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나 모르듀코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논나 모르듀코바는 우크라이나 출신의 배우로, 1949년 영화 《젊은 친위대》로 스탈린상을 수상하며 데뷔했다. 50년이 넘는 경력 동안 주로 평범한 러시아 여성 역할을 연기했으며, 《다이아몬드 팔》, 《두 사람을 위한 역》 등 다수의 영화에 출연했다. 그녀는 20세기 최고의 여배우 중 한 명으로 평가받으며, 러시아 대통령으로부터 훈장을 수여받았고, 소행성의 이름으로도 명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네츠크주 출신 - 유리 보이코
유리 보이코는 우크라이나의 정치인이자 기업인으로, 국영 석유·가스 기업 사장, 연료에너지부 장관, 부총리 등을 역임했으며,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기도 했다. - 도네츠크주 출신 - 이오시프 코브존
이오시프 코브존은 소련과 러시아의 유대계 우크라이나인 가수 겸 정치인으로, 1964년 소포트 국제 가요제 우승과 《백학》 등의 대표곡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소련 인민예술가 칭호를 받았고 러시아 의회 의원으로도 활동했지만, 크림 공화국 합병 지지와 돈바스 전쟁 관련 친러시아 행보로 논란이 되었다. - 니카상 수상자 - 로만 마댜노프
러시아의 배우 로만 마댜노프는 1971년 영화 데뷔 후 145편 이상의 작품에서 폭넓은 연기를 선보이며 러시아 연방 공훈예술가 칭호를 받았고, '리바이어던' 등의 대표작으로 황금 독수리상과 니카상을 수상했으며, 2024년 폐암으로 사망했다. - 니카상 수상자 - 오타르 이오셀리아니
오타르 이오셀리아니는 조지아 출신으로 소련 시절 검열을 피해 프랑스로 이주하여 국제적 명성을 얻은 영화감독으로, 사회 풍자와 독특한 유머 감각, 인간 부조리에 대한 날카로운 시선이 특징이며 장 르누아르 등의 계승자로 평가받는다. - 소련인민예술가 - 위제이르 하즈배요프
위제이르 하즈배요프는 아제르바이잔의 작곡가로, 동서양 음악을 융합하여 아제르바이잔 클래식 음악의 기초를 다졌으며, 아제르바이잔 최초의 오페라 작곡가이자 소련 인민예술가 칭호를 받았다. - 소련인민예술가 - 스뱌토슬라프 리흐테르
스뱌토슬라프 리흐테르는 우크라이나 출신의 피아니스트로, 겐리흐 네이가우스에게 사사받고 1945년 소련 음악 콩쿠르에서 우승했으며, 베토벤 등 폭넓은 레퍼토리를 소화하며 중량감 있고 따뜻한 연주로 호평받았다.
논나 모르듀코바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노야브리나 "논나" 빅토로브나 모르듀코바 |
로마자 표기 | Noyabrina "Nonna" Viktorovna Mordyukova |
출생일 | 1925년 11월 25일 |
출생지 | 소련 도네츠크주 코스탼티니우카 |
사망일 | 2008년 7월 6일 |
사망지 | 러시아, 모스크바 |
직업 | 배우 |
활동 기간 | 1948년–1999년 |
배우자 | 뱌체슬라프 티호노프 (이혼) |
웹사이트 | 해당사항 없음 |
2. 생애
VGIK 졸업 후 영화 배우 극장 스튜디오에서 공연했으며, 여러 영화 감독들의 작품에 자주 출연했다.
2. 1. 초기 생애
논나(노야브리나) 빅토로브나는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도네츠크주 콘스탄티노프카의 대가족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은 어머니가 콜호스(집단 농장) 의장으로 일했던 정착지에서 보냈다.1946년, 모르듀코바는 VGIK의 배우 학부에 입학하여 보리스 비비코프와 올가 피조바에게 가르침을 받았다.
