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구광역시상수도사업본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구광역시상수도사업본부는 대구광역시의 상수도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지방공기업이다. 1964년 대구시 수도과에서 시작하여 1989년 대구직할시 상수도사업본부로, 1995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경영부, 생산수질부, 급수부 등의 조직을 갖추고 있으며, 시설관리소, 수질연구소, 정수사업소, 지역사업소를 운영한다. 2018년에는 매곡취수장과 문산취수장에서 과불화화합물이 검출되어 수돗물 안전성에 대한 논란이 발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 남구 소재의 관공서 - 제19원정지원사령부
    제19원정지원사령부는 1966년 창설되어 주한 미군의 군수 지원을 담당하며,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쳐 2005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 대구 남구 소재의 관공서 - 제403육군야전지원여단
    제403육군야전지원여단은 1966년 서울에서 시작하여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쳐 2007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주한 육군야전지원대대 등을 예하 부대로 두고 대한민국 캠프 험프리스와 일본 요코하마 북부부두에 주둔하는 미국 육군 소속 부대이다.
  • 1964년 설치 - 중구동
    중구동은 경상북도 안동시에 위치한 행정 구역으로, 1914년에 설치되어 여러 차례의 행정구역 개편을 거쳐 13개의 법정동으로 구성되며, 교육, 공공, 문화 시설과 국도가 지나가는 교통의 요지이고, 안동 신세동 칠층전탑 등 주요 문화재가 있다.
  • 1964년 설치 - 녹양동
    녹양동은 조선 시대 군마 사육 목장이었던 녹양장에서 지명이 유래되었으며, 녹양역을 중심으로 택지 개발이 이루어져 아파트 단지가 조성된 경기도 의정부시의 행정 구역이다.
  • 대구광역시청 - 대구광역시 부시장
    대구광역시 부시장은 대구광역시의 행정 사무를 분담하여 처리하는 직위이며, 일제강점기부터 대구부 부부윤, 대구시 부시장으로 시작하여 대구직할시 승격 이후 행정부시장과 정무부시장으로 분리되었다가, 2014년부터 정무부시장이 경제부시장으로 변경되어 현재는 행정부시장과 경제부시장으로 구성된다.
  • 대구광역시청 - 대구의료원
    대구의료원은 대구광역시의 공공 의료를 담당하는 의료기관으로, 다양한 진료과목 운영과 시설 확충을 통해 지역 사회의 의료 수요에 대응하며 감염병 유행 시기 공공 의료 시스템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대구광역시상수도사업본부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대구광역시상수도사업본부
현지어 이름Daegu Metropolitan City Waterworks Headquarters (영어)
약칭대구상수도사업본부
설립일1989년
모토대구 수돗물의 새이름, 달구벌 맑은물
소재지대구광역시 남구 명덕로54길 6-3
상급 기관대구광역시청
웹사이트대구광역시상수도사업본부 웹사이트
조직
산하 기관시설관리소, 수질연구소, 5개 정수사업소, 7개 지역사업소

2. 연혁

경상북도 대구시 수도과에서 1964년 12월 5일 경상북도 대구시 수도국으로 승격되었다. 1969년 1월 29일 경상북도 대구시 수도국에서 지방공기업으로 분리되었다. 1989년 9월 1일 대구직할시 상수도사업본부가 설치되었으며, 1995년 1월 1일 대구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로 변경되었다.

3. 조직

경영부, 생산수질부, 급수부를 두고 있다.

3. 1. 본부

3. 2. 산하기관

시설관리소장은 지방기술서기관으로, 수질연구소장은 지방보건연구관이나 지방환경연구관으로 보한다.[2]

명칭사진주소관할구역
시설관리소대구광역시 북구 동북로 92
수질연구소대구광역시 달서구 당산로 176


3. 3. 정수사업소

매곡·고산정수사업소장은 지방기술서기관으로, 문산·가창·죽곡정수사업소장은 지방공업사무관 또는 지방시설사무관으로 보한다.[2]

명칭사진주소관할구역
매곡정수사업소달성군 다사읍 달구벌대로 717
고산정수사업소수성구 유니버시아드로 234
가창정수사업소수성구 파동로2길 16
죽곡정수사업소달성군 다사읍 강정본길 88
문산정수사업소달성군 다사읍 달구벌대로92길 70


3. 4. 지역사업소

지역사업소장은 지방행정사무관으로 보한다. 다만, 달성사업소장은 지방행정사무관 또는 지방시설사무관으로 보한다.[2]

명칭주소관할구역
중남부사업소남구 이천로 147중구, 남구
동부사업소동구 송라로 155동구
서부사업소서구 국채보상로34길 48서구
북부사업소북구 침산로 218북구
수성사업소수성구 달구벌대로489안길 11수성구
달서사업소달서구 당산로 176달서구
달성사업소달성군 현풍읍 현풍중앙로 144-34달성군


4. 논란 및 사건사고

2018년 5월 21일과 24일 매곡취수장과 문산취수장에서 발암물질인 과불화옥탄산 등 과불화화합물이 수돗물에서 검출되었다. 상수도사업본부구미공단에서 이러한 물질이 배출된 것으로 판단하였다.[3] 환경부는 해당 물질을 배출한 사업장을 확인하고 배출을 차단했으며, 검출 수준이 건강에 우려되는 수준은 아니지만 선제적으로 저감조치를 실시했다고 밝혔다.[4]

상수도사업본부는 '수돗물 사용에 문제가 없다.'고 밝혔지만 이 유해물질이 끓이거나 고도정수처리를 거쳐도 없어지지 않는다고 알려지면서 대구지역에서는 생수를 사재기하는 혼란이 벌어졌으며, 청와대 국민청원에 대안을 마련하라는 요구가 게시되었다.[5]

4. 1. 과불화화합물 검출 논란

2018년 5월 21일과 24일 매곡취수장과 문산취수장에서 발암물질인 과불화옥탄산 등 과불화화합물이 수돗물에서 검출되었다. 상수도사업본부구미공단에서 이러한 물질이 배출된 것으로 판단하였다.[3] 환경부는 해당 물질을 배출한 사업장을 확인하고 배출을 차단했으며, 검출 수준이 건강에 우려되는 수준은 아니지만 선제적으로 저감조치를 실시했다고 밝혔다.[4]

상수도사업본부는 '수돗물 사용에 문제가 없다.'고 밝혔지만 이 유해물질이 끓이거나 고도정수처리를 거쳐도 없어지지 않는다고 알려지면서 대구지역에서는 생수를 사재기하는 혼란이 벌어졌으며, 청와대 국민청원에 대안을 마련하라는 요구가 게시되었다.[5]

참조

[1] 웹인용 대구광역시 행정기구 설치조례 http://www.law.go.kr[...] 대한민국 법제처 2016-09-21
[2] 웹인용 대구광역시 행정기구 설치조례 시행규칙 http://www.law.go.kr[...] 대한민국 법제처 2016-09-21
[3] 뉴스 0622 TBC 대구 수돗물 신종 환경 호르몬 발암 물질 다량 검출 http://www.tbc.co.kr[...] TBC 대구방송 2018-06-22
[4] 뉴스 환경부, 대구 수돗물 과불화화합물 검출에 "배출 차단 완료"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8-06-22
[5] 뉴스 "[현장]'생수대란' 빚어진 대구…시민들 \"물 대신 콜라 마실판\"" http://www.joongang.[...] 중앙일보 2018-06-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