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르다넬스 대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르다넬스 대포는 1464년 무니르 알리에 의해 제작된 대형 청동 대포로, 오스만 제국에서 활용되었다. 무게 16.8톤, 길이 5.18m, 직경 0.63m의 돌덩이를 발사할 수 있었으며, 15세기 초부터 오스만 제국의 정복 전쟁과 서유럽 공성전에 사용되었다. 콘스탄티노플 공성전에서 사용되었으며, 1807년 다르다넬스 해협에서 영국 해군과의 전투에서도 사용되었다. 1866년 빅토리아 여왕에게 선물되어 현재는 포트 넬슨에 전시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만 제국의 군사 장비 - 킬리지
킬리지는 흉노 시대부터 사용된 중앙 아시아 튀르크 기원 사브르로, 접쇠 방식으로 제작되었으며 칼날 끝부분에 얄만이라 불리는 뒷날이 있고, 오스만 튀르크에서 권력과 왕국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 오스만 제국의 군사 장비 - 야타간
야타간은 오스만 제국에서 사용된 독특한 형태의 칼로, 굽은 단일 날과 날개처럼 펼쳐진 손잡이가 특징이며 보병들이 휴대하며 권위와 남성성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 유명한 캐넌 - 리틀 데이비드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에서 개발된 914mm 대형 박격포 리틀 데이비드는 일본 본토 침공 작전에서 요새 파괴용으로 고려되었으나, 일본 항복으로 실전 배치되지 못했고 이동성이 좋았지만 짧은 사거리와 낮은 명중률로 효율성 문제가 있었으며 현재는 복원되어 전시될 예정이다. - 유명한 캐넌 - 80 cm 열차포가 캐넌포 구스타프
80 cm 열차포 "구스타프"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에서 개발 및 운용된 초대형 열차포로, 마지노 선 파괴를 위해 설계되어 7톤 포탄으로 철근 콘크리트와 강철 장갑판을 관통할 수 있었으며, 특수 섀시에 거치되어 철도 선로를 따라 이동하며 슈베러 구스타프는 세바스토폴 공방전에서 사용되었다.
다르다넬스 대포 | |
---|---|
기본 정보 | |
![]() | |
명칭 (튀르키예어) | Şahi topu (샤히 토푸) |
무기 제원 | |
종류 | 봄바드, 사석포 |
설계자 | 무니르 알리 |
제작 연도 | 1464년 |
무게 | 17,069 kg |
부분 길이 | 518 cm |
구경 | 635 mm |
장전 방식 | 전장식 |
점화 방식 | 화승 |
사용 정보 | |
사용 국가 | 오스만 제국 |
참전 | 다르다넬스 작전, 콘스탄티노플 함락 |
2. 역사
다르다넬스 대포는 1464년 무니르 알리에 의해 청동으로 주조되었으며 무게 16.8t, 길이 5.18m에 달하고, 직경 0.63m의 돌덩이를 발사할 수 있었다. 대포의 약실과 총열은 나사 구조로 연결되어 다루기 무거운 장치도 쉽게 운반할 수 있었다.
이러한 초대형 사석포는 15세기 초부터 오스만 제국의 정복 전쟁[21]과 서유럽 공성전에서 사용되었다.[22] 뉴질랜드의 사학자 폴 해머(Paul Hammer)와 헝가리의 사학자 가버 아고스톤(Gábor Ágoston)에 따르면 이 기술은 이미 이전에 대포를 사용했던 다른 이슬람 국가에서 도입되었을 수도 있다.[23] 오스만 군대는 1430년 살로니카 공성전과 1446년 코린토스 지협의 헥사밀리온 방벽에 이러한 대형 사석포를 성공적으로 배치했다.
