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노태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노태돈(盧泰敦, 1949년 8월 15일 ~ )은 대한민국의 역사학자이자 대학교수입니다.
주요 정보:


  • 출생: 1949년 8월 15일, 경상남도 창녕군
  • 본관: 광주 노씨
  • 현직: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명예교수 (2014년 정년퇴임)
  • 학력:
  • 경북고등학교 졸업
  •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사학과 학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석사 (1975년, 논문: 三國時代의 部에 關한 硏究 : 成立과 構造를 中心으로)
  •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 박사 (1999년, 논문: 高句麗 政治史 硏究)

경력:

  • 계명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 조교수
  •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교수 (1981년 7월 \~ 2014년 8월)
  • 한국사연구회 회장
  • 한국고대사학회 회장
  • 하버드 대학교 옌칭연구소 객원 연구원
  • 브리티시컬럼비아 대학교 객원교수
  • 옌볜 대학 겸임교수
  • 서울대학교 역사연구소 소장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원장

연구 분야:

  • 한국 고대사 (특히 고구려사)
  • 삼국시대사
  • 부체제론 정립: 삼국시대 초기 국가 형성 과정을 설명하는 이론으로, 여러 부(部)의 통합으로 국가가 형성되었다는 학설.

수상:

  • 월봉저작상 (2010)
  • 서울대학교 학술연구상 (2013)

저서:

  • 《고구려사연구》 (1999)
  • 《삼국통일전쟁사》 (2009)
  • 《한국고대사의 이론과 쟁점》 (2009)
  • 《시민을 위한 한국역사》(공저) (1997)
  • 《새로운 한국사 길잡이》(공저) (2008)
  • 《개정신판 한국사특강》(공저) (2008)
  • 《韓國古代金石文(Ⅰ·Ⅱ·Ⅲ)》 (1993)


노태돈 교수는 한국 고대사 연구, 특히 고구려사 연구에 있어 권위자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그는 1975년 석사 논문에서 '부체제론'을 발표하여 학계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이는 현재까지도 고대사학계에서 정설로 통용되고 있습니다.

노태돈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노태돈
출생일1949년 8월 15일
출생지대한민국 경상남도 창녕군
국가대한민국
본관광주
현직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명예교수
소속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직업대학교수
학력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 문학박사
경력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역사연구소 소장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원장
한국 이름
제목노태돈
한글 표기노태돈
한자 표기盧泰敦
개정 로마자 표기No Taedon
매큔-라이샤워 표기No T'aeton
예일 표기No Thayton
공식 로마자 표기No Tae-d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