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다름슈타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름슈타튬(Ds)은 원자 번호 110번의 인공적인 화학 원소이다. 1994년 독일 다름슈타트의 중이온 연구소(GSI)에서 처음 합성되었으며, 다름슈타트 시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다름슈타튬은 안정한 동위원소를 갖지 않으며, 알려진 동위원소들은 모두 방사성이다. 가장 안정적인 동위원소인 다름슈타튬-281은 약 14초의 반감기를 갖는다. 다름슈타튬은 백금족 금속과 유사한 성질을 가질 것으로 예측되며, 핵물리적 특성을 제외하고는 그 화합물의 특성은 아직 측정되지 않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름슈타튬 - 다름슈타튬 동위 원소
    다름슈타튬 동위 원소는 자연에서 발견되지 않고, 입자 가속기에서 핵융합 반응으로 인공 합성되며, 알파 붕괴를 통해 코페르니슘으로 붕괴되기도 한다.
  • 다름슈타트 - 웰라
    웰라는 독일에서 시작하여 파마 기기 개발, P&G 인수, KKR 분리 후 스위스에 본사를 둔 헤어케어 전문 기업으로, 염색약 웰라톤 시리즈를 주력으로 사회 공헌 활동도 한다.
  • 다름슈타트 - 헤센다름슈타트 방백국
    헤센-다름슈타트 방백국은 1567년 필리프 1세의 유산 분할로 게오르크 1세가 헤센 영지를 상속받아 성립되었으며, 전쟁과 계승 분쟁을 거쳐 영토 변화를 겪은 후 1806년 헤센 대공국으로 승격되었다.
  • 장소 이름이 포함된 화학 원소 - 루테튬
    루테튬은 원소 기호 Lu, 원자 번호 71을 갖는 희토류 원소로, 란타넘족 중 밀도, 녹는점, 경도가 가장 높고, 주로 +3의 산화 상태를 가지며, 안정 동위원소와 방사성 동위원소 형태로 존재하고, 제한적인 상업적 용도에도 불구하고 촉매, LED, PET, 연대 측정, 암 치료 등에 사용된다.
  • 장소 이름이 포함된 화학 원소 - 레늄
    레늄은 텅스텐과 탄소 다음으로 녹는점이 높고 끓는점이 가장 높은 은백색 금속 원소이며, 몰리브데넘 광석에서 주로 추출되어 제트 엔진, 촉매, 고옥탄가 휘발유 생산 등에 사용된다.
다름슈타튬
개요
원소 이름다름슈타튬
영어 이름Darmstadtium
일본어 이름ダームスタチウム
로마자 표기Da-eu-mu-seu-ta-chi-u-m
원자 번호110
원소 기호Ds
주기율표 정보
왼쪽 원소마이트네륨
오른쪽 원소뢴트게늄
위쪽 원소Pt
아래쪽 원소불명
원소 종류전이 금속
10
주기7
블록d
물리적 성질
외형불명
원자 질량[281]
전자 배치[라돈|Rn] 7s1 5f14 6d9
껍질 당 전자 수2, 8, 18, 32, 32, 17, 1
상태불명
CAS 등록 번호54083-77-1
공유 반지름128
동위 원소 정보
동위 원소반감기: 4 µs
붕괴 방식:
동위 원소 269Ds반감기: 0.17 ms
붕괴 방식: α
붕괴 에너지: 11.11 MeV
생성 원소: 265Hs
동위 원소 270mDs반감기: 6 ms
붕괴 방식: α
붕괴 에너지: 12.15, 11.15, 10.95 MeV
생성 원소: 266Hs
동위 원소 270gDs반감기: 0.10 ms
붕괴 방식: α
붕괴 에너지: 11.03 MeV
생성 원소: 266Hs
동위 원소 271mDs반감기: 69 ms
붕괴 방식: α
붕괴 에너지: 10.71 MeV
생성 원소: 267Hs
동위 원소 271gDs반감기: 1.63 ms
붕괴 방식: α
붕괴 에너지: 10.74, 10.69 MeV
생성 원소: 267Hs
동위 원소 273Ds반감기: 170 ms
붕괴 방식: α
붕괴 에너지: 11.14 MeV
생성 원소: 269Hs
동위 원소 277Ds반감기: 5.7 ms
붕괴 방식: α
붕괴 에너지: 10.57 MeV
생성 원소: 273Hs
동위 원소 279Ds반감기: 0.20 s
붕괴 방식 1: α (10%)
붕괴 에너지 1: 9.70 MeV
생성 원소 1: 275Hs
붕괴 방식 2: SF (90%)
동위 원소 281aDs반감기: 11 s
붕괴 방식 1: SF (94%)
붕괴 방식 2: α (6%)
붕괴 에너지 2: 8.67 MeV
생성 원소 2: 277aHs
동위 원소 281bDs반감기: 3.7 min
붕괴 방식: α
붕괴 에너지: 8.77 MeV
생성 원소: 277bHs

