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니노 벤베누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노 벤베누티는 이탈리아의 권투 선수로, 아마추어 시절 이탈리아 선수권 5연패와 1960년 로마 올림픽 웰터급 금메달을 획득했다. 1961년 프로 데뷔 후, 세계 주니어 미들급과 미들급 챔피언을 지냈으며, 에밀 그리피스와의 세 차례 대결을 통해 미들급 타이틀을 획득했다. 1971년 은퇴 후에는 사업가, TV 해설자, 정치인으로 활동하며, 이탈리아 스포츠 명예의 거리에 헌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0년 하계 올림픽 복싱 참가 선수 - 무하마드 알리
    무하마드 알리는 미국의 전직 프로 권투 선수이자 사회 운동가로,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출신이며 세계 헤비급 챔피언에 세 번 등극하여 역사상 가장 위대한 권투 선수 중 한 명으로 인정받았고, 징병 거부와 복귀를 통해 인종차별 저항과 평화주의를 상징하며 문화, 스포츠, 정치에 큰 영향을 미친 세계적인 아이콘이다.
  • 1960년 하계 올림픽 복싱 참가 선수 - 송순천
    송순천은 대한민국의 복싱 선수이자 체육인으로, 1956년 멜버른 올림픽 복싱 밴텀급에서 대한민국 최초의 올림픽 은메달을 획득하고, 은퇴 후 용인대학교 교수를 거쳐 대한올림픽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며 한국 체육계 발전에 기여했다.
  • 이탈리아의 남자 권투 선수 - 클레멘테 루소
    클레멘테 루소는 올림픽 은메달 두 차례, WSB 개인 및 팀 세계 챔피언을 수상한 이탈리아 권투 선수로, 은퇴 후 방송 및 배우로 활동했다.
  • 이탈리아의 남자 권투 선수 - 로베르토 캄마렐레
    로베르토 캄마렐레는 이탈리아의 은퇴한 아마추어 복싱 선수이며, 2004년 아테네 올림픽 동메달, 2007년과 2009년 세계 선수권 대회 우승, 2008년 베이징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했다.
  • 라이트미들급 권투 세계 챔피언 - 슈거 레이 레너드
    슈거 레이 레너드는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라이트 웰터급 금메달리스트 출신으로, 프로 복싱 선수로서 웰터급, 주니어 미들급, 미들급, 슈퍼 미들급, 라이트 헤비급 등 5개 체급에서 세계 챔피언을 석권하며 복싱계의 전설이 된 미국의 전직 프로 복싱 선수이다.
  • 라이트미들급 권투 세계 챔피언 - 플로이드 메이웨더 주니어
    플로이드 메이웨더 주니어는 5체급을 석권하고 50전 전승의 기록을 가진 미국의 전 프로 권투 선수이자 프로모터이다.
니노 벤베누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10년의 니노 벤베누티
2010년의 벤베누티
본명조반니 벤베누티
별칭니노
국적이탈리아
출생일1938년 4월 26일
출생지이졸라, 이탈리아 왕국 (현재 슬로베니아, 이졸라)
스타일오소독스
신체 정보
체급라이트 미들급
미들급
라이트 헤비급
몸무게79.5 kg
1.77 m
리치191 cm
권투 경력
총 경기 수90
승리82
KO 승리35
패배7
무승부1
아마추어 경력 메달
올림픽1960 로마 웰터급 금메달
유럽 아마추어 복싱 선수권 대회1957 프라하 라이트 미들급 금메달
1959 루체른 라이트 미들급 금메달

2. 초기 생애 및 아마추어 경력

니노 벤베누티는 아마추어 시절 이탈리아 선수권 5연패, 유럽 선수권 연패를 달성했다. 1960년 로마 올림픽 웰터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하고, 카시우스 클레이를 제치고 발 바커 트로피(최우수 선수)를 수상했다.

