세종대박물관'으로 Go Go!! http://www.sejongpr.[...] 2011-01-10
[36] 웹사이트 세종대학교 홍보실 https://pr.sejong.ac[...] 2024-12-14
[37] 웹인용 [한경에세이] 양성평등의 긍정 효과 https://www.hankyung[...]
[38] 웹인용 배덕효 세종대 총장, “AI 선도교육 통해 ‘글로벌 명문사학’으로 발돋움한다” https://www.dhnews.c[...]
[39] 웹인용 교육부 대학알리미 https://web.archive.[...] 2016-01-07
[40] 뉴스 세종대 "고대, 대통령 배출했다고 너무 하는 것 아니냐" http://www.viewsnnew[...]
[41] 웹인용 SEJONG UNIVERSITY - Brief History https://en.sejong.ac[...]
[42] 웹인용 세종대학교 2022년도 요람 - 세종대학교 연혁 http://www.sejong.ac[...]
[43] 뉴스 女子專門學館 ◇二十日頃開學◇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47-05-15
[44] 웹인용 女子專問學(여자전문학) 館正式認可(관정식인가)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1947-05-10
[45] 웹인용 女子專門學舘(여자전문학관) 二日開館式(이일개관식)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47-06-03
[46] 웹인용 家政保育師範學校(가정보육사범학교) 首都女師大(수도여사대)로昇格(승격) https://newslibrary.[...] 2022-10-06
[47] 뉴스 “수시 ‘지역인재’ 신설… 수도권 外 고교 출신자 선발” http://edu.chosun.co[...]
[48] 뉴스 서울家庭保育學校 「女子師大」로昇格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54-02-17
[49] 뉴스 首都女子師範大學發足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54-02-17
[50] 뉴스 首都女子大에 美術學科新設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56-02-29
[51] 뉴스 수도여자사범대학 부속여자중고등학교 중학교신입생모집요항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59-01-09
[52] 뉴스 私大整備에最終斷案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61-11-18
[53] 뉴스 在籍者의 約半으로줄어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61-11-22
[54] 뉴스 三個私立國民校를認可 明春3月1日부터開校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62-11-09
[55] 뉴스 再調整된 私立大學定員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63-12-24
[56] 뉴스 67學年度 大學 學科定員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 1966-12-07
[57] 뉴스 31日에낙성식거행 세종호텔新舘신축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 1968-05-28
[58] 뉴스 敎員자격증 안줘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68-10-10
[59] 뉴스 大学정원천9백명늘려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68-12-16
[60] 뉴스 조정된大學定員 내용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70-12-23
[61] 뉴스 전국 大學定員 조정現況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72-12-09
[62] 뉴스 수도女師大 博物館개관 총 1,200평,2萬점 소장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73-05-28
[63] 뉴스 敎育 보편화에 한 걸음 - 大學 進學律 18%서 22%로 大學정원 대폭증원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78-10-07
[64] 웹인용 '낮아짐'의 신앙으로 교육에 헌신한 자 (대양 주영하 박사의 삶과 신앙 <강하고 담대하라>) https://www.newsnjoy[...]
[65] 뉴스 79學年度 大學·專門大學 入學定員조정내용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78-10-07
[66] 뉴스 간판보다 '전공'뜨는 학과를 잡아라 http://newslibrary.n[...] 한겨레 1999-12-13
[67] 뉴스 (정시특집) 미래가 보이는 계약·특성화학과 http://news.unn.net/[...]
[68] 뉴스 (원자력 인재양성소)(4) 세종대학교 http://www.electimes[...]
[69] 뉴스 세종대, 특성화고졸재직자 특별전형 신설 http://www.mt.co.kr/[...]
[70] 웹사이트 창립 75주년 기념 엠블럼 선보여 http://sejongpr.ac.k[...] 세종대학교 홍보실
[71] 뉴스 세종대, 2017학년도 법학부 신설 http://www.newscj.co[...] 천지일보
[72] 간행물 세종대, 2014년 고용노동부 '일자리 창출 유공' 국무총리 표창 수상 http://www.sejongpr.[...] 세종대학교 홍보실
[73] 간행물 세종대, 교육부 2015 대학구조개혁평가 최우수 A등급 http://home.sejong.a[...] 세종대학교 행정학과 홈페이지
[74] 웹인용 세종대학교, 대학기본역량진단 ‘자율개선대학’ 최종 선정 http://www.sejongpr.[...]