1948년, 배우 뱌체슬라프 티호노프와 결혼하여 아들을 낳았다.[5] 두 사람은 1963년에 이혼했다.[5]
2. 2. 결혼과 이혼
1948년, 배우 뱌체슬라프 티호노프와 결혼하여 아들(현재 사망)을 낳았다.[5] 두 사람은 1963년에 이혼했다.[5]3. 경력
논나 모르듀코바는 1949년 영화 《젊은 친위대》에서 울리아나 그로모바 역으로 스탈린상을 수상하며 데뷔했다. 이후 50년이 넘는 기간 동안 수십 편의 영화에 출연했으며, 주로 평범한 러시아 여성의 모습을 연기했다.
그녀는 세르게이 게라시모프, 브세볼로드 푸도프킨, 미하일 슈베이처, 레오니드 가이다이, 안드레이 콘찰로프스키, 니키타 미할코프, 그리고리 추흐라이, 엘다르 랴자노프 등 당대 최고의 소련 감독들과 함께 작업할 기회가 있었으나, 대부분 단 한 작품에만 참여하는 등 특정 감독과 지속적인 협력 관계를 맺지는 않았다.
그녀의 가장 중요한 작품 중 하나로 평가받는 영화는 알렉산드르 아스콜도프 감독의 《코미사르》(1967)이다. 이 영화는 1966년에 촬영되었으나 정치적인 이유로 인해 상영이 보류되었다가 1988년에야 개봉되어 뒤늦게 국제적인 찬사를 받았다.
페레스트로이카 시기와 1990년대에도 여러 코미디 드라마와 인기 영화에서 조연으로 꾸준히 활동했으며, 1999년에는 데니스 예브스티그네프 감독의 영화 《어머니》에서 주연을 맡아 여러 시대에 걸친 가족사를 연기했다.
러시아 영화 관객과 평론가들은 모르듀코바를 20세기 최고의 여배우 중 한 명으로 평가한다. 2000년 11월, 러시아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은 그녀의 공로를 인정하여 3등급 조국 훈장을 수여했으며, 소행성 4022 논나는 그녀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다.
3. 1. 초기 경력
1949년, 그녀는 영화 《젊은 친위대》에서 울리아나 그로모바 역으로 스탈린상을 수상하며 데뷔했다. 이 영화는 세르게이 게라시모프 감독의 작품이었다. 데뷔 이후에는 베테랑 감독 브세볼로드 푸도프킨의 마지막 영화 《바실리 보르트니코프의 귀환》(1952)에 출연했다.모르듀코바는 당대 최고의 소련 감독들과 함께 작업할 기회가 있었지만, 주로 한 작품에만 참여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녀와 지속적인 협력 관계를 맺은 유명 감독은 드물었다.
3. 2. 주요 작품 활동
1949년 영화 《젊은 친위대》에서 울리아나 그로모바 역으로 스탈린상을 수상하며 데뷔했다. 세르게이 게라시모프 감독의 이 영화는 그녀의 첫 작품이었다. 이후 베테랑 감독 브세볼로드 푸도프킨의 마지막 영화 《바실리 보르트니코프의 귀환》(1952)에 출연했다.그녀는 당대 최고의 소련 감독들과 작업했지만, 대부분 단 한 작품에만 참여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정 감독과 지속적인 협력 관계를 맺지는 않았다. 주요 협업 사례로는 미하일 슈베이처의 《추자야 로드냐》(1955), 레프 쿨리자노프의 《오치지 돔》(1959), 레오니드 가이다이의 코미디 영화 《다이아몬드 팔》(1968), 투르게네프의 소설을 각색한 안드레이 콘찰로프스키의 《귀족들의 보금자리》(1969), 그리고리 추흐라이의 《트랴시나》(1978), 엘다르 랴자노프의 《두 사람을 위한 기차역》, 니콜라이 구벤코의 《자프레트나야 조나》(1988) 등이 있다.
니키타 미할코프 감독의 영화에는 단 한 번 출연했는데, 미할코프는 자신의 코미디 드라마 《친족》(1981)에서 당시 러시아 농민 여성의 전형으로 여겨지던 모르듀코바의 개성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구성했다.