2. 역사

(내용 없음)

2. 1. 발견

다름슈타튬은 1994년 11월 9일 독일 다름슈타트에 위치한 중이온 연구소 (GSI)에서 지그루트 호프만(Sigurd Hofmann)이 이끌고 페터 아름브루스터(Peter Armbruster)와 고트프리트 뮌첸베르크(Gottfried Münzenberg) 등이 참여한 국제 연구팀에 의해 처음 합성되었다. 연구팀은 중이온 가속기를 이용해 납-208 (208Pb) 표적에 가속된 니켈-62 (62Ni) 원자핵을 충돌시켜 다름슈타튬-269 (269Ds) 동위원소 원자 1개를 검출했다.[1][64] 이 반응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208Pb + 62Ni → 269Ds + 1n

이후 11월 12일과 17일에 각각 한 개씩, 총 두 개의 269Ds 원자가 추가로 검출되었다.[1][64] 초기에 11월 11일에 또 다른 원자가 발견되었다고 보고되었으나, 이는 빅토르 니노프(Viktor Ninov)가 조작한 데이터에 근거한 것으로 밝혀져 나중에 철회되었다.[2][65]

같은 일련의 실험에서 GSI 연구팀은 동일한 납-208 표적에 더 무거운 동위원소인 니켈-64 (64Ni) 이온을 충돌시키는 실험도 수행했다. 이 실험에서는 두 차례에 걸쳐 다름슈타튬-271 (271Ds) 원자 9개가 생성되었으며, 이는 알려진 딸 핵종의 붕괴 특성과의 상관관계를 통해 확인되었다.[3][66] 이 반응은 다음과 같다:208Pb + 64Ni → 271Ds + 1n

다름슈타튬 합성 시도는 이전에도 있었다. 1986년부터 1987년까지 당시 소련의 두브나 합동핵연구소 (JINR)에서, 그리고 1990년에는 GSI에서도 합성을 시도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 1995년 미국 로렌스 버클리 국립 연구소 (LBNL)에서는 비스무트-209 (209Bi)에 코발트-59 (59Co)를 충돌시켜 새로운 동위원소인 267Ds의 생성을 시사하는 결과를 얻었으나 확정되지는 않았다. 마찬가지로 1994년 JINR에서는 플루토늄-244 (244Pu)와 황-34 (34S)를 이용한 실험에서 273Ds 생성의 징후를 관찰했지만 이 역시 확정되지는 않았다.[4][67]

원소 110의 발견을 주장하는 여러 연구팀은 각자 다른 이름을 제안했다. LBNL 연구팀은 두브늄(원소 105) 명명 논쟁을 해결하기 위해 오토 한(Otto Hahn)의 이름을 딴 하늄(hahnium)을 제안했다. JINR 연구팀은 앙리 베크렐(Henri Becquerel)을 기려 베크렐륨(becquerelium)을 제안했다. GSI 연구팀은 연구소가 위치한 도시 다름슈타트의 이름을 따 다름슈타튬(darmstadtium)을 제안했다.[4][67]

2001년, 국제 순수·응용 화학 연합 (IUPAC)과 국제 순수·응용 물리 연합 (IUPAP)의 IUPAC/IUPAP 합동 작업반 (JWP)은 공식 보고서를 통해 GSI 연구팀을 다름슈타튬의 최초 발견자로 인정하고, 원소 이름을 제안할 권리를 부여했다.[5][68]

