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보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륨(Bh)은 원자 번호 107번의 인공적으로 합성된 방사성 원소이다. 1976년 러시아와 1981년 독일 연구팀에 의해 존재 가능성이 제시되었으며, 1981년 독일 연구팀에 의해 보륨-262 동위원소 5개가 생성되면서 존재가 확증되었다. 1992년 국제순수 및 응용화학연맹(IUPAC)에 의해 발견이 공식화되었고, 닐스 보어를 기리기 위해 '닐스보륨'으로 명명하려 했으나, 1997년 현재의 '보륨'으로 이름이 확정되었다. 보륨은 안정 동위원소가 없으며, 다양한 동위원소들이 알려져 있다. 7족 원소의 특성을 가지며, 휘발성 산화물(Bh₂O₇)과 과보륨산(HBhO₄)을 형성할 것으로 예측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륨 - 보륨 동위 원소
    보륨 동위 원소는 핵융합 반응으로 합성되며, 냉각 및 가열 핵융합 방식을 통해 여러 국가에서 연구되었고, 핵 이성질 현상을 보이는 262Bh에 대한 반응 단면적과 여기 에너지 정보가 밝혀졌다.
  • 인명이 포함된 화학 원소 - 가돌리늄
    가돌리늄은 은백색의 연성과 전성을 가진 희토류 원소로, 특정 온도에서 강자성 또는 강한 상자성을 띠어 MRI 조영제, 중성자 차폐물, 합금, 형광체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며, 핀란드 화학자의 이름을 딴 원소이다.
  • 인명이 포함된 화학 원소 - 로렌슘
    로렌슘은 기호 Lr, 원자 번호 103번의 악티늄족 초우라늄 인공 방사성 원소로, 1961년과 1965년 각각 다른 방법으로 합성되어 발견 공로를 인정받았으며, 현재 13개의 동위원소가 알려져 있고, 화학적 성질은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3가 이온으로 존재하며 d-구역 원소의 특징을 보인다.
  • 인공 원소 - 플루토늄
    플루토늄은 명왕성에서 유래된 이름의 방사성 은백색 금속 원소로, 산화 시 황갈색으로 변하며 여러 동소체와 산화 상태를 가지고 핵무기와 원자력 발전 연료, 우주 탐사용 열원으로 사용되지만 높은 방사능 독성으로 주의가 필요하다.
  • 인공 원소 - 로렌슘
    로렌슘은 기호 Lr, 원자 번호 103번의 악티늄족 초우라늄 인공 방사성 원소로, 1961년과 1965년 각각 다른 방법으로 합성되어 발견 공로를 인정받았으며, 현재 13개의 동위원소가 알려져 있고, 화학적 성질은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3가 이온으로 존재하며 d-구역 원소의 특징을 보인다.
보륨
일반 정보
보륨의 주기율표 위치
주기율표에서 보륨의 위치
원자 번호107
원소 기호Bh
명명 유래닐스 보어
영어 이름Bohrium
주기율표
주기7
7
블록d
원소 종류전이 금속
위에 있는 원소Re
아래에 있는 원소알려지지 않음
왼쪽에 있는 원소Sg
오른쪽에 있는 원소Hs
원자 속성
표준 원자량[270]
전자 배치[라돈|Rn] 5f14 6d5 7s2 (예측)
껍질당 전자 수2, 8, 18, 32, 32, 13, 2 (예상)
산화 상태7
이온화 에너지1차: 740 kJ/mol (예상)
2차: 1690 kJ/mol (예상)
3차: 2570 kJ/mol (예상)
원자 반지름127 pm
공유 반지름141 pm
물리적 속성
결정 구조육방 최밀 구조 (예측)
밀도37.1 g/cm3 (예측)
동위 원소
주요 동위 원소267Bh: 반감기 17초, 붕괴 방식 α, 붕괴 에너지 8.83 MeV, 붕괴 생성물 263Db
270Bh: 반감기 61초, 붕괴 방식 α, 붕괴 에너지 8.93 MeV, 붕괴 생성물 266Db
271Bh: 붕괴 방식 α, 붕괴 생성물 267Db
272Bh: 반감기 9.8초, 붕괴 방식 α, 붕괴 에너지 9.02 MeV, 붕괴 생성물 268Db
274Bh: 반감기 44초, 붕괴 방식 α, 붕괴 에너지 8.8 MeV, 붕괴 생성물 270Db
기타 정보
CAS 등록 번호54037-14-8

2. 역사

원소 107번은 처음에 덴마크의 핵물리학자 닐스 보어(Niels Bohr)의 이름을 따서 닐스보륨(Ns)이라고 제안되었으나, 나중에 IUPAC에 의해 보륨(Bh)으로 변경되었다.