알렉산드르 아스콜도프 감독의 영화 《코미사르》(1967)에서 맡은 클라브디아 바빌로바 역은 모르듀코바의 가장 인상적인 연기 중 하나로 꼽힌다. 그녀는 이 영화에서 실수로 임신하게 된 강인하고 활기찬 붉은 군대 코미사르를 연기했다. 1966년에 촬영되었으나 상영이 보류되었다가 페레스트로이카 이후인 1988년에야 개봉될 수 있었다. 개봉 당시 모르듀코바는 이미 60세가 넘었고, 20편 이상의 다른 영화에 출연한 상태였다. 그녀의 최고의 연기로 평가받는 이 작품에 대한 폭넓은 비평적 찬사와 인정은 뒤늦게 이루어졌지만, 배우로서 그녀의 명성에 큰 영향을 주었다. 《코미사르》로 국제영화비평가연맹(FIPRESCI)상, 오토 디벨리우스 영화상, 베를린 국제 영화제 심사위원 특별상, 플랜더스 국제 영화제 실버 스퍼상 등을 수상했다.
페레스트로이카 시대에는 여러 코미디 드라마에서 조연으로 출연했다. 1990년대에도 파벨 루긴 감독의 《루나 파크》(1992)와 블라디미르 멘쇼프 감독의 《실리-미를리》(1995) 등 당대 인기 러시아 영화에서 활발하게 조연으로 활동했다. 1999년에는 데니스 예브스티그네프 감독의 영화 《엄마》(1999)에서 주연을 맡았다. 이 영화는 실제 이야기를 바탕으로 여러 시대에 걸친 가족 드라마를 멜로드라마와 코미디 요소를 섞어 그려냈다.
50년이 넘는 연기 경력 동안 수십 편의 영화에 출연하며 주로 평범한 러시아 여성의 모습을 연기했다. 러시아 영화 관객과 평론가들은 모르듀코바를 20세기의 가장 위대한 여배우 중 한 명으로 평가한다.
연도 | 제목 | 감독 | 비고 |
---|---|---|---|
1948 | 젊은 친위대 | 세르게이 게라시모프 | 데뷔작, 스탈린상 수상 |
1952 | 바실리 보르트니코프의 귀환 | 브세볼로드 푸도프킨 | |
1967 | 코미사르 | 알렉산드르 아스콜도프 | 1967년 제작, 1988년 개봉. 베를린 국제 영화제 심사위원 특별상 등 수상 |
1968 | 다이아몬드 팔 | 레오니드 가이다이 | |
1969 | 귀족들의 보금자리 | 안드레이 콘찰로프스키 | |
1981 | 친족 | 니키타 미할코프 | |
1992 | 루나 파크 | 파벨 루긴 | |
1999 | 엄마 | 데니스 예브스티그네프 |
3. 3. 후기 경력
페레스트로이카 시대에 모르듀코바는 여러 코미디 드라마에서 조연으로 출연했다. 1990년대에도 파벨 루긴의 《루나 파크》(1992)와 블라디미르 멘쇼프의 《실리-미를리》(1995)와 같이 당대 인기 러시아 영화에서 조연으로 활발히 활동했다.1999년에는 데니스 예브스티그네프 감독의 영화 《어머니》에서 주연을 맡았다. 이 영화는 실제 이야기를 바탕으로 여러 시대를 아우르는 가족 드라마였으며, 멜로드라마와 코미디 요소를 혼합한 작품이었다.
50년이 넘는 영화 경력 동안 수십 편의 영화에 출연하며 주로 평범한 러시아 여성 역할을 연기한 그녀는 러시아 영화 관객과 평론가들로부터 20세기 최고의 여배우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2000년 11월, 러시아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은 모르듀코바에게 3등급 조국 훈장을 수여하는 러시아 대통령령에 서명했다. 또한 소행성 4022 논나는 그녀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3. 4. 평가
러시아 영화 관객과 평론가들은 모르듀코바를 20세기의 최고 여배우 중 한 명으로 꼽는다. 50년이 넘는 영화 경력 동안 수십 편의 영화에 출연했으며, 주로 평범한 러시아 여성 역할을 연기했다.그녀의 가장 기억에 남는 연기 중 하나는 알렉산드르 아스콜도프 감독의 영화 《코미사르》(1967)에서 맡은 붉은 군대 여성 코미사르 클라브디아 바빌로바 역이다. 이 영화는 1966년에 촬영되었으나 정치적인 이유로 상영이 보류되었다가 1988년에야 개봉되었다. 당시 모르듀코바는 이미 60세가 넘었고 20편 이상의 다른 영화에 출연한 상태였다. 《코미사르》는 개봉 후 비평가들의 찬사를 받았고, 모르듀코바는 이 작품으로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국제영화비평가연맹(FIPRESCI)상, 오토 디벨리우스 영화상, 심사위원 특별상을 받았고, 플랜더스 국제 영화제에서는 실버 스퍼상을 수상했다. 그러나 그녀의 최고의 연기로 평가받는 이 작품에 대한 인정이 너무 늦게 이루어져 배우로서의 명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다.