2. 1. 어린 시절과 복싱 입문

니노 벤베누티는 아마추어 시절 이탈리아 선수권 대회에서 5회 연속 우승하고,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도 연이어 우승을 차지했다. 1960년 로마 올림픽 웰터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카시우스 클레이를 제치고 최우수 선수에게 주어지는 발 바커 트로피를 수상했다.

2. 2. 아마추어 복싱 경력

니노 벤베누티는 아마추어 시절 이탈리아 선수권 대회에서 5연패를 달성했고,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도 연이어 우승을 차지했다. 1960년 로마 올림픽 웰터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카시우스 클레이를 제치고 대회 최우수 선수에게 주어지는 발 바커 트로피를 수상했다.[1]

3. 프로 복싱 경력

1960년 로마 올림픽에서 웰터급 금메달을 획득하고 프로로 전향한 벤베누티는, 1961년 프로 데뷔 후 연승을 거듭하며 1963년 이탈리아 미들급 챔피언에 올랐다. 1965년에는 산드로 마징기를 꺾고 세계 주니어 미들급 챔피언이 되었으나, 1966년 대한민국에서 김기수에게 석연찮은 판정으로 타이틀을 잃고 미들급으로 체급을 올렸다.

1967년 벤베누티는 에밀 그리피스와의 3연전을 통해 세계 미들급 챔피언에 등극하고 타이틀을 방어하며 전성기를 누렸다. 특히 딕 타이거와의 경기에서는 1라운드에 오른손이 부러지는 부상에도 불구하고[9] 경기를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싸우는[10] 투혼을 보여주기도 했다.

1970년 카를로스 몬손에게 패배하며 타이틀을 잃었고, 1971년 재대결에서도 패배한 후 은퇴를 선언했다. 벤베누티는 프로 통산 82승(35KO) 7패 1무의 전적을 남겼으며, 1992년 국제 복싱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1][14]

3. 1. 프로 데뷔와 초기 활동

1961년 1월 20일, 벤베누티는 프로 복싱 데뷔전을 치러 6라운드 판정으로 벤 알리 알랄라를 꺾었다. 이후 1963년 3월 1일 로마에서 토마소 트루피를 상대로 이탈리아 미들급 타이틀에 도전하기 전까지 29연승을 거두었다. 11라운드에서 트루피를 KO로 꺾으면서 연승 행진을 30승으로 늘렸다. 1964년 9월 18일, 전 세계 주니어 미들급 챔피언 데니 모이어를 만나 10라운드에서 판정승을 거두면서 연승 행진은 46승으로 늘어났다.[5]

트루피와의 재대결에서 5라운드 KO 승을 포함해 55연승을 기록한 후, 1965년 6월 18일 밀라노에서 세계 주니어 미들급 챔피언 산드로 마징기와 만났다. 이 경기는 이탈리아 국민들이 열광하던 경기였다. 두 선수 모두 이탈리아인이었고, 두 선수 모두 자신들이 체급에서 최고라고 주장했으며, 서로 싸우고 싶다는 의사를 밝힌 바 있었다. 벤베누티는 6라운드 KO 승을 거두며 세계 주니어 미들급 챔피언이 되었다.[6] 1965년 10월 15일, 6라운드 KO로 루이스 폴레도를 꺾고 미들급에서 유럽 벨트를 추가했다.[7]

1965년 12월 17일에 마징기와의 재대결이 펼쳐졌고, 벤베누티는 15라운드 판정승을 거두며 세계 주니어 미들급 챔피언 자리를 지켰다. 돈 풀머에게 12라운드 판정승을 거두고, 독일에서 유프 엘제(벤베누티의 첫 해외 프로 경기)에게 14라운드 KO 승을 거두는 등 세 번의 비 타이틀전을 치른 후, 대한민국으로 건너가 1966년 6월 25일 15라운드 판정으로 김기수에게 세계 주니어 미들급 타이틀을 잃었고, 이로써 벤베누티의 65연승 기록이 깨졌다. 지역 복서를 편애하는 부당한 판결이라고 생각하여 좌절한 벤베누티는 주니어 미들급을 포기하고 미들급에 집중하기로 결정했다.[5]