2. 2. 명명

드미트리 멘델레예프의 미지 원소 명명법에 따르면, 다름슈타튬은 에카-백금으로 불렸다. 1979년 IUPAC은 원소가 발견되고 발견이 확인되어 영구적인 이름이 결정될 때까지 임시적으로 ''우눈닐륨''(Ununnilium, 기호: ''Uun'')이라는 계통적 원소 이름을 사용하도록 권고했다.[6][69] 그러나 이 권고는 화학계에서 널리 사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분야 과학자들 사이에서는 대부분 무시되었으며, 보통 "원소 110" 또는 기호 ''E110'', ''(110)'' 등으로 불렸다.[70]

1996년 러시아 연구팀은 앙리 베크렐을 기려 ''베크렐륨''(becquerelium)을 제안했고,[7][71] 1997년 미국 연구팀은 오토 한을 기려 ''하늄''(hahnium)을 제안했다.[8][72] (하늄은 이전에 105번 원소의 이름으로 제안된 바 있다.)

최종적으로 ''다름슈타튬''(Darmstadtium, 기호: Ds)이라는 이름은 원소를 발견한 독일 GSI 연구팀이 연구소가 위치한 도시 다름슈타트를 기리기 위해 제안했다.[11][31][74][82] GSI 연구팀은 처음에 원소 발견 장소인 다름슈타트 교외의 비크스하우젠 지명을 딴 ''비크스하우지움''(wixhausium)도 고려했으나,[9][73] 최종적으로 다름슈타튬을 선택했다. 또한 독일의 긴급 전화번호가 110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폴리시움''(Policium)이라는 이름이 농담으로 제안되기도 했다.[10]

GSI가 제안한 이름 ''다름슈타튬''은 2003년 8월 16일 IUPAC에 의해 공식적으로 승인되었다.[11][74]

3. 동위원소



다름슈타튬(Ds)은 안정한 동위원소나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동위원소를 가지지 않는다.[23][75] 모든 다름슈타튬 동위원소는 방사성 동위원소이며, 실험실 환경에서 더 가벼운 원자핵 두 개를 핵융합시키거나 더 무거운 원소의 붕괴 산물로 합성되었다. 현재까지 질량수가 267, 269~271, 273, 275~277, 279~281인 총 11가지 동위원소가 보고되었다. 이 중 다름슈타튬-267(267Ds)과 준안정 상태인 다름슈타튬-281m(281mDs)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12][23][75] 다름슈타튬-270(270Ds), 다름슈타튬-271(271Ds) 또한 준안정 상태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3]

다름슈타튬 동위원소들은 매우 불안정하고 방사성이 높으며, 일반적으로 질량수가 큰 동위원소일수록 더 안정적인 경향을 보인다. 이들은 주로 알파 붕괴를 통해 더 가벼운 원소로 붕괴하지만, 일부 동위원소(276Ds, 279Ds, 280Ds, 281Ds)는 자발 핵분열을 하기도 한다.[24][76] 가장 안정적인 동위원소는 281Ds로, 반감기는 약 14초이다. 그 외 동위원소들의 반감기는 마이크로초(µs)에서 밀리초(ms) 단위로 매우 짧다.[24][76] 이론적으로는 중성자 마법수인 184개를 가지는 미발견 동위원소 294Ds가 약 300년 이상의 긴 반감기를 가질 것으로 예측되기도 한다.[28][80]

다름슈타튬의 동위원소 목록[12] ([nc]: 미확인 동위원소)
질량수기호반감기[24][76]붕괴 방식발견 연도생성 반응
267267Ds[nc]10 µsα1994209Bi(59Co,n)
269269Ds230 µsα1994208Pb(62Ni,n)
270270Ds205 µsα2000207Pb(64Ni,n)
270m270mDs10 msα2000207Pb(64Ni,n)
271271Ds90 msα1994208Pb(64Ni,n)
271m271mDs1.7 msα1994208Pb(64Ni,n)
273273Ds240 µsα1996244Pu(34S,5n)[13]
275275Ds430 µsα2023232Th(48Ca,5n)[14]
276276Ds150 µsSF, α2022232Th(48Ca,4n)[15]
277277Ds3.5 msα2010285Fl(—,2α)[16]
279279Ds186 msSF, α2003287Fl(—,2α)[17]
280280Ds[18]360 µsSF2021288Fl(—,2α)[19][20][21]
281281Ds14 sSF, α2004289Fl(—,2α)[22]
281m281mDs[nc]900 msα2012293mLv(—,3α)


4. 성질

핵물리적 특성을 제외하고는, 다름슈타튬(Darmstadtium) 또는 그 화합물의 어떤 특성도 측정되지 않았다. 이는 극도로 제한적이고 비용이 많이 드는 생산 때문이며[30] 다름슈타튬(그리고 그 모핵종)이 매우 빠르게 붕괴되기 때문이다. 다름슈타튬 금속의 특성은 여전히 알려지지 않았으며 예측값만 이용 가능하다.

