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린토스 지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린토스 지협은 그리스 본토와 펠로폰네소스 반도 사이의 좁은 지협으로, 북쪽의 코린토스만과 남동쪽의 사로니코스만을 연결한다.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전략적 요충지로, 코린토스 운하가 건설되기 전에는 디올코스라는 육상 수송로가 사용되었다. 1893년 코린토스 운하가 완공되어 에게해와 이오니아해를 연결하는 중요한 해상 교통로가 되었으며, 엑사밀리온 성벽, 디올코스 등 유적이 남아있다. 그리스 신화에서는 테세우스가 이 지역을 지나갔다는 이야기가 전해지며, 고대 코린토스는 켄크레아이와 레카이온 항구를 통해 번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럽의 지협 - 카렐리야 지협
카렐리야 지협은 핀란드와 러시아 사이에 위치하며 렘볼로보 고지를 최고점으로 하고, 부오크시 강이 라도가 호로 흘러 지협을 양분하며, 11세기부터 지배권 경쟁이 있었고, 펄프 및 제지, 목재 산업이 발달하고, E18 고속도로, 사이마 운하, 여러 철도가 지나가는 지역이다. - 유럽의 지협 - 페레코프 지협
페레코프 지협은 우크라이나 남부 헤르손주와 크림반도 사이에 위치한 흑해와 아조프해를 잇는 전략적 요충지이자 우크라이나 본토와 크림반도를 연결하는 유일한 육상 통로이며 북크림 운하를 통해 크림반도에 물을 공급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펠로폰네소스주의 지리 - 마니반도
그리스 펠로폰네소스 반도 남쪽의 산악 지역인 마니 반도는 고대 문명의 영향과 비잔티움 제국 시대의 자치권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문화를 형성했으며, 탑 모양 주택과 역사 유적, 아름다운 해변, 그리고 호모 사피엔스 두개골 발견지로 유명하고, 그리스 독립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마니오트인들의 고향이다. - 펠로폰네소스주의 지리 - 코린토스만
코린토스만은 그리스에 위치하며, 이오니아해의 만입부로 리오 해협 안쪽에 위치하고, 에게해 판과 유라시아 판의 경계에 있어 지진이 활발하며, 코린토스 운하를 통해 사로니코스만과 연결된다.
코린토스 지협 | |
---|---|
위치 정보 | |
![]() | |
지리 | |
종류 | 지협 |
위치 | 펠로폰네소스 반도와 그리스 본토 사이 |
수역 | 코린토스 만과 사로니코스 만 |
너비 | 6.3km |
역사적 중요성 | |
중요성 | 펠로폰네소스 반도와 그리스 본토를 연결하는 전략적 요충지였다. |
고대 그리스어 | τάδ᾽ οὐχὶ Πελοπόννησος, ἀλλ᾽ Ἰωνία (이곳은 펠로폰네소스가 아니라 이오니아다) |
고대 그리스어 2 | τάδ᾽ ἐστὶ Πελοπόννησος, οὐκ Ἰωνία (이곳은 펠로폰네소스이지 이오니아는 아니다) |
2. 지리
고대 그리스에서는 이 지역을 '''Ἰσθμός|이스토모스grc'''라고 불렀다. Ἰσθμός|이스토모스grc는 고대 그리스어로 "목"(neck)을 의미하는 단어이지만, 이후 "이스토모스"는 지형으로서의 "지협"을 가리키는 일반 명사로 사용되게 되었다.[6] 코린토스 지협을 가리켜 "이스트모스 지협"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코린토스 지협은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펠로폰네소스반도를 우회하지 않고자 하는 운하 건설 시도가 여러 차례 있었던 곳이다. 고대에는 기술적 한계로 실패했지만, 지협의 전략적 중요성 때문에 디올코스와 같은 육상 운송로나 엑사밀리온 성벽 같은 방어 시설이 건설되기도 했다. 오랜 염원이었던 운하는 그리스 독립 전쟁 이후 근대에 이르러 마침내 코린토스 운하로 완성되었다.
코린토스 지협의 북서쪽에는 코린토스만 (이오니아해의 일부)이 있고, 남동쪽에는 사로니코스만 (에게해의 일부)이 펼쳐져 있다. 이 두 바다는 전장 6.3km의 코린토스 운하를 통해 연결된다.
지리적으로 지협은 북동쪽의 그리스 본토 (스테레아 엘라다)와 서남쪽의 펠로폰네소스반도를 잇는다. 행정 구역상으로는 펠로폰네소스 지방의 코린티아현에 속하며, 코린토스시와 Loutraki – Agioi Theodoroi|루트라키-아이이 테오도리el시의 일부를 포함한다. 그리스 본토 쪽으로는 아티카 지방과 인접해 있다.
주요 도시인 코린토스는 지협의 서남부, 즉 펠로폰네소스반도 쪽에 위치한다. 코린토스만에 면한 현재의 시가지는 19세기에 새로 건설된 것이며, 고대 그리스 시대의 도시 국가였던 코린토스는 현재 위치보다 더 내륙에 자리 잡고 있었다.