3. 2. 주니어 미들급 챔피언 등극

1965년 6월 18일, 밀라노에서 벤베누티는 세계 주니어 미들급 챔피언 산드로 마징기와 맞붙었다. 두 선수 모두 이탈리아인이었고, 각자 자신이 체급 최고라고 주장하며 서로 싸우고 싶어했기에 이 경기는 이탈리아 국민들의 큰 관심을 받았다. 벤베누티는 6라운드 KO승을 거두며 세계 주니어 미들급 챔피언에 등극했다.[6] 1965년 10월 15일에는 6라운드 KO로 루이스 폴레도를 꺾고 미들급 유럽 벨트를 추가했다.[7]

1965년 12월 17일, 마징기와의 재대결에서 15라운드 판정승을 거두며 세계 주니어 미들급 챔피언 자리를 지켰다. 이후 세 번의 비 타이틀전을 치른 후, 대한민국으로 건너가 1966년 6월 25일 김기수에게 15라운드 판정으로 패하며 세계 주니어 미들급 타이틀을 잃었고, 65연승 기록도 깨졌다.[5] 벤베누티는 이 판정이 부당하다고 생각하여 주니어 미들급을 포기하고 미들급에 집중하기로 결정했다.[5]

3. 3. 김기수와의 대결과 미들급 전향

1966년 6월 25일, 벤베누티는 대한민국 서울에서 김기수와 대결하여 15라운드 판정패를 당했다. 이로써 벤베누티는 세계 주니어 미들급 타이틀을 잃었고, 65연승 기록도 깨졌다.[5] 벤베누티는 이 판정이 한국 복서를 편애하는 부당한 판결이라고 생각하여 좌절했고, 주니어 미들급을 포기하고 미들급에 집중하기로 결정했다.[5]

3. 4. 에밀 그리피스와의 3연전

1967년 4월 17일, 니노 벤베누티는 뉴욕 매디슨 스퀘어 가든에서 에밀 그리피스를 15라운드 판정으로 꺾고 세계 미들급 타이틀을 획득했다. 이 경기는 두 선수의 3연전의 시작이었다.[8] 1967년 9월 29일 셰이 스타디움에서 열린 재대결에서 벤베누티는 15라운드 판정으로 패했다.[7]

1968년 3월 4일, 벤베누티와 그리피스는 매디슨 스퀘어 가든에서 다시 만나 3연전을 마무리했다. 벤베누티는 9라운드에서 그리피스를 다운시키고 15라운드 판정승을 거두며 세계 미들급 타이틀을 되찾았다.[7]

3. 5. 챔피언 방어와 카를로스 몬손과의 대결

1966년 6월 25일, 대한민국 서울에서 김기수에게 15라운드 판정패하며 세계 주니어 미들급 타이틀을 잃었고, 이로써 벤베누티의 65연승 기록은 막을 내렸다.[5] 벤베누티는 한국 복서를 편애하는 부당한 판결이라 생각하고 좌절하여, 주니어 미들급을 포기하고 미들급에 집중하기로 결정했다.[5]

1967년 4월 17일, 뉴욕 시의 매디슨 스퀘어 가든에서 에밀 그리피스를 15라운드 판정으로 꺾고 세계 미들급 타이틀을 획득했다.[8] 하지만 1967년 9월 29일 셰이 스타디움에서 열린 재대결에서 15라운드 판정으로 패했다.[7]

