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노땐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땐쓰는 신해철과 윤상이 결성한 프로젝트 그룹이다. 1990년대 한국 가요 시장에서 테크노 음악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며, 1996년 앨범 《골든힛트》를 발매했다. 이들은 테크노 음악을 기반으로 실험적인 사운드를 선보였으며, 수록곡 '달리기'는 여러 가수에 의해 리메이크되며 대중적으로 알려졌다. 2010년에는 게임 《아키에이지》의 음악 제작에 참여했으며, 1집 발매 이후에는 각자의 음악 활동에 집중하며 사실상 활동을 중단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해철 - 신해철의 고스트스테이션
    신해철의 고스트스테이션은 신해철이 진행한 라디오 프로그램으로, 인터넷 방송에서 시작해 여러 채널을 거치며 심야 시간대에 방송되었고, 엽기적인 유머, 사회 비판, 인디 음악 소개 등으로 젊은 층에게 인기를 끌었으며 사회적 논란과 진보적인 시각으로 사회 문제에 대한 비판적 논평을 했다.
  • 신해철 - 다빈크
    다빈크는 과거 여러 그룹에서 활동하고 현재 원피스 멤버로 활동하는 대한민국의 음악가로, 솔로 활동과 더불어 다양한 아티스트의 음반 참여 및 방송 출연 등 꾸준히 음악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 테크노 음악 그룹 - 바나나걸
    바나나걸 음반 목록은 '엉덩이', '부비부비', '쵸콜렛', '미쳐 미쳐 미쳐' 등의 대표곡이 수록된 정규 앨범 《Banana Girl Chapter 1》, 《bubi-bubi》, 《쵸콜렛》, 《Colorful》과 싱글 앨범 《내 차를 가져가》, 《[S] summer special》, 《키스해죠》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테크노 음악 그룹 - 스쿠터 (밴드)
    스쿠터는 Celebrate the Nun 출신 멤버들이 주축이 되어 1993년 독일에서 결성된 테크노, 하드 댄스 음악 밴드로서, The Loop라는 리믹스 팀 활동을 통해 이름을 알린 후 "Hyper Hyper", "Move Your Ass!" 등의 히트곡으로 상업적 성공을 거두며 멤버 교체 후에도 꾸준히 음악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 대한민국의 전자 음악 그룹 - 클래지콰이 프로젝트
    클래지콰이 프로젝트는 DJ 클래지, 알렉스, 호란으로 구성된 대한민국의 혼성 그룹이며, 클래식, 재즈, 그루브를 결합한 음악 스타일로 2004년 데뷔 이후 여러 앨범을 발매하고 한국대중음악상 수상 및 드라마 OST 참여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 대한민국의 전자 음악 그룹 - 바나나걸
    바나나걸 음반 목록은 '엉덩이', '부비부비', '쵸콜렛', '미쳐 미쳐 미쳐' 등의 대표곡이 수록된 정규 앨범 《Banana Girl Chapter 1》, 《bubi-bubi》, 《쵸콜렛》, 《Colorful》과 싱글 앨범 《내 차를 가져가》, 《[S] summer special》, 《키스해죠》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노땐쓰 - [음악 그룹]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그룹명Nodance (노땐쓰)
활동 시기1996년 ~ 1997년
장르테크노, 일렉트로니카
구성원신해철
윤상

2. 음악 활동

원래 1992년경에 신해철윤상 두 사람 사이에는 작업을 같이 하자는 얘기가 오고 갔었는데, 계속 미뤄지다가 윤상의 제대와 함께 앨범작업을 시작했다. 'NODANCE'라는 팀명처럼 이 그룹은 테크노음악이 90년대 당시 국내 가요시장에서 댄스음악의 대량복제에 쓰여온 왜곡된 현실을 바로잡고, 테크노음악으로도 얼마든지 실험적인 음악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려 했다.[1]

1996년 첫 앨범 《골든힛트》를 발매하고 한 인터뷰에서 신해철은 "국내 테크노 댄스곡 중 많은 노래들이 창조적이지 않고 CD샘플러의 음을 조합한 것"이라 지적하고 감상용 음악을 제시한 것이라 밝혔고, 윤상도 "테크노음악을 기초로 해서 '테크노 발라드'라 불릴만한 전자음의 서정적 매력을 선보였다"라고 밝혔다.[2]

2010년 신해철과 윤상은 게임 《아키에이지》 음악제작에 참여했다.[3]

특히 노땐스의 수록곡, 달리기는 2002년 S.E.S.를 통해 리메이크되며 히트했고 2015년 옥상달빛을 통해 다시 리메이크되며 젊은층에게도 많이 알려졌다.