3. 명칭
4. 역사
4. 1. 고대 시대
고대 그리스인들은 배가 펠로폰네소스반도를 멀리 돌아가지 않고 지협을 통과할 수 있는 지름길 건설을 오랫동안 구상했다. 첫 시도는 기원전 7세기 코린토스의 참주 페리안드로스에 의해 이루어졌다. 그는 운하 건설을 추진했으나 당시 기술적 한계에 부딪혀 계획을 포기했다. 대신 그는 '디올코스'(Δίολκος|디올코스grc)라 불리는 육상 운송로를 건설했는데, 이는 배를 육지로 끌어 옮기는 방식의 석조 도로였다. 디올코스의 유적은 오늘날 코린토스 운하 옆에 남아 있다.
그리스 신화에서는 영웅 테세우스가 고향 트뢰젠에서 아테네로 가던 중 이곳을 지나며 여행자들을 괴롭히던 악당 시니스를 물리쳤다고 전해진다. 또한 테세우스는 이곳에 두 개의 비석을 세웠다고 하는데, 동쪽(아티카 방향) 비석에는 τάδ᾽ οὐχὶ Πελοπόννησος, ἀλλ᾽ Ἰωνία|타드 우키 펠로폰네소스, 알 이오니아grc("여기는 펠로폰네소스가 아니라 이오니아다")라고 새겼고, 서쪽(펠로폰네소스 방향) 비석에는 τάδ᾽ ἐστὶ Πελοπόννησος, οὐκ Ἰωνία|타드 에스티 펠로폰네소스, 우크 이오니아grc("여기는 펠로폰네소스다, 이오니아는 아니다")라고 새겼다고 한다.[7]
고대 로마가 그리스를 지배하게 되면서 운하 건설 계획은 다시 논의되었다.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새로 건설한 식민 도시 콜로니아 라우스 율리아 코린티엔시스와의 연결을 위해 운하의 필요성을 인식했다. 티베리우스 황제 때 기술자들이 운하를 파려고 시도했지만, 당시 기술로는 역부족이었다. 대신 고대 이집트에서 피라미드 건설 시 화강암 블록을 옮겼던 것처럼, 통나무를 이용해 배를 지협 너머로 굴려 옮기는 방식을 사용했으며, 이는 서기 32년에 활용되었다.
서기 67년, 친 그리스 성향의 로마 황제 네로는 대규모 운하 공사를 시작했다. 그는 6,000명의 노예를 동원하여 삽으로 직접 운하를 파도록 명령했다. 역사가 플라비우스 요세푸스에 따르면 이 노예들은 베스파시아누스가 유대 전쟁 당시 사로잡은 유대인들이었다.[3] 대 플리니우스는 운하 공사가 약 4 스타디온(약 0.8km) 정도 진행되었다고 기록했다.[4] 그러나 이듬해 네로가 사망하자, 그의 뒤를 이은 갈바 황제는 막대한 비용 문제로 공사를 중단시켰다. 결국 고대에는 운하 건설 시도가 여러 차례 있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
고대 코린토스는 지협의 지리적 이점을 활용하여 크게 번성했다. 사로니코스만 쪽에는 켄크레아이 항(Κεγχρεαί|켄크레아이grc, 현재의 케크리스)을, 코린토스만 쪽에는 레카이온 항(Λέχαιον|레카이온grc, 현재의 레헤오)을 두어 동서 교역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지협의 이스트미아 지역에는 바다의 신 포세이돈을 모시는 신전이 있었으며, 이곳에서는 2년마다 고대 그리스 4대 경기 대회 중 하나인 이스트미아 제전이 열렸다.
5세기에는 동로마 제국의 황제 테오도시우스 2세가 북방 민족의 침입으로부터 펠로폰네소스반도를 보호하기 위해 지협을 가로지르는 거대한 방벽인 엑사밀리온 성벽(Hexamilion wall)을 건설하기도 했다.
4. 2. 중세 시대
5세기에 동로마 제국의 황제 테오도시우스 2세는 북방 민족의 침입으로부터 펠로폰네소스반도를 보호하기 위해 코린토스 지협을 가로지르는 방어벽인 헥사밀리オン 성벽을 건설했다. 이 성벽은 그리스 본토에서 펠로폰네소스 반도로 들어가는 유일한 육로를 방어하기 위한 목적으로 세워졌으며, 그리스에서 가장 큰 단일 고고학적 구조물이다.
4. 3. 근대
고대부터 지협을 가로지르는 운하 건설 시도는 여러 차례 있었으나 기술적인 문제 등으로 번번이 실패하였다. 근대에 들어 그리스가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그리스 독립 전쟁을 통해 독립한 직후인 1830년에 운하 건설 아이디어가 다시 진지하게 제안되었다. 이후 11년간의 공사 끝에 1893년 마침내 코린토스 운하가 완공되었다.
