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다지보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지보그는 슬라브 신화에 등장하는 신으로, 어원은 "주는 신" 또는 "신 기증자"를 의미한다. 이파티예프 연대기에 따르면, 다지보그는 태양의 신으로 묘사되며 스바로그의 아들로 여겨지기도 한다. 일부 학자들은 다지보그를 코르스와 동일시하며, 태양과 관련된 다양한 속성을 부여한다. 슬라브 민속에서 다지보그는 태양, 달과의 관계, 그리고 조상 신으로서의 역할을 가지며, 현대 문화에서도 다지보그를 숭배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기도 한다.

2. 어원

원시 슬라브어 재구성은 *dadjьbogъ이며,[1] 동사 *dati의 명령형인 *dadjь ("주다")와 명사 *bogъ ("신")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Dubenskij, Ognovskij 및 Niederle에 따르면, 다지보그의 원래 의미는 "주는 신", "신을 주는 자", "신 기증자"가 된다.

이 단어는 오래된 합성어로, 특히 원시 슬라브어 *bogъ ("세속적 부/복; 행운")의 오래된 의미를 유지하고 있으며, "부/행운의 분배자"로 의미가 변하고, 최종적으로 "신"으로 의미가 변했다는 점에서 매우 흥미롭다.[2] 다른 인도유럽어족에서 설득력 있는 동족어가 없기 때문에, 원시 슬라브어 *bogъ는 종종 이란어에서 차용된 것으로 여겨지며, 인도-이란어 Bhaga와 관련이 있거나, 적어도 그들의 영향을 받았다고 여겨진다. 슬라브어와 인도-이란어 동족어 형태 모두 "신"과 "부, 몫"을 의미한다.[3] 따라서 문자 그대로 번역하면, ''다지보그''는 "주는 신"이 된다.

다른 언어로는, 원시 슬라브어: *Daďьbogъ;[1] 교회 슬라브어: Даждьбогъ; 고대 동슬라브어: Дажьбогъ; Даждбог|다즈드보그be 또는 Дабог|다보그be; 불가리아어, 우크라이나어 및 Даждбог|다즈드보그mk, Дайбог|다이보그mk, 또는 Дабог|다보그mk; Dadźbóg|다지부그pl, ''Dażbóg'', ''Dabóg''; Дажьбог|다지보그ru, Дажбог|다주보그ru, Дайбог|다이보그ru, 또는 Дабог|다보그ru; 세르보-크로아티아어: ''Daždbog'' / Даждбог, ''Dažbog'' / Дажбог, ''Dajbog'' / Дајбог, 또는 ''Dabog'' / Дабог.

3. 특징

다지보그 (작가: M. 프레스냐코프, 1998)


다지보그에 관한 내용은 15세기 이파티예프 수도원에서 나온 여러 오래된 문서를 엮은 이파티예프 연대기에서 찾을 수 있다. 이 문서는 6세기 말랄린의 그리스어 원고를 슬라브어로 번역한 것으로, 그리스 신들의 이름인 헤파이스토스헬리오스를 슬라브 신들의 이름인 스바로그와 다지보그로 바꾸어 설명한다.[4]

하지만 슬라브어에서 태양을 뜻하는 단어 '순체'는 중성 또는 여성 명사이기 때문에, 다지보그가 남성 태양신이라는 점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된다. 발트 신화사울레처럼, 슬라브 민속에서도 태양은 여성으로, 달은 남성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

이 구절은 슬라브 신들 사이의 가족 관계에 대한 몇 가지 이론을 제기한다. 만약 스바로그가 실제로 다지보그의 아버지였다고 가정한다면, 슬라브의 이교 신앙을 묘사하는 여러 중세 문서에서 불과 전쟁의 신으로 언급되는 또 다른 신인 스바로지츠와의 관계에 대한 질문이 제기된다.

3. 1. 스바로그와의 관계

이파티예프 연대기에 따르면, 다지보그는 스바로그의 아들이며, 태양신으로 여겨진다. 이 연대기는 헤파이스토스를 스바로그로, 헬리오스를 다지보그로 번역하여 슬라브 신화를 설명한다.[4]

하지만 슬라브어에서 태양을 뜻하는 단어 '순체'는 중성 또는 여성 명사이기 때문에, 다지보그가 남성 태양신이라는 점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된다. 발트 신화사울레처럼, 슬라브 민속에서도 태양은 여성으로, 달은 남성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

스바로그와 다지보그의 관계에 대한 여러 이론이 존재한다.