2. 1. 결성 배경

1992년경, 신해철윤상은 함께 음악 작업을 하자는 의견을 나누었으나, 여러 사정으로 인해 미뤄졌다. 이후 윤상의 제대와 함께 본격적인 앨범 작업이 시작되었다.[1] 'NODANCE'라는 팀명은 당시 대한민국 가요 시장에서 댄스 음악의 대량 복제에 쓰이던 테크노 음악의 왜곡된 현실을 바로잡고, 테크노 음악으로도 실험적인 음악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려는 의지를 담고 있다.[1] 1996년 첫 앨범 《골든힛트》를 발매하고 한 인터뷰에서 신해철은 "국내 테크노 댄스곡 중 많은 노래들이 창조적이지 않고 CD샘플러의 음을 조합한 것"이라 지적하고 감상용 음악을 제시한 것이라 밝혔고, 윤상도 "테크노음악을 기초로 해서 '테크노 발라드'라 불릴만한 전자음의 서정적 매력을 선보였다"라고 밝혔다.[2]

2. 2. 음악적 특징 및 평가

노땐쓰는 1992년경부터 신해철과 윤상이 함께 작업을 하자는 논의가 있었으나 미뤄지다가, 윤상의 제대와 함께 앨범 작업을 시작했다.[1] 'NODANCE'라는 팀명처럼, 이 그룹은 1990년대 당시 대한민국 가요 시장에서 테크노 음악이 댄스 음악의 대량 복제에 쓰여 온 왜곡된 현실을 바로잡고, 테크노 음악으로도 실험적인 음악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려 했다.[1]

1996년 첫 앨범 《골든힛트》를 발매하고 한 인터뷰에서 신해철은 "국내 테크노 댄스곡 중 많은 노래들이 창조적이지 않고 CD 샘플러의 음을 조합한 것"이라 지적하고 감상용 음악을 제시한 것이라 밝혔다.[2] 윤상 또한 "테크노 음악을 기초로 해서 '테크노 발라드'라 불릴만한 전자음의 서정적 매력을 선보였다"라고 설명했다.[2]

특히 노땐스의 수록곡 '달리기'는 2002년 S.E.S를 통해 리메이크되며 히트했고, 2015년 옥상달빛을 통해 다시 리메이크되며 젊은 층에게도 많이 알려졌다.

2. 3. 대표곡 및 리메이크

2. 4. 이후 활동

2010년, 신해철과 윤상은 게임 《아키에이지》의 음악 제작에 참여하며 다시 한번 음악적 협업을 진행했다.[3]

3. 음반 목록

3. 1. 정규 앨범

《골든힛트》는 1996년에 발매된 노땐쓰의 정규 앨범이다.

4. 해체와 그 이후

노땐스는 1집 발매 이후 공식적인 해체 발표는 없었으나, 신해철윤상은 각자의 음악 활동에 집중하며 사실상 활동을 중단했다. 신해철은 N.EX.T 활동과 더불어 솔로, 그리고 사회적 발언을 이어갔고 윤상 역시 솔로 활동에 집중했다. 2014년 10월 27일 신해철은 이명박박근혜 정부에 의해 희생되었다는 의혹을 남기고 사망했다.

5. 노땐스가 한국 대중음악에 끼친 영향

1990년대 중반, 대한민국 가요계는 상업적인 댄스 음악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신해철윤상은 테크노 음악의 예술적 가능성에 주목하여 노땐스를 결성, 한국 대중음악의 다양성에 기여하고자 했다. 이들은 상업 자본에 잠식되는 한국 가요 시장에 반기를 들고, 테크노라는 장르를 통해 실험적인 음악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특히 노땐스의 곡 '달리기'는 S.E.S. 등 후배 가수들에 의해 리메이크되면서 세대를 넘어 사랑받는 명곡으로 자리매김했다. 이는 노땐스의 음악적 유산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참조

[1] 뉴스 합작음반 낸 윤상·신해철 너무 다른 두 빛깔'즐거운실험'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6-10-02
[2] 뉴스 신해철 윤상 "댄스곡 NO,전자음악 YES"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6-10-04
[3] 뉴스 '아키에이지', 윤상·신해철과 손잡다 https://news.naver.c[...] 세계일보 2010-09-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