우르반이 제작한 바실리카 대포는 길이가 8m에 이르러 당시 어떤 대포보다 포신이 길었고, 270kg짜리 돌을 1.6km까지 날려 보낼 수 있었는데, 너무도 커서 한 번 발사하고 다시 장전하는 데에만 세 시간이나 걸릴 정도였다.[24]
2. 1. 오스만 제국의 활용
1453년 콘스탄티노플 공성전에서 오스만 제국은 우르반이 제작한 바실리카 대포를 포함하여 최소 12문에서 최대 62문에 달하는 크고 작은 대포를 사용했다.[25][26] 이 대포들은 헝가리 왕국 브라소 출신 우르반 외에도, 사르카(Saruca)에 위치한 주물 공장을 포함하여 투르크인 대포 제작자와 기술자들이 고용된 공장에서 제작되었다.[25][26] 포위 공격에 투입된 대부분의 대포는 사르카 대포를 포함하여 투르크 기술자들이 제작했으며, 그 중 일부는 우르반이 제작한 것도 있었다.[25][26] 무니르 알리의 다르다넬스 대포는 콘스탄티노플 공성전에 사용된 대형 사석포의 설계를 충실히 따른 것으로 추정된다.1807년 영국 해군이 다르다넬스 해전에 참전했을 때, 다르다넬스 대포는 340년이 넘도록 여전히 사용되고 있었다. 오스만 투르크군은 15세기에 제작된 이 고대 유물에 추진제와 발사체를 장전하여 영국 함대에 발사했고, 이 포격으로 영국 함대는 28명의 사상자를 냈다.[28]
2. 2. 19세기 이후
1807년 영국 해군이 다르다넬스 해전을 전개했을 때, 다르다넬스 대포는 340년이 지난 시점에도 여전히 사용되고 있었다.[28] 오스만 투르크군은 15세기에 제작된 이 고대 유물에 추진제와 발사체를 실어 영국 함대를 향해 발사했고, 영국 함대는 이 포격으로 28명의 사상자를 냈다.[28]1866년 술탄 압뒬라지즈는 영국의 터키 국빈 방문을 맞아 다르다넬스 대포를 빅토리아 여왕에게 선물했다.[29] 이 대포는 영국 왕립 무기고(Royal Armouries) 컬렉션의 일부가 되었으며 런던 타워에 전시되었다가 나중에 포츠머스가 내려다 보이는 햄프셔주의 포트 넬슨으로 옮겨졌다.[30]
참조
[1]
웹사이트
Gun - Turkish Bombard - 1464
https://royalarmouri[...]
2024-10-02
[2]
서적
Guns for the Sultan: Military Power and the Weapons Industry in the Ottoman Empir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3]
서적
The Heirs of Archimedes: Science and the Art of War Through the Age of Enlightenment
https://books.google[...]
MIT Press
2005
[4]
서적
Treasures of the Royal Armouries A Panoply of Arms
Royal Armouries Museum
2022
[5]
웹사이트
Geometry of War – Pg. 6
http://www.math.nus.[...]
2007-09-07
[6]
간행물
Schmidtchen (1977b), pp. 226–228
[7]
간행물
Ffoulkes (1930), pp. 217–227; Schmidtchen (1977b), pp. 226–228
[8]
URL
https://collections.[...]
[9]
간행물
Schmidtchen (1977b), p. 228
[10]
간행물
Schmidtchen (1977a), pp. 153–157
[11]
간행물
Schmidtchen (1977b), p. 226
[12]
간행물
Paul E. J. Hammer (2007), Warfare in Early Modern Europe 1450-1660, page 297, Ashgate Publishing
https://books.google[...]
[13]
간행물
Schmidtchen (1977b), p. 228
[14]
간행물
Schmidtchen (1977b), p. 226
[15]
웹사이트
Geometry of War – Pg. 6
http://www.math.nus.[...]
2018-12-20
[16]
간행물
Schmidtchen (1977b), pp. 226–228
[17]
URL
https://collections.[...]
[18]
간행물
Ffoulkes (1930), pp. 217–227; Schmidtchen (1977b), pp. 226–228
[19]
URL
https://collections.[...]
[20]
간행물
Schmidtchen (1977b), p. 228
[21]
서적
Guns for the Sultan: Military Power and the Weapons Industry in the Ottoman Empire
https://books.google[...]
2005
[22]
간행물
Schmidtchen (1977a), pp. 153–157
[23]
간행물
Paul E. J. Hammer (2007), Warfare in Early Modern Europe 1450–1660, page 297, Ashgate Publishing
https://books.google[...]
[24]
서적
배리 파커 저, 김은영 역 《전쟁의 물리학》 북로드, 2015
https://books.google[...]
[25]
서적
The Heirs of Archimedes: Science and the Art of War Through the Age of Enlightenment
https://books.google[...]
2005
[26]
서적
Warfare in Early Modern Europe 1450–1660
https://books.google[...]
2017
[27]
간행물
Schmidtchen (1977b), p. 226
[28]
간행물
Schmidtchen (1977b), p. 228
[29]
간행물
Schmidtchen (1977b), p. 226
[30]
웹인용
Geometry of War – Pg. 6
http://www.math.nus.[...]
2007-09-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