1968년 3월 4일, 벤베누티와 그리피스는 매디슨 스퀘어 가든에서 다시 한번 맞붙었고, 벤베누티는 9라운드에 그리피스를 다운시키고 15라운드 판정승을 거두며 세계 미들급 타이틀을 되찾았다.[7] 이후 1968년 12월 14일 산레모에서 돈 풀머를 15라운드 판정으로 꺾고 타이틀을 방어했다. 1969년 5월 26일에는 전 세계 라이트 헤비급 챔피언 딕 타이거에게 10라운드 판정패했지만, 1라운드에서 헤드 펀치를 날리다 오른손이 부러졌음에도[9] "절름발이처럼" 계속 싸웠다.[10]

1969년 10월 4일, 나폴리의 스타디오 S. 파올로에서 미국의 프레이저 스콧을 상대로 7라운드 실격승을 거두며 타이틀을 방어했다. 이 경기는 스콧이 반칙 시도로 인해 심판으로부터 반복적인 경고를 받았고, 스콧은 벤베누티를 손가락으로 찌르려 했다고 비난하는 등 논란이 있었다.[11] 1969년 11월 22일에는 전 세계 웰터급 챔피언 루이스 로드리게스를 11라운드 KO로 꺾고 타이틀을 방어했다.[12]

1970년 3월 13일, 비 타이틀 경기에서 톰 베시에게 8라운드 KO로 패했지만, 우마그에서 열린 재대결에서 8라운드 KO로 설욕했다.

1970년 11월 7일, 로마에서 카를로스 몬손에게 12라운드 KO로 패하며 타이틀을 잃었다.[13] 1971년 5월 8일 몬테카를로에서 열린 재대결에서도 몬존이 3라운드에 벤베누티의 코너에서 수건을 던지면서 패배했다. 벤베누티는 몬존과 같은 새로운 세대의 챔피언들과 경쟁할 체력이 더 이상 없다는 것을 깨닫고 은퇴를 선언했다.

4. 은퇴 이후의 삶

벤베누티는 은퇴 후 사업가, 방송인, 배우 등으로 활동하며 성공적인 삶을 살았다. 1996년에는 국제 권투 명예의 전당 박물관에 헌액되었다.[8]

4. 1. 사업가, 방송인, 배우 활동

은퇴 후 벤베누티는 사업가이자 방송 해설자로 성공적인 삶을 살았다. 트리에스테 시의 스포츠 담당 시의원으로도 활동했다. 그는 고급 레스토랑을 열었고, 과거의 라이벌이었던 몬존과 그리피스와 끈끈한 우정을 유지했다.[1] 1980년, 벤베누티는 그리피스에게 자신의 아들 중 한 명의 대부가 되어줄 것을 요청했고, 이후 그리피스가 어려움에 처했을 때 재정적으로 도왔다.[1] 몬존은 벤베누티의 텔레비전 쇼에 여러 번 출연했고, 1988년 아내 살해 혐의로 기소되었을 때 벤베누티는 그의 가장 충실한 지지자 중 한 명이 되어 아르헨티나의 감옥을 방문했다.[1] 벤베누티는 1995년 몬존의 장례식에서 운구를 맡았다.[1]

세계 챔피언으로 군림하던 1969년에는 영화 "황야의 대활극"에서 줄리아노 젬마와 함께 주연을 맡았다.[6] 은퇴 후에는 트리에스테에서 레스토랑을 경영하는 외에,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사회자로도 활약했다.[8] 1995년부터는 자원 봉사에도 힘쓰고 있다.[8]

4. 2. 인간 관계

권투 선수에서 은퇴한 후 벤베누티는 사업가, TV 해설자, 트리에스테 시의 스포츠 담당 시의원으로 성공적인 삶을 살았다. 그는 고급 레스토랑을 열었고, 과거의 라이벌이었던 몬존과 그리피스와 끈끈한 우정을 유지했다. 1980년에 벤베누티는 그리피스에게 자신의 아들 중 한 명의 대부가 되어줄 것을 요청했고, 이후 그리피스가 어려움에 처했을 때 재정적으로 도왔다.[4] 몬존은 벤베누티의 텔레비전 쇼에 여러 번 출연했고, 1988년 아내 살해 혐의로 기소되었을 때 벤베누티는 그의 가장 충실한 지지자 중 한 명이 되어 아르헨티나의 감옥을 방문했다.[4] 벤베누티는 1995년 몬존의 장례식에서 운구를 맡았다.[4]