[75] 웹인용 세종대학교 대학혁신지원사업 https://sjuis.sejong[...]
[76] 웹인용 2021년 대학기본역량진단 결과 일반재정지원 선정 대학 명단 http://www.edupress.[...]
[77] 웹인용 세종대, 대학혁신지원사업 성과평가서 2년 연속 교육혁신 최우수 ‘S등급’ https://www.joongang[...] 2024-10-17
[78] 웹인용 세종대, 2024 QS 아시아대학평가 76위 달성 https://www.m-i.kr/n[...]
[79] 웹인용 세종대, 2024 QS 세계대학평가 호텔경영학 세계 43위 https://lifenlearnin[...]
[80] 뉴스인용 세종대, ‘2025 THE 세계대학평가’ 국내 7위에 올라 https://lifenlearnin[...]
[81] 뉴스 세종대, ‘THE 아시아 대학평가’ 국내 9위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82] 웹인용 세종대, 논문 기반 대학 평가 ‘라이덴랭킹’ 2년 연속 국내 1위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83] 간행물 세종대 신입생 예비대학 소프트웨어 교육과정, 미래창조과학부 모범사례로 선정 http://www.sejongpr.[...] 세종대학교 홍보실
[84] 웹인용 세종대, ‘디지털 물산업 혁신인재 양성사업’ 선정 https://news.chosun.[...]
[85] 웹인용 [Who Is ?] 엄종화 세종대학교 총장 https://www.business[...] 2024-10-17
[86] 간행물 PBL(Problem Based Learning) 과목 안내 http://lms.sejong.ac[...] 세종대학교 공지사항
[87] 간행물 2017-2 영어 졸업인증 신청 안내 http://board.sejong.[...] 세종대학교 공지사항
[88] 뉴스 (도약MBA) 세종대 "美시라큐즈대 교수가 직접 강의" http://www.mt.co.kr/[...] 머니투데이
[89] 뉴스 (역세권 돋보기) 어린이대공원 역 https://news.naver.c[...] 매일경제
[90] 뉴스 서희건설, 109억 세종대 집현관 신축공사 https://news.naver.c[...] 머니투데이
[91] 뉴스 세종대에 우체국 출장소 개소 http://www.asiae.co.[...] 아시아경제
[92] 웹인용 한국 도서관협회 http://www.kla.kr/bu[...] 2010-02-15
[93] 웹인용 [세종대학교/Sejong University] 세종대학교 도서관이 이렇게 변했습니다! 세종대학교 학술정보원 홍보영상 https://www.youtube.[...]
[94] 뉴스 수도女師大 박물관 개관 총 1,200평, 2萬점 소장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73-05-28
[95] 뉴스 ‘아름다운 건축물’에 고려대 본관 등 6개 대학건물 http://news.unn.net/[...] 한국대학신문
[96] 간행물 세종대학교 창립 75주년 기념, 소장유물 진품 첫 공개 http://www.sejongpr.[...] 세종대학교 홍보팀
[97] 백과사전 세종호텔 https://terms.naver.[...] 네이버 기관단체사전
[98] 백과사전 세종호텔 https://terms.naver.[...] 두산백과
[99] 뉴스 온실가스 배출 경로 분석 프로그램 공개 설명회 http://www.hkbs.co.k[...] 환경일보
[100] 뉴스 빅데이터산업진흥센터 19개월, 산학협력 활발 http://news.joins.co[...] 중앙일보
[101] 뉴스 빅데이터산업진흥센터, 빅데이터 기업 지원 성과 발표 및 활성화 가속 http://www.newscj.co[...] 천지일보
[102] 뉴스 대학들, 사회 발전 위한 빅데이터 이용 첫 걸음 내딛다 http://news.unn.net/[...] 한국대학신문
[103] 뉴스 세종대 군자 대동제 대성황리 http://www.asiae.co.[...] 아시아경제
[104] 웹인용 세종대, 가을축제 '힘미제' 개최 https://n.new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