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르웨이의 국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르웨이의 국장은 노르웨이의 국가를 상징하는 문장으로, 스베르 왕조의 문장에서 유래되었다. 12세기부터 사자 문장이 사용되었으며, 1280년경에는 사자가 금관을 쓰고 도끼를 든 모습으로 정착되었다. 1450년부터 1814년까지 덴마크, 스웨덴과의 연합으로 인해 국장의 디자인이 변화했으며, 1905년 노르웨이-스웨덴 연합 해체 이후 현재의 디자인이 확정되었다. 국장은 국가 기관의 공식 활동에 사용되며, 왕실 문장은 왕관, 어린 양모피 망토, 성 올라프 훈장 목걸이 등으로 장식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르웨이의 상징 - 노르웨이의 국기
노르웨이 국기는 붉은 바탕에 흰색 스칸디나비아 십자가가 있는 8:11 비율의 깃발로, 1821년 프레드리크 멜처가 디자인하여 스토르팅에서 채택되었으나 초기에는 민간용으로만 사용되다가 1899년 연합 문장 제거 후 공식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스칸디나비아 디자인 요소와 노르웨이 정체성을 반영한다. - 노르웨이의 상징 - 노르웨이의 국가
노르웨이는 공식 국가는 없지만 "예, 우리는 이 나라를 사랑하네"가 가장 널리 쓰이며, 과거에는 "노르웨이의 아들들"이, 최근에는 "나의 작은 나라"가 국가로 여겨지기도 한다. - 십자 문장 - 통가의 국장
통가의 국장은 금색 테두리의 방패 안에 다윗의 별, 왕관, 비둘기, 세 개의 검을 배치하여 주요 섬, 왕정, 평화와 기독교, 세 왕가를 상징하며, 방패 아래에는 "신과 통가는 나의 유산"이라는 통가어 표어가 적혀 있다. - 십자 문장 - 러시아의 국장
러시아의 국장은 러시아를 상징하는 국가 문장으로, 쌍두 독수리와 성 게오르기우스가 용을 물리치는 모습이 주요 구성 요소이며, 모스크바 대공국 시대로부터 러시아 제국,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을 거치며 변화를 겪어왔다. - 관 문장 - 통가의 국장
통가의 국장은 금색 테두리의 방패 안에 다윗의 별, 왕관, 비둘기, 세 개의 검을 배치하여 주요 섬, 왕정, 평화와 기독교, 세 왕가를 상징하며, 방패 아래에는 "신과 통가는 나의 유산"이라는 통가어 표어가 적혀 있다. - 관 문장 - 캐나다의 국장
캐나다의 국장은 캐나다의 국가 원수를 상징하는 문장으로,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아일랜드, 프랑스의 역사적 문장과 단풍잎을 포함하며, "바다에서 바다까지"라는 모토와 함께 영국 사자와 스코틀랜드 유니콘이 방패를 받치는 형태로 캐나다 정부에 의해 공식 상징으로 사용되고 법적으로 보호받는다.
노르웨이의 국장 | |
---|---|
개요 | |
![]() | |
![]() | |
![]() | |
상세 정보 | |
제정 | 1280년 또는 그 이전 |
문장 담당자 | 하랄 5세, 노르웨이 국왕 (왕실 버전) 노르웨이 정부 (국가 버전) |
방패 | 규울즈, 오른쪽에 사자가 람펀트 오어, 왕관을 쓰고 도끼 오어를 들고 있으며 칼날 아르젠트 |
기타 요소 | 망토 |
훈장 | 성 올라프 훈장 |
2. 역사
노르웨이 국장의 역사는 스베르 왕조 시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초기에는 사자 문양을 중심으로 발전했다. 중세 시대를 거치면서 사자에 왕관이 씌워지고 성 올라프를 상징하는 도끼가 추가되는 등 중요한 변화를 겪었다.[4][5] 이후 덴마크, 스웨덴과의 개인 연합 시기에는 노르웨이 국장이 다른 왕국의 국장과 결합되거나 문장 내 배열 순서가 바뀌는 등 복잡한 변천 과정을 거쳤다. 1905년 스웨덴과의 연합 해체로 완전한 독립을 이루면서, 중세 전통에 기반한 현대적인 국장 디자인이 공식적으로 채택되어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2. 1. 기원
국장의 디자인은 스베르 가문의 국장에서 유래되었다. 할바르 트레테베르그는 1184년부터 1202년까지 왕이었던 스베레가 국장에 사자를 사용했을 가능성을 제기했지만, 이를 뒷받침하는 직접적인 증거는 없다. 스노레 스투를라손은 1103년 망누스 3세 국왕이 이미 붉은색 바탕에 금색 사자가 그려진 문장을 사용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1894년 구스타브 스토름은 이러한 주장이 역사적 사실과 다르다고 결론지었다. 스토름은 망누스 국왕의 국장에 사자가 등장한다는 내용은 오래된 사가 문헌이나 다른 동시대 자료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고 설명했다. 그는 스노레가 스베레 왕의 문장을 이전 노르웨이 왕들의 것으로 돌렸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았다.왕족과 관련이 있던 스쿨레 보르손 백작의 1225년 인장에는 사자가 묘사되어 있다.[4] 호콘 호콘손 역시 자신의 인장에 사자를 사용했는데, 앉아 있는 왕의 발 사이에 사자가 놓인 모습으로 그려졌다.[5] 사자가 등장하는 왕실 문장은 1250년에 제작된 호콘 호콘손 젊은 왕의 인장에서 명확히 확인된다.[5]
사자가 도끼를 들고 있는 모습이 처음으로 나타난 것은 에릭 2세의 1285년 인장에서이다.