  • 뱌체슬라프 이바노프와 블라디미르 토포로프는 스바로그가 불과 대장장이의 신이며, 다지보그(하늘의 불, 즉 태양)와 스바로지츠(대장간의 불꽃) 두 아들을 두었다고 주장한다.[4]
  • 헨리크 워미안스키는 스바로그가 하늘 신이고, 스바로지츠와 다지보그는 동일한 신의 다른 측면(태양과 달)이라고 주장한다.[6]
  • 프란요 레디치는 스바로그와 다지보그가 동일한 신이라고 추정했다.[7]


블라디미르 1세는 키예프에 다지보그 신상을 세웠으며,[15]원초 연대기』에서는 다지보그가 페룬, 스트리보그 등과 함께 언급된다.[15] 『이고르 원정기』에서는 루스인들이 다지보그의 손자라고 불리며,[14][15][20] 이는 다지보그가 러시아 민족의 수호신 역할을 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3. 2. 코르스와의 관계

많은 신화학자들이 다지보그가 태양 속성을 가진 또 다른 동슬라브 신인 코르스와 동일하다고 믿는다.[8] 오시프 막시모비치 보지안스키는 원초 연대기의 다음 구절을 바탕으로 이 이론을 제시했다.

> 블라디미르는 키예프에서 혼자 통치를 시작하여 궁궐 밖 언덕에 우상을 세웠다. 머리는 은으로, 수염은 금으로 된 나무로 된 페룬과 코르스 다지보그, 스트리보그, 시마르글, 모코시를 세웠다.

코르스와 다지보그라는 이름은 텍스트에서 "그리고"라는 단어로 명확하게 분리되지 않은 유일한 두 단어이다. 이것은 복합 신인 코르스 다지보그를 나타낼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바탕으로 토포로프는 코르스가 이 신의 이란어(사르마티아 또는 스키타이어) 이름이고, 다지보그가 슬라브어 이름일 수 있다고 추정했다. 보리스 리바코프는 코르스와 다지보그를 각각 헬리오스아폴론에 비교하며, 둘 다 태양신이지만, 코르스가 태양 자체를 나타내는 반면, 다지보그는 ''deus dator''로서 태양의 생명력을 상징한다고 결론지었다.[8] 코르스가 실제로 태양신이라는 것은 ''이고르 원정기''의 다음 구절에서 추론되었다.[9]

> 브세슬라프 공은 사람들을 심판했고, 공으로서 도시를 다스렸지만, 밤에는 늑대의 모습으로 돌아다녔다. 키예프에서 늑대처럼 돌아다니며 새벽닭이 울기 전에 트무토로칸에 도착했다. 위대한 코르스의 길을 늑대처럼 돌아다니며 건넜다.

다시 말해, 브세슬라프 공은 새벽 전에 트무토로칸에 도착하여 태양인 코르스의 길을 건넜다. 세계의 신화적 관점에서 태양은 새벽에 동쪽 지평선에 도달하기 위해 밤 동안 지하 세계를 통과해야 한다. 이것과 브세슬라프 공이 밤에 "코르스의 길을 건너면서" 늑대로 변한다는 사실은, 다리를 절고 지하 세계를 다스리는 "늑대 목자"로 여겨졌던 세르비아 다보그와 유사점을 보인다.

베셀린 차이카노비치는 세르비아 민속 설화 속 다보그의 지하적 성격이 동슬라브 고대 자료에 언급된 태양신 다지보그와 매우 잘 들어맞는다고 결론지으며, 수많은 신화에서 태양신은 이중적인 면모를 보이는 경향이 있으며, 하나는 낮 동안의 태양과 관련된 자비로운 면모이고, 다른 하나는 태양이 지하 세계에 갇히는 밤과 관련된 악의적인 면모라고 지적했다.[10]

3. 3. 세르비아 민속에서의 다보그

많은 신화학자들이 다지보그가 태양 속성을 가진 또 다른 동슬라브 신인 코르스와 동일하다고 믿는다. 오시프 막시모비치 보지안스키는 원초 연대기의 구절을 바탕으로 이 이론을 제시했다.

코르스와 다지보그라는 이름은 텍스트에서 "그리고"라는 단어로 명확하게 분리되지 않은 유일한 두 단어이다. 이것은 복합 신인 코르스 다지보그를 나타낼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바탕으로 토포로프는 코르스가 이 신의 이란어(사르마티아 또는 스키타이어) 이름이고, 다지보그가 슬라브어 이름일 수 있다고 추정했다. 보리스 리바코프는 코르스와 다지보그를 각각 헬리오스아폴론에 비교하며, 둘 다 태양신이지만, 코르스가 태양 자체를 나타내는 반면, 다지보그는 ''deus dator''로서 태양의 생명력을 상징한다고 결론지었다.[8]

