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당번회맹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당번회맹비는 티베트의 역사, 지리, 정치, 경제, 사회, 문화를 포괄하는 내용을 다루는 문서이다. 티베트는 7세기 송첸감포 왕에 의해 통일된 티베트 제국 시기부터 중화인민공화국의 지배를 받는 현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시대를 거쳤다. 이 문서에서는 티베트와 관련된 주요 조약 및 문서들을 포함하여, 티베트의 다양한 측면을 다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당나라-토번 관계 - 문성공주
    7세기 중반 당나라 공주인 문성공주는 송첸감포와의 결혼으로 티베트 문화 및 문물 발전에 기여하고 당나라와 티베트 간 문화 교류를 증진시킨 인물로서, 포탈라궁과 조캉 사원 건설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티베트 불교와 한-티베트 관계에서 중요한 상징적 인물로 평가받는다.
  • 당나라-토번 관계 - 대비천 전투
    669년 당나라가 토욕혼을 공격하며 토번과 벌인 대비천 전투에서 설인귀가 이끄는 당군이 곽대봉의 명령 불복종으로 가르친링이 이끄는 토번군에게 패배하여 설인귀를 비롯한 주요 지휘관들이 포로로 잡혔다 풀려났고, 이 패배는 당나라가 토번 공격을 자제하는 계기가 되었다.
  • 라싸시의 건축물 - 포탈라궁
    포탈라궁은 티베트 라싸에 위치한 달라이 라마의 겨울 궁전이자 전통적인 거주지로, 17세기 롭상갸초에 의해 건설되었으며 백궁과 홍궁으로 구성되어 티베트 불교의 중심지이자 역사와 문화를 상징하는 건축물로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
  • 라싸시의 건축물 - 라싸 공가 공항
    라싸 공가 공항은 티베트 자치구 라싸시에 위치한 고지대 공항으로 티베트 고원의 허브 역할을 하며 국내선 및 국제선 노선을 운영하고, 라싸 시내와 고속도로로 연결되어 접근성이 좋다.
당번회맹비
개요
명칭당번회맹비 (唐蕃會盟碑)
위치중국 티베트 자치구 라싸 조캉 사원
건립 시기823년 (장경 4년) ~ 824년 (장경 5년)
비문 내용당나라토번 간의 821년에 체결된 회맹 조약 내용 기록
비석 정보
재료
높이3.42m
너비1m
두께0.35m
비머리 형태반원형
비문 언어
언어한자, 티베트어
비문 방향동쪽: 한문, 서쪽: 티베트문
역사적 배경
당-토번 관계당나라토번은 오랜 기간 전쟁과 화친을 반복함.
회맹의 배경양국 간의 평화 유지 및 관계 개선 필요성 대두.
장경화맹821년에 체결된 당-토번 간의 화친 조약.
비문 내용 요약
골자당과 토번 양국은 화친을 통해 영원한 평화를 유지하고, 백성들의 안녕을 도모할 것을 맹세.
주요 내용양국 국경 확정 및 상호 침략 금지.
사신의 왕래 및 교역의 자유 보장.
포로 교환 및 문화 교류 장려.
비의 보존 상태 및 가치
보존 상태비교적 양호
역사적 가치당-토번 관계 연구의 중요한 자료.
당시의 정치, 사회, 문화적 상황을 보여주는 귀중한 유물.
참고 자료
관련 항목당나라
토번
조캉 사원
장경화맹

2. 역사

2. 1. 선사 시대 및 고대 왕조

2. 2. 티베트 제국 (7세기-9세기)

7세기 송첸감포 왕에 의해 통일 티베트 제국이 건국되었다. 티베트 제국은 발전과 멸망 과정을 거쳤다.

2. 3. 분열 시대 (9세기-13세기)

2. 4. 몽골(원) 제국의 지배 (13세기-14세기)

2. 5. 파그모드루파 왕조와 명나라 (14세기-17세기)

2. 6. 간덴 포드랑과 청나라 (17세기-20세기 초)

2. 7. 1912년-1951년의 티베트

2. 8. 중화인민공화국의 티베트 지배 (1950년-현재)

3. 티베트의 지리

4. 정치 및 행정

5. 경제

6. 사회

7. 문화

8. 관련 조약 및 문서

팅모스강 조약 (1684), 추술 조약 (1842), 타파탈리 조약 (1856), 캘커타 조약 (1890), 라싸 조약 (1904), 티베트에 관한 영국과 중국 간의 조약 (1906), 영국-러시아 조약 (1907), 티베트 국경에 관한 중국-인도 무역 협정 (1954) 등은 티베트와 관련된 주요 조약 및 협정이다. 이 외에도 티베트의 효율적인 통치를 위한 13개 조항 법령 (1751), 티베트의 효율적인 통치를 위한 29개 조항 법령 (1793), 몽골과의 우호 및 동맹 조약 (1913), 심라 협정 (1914), 17개 조항 협정 (1951), 7만 자 탄원서 (1962),

9. 같이 보기

참조

[1] 논문 The Sino-Tibetan Treaty Inscription of A.D. 821/823 at Lhasa
[2] 서적 Tibetan Art: Tracing the Development of Spiritual Ideals and Art in Tibet, 600-2000 A.D. https://www.worldcat[...] Jaca Book 1999
[3] 문서 དབོན་ཞང་གཉིས ༎ ཆབ་སྲིད གཅྀག་དུ་མོལ་ནས ༎ མཇལ་དུམ་ 舅甥二主 商議社稷如一 The two masters, uncle and nephew, discuss the unity as one countr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