보륨의 발견과 명명 과정은 다음과 같다.

  • 1976년: 소련의 유리 오가네시안(Юрий Оганесян) 연구팀이 비스무트-209와 납-208 표적에 각각 크롬-54와 망간-55 원자핵을 충돌시켜 보륨의 존재 가능성을 처음 제시했으나, 증거 불충분으로 인정받지 못했다.[1][3]
  • 1981년: 독일 중이온연구소(GSI Helmholtzzentrum für Schwerionenforschung)의 페터 아름브루스터(Peter Armbruster)와 고트프리트 뮌첸베르크(Gottfried Münzenberg) 연구팀이 비스무트-209 표적에 크롬-54 원자핵을 충돌시켜 보륨-262 5개 원자를 생성, 1992년 IUPAC/IUPAP 전이원소 작업반(TWG)에 의해 공식 발견으로 인정받았다.[2][3]
  • 1992년: 독일 연구팀이 닐스 보어를 기려 '닐스보륨(nielsbohrium, Ns)'을 제안했으나, 원소 명명 논쟁으로 IUPAC은 임시 명칭 '운닐셉튬(unnilseptium, Uns)'을 채택했다.
  • 1994년: IUPAC 위원회는 과학자 이름 전체 사용 불가 원칙에 따라 '보륨(bohrium)'을 권고했고, 발견자들은 붕소와의 혼동 가능성을 들어 반대했으나, IUPAC 덴마크 지부 투표 결과 '보륨'으로 결정되었다.
  • 1997년: 107번 원소 이름이 '보륨(bohrium)'으로 국제적으로 공인되었고, 대한민국에서도 이를 따른다.

2. 1. 발견

1976년 유리 오가네시안(Юрий Оганесян)이 이끄는 소련 연구팀은 비스무트-209와 납-208 표적에 각각 크롬-54와 망간-55의 가속된 원자핵을 충돌시켜 보륨의 존재 가능성을 처음으로 제시하였다.[1] 1~2밀리초의 반감기를 가진 활동과 약 5초의 반감기를 가진 다른 활동이 관찰되었다. 이 두 활동의 세기 비율이 실험 전반에 걸쳐 일정했기 때문에, 첫 번째 활동은 동위원소 보륨-261에 의한 것이고, 두 번째는 그 딸핵종인 더브늄-257에 의한 것이라고 제안되었다. 나중에 더브늄 동위원소는 더브늄-258로 수정되었는데, 이것의 반감기는 실제로 5초이다(더브늄-257의 반감기는 1초이다). 그러나 그 모핵종에서 관찰된 반감기는 1981년 다름슈타트에서 보륨의 확정적인 발견에서 나중에 관찰된 반감기보다 훨씬 짧았다. 국제순수·응용화학연합(IUPAC)/국제순수·응용물리연합(IUPAP) 전이원소 작업반(TWG)은 더브늄-258이 아마도 이 실험에서 관찰되었지만, 그 모핵종인 보륨-262를 생성했다는 증거는 충분히 설득력이 없다고 결론지었다.[3]

1981년, 중이온연구소(GSI Helmholtzzentrum für Schwerionenforschung)의 페터 아름브루스터(Peter Armbruster)와 고트프리트 뮌첸베르크(Gottfried Münzenberg)가 이끄는 독일 연구팀은 비스무트-209 표적에 크롬-54의 가속된 원자핵을 충돌시켜 보륨-262 동위원소 5개의 원자를 생성했다.[2] 이 발견은 생성된 보륨 원자로부터 알려진 페르뮴캘리포늄 동위원소로의 알파 붕괴 사슬을 상세히 측정함으로써 더욱 뒷받침되었다. IUPAC/IUPAP 전이원소 작업반(TWG)은 1992년 보고서에서 GSI의 연구를 공식적인 발견으로 인정했다.[3]