5. 수상 및 명예

1960년 로마 올림픽 웰터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하고, 카시우스 클레이(무하마드 알리)를 제치고 최우수 선수에게 수여되는 발 바커 트로피를 수상했다.[19]

1996년 국제 권투 명예의 전당 박물관에 헌액되었다.

2015년 5월 7일, 이탈리아 올림픽 위원회(CONI) 회장 조반니 말라고가 참석한 가운데 로마 포로 이탈리코 올림픽 공원의 '올림피아디 거리'에 이탈리아 스포츠 명예의 거리가 개관되었다. 이 거리에는 이탈리아 스포츠 역사상 가장 대표적인 선수 100명의 이름이 연대순으로 새겨진 타일이 설치되었으며, 벤베누티에게 헌정된 타일도 포함되어 있다.[19]

6. 프로 복싱 전적

번호결과전적상대타입라운드, 시간날짜장소비고
9082–7–1카를로스 몬존TKO3 (15)1971년 5월 8일모나코 몬테카를로WBA, WBC, The Ring 미들급 타이틀 매치
8982–6–1호세 치리노MD101971년 3월 17일이탈리아 에밀리아로마냐 볼로냐
8882–5–1카를로스 몬존TKO12 (15)1970년 11월 7일이탈리아 라치오 로마 팔라제토 델로 스포르트WBA, WBC, The Ring 미들급 타이틀 상실
8782–4–1도일 베어드TKO10 (10)1970년 9월 12일이탈리아 풀리아 바리 비토리야 경기장
8681–4–1톰 베시KO8 (15)1970년 5월 23일유고슬라비아 우마그 스포츠 스타디움 아레나WBA, WBC, The Ring 미들급 타이틀 방어
8580–4–1톰 베시TKO8 (10)1970년 3월 13일오스트레일리아 빅토리아 멜버른 올림픽 벨로드롬
8480–3–1루이스 마누엘 로드리게스KO11 (15)1969년 11월 22일이탈리아 라치오 로마 팔라제토 델로 스포르트WBA, WBC, The Ring 미들급 타이틀 방어
8379–3–1프레이저 스콧DQ7 (15)1969년 10월 4일이탈리아 캄파니아 나폴리 산 파올로 경기장WBA, WBC, The Ring 미들급 타이틀 방어[11]
8278–3–1딕 타이거UD101969년 5월 26일미국 뉴욕주 뉴욕 시 매디슨 스퀘어 가든[9]
8178–2–1돈 풀머UD151968년 12월 14일이탈리아 리구리아 산레모 아리스톤 극장WBA, WBC, The Ring 미들급 타이틀 방어[7]
80무승부77–2–1도일 베어드PTS101968년 10월 14일미국 오하이오주 애크런 러버 볼
7977–2아트 에르난데스UD101968년 9월 17일캐나다 온타리오 토론토 메이플 리프 가든
7876–2지미 라모스RTD4 (10)1968년 7월 5일이탈리아 피에몬테 토리노
7775–2아카사카 요시아키KO2 (10)1968년 6월 7일이탈리아 라치오 로마 팔라제토 델로 스포르트
7674–2에밀 그리피스UD151968년 3월 4일미국 뉴욕주 뉴욕 시 매디슨 스퀘어 가든WBA, WBC, The Ring 미들급 타이틀 획득[7]
7573–2찰리 오스틴PTS101968년 1월 19일이탈리아 라치오 로마 팔라제토 델로 스포르트
7472–2에밀 그리피스MD151967년 9월 29일미국 뉴욕주 뉴욕 시 셰이 스타디움WBA, WBC, The Ring 미들급 타이틀 상실[7]
7372–1에밀 그리피스UD151967년 4월 17일미국 뉴욕주 뉴욕 시 매디슨 스퀘어 가든WBA, WBC, The Ring 미들급 타이틀 획득[8]
7271–1마일로 칼훈PTS101967년 3월 3일이탈리아 라치오 로마 팔라제토 델로 스포르트
7170–1만프레드 그라우스KO2 (10)1967년 1월 19일이탈리아 라치오 로마 팔라제토 델로 스포르트
7069–1헤나투 모라에스KO9 (10)1966년 12월 23일이탈리아 라치오 로마
6968–1페르드 에르난데스PTS101966년 12월 2일이탈리아 라치오 로마 팔라제토 델로 스포르트
