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니바크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누니바크섬은 베링해에 위치한 화산섬으로, 대부분 해발 160m 이상의 고원 지형을 이루고 있으며, 약 60개의 화산 원뿔과 4개의 마르가 분포한다. 이 섬은 유픽 에스키모인들이 거주하며, 중앙 알래스카 유픽어를 사용한다. 1880년 인구 조사에서 400명의 주민이 있었으나, 1900년 전염병으로 인구가 감소하였고, 현재는 모든 주민이 메코리우크에 거주하고 있다. 섬 주민들은 자급자족을 위한 사냥과 어업에 의존하며, 전통적인 예술과 문화를 유지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링해의 섬 - 알류샨 열도
알류샨 열도는 알래스카 반도에서 서쪽으로 뻗어 있는 섬들로, 환태평양 조산대에 위치하며 화산 활동과 지진이 활발하고 해양성 기후를 보이며, 수산업과 미군 주둔이 경제의 기반을 이루고 알류트족이 원주민으로 거주한다. - 베링해의 섬 - 라트마노프섬
라트마노프섬은 러시아 최동단이자 디오미드 제도의 큰 섬으로, 베링 해협에 위치하며 과거 이누피아크족이 거주했으나 현재는 러시아 기상 관측소와 국경 경비대가 주둔하고 냉전 시대 미국과의 경계 지역이었다. - 알래스카주의 섬 - 프리빌로프 제도
프리빌로프 제도는 베링해에 위치한 섬들로, 과거 물개 사냥으로 유명했으나 현재는 알류트족이 거주하며, 대구와 털게 어획에 의존하고 조류 관찰 명소로 알려져 있다. - 알래스카주의 섬 - 앤드리애노프 제도
앤드리애노프 제도는 알류샨 열도의 일부로 암치트카 해협과 랫 제도 사이, 아묵타 해협과 사면산 제도 사이에 있으며, 가레로이섬, 타나가섬, 아다크섬 등의 섬으로 구성되었고, 1761년 안드레얀 톨스티흐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 군사 기지가 설치되기도 했다. - 알래스카주의 화산 - 키스카섬
키스카섬은 알류샨 열도에 위치하며 1741년 베링에 의해 발견, 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군 점령과 미군 탈환 작전이 있었고 현재는 야생동물 보호구역으로 자연과 전쟁의 흔적을 간직하고 있다. - 알래스카주의 화산 - 오거스틴산
오거스틴 산은 알래스카주에 있는 활화산으로, 여러 차례 폭발적인 분화 활동을 했으며 2005년부터 2006년까지 분화를 겪었고, 화산 활동 감지를 위해 다양한 관측 시스템이 운영되고 2005-2006년 분화 당시 화산재 기둥이 12km까지 치솟기도 했다.
| 누니바크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지도 | |
| 섬 정보 | |
![]() | |
| 위치 | 베링해 |
| 면적 | 4,226.8 km2 |
| 길이 | 77 km |
| 폭 | 106 km |
| 최고점 | 로버츠산 |
| 해발고도 | 510.5 m |
| 행정 구역 | |
| 국가 | 미국 |
| 주 | 알래스카주 |
| 군 | 베델 인구조사 구역 |
| 인구 통계 | |
| 최대 도시 | 메코류크 |
| 최대 도시 인구 | 191명 |
| 인구 | 191명 |
| 인구 조사 년도 | 2010년 |
| 인구 밀도 | 0.05 명/km2 |
| 민족 | 유픽 에스키모 |
2. 인구
누니바크섬은 1880년 미국 인구 조사에서 처음으로 섬 전체 인구가 400명으로 기록되었다.[7] 1890년에는 섬의 마을들이 개별적으로 보고되었다. 1950년 이후 섬의 모든 정착지는 다시 개별적으로 보고되었지만, 2000년과 2010년 인구 조사에서는 모든 주민이 메코리욱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섬 주민 대부분은 유픽(Cup'ig, 복수형 Cup'it)이라 불리는 에스키모이며, 중앙 유픽에 속한다. 섬 주민들은 중앙 알래스카 유픽어를 제1언어로 사용하지만, 거의 모든 주민은 영어를 구사한다. 섬 주민은 자급자족을 위한 사냥과 본토에서의 상업 어업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1880년 en의 인구 조사에서는 섬의 9개 마을에 총 702명이 있었지만, 1900년 전염병으로 인구가 급감했다.
2. 1. 인구 변화
| 연도 | 인구 |
|---|---|
| 1880년 | 400명 |
| 1910년 | 127명 |
| 1920년 | 189명 |
| 1930년 | 191명 |
| 1940년 | 225명 |
누니바크섬은 1880년 미국 인구 조사에서 비법인 섬으로 처음 보고되었으며, 400명의 유픽족 주민이 있었다.[7] 1890년에는 섬의 마을들이 개별적으로 보고되었다. 이후 1910년부터 1940년까지 섬 전체 인구가 보고되었고,[9][6] 1950년 이후에는 섬의 모든 정착지가 다시 개별적으로 보고되었지만, 2000년과 2010년 현재 모든 주민은 메코리욱에 거주하고 있다.