모르듀코바는 세르게이 게라시모프, 브세볼로드 푸도프킨, 미하일 슈베이처, 레오니드 가이다이, 안드레이 콘찰로프스키, 그리고리 추흐라이, 엘다르 랴자노프 등 당대 최고의 소련 감독들과 작업할 기회가 있었지만, 대부분 단 한 작품에만 참여했을 뿐 지속적인 협력 관계를 가진 유명 감독은 드물었다. 한편, 니키타 미할코프는 자신의 영화 《친족》(1981)을 당시 러시아 농민 여성의 전형으로 자리 잡은 모르듀코바의 개성을 중심으로 구성하기도 했다.
2000년 11월, 러시아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은 모르듀코바에게 3등급 조국 훈장을 수여하는 러시아 대통령령에 서명하며 그녀의 공로를 인정했다. 또한 소행성 4022 논나는 그녀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4. 수상 및 서훈
모르듀코바는 배우로서의 공로를 인정받아 다수의 상을 받았다. 주요 국가 훈장 및 수상 내역은 아래 하위 문단에서 자세히 다룬다.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공공 시상을 받았다.
- 국가 영화상 "니카상" (2004) - "명예와 존엄" 부문[12]
- 러시아 비즈니스계 프리미엄 "아이돌" (1999) - "예술에 대한 헌신" 부문
- 키노타브르상 (1996) - "창작 경력에 대한 대통령 위원회 상"[13]
- "골든 양자리"상 (1995) - "올해의 영화인"
- 영국 참고 서적 ''후즈 후'' 편집 위원회 선정 20세기 가장 뛰어난 여배우 10인 (1992)
4. 1. 국가 훈장
- 조국 훈장
- * 2등급 (2005년 11월 25일) - 국가 문화 및 영화 발전에 대한 탁월한 공헌, 다년간의 창작 활동[7]
- * 3등급 (2000년 11월 23일) - 영화 예술 발전에 대한 지대한 개인적 공헌[8]
- * 4등급 (1995년 11월 27일) - 국가에 대한 봉사, 예술 및 문화 분야에서의 다년간의 훌륭한 공로[9]
- 인민 우정 훈장 (1985)
- 명예 훈장 (1975)
- 소련 인민 예술가 (1974)
- RSFSR 인민 예술가 (1969)
- RSFSR 공훈 예술가 (1965)
4. 2. 수상
연도 | 훈장/칭호 | 비고 |
---|---|---|
1965 | RSFSR 공훈 예술가 | |
1969 | RSFSR 인민 예술가 | |
1974 | 소련 인민 예술가 | |
1975 | 명예 훈장 | |
1985 | 인민 우정 훈장 | |
1995 | 조국 훈장 4등급 | 국가에 대한 봉사, 예술 및 문화 분야에서의 다년간의 훌륭한 공로[9] |
2000 | 조국 훈장 3등급 | 영화 예술 발전에 대한 지대한 개인적 공헌[8]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 수여) |
2005 | 조국 훈장 2등급 | 국가 문화 및 영화 발전에 대한 탁월한 공헌, 다년간의 창작 활동[7] |
연도 | 상 | 수상 부문/작품 | 비고 |
---|---|---|---|
1949 | 스탈린상 1등급 | 영화 《젊은 친위대》 울리아나 그로모바 역[10] | |
1973 | RSFSR 바실리예프 형제 국가상 | 《두루미》, 《대통령》 등에서의 연기[11] | |
1988 | 베를린 국제 영화제 심사위원 특별상 | 영화 《코미사르》 | 1967년 제작, 1988년 개봉작 |
FIPRESCI상 | |||
오토 디벨리우스 영화상 | |||
실버 스퍼상 (플랜더스 국제 영화제) | |||
1992 | 영국 '후즈 후'' 선정 | 20세기 가장 뛰어난 여배우 10인 | |
1995 | "골든 양자리"상 | 올해의 영화인 | |
1996 | 키노타브르상 | 창작 경력에 대한 대통령 위원회 상[13] | |
1999 | 러시아 비즈니스계 프리미엄 "아이돌" | 예술에 대한 헌신 부문 | |
2001 | 러시아 대통령상 | 예술 및 문학 분야 | |
2004 | 니카상 | 명예와 존엄[12] |
5. 출연 작품
논나 모르듀코바는 1948년 영화 젊은 근위대로 데뷔한 이래, 1999년 어머니를 마지막 작품으로 약 50년간 꾸준히 활동하며 소련 영화와 러시아 영화 역사에 중요한 발자취를 남겼다. 그녀는 바실리 보르트니코프의 귀환, 다른 사람의 친척, 단순한 이야기, 발자미노프의 결혼, 전쟁과 평화, 다이아몬드 팔, 코미사르, 가족, 두 사람을 위한 역, 루나 파크 등 다양한 장르의 영화에 출연하며 폭넓은 연기 스펙트럼을 보여주었다.