2. 2. 명명 논쟁과 확정

1992년 9월, 독일 연구팀은 덴마크 물리학자 닐스 보어를 기리기 위해 원소 기호를 'Ns'로 하는 '닐스보륨(nielsbohrium)'이라는 이름을 제안했다.[4] 그러나 104번부터 106번까지의 원소 명칭을 두고 원소 명명 논쟁이 있었고, 국제순수 및 응용화학연맹(IUPAC)은 107번 원소에 대한 임시 계통적 원소 이름으로 '운닐셉튬(unnilseptium)'(기호 'Uns')을 채택했다. 1994년 IUPAC 위원회는 과학자의 이름 전체를 원소 이름으로 사용한 선례가 없다는 이유로 107번 원소 이름을 '닐스보륨'이 아닌 '보륨(bohrium)'으로 할 것을 권고했다.[5] 발견자들은 '보륨'이 붕소와 혼동될 수 있다는 점, 특히 각각의 옥시 음이온인 '보레이트(bohrate)'와 '보레이트(borate)'의 구분이 어려워질 수 있다는 점을 들어 반대했다. 이 문제는 IUPAC 덴마크 지부로 이관되었고, '보륨'이라는 이름에 찬성표를 던졌다. 따라서 107번 원소의 이름 '보륨(bohrium)'은 1997년 국제적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대한민국에서도 IUPAC의 결정을 따라 '보륨'을 사용한다.

3. 동위원소

보륨은 안정 동위원소가 없으며, 인공적으로 합성된 방사성 동위원소만 존재한다. 현재까지 질량수 260-262, 264-267, 270-272, 274, 278의 12개의 동위원소가 알려져 있으며, 이 중 보륨-262는 준안정 상태를 갖는다.[15] 대부분 알파 붕괴를 하며, 일부는 자발 핵분열을 할 것으로 예측된다.[34]

가벼운 동위원소는 일반적으로 반감기가 더 짧다. 260Bh, 261Bh, 262Bh, 262mBh는 100ms 미만의 반감기를 보인다. 264Bh, 265Bh, 266Bh, 271Bh는 약 1초 정도로 더 안정적이며, 267Bh와 272Bh의 반감기는 약 10초이다. 가장 안정한 동위원소는 270Bh와 274Bh로, 각각 약 2.4분과 40초의 반감기를 가진다. 더 무거운 미확인 동위원소인 278Bh는 약 11.5분의 더 긴 반감기를 가질 것으로 예측된다.[16]

보륨의 동위원소[34][35]
동위원소
반감기붕괴 방식발견 연도반응
260Bh35 msα 붕괴2007209Bi(52Cr,n)[36]
261Bh11.8 msα 붕괴1986209Bi(54Cr,2n)[37]
262Bh84 msα 붕괴1981209Bi(54Cr,n)[27]
262mBh9.6 msα 붕괴1981209Bi(54Cr,n)[27]
264Bh0.97 sα 붕괴1994272Rg(—,2α)[38]
265Bh0.9 sα 붕괴2004243Am(26Mg,4n)[39]
266Bh0.9 sα 붕괴2000249Bk(22Ne,5n)[40]
267Bh17 sα 붕괴2000249Bk(22Ne,4n)[40]
270Bh61 sα 붕괴2006282Nh(—,3α)[41]
271Bh1.2 sα 붕괴2003287Mc(—,4α)[41]
272Bh9.8 sα 붕괴2005288Mc(—,4α)[41]
274Bh40 sα 붕괴2009294Ts(—,5α)[23]
278Bh11.5 min?자발 핵분열1998?290Fl(ee3α)?


4. 성질

보륨 및 그 화합물의 특성은 생산량이 매우 제한적이고 비용이 많이 들며, 보륨 및 그 모핵종이 매우 빠르게 붕괴되기 때문에 거의 측정되지 않았다.[43] 몇 가지 화학적 특성이 측정되었지만, 보륨 금속의 특성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으며 예측만이 가능하다.