6867–1파스칼 디 베네데토RTD11 (15)1966년 10월 21일이탈리아 라치오 로마 팔라제토 델로 스포르트유럽 미들급 타이틀 방어
6766–1해리 스콧PTS101966년 9월 23일이탈리아 라치오 로마 팔라제토 델로 스포르트
6665–1김기수SD151966년 6월 25일대한민국 서울 장충체육관WBA, WBC 주니어 미들급 타이틀 상실[5]
6565–0유프 엘제TKO14 (15)1966년 5월 14일독일 베를린 도이칠란트할레유럽 미들급 타이틀 방어
6464–0클래런스 제임스PTS101966년 3월 11일이탈리아 피에몬테 토리노
6363–0돈 풀머UD121966년 2월 4일이탈리아 라치오 로마 팔라제토 델로 스포르트
6262–0산드로 마칭기UD151965년 12월 17일이탈리아 라치오 로마 팔라제토 델로 스포르트WBA, WBC 주니어 미들급 타이틀 방어[6]
6161–0제임스 셸턴PTS101965년 11월 15일이탈리아 에밀리아로마냐 볼로냐
6060–0조니 토레스DQ7 (10)1965년 11월 5일이탈리아 피에몬테 토리노
5959–0루이스 폴레도KO6 (15)1965년 10월 15일이탈리아 라치오 로마 팔라제토 델로 스포르트유럽 미들급 타이틀 획득[7]
5858–0다니엘 르율리에TKO7 (10)1965년 8월 16일이탈리아 마르케 세니갈리아
5757–0산드로 마칭기KO6 (15)1965년 6월 18일이탈리아 롬바르디아 밀라노 산 시로WBA, WBC 주니어 미들급 타이틀 획득[6]
5656–0마일로 칼훈PTS101965년 4월 30일이탈리아 리구리아 제노바
5555–0립 랜달PTS101965년 4월 2일이탈리아 라치오 로마 팔라제토 델로 스포르트
5454–0딕 나이트KO6 (10)1965년 3월 19일이탈리아 에밀리아로마냐 볼로냐
5353–0믹 리하이PTS101965년 2월 27일이탈리아 롬바르디아 밀라노 팔라초 델로 스포르트
5252–0토마소 트루피RTD5 (12)1965년 2월 12일이탈리아 에밀리아로마냐 볼로냐이탈리아 미들급 타이틀 방어
5151–0아트 에르난데스TKO3 (10)1965년 1월 22일이탈리아 라치오 로마 팔라제토 델로 스포르트
5050–0후안 카를로스 두란PTS101964년 12월 19일이탈리아 롬바르디아 밀라노 팔라포르트 디 산 시로
4949–0아리스테오 차바린KO4 (10)1964년 11월 27일이탈리아 라치오 로마 팔라제토 델로 스포르트
4848–0아브라오 데 수자DQ7 (10)1964년 10월 9일이탈리아 라치오 로마 팔라제토 델로 스포르트
4747–0데니 모이어PTS101964년 9월 18일이탈리아 라치오 로마 팔라제토 델로 스포르트[5]
4646–0파비오 베티니PTS121964년 7월 30일이탈리아 리구리아 산레모이탈리아 미들급 타이틀 방어
4545–0지미 비참TKO2 (10)1964년 5월 28일이탈리아 에밀리아로마냐 볼로냐
4444–0슈가 보이 난도PTS101964년 4월 10일이탈리아 라치오 로마 팔라제토 델로 스포르트
4343–0미셸 디우프PTS101964년 3월 18일이탈리아 에밀리아로마냐 볼로냐
4242–0메모 아욘KO5 (10)1964년 2월 28일이탈리아 라치오 로마 팔라제토 델로 스포르트
4141–0테드 라이트PTS101963년 12월 13일이탈리아 라치오 로마 팔라제토 델로 스포르트
4040–0루이스 구티에레즈TKO7 (10)1963년 11월 15일이탈리아 라치오 로마 팔라제토 델로 스포르트
3939–0재키 카일로PTS101963년 11월 7일이탈리아 토스카나 프라토
3838–0가스파르 오르테가PTS101963년 10월 18일이탈리아 라치오 로마 팔라제토 델로 스포르트
3737–0빅토르 잘라자르TKO2 (10)1963년 9월 27일이탈리아 라치오 로마 팔라제토 델로 스포르트