상세한 출연 작품 목록은 아래 영화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5. 1. 영화
연도 | 제목 | 원제 | 배역 | 비고 |
---|---|---|---|---|
1948 | 젊은 근위대 | Молодая гвардияru | 율리아나 그로모바 | |
1953 | 바실리 보르트니코프의 귀환 | Возвращение Василия Бортниковаru | 나스탸 오고로드니코바 | |
1954 | 산딸나무 숲 | Калиновая рощаru | 나데즈다 로마니유크 | |
1955 | 날개 위의 별 | Звёзды на крыльяхru | 어부 | 크레딧 없음 |
1956 | 다른 사람의 친척 | Чужая Родняru | 스테샤 랴시킨 | |
1957 | 예카테리나 보로니나 | Екатерина Воронинаru | 두샤 오슈르코바 | |
1958 | 자원병 | Добровольцыru | 지하철 건설자 | 크레딧 없음 |
1959 | 타냐를 위한 집 | Отчий Домru | 스테파니다 | |
1959 | 자매들 | Хождение по мукамru | 마트료나 크라실니코바 | (세그먼트 “우울한 아침") |
1960 | 모든 것은 길에서 시작된다 | Всё начинается с дорогиru | 다샤 보코바, 스테판의 아내 | |
1960 | 단순한 이야기 | Простая историяru | 사샤 포타포바 | |
1960 | 체호프의 세 가지 이야기 (영화 앨범) | Три рассказа Чеховаru | 알랴킨의 아내 | (세그먼트 "반카") |
1962 | 파블루하 | Павлухаru | 나탈리야 | |
1963 | 구역 위원회의 서기 | Секретарь обкомаru | 나탈리야 파데예브나 | |
1964 | 의장 | Председательru | 도냐 트루브니코바 | |
1965 | 발자미노프의 결혼 | Женитьба Бальзаминоваru | 벨로텔로바 | |
1965 | 서른셋 | Тридцать триru | 갈리나 프리스탸주크 | |
1966 | 전쟁과 평화 | Война и мирru | 아니샤 표도로브나 | 파트 1, 2 |
1966 | 삼촌의 꿈 | Дядюшкин сонru | 소피야 페트로브나 카르푸키나, 대령의 아내 | |
1969 | 주라부슈카 | Журавушкаru | 글라피라 | |
1969 | 다이아몬드 팔 | Бриллиантовая рукаru | 바르바라 플리우슈 | |
1969 | 귀족들의 보금자리 | Дворянское гнездоru | ||
1970 | 타오르네, 나의 별 | Гори, гори, моя звездаru | 마담 | |
1970 | 폴리닌 사건 | Случай с Польнинымru | 두샤 쿠즈미체바 | |
1970 | 베링과 그의 친구들의 발라드 | Баллада о Беринге и его Друзьяхru | 안나 이오아노브나 여제 | |
1971 | 젊은이 | Молодыеru | 다리야 바실리에브나 | |
1972 | 러시아 들판 | Русское полеru | 페도시아 우그리우모바 | |
1973 | 내일은 너무 늦을 것이다 | Завтра будет поздноru | 쿠주르카 | |
1974 | 레프 구리치 시니치킨 | Лев Гурыч Синичкинru | 라이사 미니치나 수르밀로바, 극장 프리마 | |
1974 | 귀환 없음 | Возврата нетru | 안토니나 카시리나 | |
1974 | 두려움의 이틀 | Два дня тревогиru | 마브라 그리고리에브나 | |
1975 | 그들은 조국을 위해 싸웠다 | Они сражались за Родинуru | 나탈리야 스테파노브나 | |
1975 | 이바노프 가족 | Семья Ивановыхru | 마리아 페트로브나 이바노바 | |
1978 |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온 익명 | Инкогнито из Петербургаru | 안나 안드레예브나 | |
1978 | 비전형적인 이야기 | Нетипичная историяru | 마트료나 비스트로바 | |
1979 | 믿음과 진실 | Верой и правдойru | 판야 이모 | |
1982 | 가족 관계 | Родняru | 마리아 코노발로바 | |
1983 | 두 사람을 위한 역 | Вокзал для двоихru | 미샤 삼촌 | |