보륨의 원자 반지름은 약 128pm으로 예상된다.[45] 7s 오비탈의 상대론적 안정화와 6d 오비탈의 불안정화로 인해, Bh+ 이온은 [Rn] 5f14 6d4 7s2의 전자 배치를 가질 것으로 예측된다. 이는 망간테크네튬과는 반대로, 7s 전자가 아닌 6d 전자를 잃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레늄은 상대론적 효과가 커지면서 보륨과 마찬가지로 6s 전자보다 5d 전자를 먼저 잃는다. Bh2+ 이온은 [Rn] 5f14 6d3 7s2, Re2+ 이온은 [Xe] 4f14 5d5의 전자 배치를 가질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망간 및 테크네튬과 유사하다.[45] 6배위 7가 보륨의 이온 반지름은 58pm(7가 망간, 테크네튬, 레늄의 이온 반지름은 각각 46pm, 57pm, 53pm)으로 예상되며, 5가 보륨의 이온 반지름은 83pm으로 더 클 것으로 예상된다.[45]

4. 1. 화학적 성질

보륨은 주기율표에서 6d 전이 금속 계열의 다섯 번째 원소이자 7족 원소 중 가장 무거운 원소로, 망간(Mn), 테크네튬(Tc), 레늄(Re) 아래에 위치한다. 7족 원소의 특징에 따라 +7의 산화 상태를 가질 것으로 예상되며, 휘발성 산화물(Bh₂O₇)과 과보륨산(HBhO₄)을 형성할 것으로 예측된다.[17]

2000년 폴 쉐러 연구소(PSI) 연구팀은 249Bk와 22Ne 이온의 반응으로 생성된 6개의 267Bh 원자를 사용, 보륨이 휘발성 산화염화물(BhO₃Cl)을 형성한다는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했다.[20] 이는 보륨이 7족 원소의 전형적인 성질을 가짐을 보여준다. 이 실험을 통해 TcO₃Cl > ReO₃Cl > BhO₃Cl 순서로 7족에서 산화염화물의 휘발성이 감소하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테크네튬, 레늄, 보륨 산화염화물의 흡착 엔탈피를 측정한 결과, 이론적 예측과 매우 잘 일치했다.[45]

화학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 2 Bh + 3 O2 + 2 HCl → 2 BhO3Cl + H2

4. 2. 물리적 성질

보륨의 원자 반지름은 약 128pm으로 예상된다.[45] 7s 오비탈의 상대론적 안정화와 6d 오비탈의 불안정화로 인해, Bh+ 이온은 [Rn] 5f14 6d4 7s2의 전자 배치를 가질 것으로 예측된다. 이는 가벼운 동족 원소인 망간테크네튬과는 반대로, 7s 전자가 아닌 6d 전자를 잃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레늄은 상대론적 효과가 커지면서 무거운 동족 원소인 보륨과 마찬가지로 6s 전자보다 5d 전자를 먼저 잃는다. Bh2+ 이온은 [Rn] 5f14 6d3 7s2의 전자 배치를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Re2+ 이온은 [Xe] 4f14 5d5의 전자 배치를 가질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망간과 테크네튬과 유사하다.[45] 6배위 7가 보륨의 이온 반지름은 58pm로 예상되며(7가 망간, 테크네튬, 레늄의 이온 반지름은 각각 46pm, 57pm, 53pm임), 5가 보륨의 이온 반지름은 83pm으로 더 클 것으로 예상된다.[45]

5. 생산

보륨은 자연에서 발견되지 않으며, 인공적으로 합성해야 한다.

1981년 독일 중이온연구소(GSI)의 페터 알름부르스터와 고트프리트 뮌첸베르크가 이끄는 연구팀은 비스무트-209 표적에 크로뮴-54의 가속된 원자핵을 충돌시켜 보륨-262 동위원소 5개의 원자를 생성했다.[25][27] 이 실험의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영어209Bi + 54Cr → 262Bh + n

이 발견은 생성된 보륨 원자로부터 알려진 페르뮴캘리포늄 동위원소로의 알파 붕괴 사슬을 상세히 측정함으로써 더욱 뒷받침되었다. IUPAC/IUPAP 전이원소 작업반(TWG)은 1992년 보고서에서 GSI의 연구를 공식적인 발견으로 인정했다.[28]