무거운 원자핵은 일반적으로 질량 차이가 큰 두 개의 다른 원자핵을 핵융합 반응시켜 생성한다.[49] 입자 가속기로 가속된 가벼운 원자핵을 무거운 원자핵 표적에 충돌시키면, 쿨롱의 법칙에 의한 반발력을 극복하고 강한 상호작용에 의해 두 핵이 합쳐질 수 있다. 이때 생성된 복합핵은 높은 여기 상태에 있으며, 안정화되기 위해 핵분열을 일으키거나 중성자 또는 감마선을 방출한다.[52] 이 과정은 매우 짧은 시간(약 10-16초) 안에 일어난다.[52]

생성된 새로운 원자핵은 분리 장치를 거쳐 다른 입자들과 분리된 후[54] 표면 장벽형 반도체 검출기로 옮겨져 충돌 위치, 에너지, 시간 등이 기록된다.[54] 이 이동 과정에 약 10-6초가 소요되므로, 원자핵은 검출될 때까지 이 시간 동안 붕괴하지 않고 생존해야 한다. 붕괴가 일어나면 그 위치, 에너지, 시간 또한 기록된다.[54]

원자핵의 안정성은 강한 상호작용에 의해 유지되지만, 그 범위가 매우 짧아 원자핵이 커질수록 가장 바깥쪽 핵자(양성자중성자)에 미치는 영향은 작아진다. 반면, 양성자 간의 정전기적 반발력은 범위 제한 없이 작용하여 원자핵을 불안정하게 만든다. 따라서 다름슈타튬과 같은 무거운 원소의 원자핵은 주로 알파 붕괴자발 핵분열을 통해 붕괴하는 경향이 있다.[55] 알파 붕괴는 방출된 알파 입자와 붕괴 생성물을 통해 원래의 핵을 비교적 쉽게 추적할 수 있다. 그러나 자발 핵분열은 다양한 원자핵을 생성물로 만들기 때문에, 딸핵만으로는 원래의 핵을 특정하기 어렵다.

물리학자들은 검출기에서 수집된 입자의 충돌 및 붕괴 정보를 분석하여 새로운 원소의 생성을 확인하려 하지만, 데이터가 불충분하거나 해석 오류의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러한 핵물리학적 특성과 실험적 어려움으로 인해 다름슈타튬의 다른 성질들은 아직 이론적인 예측에 의존하고 있다.

4. 1. 화학적 성질 (예측)

다름슈타튬은 6d 계열 전이 금속의 여덟 번째 원소이며, 10족 원소에 속한다.[31][82] 이온화 에너지, 원자 반지름 및 이온 반지름 계산 결과가 가벼운 동족체인 백금과 유사하여, 다름슈타튬의 기본 성질은 다른 10족 원소인 니켈, 팔라듐, 백금과 비슷할 것으로 예측된다.[70] 특히 백금족 금속과 매우 유사한 성질을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31]

다름슈타튬의 화학적 성질 예측은 최근에 많은 주목을 받지는 못했다. 다름슈타튬은 매우 귀금속일 것으로 예상되며,[70] Ds2+/Ds 쌍에 대한 예측된 표준 환원 전위는 1.7 V이다.[70]

가벼운 10족 원소의 가장 안정적인 산화 상태를 바탕으로, 다름슈타튬의 가장 안정적인 산화 상태는 +6, +4, +2 상태로 예측되지만, 수용액에서는 중성 상태(0)가 가장 안정적일 것으로 보인다.[70] 비교하자면, 백금만이 +6이라는 최대 산화 상태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니켈과 팔라듐의 경우 가장 안정적인 상태는 +2 또는 +4이다.[70] 보륨(원소 107)부터 다름슈타튬(원소 110)까지의 원소들의 최대 산화 상태는 기체 상태에서는 안정적일 수 있지만 수용액에서는 안정적이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70]