1986 | 월급에서 월급까지 | От зарплаты до зарплатыru | 올가 이바노브나 플리소바 | |
1987 | 딸 | Доченькаru | 지나이다 야코브레브나, 관리인 | |
1987 | 코미사르 | Комиссарru | 클라우디야 바빌로바 | |
1987 | 결혼을 위한 대출 | Сауда на Бракru | 타티야나 이바노브나 | |
1988 | 제한 구역 | Запретная зонаru | 나데즈다 아브도티나 | |
1991 | 달리는 표적 | Бегущая мишеньru | 지나 할머니 | |
1992 | 루나 파크 | Луна-паркru | 이모 | |
1995 | 엉망진창 | Ширли-мырлиru | 구청 직원 | |
1999 | 어머니 | Мамаru | 어머니 | (마지막 영화 역할) |
참조
[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Russian and Soviet Cinema
Rowman Littlefield
[2]
뉴스
Yulia Savelyeva's Naked City.
The Moscow Times
1999-10-09
[3]
뉴스
Народная память — дорого стоит
https://www.kommersa[...]
2023-11-25
[4]
Youtube
Видео. На Кубани открыли памятник одной из самых популярных актрис Нонне Мордюковой
http://www.1tv.ru/ne[...]
Первый канал
2008-08-16
[5]
뉴스
NONNA MORDYUKOVA; Star of 'The Commissar', cause celèbre of glasnost cinema.
The Independent
2008-07-12
[6]
뉴스
Vladimir Putin Awards Famed Russian Actress Nonna Mordyukova Order for Service To Fatherland.
RIA Novosti
2000-11-25
[7]
문서
Указ Президента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В. Путина от 25 ноября 2005 года № 1368 «О награждении орденом "За заслуги перед Отечеством" II степени Мордюковой Н. В.».
http://docs.cntd.ru/[...]
[8]
문서
Указ Президента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В. Путина от 23 ноября 2000 года № 1924 «О награждении орденом "За заслуги перед Отечеством" III степени Мордюковой Н. В.».
http://docs.cntd.ru/[...]
[9]
웹사이트
Указ Президента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Б. Ельцина от 27 ноября 1995 года № 1185 «О награждении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ми наградами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http://graph.documen[...]
2014-12-19
[10]
문서
Нонна Мордюкова. Биографическая справка
http://ria.ru/spravk[...]
[11]
웹사이트
Имена. Нонна Мордюкова. Энциклопедия отечественного кино
http://2011.russianc[...]
2015-11-21
[12]
문서
Королева Нонна. Героиней главного киновечера года была Мордюкова
http://www.rg.ru/200[...]
[13]
웹사이트
Открытый российский кинофестиваль «Кинотавр». Призёры 1991—2005 годов.
http://www.kinotavr.[...]
2012-08-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