3636–0빌헬름 니데라우TKO6 (10)1963년 9월 16일이탈리아 토스카나 프라토
3535–0프란체스코 피오리TKO3 (12)1963년 8월 31일이탈리아 라치오 프리베르노이탈리아 미들급 타이틀 방어
3434–0토니 몬타노PTS101963년 6월 7일이탈리아 라치오 로마 팔라제토 델로 스포르트
3333–0지미 비참PTS101963년 5월 23일이탈리아 라치오 로마 플라미니오 경기장
3232–0장 르엘레PTS101963년 4월 24일이탈리아 피에몬테 알레산드리아 팔라제토 델로 스포르트
3131–0조르주 에스토토프KO6 (10)1963년 4월 5일이탈리아 피에몬테 토리노 팔라초 델로 스포르트
3030–0토마소 트루피KO11 (12)1963년 3월 1일이탈리아 라치오 로마이탈리아 미들급 타이틀 획득
2929–0지암파올로 멜리스KO2 (10)1962년 12월 26일이탈리아 에밀리아로마냐 볼로냐
2828–0아이작 로가르트PTS101962년 11월 30일이탈리아 라치오 로마 팔라제토 델로 스포르트
2727–0다니엘 르율리에PTS101962년 10월 18일이탈리아 베네토 파도바
2626–0디에고 인판테스PTS81962년 9월 28일이탈리아 라치오 로마 팔라제토 델로 스포르트
2525–0주세페 젠틸레티KO2 (10)1962년 8월 30일이탈리아 마르케 세니갈리아
2424–0마흐무트 르 누아르PTS81962년 8월 2일이탈리아 에밀리아로마냐 리냐노
2323–0지노 로시PTS101962년 7월 12일이탈리아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 트리에스테
2222–0하인츠 프라이탁PTS81962년 6월 22일이탈리아 라치오 로마 팔라제토 델로 스포르트
2121–0장 르엘레PTS81962년 6월 2일이탈리아 사르데냐 칼리아리 암시코라 경기장
2020–0엑토르 콘스탄스PTS101962년 5월 1일이탈리아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 트리에스테
1919–0짐 헤겔레KO4 (11)1962년 4월 13일이탈리아 라치오 로마 팔라제토 델로 스포르트
1818–0자니 롬미KO5 (10)1962년 3월 17일이탈리아 롬바르디아 밀라노
1717–0만프레드 하스PTS81962년 3월 8일이탈리아 피에몬테 토리노
1616–0호세 리켈메PTS81962년 2월 19일이탈리아 에밀리아로마냐 볼로냐 팔라제토 델로 스포르트
1515–0조지 올드리지KO6 (10)1962년 1월 19일이탈리아 라치오 로마 팔라제토 델로 스포르트
1414–0주세페 카탈라노PTS81961년 12월 20일이탈리아 라치오 로마 팔라제토 델로 스포르트
1313-0제시 존스DQ6 (8)1961년 11월 24일이탈리아 라치오 로마
1212–0알레산드로 레오나르디PTS81961년 11월 3일이탈리아 라치오 로마
1111–0루치아노 마르티니PTS61961년 10월 6일이탈리아 라치오 로마
1010–0살바토레 델피노PTS61961년 9월 25일이탈리아 라치오 로마
99–0윌리 반 훅PTS61961년 8월 29일이탈리아 라치오 로마
88–0구이도 마초니PTS61961년 6월 29일이탈리아 라치오 로마
77–0안젤로 리스포PTS61961년 5월 12일이탈리아 라치오 로마
66–0로코 발레PTS61961년 4월 29일이탈리아 라치오 로마
55–0루치아노 마르티니PTS61961년 4월 14일이탈리아 에밀리아로마냐 볼로냐
44–0알프레도 카발리에리PTS61961년 3월 18일이탈리아 라치오 로마
33–0노르베르토 코르테시PTS61961년 3월 4일이탈리아 라치오 로마
22–0세르지오 카로PTS61961년 2월 10일이탈리아 라치오 로마
11–0벤 알리 알랄라PTS61961년 1월 20일이탈리아 라치오 로마프로 복싱 데뷔