다름슈타튬 화합물에 대한 예측도 이루어졌다. 다름슈타튬 육플루오린화물(DsF6)은 매우 유사한 전자 구조와 이온화 에너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벼운 동족체인 육플루오린화백금(PtF6)과 매우 유사한 성질을 가질 것으로 예측된다.[32][33][83][84] 또한 PtF6와 같은 팔면체 분자 기하 구조를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34][85] 다른 예측된 다름슈타튬 화합물로는 다름슈타튬 탄화물(DsC)과 다름슈타튬 사염화물(DsCl4)이 있으며, 이들은 모두 가벼운 동족체와 유사하게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34][85] +2 산화 상태에서 시안화물 배위 착물 Pt(CN)2를 우선적으로 형성하는 백금과 달리, 다름슈타튬은 중성 상태를 유지하고 대신 Ds(CN)22-를 형성하여 다중 결합 특성을 갖는 강한 Ds–C 결합을 형성할 것으로 예측된다.[86]

핵 특성을 제외하고, 다름슈타튬 및 그 화합물의 성질은 아직 측정되지 않았다. 이는 합성이 매우 제한적이고 비용이 많이 들며,[49] 생성된 원소가 매우 빠르게 붕괴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름슈타튬 금속 및 화합물의 성질은 예측값에 의존하고 있다.

4. 2. 물리적 성질 (예측)

다름슈타튬(Darmstadtium)은 표준 상태에서 고체로 존재할 것으로 예측된다. 가벼운 동족원소들이 면심 입방 구조(face-centered cubic structure)로 결정화되는 것과 달리, 다름슈타튬은 체심 입방 구조(body-centered cubic structure)로 결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다름슈타튬이 다른 동족 원소들과 다른 전자 전하 밀도를 가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87] 다름슈타튬은 약 26~27 g/cm3밀도를 갖는 매우 무거운 금속일 것으로 예상된다. 비교하자면, 밀도가 측정된 원소 중 가장 밀도가 높은 오스뮴(osmium)의 밀도는 22.61 g/cm3이다.[88][89]

다름슈타튬의 바깥쪽 전자 배치(electron configuration)는 6d8 7s2로 계산되는데, 이는 아우프바우 원리(Aufbau principle, 구성 원리)를 따른다. 이는 백금(platinum)의 5d9 6s1과 같은 바깥쪽 전자 배치를 따르지 않는 것이다. 7주기 전체에 걸쳐 7s2 전자쌍이 상대론적으로 안정화되기 때문에, 104번(러더포듐)부터 112번(코페르니슘)까지의 원소는 아우프바우 원리를 위반하는 전자 배치를 가질 것으로 예상되지 않는다. 다름슈타튬의 원자 반지름(atomic radius)은 약 132 pm로 예상된다.[70]

다름슈타튬 및 그 화합물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은 아직 실험적으로 측정되지 않았다. 이는 원소 합성이 매우 제한적이고 비용이 많이 들며,[49] 생성된 원소가 매우 빠르게 붕괴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름슈타튬 금속의 성질에 대한 정보는 예측값만 존재한다.

5. 실험적 화학

다름슈타튬의 화학적 특성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36][90] 이는 다름슈타튬 동위원소의 반감기가 짧고, 매우 적은 양으로만 연구할 수 있어 휘발성 화합물 연구가 제한적이기 때문이다.[36][90] 소량으로 연구 가능한 몇 안 되는 다름슈타튬 화합물 중 하나는 육플루오린화 다름슈타튬(DsF6)이다. 이는 같은 족의 더 가벼운 원소인 백금의 화합물 육플루오르화백금(PtF6)이 60°C 이상에서 휘발성을 가지므로, 다름슈타튬의 유사 화합물 역시 충분히 휘발성을 가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31][82] 팔플루오린화물(DsF8) 또한 휘발성을 가질 가능성이 있다.[70]