5. 1. 저온 핵융합

1976년 유리 오가네시안이 이끄는 소련 연구팀은 비스무트-209(Bi)와 납-208(Pb) 표적에 각각 크로뮴-54(Cr)와 망가니즈-55(Mn)의 가속된 원자핵을 충돌시키는 실험을 통해 보륨의 증거를 처음 보고했다.[26] 이 실험에서 두 가지 활동이 관찰되었는데, 하나는 1~2밀리초의 반감기를, 다른 하나는 약 5초의 반감기를 가졌다. 이 두 활동의 강도 비율이 일정했기 때문에, 첫 번째 활동은 동위원소 보륨-261에 의한 것이고, 두 번째는 그 딸핵종인 더브늄-257에 의한 것이라고 제안되었다. 그러나 나중에 더브늄 동위원소는 더브늄-258로 수정되었고, 모핵종의 반감기는 1981년 독일 다름슈타트에서 보륨이 발견된 후 관찰된 반감기보다 훨씬 짧았다. IUPAC/IUPAP 전이원소 작업반(TWG)은 더브늄-258이 이 실험에서 관찰되었지만, 그 모핵종인 보륨-262를 생성했다는 증거는 충분히 설득력이 없다고 결론지었다.[25][28]

1981년 중이온연구소(GSI Helmholtzzentrum für Schwerionenforschung)의 페터 알름부르스터(Peter Armbruster)와 고트프리트 뮌첸베르크(Gottfried Münzenberg)가 이끄는 독일 연구팀은 비스무트-209 표적에 크로뮴-54의 가속된 원자핵을 충돌시켜 보륨-262 동위원소 5개의 원자를 생성했다.[25][27]

:영어209Bi + 54Cr → 262Bh + n

이 발견은 생성된 보륨 원자로부터 알려진 페르뮴캘리포늄 동위원소로의 알파 붕괴 사슬을 상세히 측정함으로써 더욱 뒷받침되었다. IUPAC/IUPAP 전이원소 작업반(TWG)은 1992년 보고서에서 GSI의 연구를 공식적인 발견으로 인정했다.[28]

5. 2. 고온 핵융합

1995년, 보륨 원소를 분리하려는 최초의 시도는 실패했지만, 이를 계기로 보륨 연구와 불순물 제거를 위한 새로운 이론적 연구가 촉진되었다.[18]

2000년, 폴 쉐러 연구소(PSI)의 연구팀은 249Bk(버클륨)와 22Ne(네온) 이온의 반응으로 생성된 6개의 267Bh 원자를 사용하여 화학 반응을 수행했다. 그 결과, 보륨이 전형적인 7족 원소처럼 행동하며, 레늄 산화염화물과 유사한 특성을 가진 휘발성 산화염화물을 형성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20] 이 실험에서 테크네튬, 레늄, 보륨 산화염화물의 흡착 엔탈피를 측정한 결과, TcO3Cl > ReO3Cl > BhO3Cl 순서로 7족에서 산화염화물의 휘발성이 감소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2 Bh + 3 O2 + 2 HCl → 2 BhO3Cl + H2

더 무거운 원소의 붕괴 생성물로 생성되는 보륨의 수명이 더 긴 무거운 동위원소는 향후 방사화학 실험에 유리하다. 무거운 동위원소 274Bh는 생산에 드문 고방사성 버클륨 표적이 필요하지만, 272Bh, 271Bh 및 270Bh 동위원소는 더 쉽게 생산되는 모스코븀니호늄 동위원소의 붕괴 생성물로 쉽게 생산될 수 있다.[21]

6. 응용

보륨은 극미량만 생성 가능하고 반감기가 짧아 현재까지 알려진 실용적인 응용 분야는 없다. 기초 과학 연구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참조