누니바크 섬의 거의 모든 영주자는 유픽(Cup'ig, 복수형 Cup'it)이라고 불리는 에스키모이며, 더 자세히는 중앙 유픽에 속한다. 고령의 섬 주민은 중앙 알래스카 유픽어를 제1언어로 사용하지만, 거의 모든 섬 주민은 영어를 구사한다. 섬 주민은 자급자족을 위한 사냥과 본토에서의 상업 어업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en의 1880년 인구 조사에서는 섬의 9개 마을에 총 702명이 있었지만, 1900년 전염병으로 인구가 급감했다. 이후 이주 등으로 200명 정도의 인구를 유지하고 있으며, 현재는 모든 주민이 섬 북쪽 해안에 있는 메코리욱에 거주하고 있다.
3. 지리


누니바크섬은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섬으로, 백악기 시대 퇴적암 위에 용암이 흘러나와 만들어졌다. 섬 대부분은 해발 160m가 넘는 용암 대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약 60개의 화산 원뿔과 4개의 마르가 있다. 베링해 화산 지역의 일부로 여겨지며, 이비킬위트 용암 지대가 섬에 위치한다.[4]
섬의 동쪽과 남쪽 해안에는 기수 석호가 있으며, 북서쪽 해안은 가파른 화산 절벽으로 이루어져 있다. 주요 지형은 툰드라이며, 가장 큰 나무는 키가 1.2m 미만인 왜소한 버드나무이다.
최소 89종의 철새 바닷새와 물새가 계절에 따라 누니바크섬을 찾으며, 여기에는 여러 멸종 위기종과 위협받는 종이 포함된다. 여름에는 섬의 모든 해안과 내륙 툰드라 호수에서 새들의 번식지가 발견된다.
선사 시대에는 캐리부가 서식했지만,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총기 도입으로 멸종되었다. 1930년대와 1940년대에 미국 어류 및 야생동물 관리국이 순록과 사향소를 도입했으며, 현재는 메코리유크 지역 원주민 기업에서 관리하고 있다.
3. 1. 지형
누니바크섬은 화산섬으로, 섬의 대부분은 해발 160m 이상인 화산 고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섬에는 약 60개의 화산 원뿔과 4개의 마르가 흩어져 있다. 섬 표면의 상당 부분은 작은 순상 화산에서 흘러나온 넓고 얇은 용암인 파호이호이 용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백악기 시대의 퇴적암 위에 퍼져 있다. 화산 폭발은 610만 년 전에 시작되어 5번의 활동 기간 동안 발생했다. 대부분의 화산 지대는 약 30만 년 전에 끝난 플라이스토세 동안의 두 번의 가장 최근 분출 기간 동안 형성되었다.[2][3] 화산 활동의 역사로 인해, 이 섬은 베링해 화산 지역의 일부로 간주된다.[4] 이비킬위트 용암 지대는 누니바크섬에 있다.
툰드라가 주요 지형적 특징이며, 누니바크섬에서 가장 큰 나무는 키가 1.2m 미만인 왜소한 버드나무이다. 40개 이상의 강이 툰드라 고지대를 배수한다. 기수 석호가 동쪽과 남쪽 해안을 둘러싸고 있으며, 가파른 화산 절벽이 북서쪽 해안을 지배한다.
3. 2. 생태
누니바크섬은 화산섬으로, 대부분 해발 160m 이상의 화산 고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섬에는 약 60개의 화산 원뿔과 4개의 마르가 흩어져 있다. 섬 표면은 대부분 작은 순상 화산에서 흘러나온 파호이호이 용암으로 덮여 있으며, 이는 백악기 시대의 퇴적암 위에 펼쳐져 있다. 화산 폭발은 610만 년 전부터 시작되어 5번의 활동 기간을 거쳤다. 대부분의 화산 지대는 약 30만 년 전에 끝난 플라이스토세 동안의 두 번의 가장 최근 분출 기간 동안 형성되었다.[2][3] 이러한 화산 활동 역사로 인해, 이 섬은 베링해 화산 지역의 일부로 간주된다.[4] 이비킬위트 용암 지대는 누니바크섬에 위치해 있다.
툰드라가 주요 지형이며, 섬에서 가장 큰 나무는 키가 1.2m 미만인 왜소한 버드나무이다. 40개 이상의 강이 툰드라 고지대를 흐른다. 기수 석호가 동쪽과 남쪽 해안을 둘러싸고 있으며, 가파른 화산 절벽이 북서쪽 해안을 이룬다.
최소 89종의 철새 바닷새와 물새가 계절에 따라 누니바크섬을 찾는데, 여기에는 여러 멸종 위기종과 위협받는 종이 포함된다. 조밀한 여름 번식 집단 서식지는 섬의 모든 해안과 내륙 툰드라 호수에서 발견된다.