초악티늄 원소의 화학적 특성을 연구하려면 최소 4개의 원자를 생성해야 하며, 사용하는 동위원소의 반감기는 최소 1초 이상, 생성 속도는 주당 최소 1개 이상이어야 한다.[31][82] 현재까지 알려진 다름슈타튬 동위원소 중 가장 안정한 281Ds는 반감기가 약 13~14초[36][90]로 화학 연구에 충분히 길다.[31][82] 하지만 낮은 생성 속도를 높여야 하고,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결과를 얻기 위해 실험을 몇 주 또는 몇 달간 지속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70] 또한, 생성된 다름슈타튬 동위원소를 지속적으로 분리하고 검출하는 자동화된 시스템이 필요하며, 이는 기체상 및 용액 상태에서의 화학 실험에 필수적이다. 보륨(Bohrium)이나 하슘(Hassium) 연구에 사용된 분리 기술을 일부 활용할 수 있다.[70] 그러나 다름슈타튬의 실험 화학은 코페르니슘(Copernicium)부터 리버모륨(Livermorium)에 이르는 더 무거운 원소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했다.[36][37][70][90][91]

중성자가 더 많은 다름슈타튬 동위원소들이 더 안정적일 것으로 예측되어 화학 연구에 더 유망할 수 있다.[24][76][31][70][82] 하지만 이러한 동위원소들은 주로 더 무거운 원소의 알파 붕괴를 통해 간접적으로만 생성될 수 있으며,[38][39][40][92][93][94] 이는 화학 연구에 직접 합성만큼 유리하지 않다.[70] 예를 들어, 276Ds와 277Ds는 토륨-232(232Th)와 칼슘-48(48Ca)의 반응으로 직접 생성될 가능성이 있었으나[41][42][70][95][96], 낮은 수율이 예상되었다. 2022년, 여러 시도 끝에 276Ds 원자 1개가 이 반응으로 생성되었지만, 예측대로 반감기가 밀리초보다 짧고 수율이 낮았다.[15][97] 또한 277Ds는 플레로븀(Flerovium)-285(285Fl)의 손녀 핵종으로 간접 합성되었으나, 반감기가 3.5밀리초(ms)로 화학 연구에는 너무 짧은 것으로 밝혀졌다.[16][39][98][93] 따라서 현재로서는 화학 연구에 충분한 반감기를 가진 유일한 동위원소는 플레로븀(Flerovium)-289(289Fl)의 손녀 핵종으로 생성되는 281Ds이다.[43][99]