참조

[1] Sports-Reference Nino Benvenuti https://www.sports-r[...]
[2] IMDB Alive or Preferably Dead https://www.imdb.com[...]
[3] 웹사이트 BoxRec ratings: world, pound-for-pound, active and inactive https://boxrec.com/e[...] BoxRec 2021-01-11
[4] 웹사이트 10: Best middleweight titleholders of the last 50 years http://ringtv.craveo[...] RingTV 2017-12-22
[5] 뉴스 A Conversation with Nino Benvenuti http://tss.ib.tv/art[...] 2018-06-30
[6] 웹사이트 Nino Benvenuti - Lineal Junior Middleweight Champion http://www.cyberboxi[...] The Cyber Boxing Zone Encyclopedia
[7] 뉴스 On This Day: Italian great Nino Benvenuti was born http://www.boxingnew[...] 2018-06-30
[8] 웹사이트 Nino Benvenuti - Lineal Middleweight Champion http://www.cyberboxi[...] The Cyber Boxing Zone Encyclopedia
[9] 뉴스 Benvenuti Breaks Hand, Loses Decision to Tiger https://cdnc.ucr.edu[...] 2018-06-30
[10] 뉴스 Benvenuti Settles for Immortality https://www.nytimes.[...] 2018-06-30
[11] 서적 Weigh-in Thomas Y. Crowell Company
[12] 간행물 NINO'S HOOK STOPPED A ROMAN RIOT https://www.si.com/v[...] 2018-06-30
[13] 뉴스 Fall Of The Emperor: Monzon Dethroned Nino https://www.boxingsc[...] 2018-06-30
[14] 웹사이트 Nino Benvenuti http://www.ibhof.com[...]
[15]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Boxing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3
[16] 뉴스 Daily News reunites boxing legends Nino Benvenuti and Emile Griffith one last time http://www.nydailyne[...] nydailynews.com 2009-12-24
[17] 뉴스 A JAB FROM THE INTELLECTUAL https://www.si.com/v[...] 2018-06-30
[18] 웹사이트 Benvenuti a questo mondo http://archiviostori[...] gazzetta.it 1999-09-08
[19] 웹사이트 Inaugurata la Walk of Fame: 100 targhe per celebrare le leggende dello sport italiano http://www.coni.it/i[...] coni.it 2018-1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