[1] 논문 On spontaneous fission of neutron-deficient isotopes of elements
[2] 논문 Identification of element 107 by α correlation chains https://www.research[...] 2016-12-24
[3] 논문 Discovery of the transfermium elements. Part II: Introduction to discovery profiles. Part III: Discovery profiles of the transfermium elements
[4] 논문 Responses on 'Discovery of the transfermium elements' by Lawrence Berkeley Laboratory, California; Joint Institute for Nuclear Research, Dubna; and Gesellschaft fur Schwerionenforschung, Darmstadt followed by reply to responses by the Transfermium Working Group
[5] 논문 Names and symbols of transfermium elements (IUPAC Recommendations 1994)
[6] 간행물
[7] 논문 Lightest Isotope of Bh Produced via the Bi209(Cr52,n)Bh260 Reaction https://digital.libr[...]
[8] 논문 Element 107
[9] 논문 The new element 111
[10] 논문 New isotope 265Bh
[11] 논문 Evidence for New Isotopes of Element 107: 266Bh and 267Bh https://zenodo.org/r[...] 2018-11-04
[12] 논문 New isotope 286Mc produced in the 243Am+48Ca reaction
[13] 학회자료 Heaviest Nuclei Produced in 48Ca-induced Reactions (Synthesis and Decay Properties)
[14] 논문 Synthesis of a New Element with Atomic Number ''Z''=117 https://www.research[...]
[15] 웹사이트 Interactive Chart of Nuclides http://www.nndc.bnl.[...] Brookhaven National Laboratory 2008-06-06
[16] 서적 Handbook of Nuclear Chemistry: Production and Identification of Transactinide Elements
[17] 서적 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Wiley-VCH, Weinheim
[18] 논문 Chemical Separation Procedure Proposed for Studies of Bohrium
[19] 논문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bohrium (element 107)
[20] 웹사이트 Gas chemical investigation of bohrium (Bh, element 107) http://www.gsi.de/in[...] 2008-02-29
[21] 서적 The Chemistry of Superheavy Element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2] 논문 Ionization potentials and radii of neutral and ionized species of elements 107 (bohrium) and 108 (hassium) from extended multiconfiguration Dirac–Fock calculations
[23] 논문 Synthesis of a New Element with Atomic Number ''Z''=117 https://www.research[...]
[24] 웹사이트 ボーリウム 2023-06-22
[25] 웹사이트 ボーリウム 2023-06-22
[26] 논문 On spontaneous fission of neutron-deficient isotopes of elements
[27] 논문 Identification of element 107 by α correlation chains https://www.research[...] 2016-12-24
[28] 논문 Discovery of the transfermium elements. Part II: Introduction to discovery profiles. Part III: Discovery profiles of the transfermium elements
[29] 논문 Responses on 'Discovery of the transfermium elements' by Lawrence Berkeley Laboratory, California; Joint Institute for Nuclear Research, Dubna; and Gesellschaft fur Schwerionenforschung, Darmstadt followed by reply to responses by the Transfermium Working Group
[30] 논문 Names and symbols of transfermium elements (IUPAC Recommendations 1997) http://publications.[...]
[31] 논문 Names and symbols of transfermium elements (IUPAC Recommendations 1994)
[32] 간행물
[33] 서적 元素 ナツメ社
[34] 웹사이트 Interactive Chart of Nuclides http://www.nndc.bnl.[...] Brookhaven National Laboratory 2008-06-06
[35] 웹사이트 The Photographic Periodic Table of the Elements http://periodictable[...] 2012-11-16
[36] 논문 Lightest Isotope of Bh Produced via the Bi209(Cr52,n)Bh260 Reaction https://digital.libr[...] 2008
[37] 논문 Element 107 1989
[38] 논문 The new element 111 1995
[39] 논문 New isotope 265Bh 2004
[40] 논문 Evidence for New Isotopes of Element 107: 266Bh and 267Bh https://zenodo.org/r[...] 2000
[41] 학회발표 Heaviest Nuclei Produced in 48Ca-induced Reactions (Synthesis and Decay Properties) 2007
[42] 서적 Handbook of Nuclear Chemistry: Production and Identification of Transactinide Elements 2011
[43] 웹사이트 Making New Elements Doesn't Pay. Just Ask This Berkeley Scientist https://www.bloomber[...] 2020-01-18
[44] 논문 Superheavy elements: a prediction of their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https://www.research[...] 1975
[45] 서적 The Chemistry of the Actinide and Transactinide Elements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2006
[46] 서적 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Wiley-VCH, Weinheim 2000
[47] 논문 First-principles calculation of the structural stability of 6d transition metals 2011
[48] 논문 Chemical Separation Procedure Proposed for Studies of Bohrium 2000
[49] 논문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bohrium (element 107) 2000
[50] 웹사이트 Gas chemical investigation of bohrium (Bh, element 107) http://www.gsi.de/in[...] 2008-02-29
[51] 서적 The Chemistry of Superheavy Element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3-11-30
[52] 논문 First-principles calculation of the structural stability of 6d transition metals 2011
[53] 문서 붕소와 같은 발음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