참조

[1] 논문 Production and decay of 269110
[2] 논문 California lab fires physicist over retracted finding
[3] 논문 New elements – approaching 1998
[4] 논문 Discovery of the transfermium elements. Part II: Introduction to discovery profiles. Part III: Discovery profiles of the transfermium elements
[5] 논문 On the discovery of the elements 110–112 (IUPAC Technical Report) 2001
[6] 논문 Recommendations for the naming of elements of atomic numbers greater than 100 1979
[7] 웹사이트 Chemistry : Periodic Table : darmstadtium : historical information http://element114.na[...] 2005-01-17
[8] 서적 Transuranium People, The: The Inside Story https://books.google[...] World Scientific 2000-01-21
[9] 웹사이트 Chemistry in its element – darmstadtium http://www.rsc.org/c[...]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12-10-17
[10] 서적 On Beyond Uranium: Journey to the End of the Periodic Table Taylor & Francis
[11] 논문 Name and symbol of the element with atomic number 110 http://pac.iupac.org[...] 2003
[12] 문서 (reference needed)
[13] 논문 α decay of 273110: Shell closure at N=162 1996
[14] 논문 Synthesis and decay properties of isotopes of element 110: 273Ds and 275Ds 2024-05-06
[15] 논문 New isotope 276Ds and its decay products 272Hs and 268Sg from the 232Th + 48Ca reaction 2023
[16] 논문 Neutron-deficient superheavy nuclei obtained in the 240Pu+48Ca reaction 2018-01-30
[17] 논문 Investigation of 48Ca-induced reactions with 242Pu and 238U targets at the JINR Superheavy Element Factory 2022
[18] 논문 Recoil-α-fission and recoil-α-α-fission events observed in the reaction 48Ca + 243Am 2016
[19] 논문 Measurement of the 248Cm + 48Ca fusion reaction products at RIKEN GARIS http://www.nishina.r[...]
[20] 논문 Study of the Reaction 48Ca + 248Cm → 296Lv* at RIKEN-GARIS 2017
[21] 논문 Spectroscopy along Flerovium Decay Chains: Discovery of 280Ds and an Excited State in 282Cn
[22] 논문 Super-heavy element research https://www.research[...] 2015
[23] 논문 The reaction 48Ca + 248Cm → 296116* studied at the GSI-SHIP
[24] 웹사이트 Interactive Chart of Nuclides http://www.nndc.bnl.[...] Brookhaven National Laboratory 2008-06-06
[25] 학회자료 Decay modes and a limit of existence of nuclei in the superheavy mass region http://tan11.jinr.ru[...] 2011
[26] 논문 α decay half-lives of new superheavy elements 2006
[27] 논문 Predictions of alpha decay half lives of heavy and superheavy elements 2007
[28] 논문 Search for long lived heaviest nuclei beyond the valley of stability 2008
[29] 논문 Nuclear half-lives for α -radioactivity of elements with 100 ≤ Z ≤ 130 2008
[30] 뉴스 Making New Elements Doesn't Pay. Just Ask This Berkeley Scientist https://www.bloomber[...] 2019-08-28
[31] 논문 The Periodic Table and the Platinum Group Metals 2008
[32] 논문 Relativistic molecular calculations of superheavy molecules http://nbn-resolving[...] 1979
[33] 논문 Molecular orbitals of PtF6 and E110 F6 calculated by the self-consistent multiple scattering Xα method 1974
[34] 서적 Relativistic Methods for Chemists
[36] 논문 Superheavy elements at GSI: a broad research program with element 114 in the focus of physics and chemistry 2012
[37] 논문 First foot prints of chemistry on the shore of the Island of Superheavy Elements 2013
[38] 논문 Measurements of cross sections for the fusion-evaporation reactions 244Pu(48Ca,xn)292−x114 and 245Cm(48Ca,xn)293−x116 http://link.aps.org/[...] 2020-06-06
[39] 뉴스 Six New Isotopes of the Superheavy Elements Discovered: Moving Closer to Understanding the Island of Stability http://newscenter.lb[...] Berkeley Lab 2011-04-25
[40] 논문 Synthesis of nuclei of the superheavy element 114 in reactions induced by 48Ca 1999
[41] 웹사이트 JINR Publishing Department: Annual Reports (Archive) http://www1.jinr.ru/[...] 2009-08-12
[42] 논문 Production of heavy and superheavy nuclei in massive fusion reactions 2009
[43] 서적 The Chemistry of Superheavy Element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3-11-30
[44] 웹사이트 Explainer: superheavy elements https://www.chemistr[...] 2020-03-15
[45] 웹사이트 Discovery of Elements 113 and 115 https://pls.llnl.gov[...] Lawrence Livermore National Laboratory 2020-03-15
[46] 백과사전 Electronic Structure of the Transactinide Atoms 2018
[47] 논문 Attempt to produce the isotopes of element 108 in the fusion reaction 136Xe + 136Xe 2009
[48] 논문 The identification of element 108 http://www.gsi-heavy[...] 2012-10-20
[49] 뉴스 Making New Elements Doesn't Pay. Just Ask This Berkeley Scientist https://www.bloomber[...] 2020-01-18
[50] 웹사이트 Сверхтяжелые шаги в неизвестное https://nplus1.ru/ma[...] 2020-02-02
[51] 웹사이트 Something new and superheavy at the periodic table http://theconversati[...] 2020-01-30
[52] 논문 Neutron Sources for ADS http://pdfs.semantic[...] Czech Technical University in Prague 2019-10-20