2. 2. 중세 시대
중세 시대 노르웨이의 군주들은 각자의 인장에 사자를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했다.문장 | 인물 | 연도 및 설명 |
---|---|---|
야를 스쿨레 | 1225년 사용. 인장에 사자가 묘사됨. | |
![]() | 호콘 4세 | 1247/1248년. 왕의 발 사이에 작은 사자가 있음. |
![]() | 호콘 호콘손 젊은 왕 | 1250년. 사자가 포함된 왕실 문장이 처음 나타남. |
1280년경, 마그누스 6세(1280년 사망) 또는 그의 아들 에이리크 2세의 섭정 시기에 사자 문장에 중요한 변화가 생겼다. 사자에게 금관을 씌우고 앞발에는 은색 도끼를 들게 한 것이다. 이 도끼는 성 올라프(올라프 2세)를 상징하며, 왕이 '노르웨이 영원한 왕'(Rex Perpetuus Norvegiae|렉스 페르페투스 노르베기아이la)의 정당한 상속자이자 후손임을 나타내는 의미를 담았다.
이후 군주들의 문장 변화는 다음과 같다.
문장 | 인물 | 연도 및 설명 |
---|---|---|
에이리크 2세 | 1298년. 방패 속 사자는 도끼가 없으나, 말다래 위 사자는 도끼를 들고 있음. | |
![]() | 에이리크 2세 | 1285년. |
![]() | 에이리크 2세 | 1283년 및 1285년. 방패에 꽃이 있는 변형된 형태. |
![]() | 공작 호콘 마그누손 | 1292년-1298년 사이. |
![]() | 호콘 5세 | 1300년-1302년 사이. |
![]() | 호콘 5세 | 연도 미상. |
![]() | 공작부인 잉게보르 | 1318년. |
![]() | 스웨덴 국왕 마그누스 7세 | 재위 1319년–1343년. |
![]() | 호콘 6세 | 1358년-1369년 사이 문서. |
![]() | 호콘 6세 | 1358년-1376년 사이 문서. |
![]() | 올라프 4세 | 1382년 및 1384년. |
![]() | 마가렛 여왕 | 노르웨이 군주로서 사용. 성 올라프의 도끼와 왕실 문장을 모두 포함하여 강력한 상징성을 나타냄. |
2. 3. 1450년 ~ 1814년
1450년 크리스티안 1세가 노르웨이 왕위에 오르면서, 노르웨이 국장은 덴마크 및 스웨덴 국장 등과 결합되어 사용되기 시작했다.이러한 변화는 그 이전 시대부터 이어진 경향을 반영한다. 1319년 호콘 5세 사후 스베르 왕조가 단절된 이래, 노르웨이는 스웨덴, 덴마크 등 인접 국가들과 개인 연합을 형성했다. 연합 왕국의 군주들은 각 왕국의 문장을 분할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칼마르 동맹 초기에는 세습 왕국이었던 노르웨이가 선거 왕국이었던 덴마크나 스웨덴보다 중요하게 여겨지기도 했다. 예를 들어 에릭 3세는 노르웨이 문장을 다른 왕국 문장들 위에 방패 문장(inescutcheon)으로 배치하였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덴마크의 영향력이 커졌고, 덴마크 문장이 첫 번째 구획을 차지하게 되면서 노르웨이 문장은 점차 두 번째 구획으로 밀려났다. 이러한 문장 배열의 변화는 1450년 이후 덴마크 주도의 연합 시기에도 지속되었다.
2. 4. 1814년 ~ 1905년
칼 4세 국왕 (1859년–1872년)오스카 2세 국왕 (1872년–1905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