세르비아 민속에서 다보그는 지하 세계의 지배자로 묘사되며, 귀금속과도 연관되어 있고 때로는 은색 수염을 가졌다고도 한다. 세르비아 학자 베셀린 차이카노비치는 세르비아 민속 설화 속 다보그의 지하적 성격이 동슬라브 고대 자료에 언급된 태양신 다지보그와 매우 잘 들어맞는다고 결론지으며, 수많은 신화에서 태양신은 이중적인 면모를 보이는 경향이 있다고 했다. 즉, 하나는 낮 동안의 태양과 관련된 자비로운 면모이고, 다른 하나는 태양이 지하 세계에 갇히는 밤과 관련된 악의적인 면모이다.[10]

차이카노비치는 세르비아 민속 설화를 연구하면서 다지보그의 훨씬 더 많은 자비로운 측면들이 민속 기독교의 대중적인 성인들에게, 특히 성 사바에게 전해졌다고 결론지었다.[10]

4. 태양 신화

마레크 하폰이 그린 21세기 초 다지보그 그림


2001년 초 우크라이나 홀라 프리스탄에 다지보그 신의 조각상이 세워졌으나, 며칠 후 교회 측의 반대로 파괴되었다.[11]

2016년 4월 10일 러시아 아스트라한에 슬라브 이교도들이 숭배하는 장소에 다지보그 우상이 설치되었으나,[12] 4월 12일 우상과 주변 지역이 훼손되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13]

4. 1. 달과의 관계

슬라브 민족 신화나 민화에서 태양은 동쪽에 있으며, 계절이 영원히 여름인 비옥한 나라에 거주한다고 여겨진다. 아침이 올 때마다 입에서 불꽃을 뿜는 말에 이끌린 금강석 마차를 타고 나타나 창공을 질주한다고 전해진다. 태양신의 마차를 끄는 말은 전승에 따라 열두 마리의 백마이거나, 금색 말, 은색 말, 다이아몬드 말의 세 마리 준마 등으로 다양하다.[21] 다지보그는 아침에 태어나 다이아몬드 전차로 하늘을 가로질러 저녁에는 늙는다고 전해진다.[18]

몇몇 우화에서는 다지보그가 달의 여신 Myesyats|미에샤츠영어의 배우자로 묘사된다.[18] 둘은 봄에 결혼하지만, 가을에 헤어져 서로 혼자 겨울을 보내고 다음 해 봄에 재회한다고 한다.[24] 또한, 두 사람의 부부 싸움 때문에 지진이 발생한다고 전해진다.[18][22] 세르비아 전설에서는 미에샤츠(메샤츠)가 노인 남성으로 묘사된다. 미에샤츠(메샤츠)는 슬라브어로 달을 의미하며 남성 명사이기 때문에 본래 남성으로서의 성격이 부여되지만,[23] 많은 슬라브 전승은 태양과 달의 관계에 인간의 이성 간의 해석을 적용했다.[23][24] 그 때문에 달인 미에샤츠는 태양인 다지보그의 아내로 표현된다.[24]

5. 현대 문화



2001년 초, 우크라이나 홀라 프리스탄에 다지보그 신의 조각상이 세워졌으나, 며칠 후 교회 측의 반대로 파괴되었다.[11]

2016년 4월 10일, 러시아 아스트라한 시에서 슬라브 이교도들이 숭배하는 장소에 다지보그 우상이 설치되었다.[12] 그러나 같은 해 4월 12일, 이 우상과 주변 지역이 훼손되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13]

참조

[1] 서적 Этимологический словарь славянских языков Наука, Москва 1974
[2] 서적 Etimologijski rječnik hrvatskoga ili srpskoga jezika JAZU: Zagreb 1971
[3] 문서
[4] 서적 Hod kroz godinu, mitska pozadina hrvatskih narodnih vjerovanja i obicaja Zagreb 1998
[5] 서적 Encyclopedia of Russian and Slavic Myth and Legend ABC-CLIO, Santa Barbara, California 1998
[6] 서적 Religija Slovena Beograd 1996
[7] 서적 Mitologija Slavena Zagreb 1970
[8] 서적 Ancient Slavic Paganism Moscow 1981
[9] 웹사이트 This f2o.org account is no longer in service https://web.archive.[...] 2006-09-22
[10] 서적 Mit i religija u Srba Beograd 1973
[11] 뉴스 В Херсонской области после протеста священников демонтировали скульптуру языческого бога http://telegraf.by/2[...] Telegraf.by 2011-07-11
[12] Facebook In Astrakhan have established an idol of Dazhdbog https://www.facebook[...]
[13] Facebook In Astrakhan have profaned an idol of Dazhdbog https://www.facebook[...]
[14] 문서
[15] 문서
[16] 문서
[17] 문서
[18] 문서
[19] 문서
[20] 문서
[21] 문서
[22] 문서
[23] 문서
[24]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