[53] 웹사이트 Criteria that must be satisfied for the discovery of a new chemical element to be recognized http://publications.[...] 2020-08-28
[54] 웹사이트 How to Make Superheavy Elements and Finish the Periodic Table [Video] https://www.scientif[...] 2020-01-27
[55] 논문 Spontaneous fission modes and lifetimes of superheavy elements in the nuclear density functional theory 2013
[56] 논문 A beachhead on the island of stability https://www.osti.gov[...] 2015
[57] 논문 Weighing the heaviest elements 2018
[58] 논문 The Transfermium Wars: Scientific Brawling and Name-Calling during the Cold War https://www.scienceh[...] 2020-02-22
[59] 웹사이트 Популярная библиотека химических элементов. Сиборгий (экавольфрам) http://n-t.ru/ri/ps/[...] Nauka 2020-01-07
[60] 논문 A History and Analysis of the Discovery of Elements 104 and 105 http://www.escholars[...] 1987
[61] 웹사이트 Nobelium - Element information, properties and uses {{!}} Periodic Table https://www.rsc.org/[...]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20-03-01
[62] 논문 Responses on the report 'Discovery of the Transfermium elements' followed by reply to the responses by Transfermium Working Group https://www.iupac.or[...] 2016-09-07
[63] 논문 Names and symbols of transfermium elements (IUPAC Recommendations 1997) http://publications.[...] 1997
[64] 논문 Production and decay of 269110 1995
[65] 논문 California lab fires physicist over retracted finding 2002
[66] 논문 New elements - approaching 1998
[67] 논문 Discovery of the transfermium elements. Part II: Introduction to discovery profiles. Part III: Discovery profiles of the transfermium elements 1993
[68] 논문 On the discovery of the elements 110-112 (IUPAC Technical Report) 2001
[69] 논문 Recommendations for the naming of elements of atomic numbers greater than 100 1979
[70] 서적 The Chemistry of the Actinide and Transactinide Elements 2006
[71] 웹사이트 Chemistry : Periodic Table : darmstadtium : historical information http://element114.na[...] 2005-01-17
[72] 서적 Transuranium People, The: The Inside Story https://books.google[...] 2000-01-21
[73] 웹사이트 Chemistry in its element - darmstadtium http://www.rsc.org/c[...]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12-10-17
[74] 논문 Name and symbol of the element with atomic number 110 http://pac.iupac.org[...] 2003
[75] 논문 The reaction 48Ca + 248Cm → 296116* studied at the GSI-SHIP
[76] 웹사이트 Interactive Chart of Nuclides http://www.nndc.bnl.[...] Brookhaven National Laboratory 2008-06-06
[77] 학회발표 Decay modes and a limit of existence of nuclei in the superheavy mass region http://tan11.jinr.ru[...] 2011
[78] 논문 α decay half-lives of new superheavy elements 2006
[79] 논문 Predictions of alpha decay half lives of heavy and superheavy elements
[80] 논문 Search for long lived heaviest nuclei beyond the valley of stability
[81] 논문 Nuclear half-lives for α -radioactivity of elements with 100 - Z - 130
[82] 논문 The Periodic Table and the Platinum Group Metals 2008
[83] 논문 Relativistic molecular calculations of superheavy molecules http://nbn-resolving[...] 1979
[84] 논문 Molecular orbitals of PtF6 and E110 F6 calculated by the self-consistent multiple scattering Xα method 1974
[85] 서적 Relativistic Methods for Chemists 2010
[86] 논문 Darmstadtium, roentgenium, and copernicium form strong bonds with cyanide https://munin.uit.no[...] 2017-02-25
[87] 논문 First-principles calculation of the structural stability of 6d transition metals
[88] 논문 Physical properties of the 6 d -series elements from density functional theory: Close similarity to lighter transition metals 2011-05-10
[89] 서적 Nuclear and Radiochemistry: Fundamentals and Applications 2013
[90] 논문 Superheavy elements at GSI: a broad research program with element 114 in the focus of physics and chemistry 2012
[91] 논문 First foot prints of chemistry on the shore of the Island of Superheavy Elements 2013
[92] 논문 Measurements of cross sections for the fusion-evaporation reactions 244Pu(48Ca,xn)292-x114 and 245Cm(48Ca,xn)293?x116 http://link.aps.org/[...]
[93] 뉴스 Six New Isotopes of the Superheavy Elements Discovered: Moving Closer to Understanding the Island of Stability http://newscenter.lb[...] Berkeley Lab 2010-10-26
[94] 논문 Synthesis of nuclei of the superheavy element 114 in reactions induced by 48Ca 1999
[95] 웹사이트 JINR Publishing Department: Annual Reports (Archive) http://www1.jinr.ru/[...]
[96] 논문 Production of heavy and superheavy nuclei in massive fusion reactions 2009
[97] 웹사이트 SHE Factory Experiments http://flerovlab.jin[...]
[98] 논문 Neutron-deficient superheavy nuclei obtained in the 240Pu+48Ca reaction 2018-01-30
[99] 서적 The Chemistry of Superheavy Element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3-11-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