선사 시대에는 누니바크섬에 캐리부의 적은 무리가 서식했지만,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에 총기가 도입된 후 멸종되었다. 미국 어류 및 야생동물 관리국은 1930년대와 1940년대에 순록 (더 작은 유라시아 캐리부)과 사향소를 섬에 도입했다. 이러한 동물들의 대규모 무리는 메코리유크의 지역 원주민 기업에서 관리하고 있다.
4. 주민
누니바크 섬의 거의 모든 영구 거주자는 컵'잇 에스키모이며, 이들은 중앙 알래스카 유픽어의 방언인 컵'익어(누니바크 컵'익어)를 사용한다. 많은 나이든 섬 주민들은 컵'익어를 제1언어로 사용하며, 젊은 세대 사이에서도 언어 부활 운동이 일어나고 있다. 거의 모든 섬 주민들은 영어를 구사한다.[1]
1880년 미국 인구 조사에서 이반 페트로프는 섬의 9개 마을에 702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고 기록했다. 1900년의 전염병으로 섬의 인구가 급감했다. 현재는 북쪽 해안에 위치한 메코류크라는 단 하나의 영구 정착지에 약 200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4. 1. 생활 방식
누니바크 섬의 거의 모든 영주자는 컵'잇 에스키모이며, 그들의 전통 언어는 중앙 알래스카 유픽어의 방언인 컵'익 또는 누니바크 컵'익어이다. 컵'익어는 많은 나이든 섬 주민들에게 제1 언어이며, 젊은 섬 주민들 사이에서도 전용 부활을 누리고 있지만, 거의 모든 ''누니와르미우트''(누니바크 섬 사람들)는 영어를 사용한다.[1] 섬 주민들은 여전히 상당 부분 생계형 사냥에 의존하며, 본토에서의 상업적 어업과 산업 활동에도 종사한다.[1]5. 문화
누니바크 섬의 예술은 아주 오래된 과거에서 유래되었다. 가장 오래된 조각품은 수천 년이나 되었다.
누니바크 섬의 예술은 고대부터 전해져 내려온 것으로, 특히 바다코끼리 등 동물을 본뜬 마스크가 특징적이다.
5. 1. 가면
고대에는 생존에 필요한 물품을 판매하거나 교환하기 위해 가면을 만들었다. 이후 가면은 축제, 춤과 전통적인 치유를 위해 사용되었다. 오늘날 조각되는 다양한 종류의 가면과 같이, 이 마스크는 누니바크 섬을 둘러싼 생명체를 나타낸다. 바다코끼리는 바다오리가 생존하는 데 의존하는 대상이며, 결국 인간은 바다오리와 바다코끼리에 의존하여 생존한다. 이들은 마을의 남자들이 가족을 부양하기 위해 사냥했던 전통적인 동물 중 두 종류이다.5. 2. 바다코끼리의 중요성
누니바크 주민들은 생존을 위해 바다코끼리에 의존했다. 바다코끼리는 베링해에서 생활하는 데 필요한 많은 것들을 제공했다. 바다코끼리 가죽은 묵럭 밑창과 카약 방수 처리에 사용되었고, 내장은 과거에 매우 필요했던 방수 비옷으로 사용되었다.[3] 뼈는 도구로 사용되었고, 상아는 창과 작살촉, 교역용 조각품을 만드는 데 사용되었다.[3] 또한, 바다오리 털가죽은 방수 처리된 아름다운 겨울 코트로 변형되었다.[3]6. 저명한 방문객

누니바크 섬을 방문한 유명 인사로는 언론인 존 리 앤더슨, 사진작가 에드워드 S. 커티스, 앤 메이크피스, 인류학자 마가렛 랜티스, 예술가 머리엘 해나가 있다. 환경 보호 운동가이자 야외 활동가인 스티븐 리넬라는 2015년에 자신의 텔레비전 쇼 ''Meat Eater''의 에피소드를 방영했는데, 여기서 사향소 사냥을 체험하고 섬과 그 주민들의 역사와 문화를 탐구했다.
참조
[1]
웹사이트
Block 1038 thru Block 1044, Block Group 1, Census Tract 1, Bethel Census Area
https://www.census.g[...]
[2]
간행물
2021-06-28
[3]
웹사이트
Nunivak Island description and statistics
http://www.avo.alask[...]
USGS
2007-04-13
[4]
논문
The 40Ar/39Ar chronology and eruption rates of Cenozoic volcanism in the eastern Bering Sea Volcanic Province, Alaska
http://cat.inist.fr/[...]
[5]
웹사이트
Nunivak Wilderness
https://wilderness.n[...]
2024-09-10
[6]
웹사이트
U.S. Decennial Census
https://www.census.g[...]
Census.gov
2013-06-06
[7]
웹사이트
Statistics of the Population of Alaska
https://www2.census.[...]
1880-01-01
[8]
논문
The 40Ar/39Ar chronology and eruption rates of Cenozoic volcanism in the eastern Bering Sea Volcanic Province, Alaska
http://cat.inist.fr/[...]
[9]
웹인용
U.S. Decennial Census
https://www.census.g[...]
Census.gov
2013-06-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