5. 코린토스 운하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사람들은 펠로폰네소스반도를 배로 돌아가지 않고 지협을 통과하는 지름길을 만들 생각을 했다. 기원전 7세기 코린토스의 참주 페리안드로스가 처음으로 운하 건설을 시도했지만, 기술적인 문제에 부딪혀 포기했다. 대신 그는 더 간단하고 비용이 적게 드는 육상 석조 경사로인 디올코스를 건설하여 배를 육지로 옮겼다. 디올코스의 유적은 오늘날에도 현대 운하 옆에서 찾아볼 수 있다.
고대 로마가 그리스를 지배하면서 다른 해결책들이 시도되었다.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운하 건설의 이점을 인식했고, 티베리우스 황제 시대에는 기술자들이 운하를 파려고 했으나 당시 장비의 한계로 실패했다. 대신 고대 이집트의 방식을 차용하여 통나무 위로 배를 굴려 지협을 넘기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했다. 서기 67년, 친 그리스 성향의 로마 황제 네로는 6,000명의 노예를 동원하여 운하를 파도록 명령했다. 역사가 플라비우스 요세푸스는 이 노예들이 유대 전쟁 당시 베스파시아누스가 사로잡은 유대인 포로였다고 기록했다.[3] 대 플리니우스에 따르면, 이 작업으로 운하는 4 스타디온(약 0.8km) 정도 파였다.[4] 그러나 네로가 사망한 후 다음 황제인 갈바는 비용이 너무 많이 든다는 이유로 이 프로젝트를 포기했다.
근대에 들어 그리스가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독립한 직후인 1830년에 운하 건설 아이디어가 다시 진지하게 제안되었다. 이후 11년간의 공사 끝에 1893년에 마침내 코린토스 운하가 완공되었다. 총 길이 6.3km의 이 운하는 지협 북서쪽의 코린토스만(이오니아해)과 남동쪽의 사로니코스만(에게해)을 연결한다. 운하 개통으로 펠로폰네소스반도를 길게 돌아가야 했던 항해 거리가 크게 단축되어 해상 교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6. 유적 및 보존 노력
코린토스 지협 운하 근처에는 고대의 석조 궤도인 디올코스 유적이 남아 있다. 과거 디올코스는 배를 육지로 운반하는 데 사용되었다. 그러나 현재 이 유적의 보존 상태에 대한 심각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으며, 그리스의 시민 운동가들은 정부에 디올코스 보호를 위한 적극적인 조치를 촉구하고 있다.[5]
또한 코린토스 지협에는 헥사밀리온 성벽이 있다. 이 성벽은 로마 시대에 그리스 본토에서 펠로폰네소스 반도로 향하는 유일한 육로를 방어하기 위해 지협을 가로질러 건설되었다. 헥사밀리온 성벽은 코린토스 운하 인근에 위치하며, 그리스에서 가장 큰 단일 고고학 구조물로 알려져 있다.
7. 신화 속의 코린토스 지협
그리스 신화에서는 영웅 테세우스가 고향 트뢰젠 (펠로폰네소스 반도 북동부)에서 아테네로 향하는 도중에 이 땅을 지나면서 여행자를 해치는 악당 시니스를 물리쳤다고 전해진다.
테세우스는 이곳 지협에 두 개의 비석을 세웠다고 하는데, 동쪽(아티카 방향) 비석에는 τάδ᾽ οὐχὶ Πελοπόννησος, ἀλλ᾽ Ἰωνία|여기는 펠로폰네소스가 아니라 이오니아다grc, 서쪽(펠로폰네소스 방향) 비석에는 τάδ᾽ ἐστὶ Πελοπόννησος, οὐκ Ἰωνία|여기는 펠로폰네소스다, 이오니아는 아니다grc라고 새겼다고 한다.[7]
8. 고대 코린토스의 항구
고대 코린토스는 사로니코스만 쪽에 Κεγχρεαί|켄크레아이grc 항(현 케흐리에스)을, 코린토스만 쪽에 Λέχαιον|레카이온grc 항(현 레헤오)을 가지고 있어, 교역의 중심지로서 번영했다.
사로니코스 만에 가까운 이스트미아에는 바다의 신 포세이돈을 모시는 소나무로 장식된 신전이 있었고, 고대 그리스 4대 경기회 중 하나인 이스트미아 제전이 2년에 한 번 개최되었다. 이 제전은 지리적으로 지방색이 매우 짙은 경기회였다고 전해진다.
참조
[1]
웹사이트
Strabo, Geography. 9.1.6
http://perseus.uchic[...]
2013-12-13
[2]
웹사이트
Plutarch, Parallel Lives, Theseus
https://www.perseus.[...]
[3]
웹사이트
Flavius Josephus, The Wars of the Jews, Book 3 Chapter 10 paragraph 10
http://sacred-texts.[...]
[4]
웹사이트
Pliny the Elder, The Natural History
https://www.perseus.[...]
[5]
뉴스
BBC report
http://news.bbc.co.u[...]
[6]
웹사이트
ισθμός
http://www.perseus.t[...]
A Greek–English Lexicon
2012-02-20
[7]
웹사이트
Plutarch, Parallel Lives , Theseus
http://www.perseus.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