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교육대학교 대구부설초등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구교육대학교 대구부설초등학교는 1956년 대구사범학교 부속국민학교로 개교하여 여러 차례 교명을 변경했으며, 현재 대구교육대학교 부설 초등학교로 운영되고 있다. 1998년 달서구 도원동으로 교사를 이전했으며, 학교 시설 확충과 더불어 다양한 국제 교류 및 교육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교육대학교 - 대구교육대학교 안동부설초등학교
대구교육대학교 안동부설초등학교는 1956년 안동사범학교 부속국민학교로 개교하여 대구교육대학교 부설 초등학교로 이름이 바뀌었으며, 권오을, 김광림, 김대일 등 여러 유명 인사를 배출했다. - 대구교육대학교 -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박물관
- 대구 달서구의 초등학교 - 대구본리초등학교
1943년 개교한 대구본리초등학교는 대구광역시 달서구에 위치한 공립 초등학교로, 여러 차례 분리 이관을 거쳐 성장했으며 2016년 시설 개선을 통해 교육 환경을 개선하였다. - 대구 달서구의 초등학교 - 대구선원초등학교
대구선원초등학교는 1998년 3월 1일에 개교하였다. - 1956년 개교 - 서라벌고등학교
1956년 서울 용산구에서 서라벌 중·고등학교로 개교한 서라벌고등학교는 성북구 돈암동 이전을 거쳐 서라벌예술고등학교와 통합, 고교 평준화 정책 시행, 노원구 중계동 이전, 학교법인 명칭 변경 등 여러 변화를 겪으며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 1956년 개교 - 경기물류고등학교
1955년 안중상업고등학교로 설립되어 교명을 변경해 온 경기물류고등학교는 경기도 평택시에 위치한 공립 고등학교로, 국제물류과, 국제경영과, 융합소프트웨어과의 세 학과를 운영하며 물류, 경영, 소프트웨어 분야의 인재를 양성하고 있다.
대구교육대학교 대구부설초등학교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교훈 | 참되게, 굳세게, 아름답게 |
상징 | 장미(교화), 은행나무(교목) |
개교 | 1956년 4월 1일 |
설립 형태 | 국립 |
교장 | 우원근 |
교감 | 권민석 |
국가 | 대한민국 |
위치 | 대구광역시 달서구 도원남로 19 (도원동 1441-1) |
학생 수 | 412명 (2023년 9월 1일) |
교직원 수 | 26명 (2023년 9월 1일) |
관할 관청 | 대구광역시남부교육지원청 |
웹사이트 | 대구교육대학교 대구부설초등학교 웹사이트 |
2. 역사
- 1956년 4월 1일 대구사범학교 부속국민학교로 인가받았다.
- 1959년 11월 27일 한국 화교 소학교 직원 전원이 본교를 방문하였다.
- 1962년 3월 1일 '''경북대학교 병설교육대학 부속국민학교'''(교명 변경)가 되었다.
- 1962년 4월 5일 아동신문 '초롱' 창간호가 발간되었다.
- 1963년 3월 1일 '''대구교육대학 부속국민학교'''(교명 변경)가 되었다.
- 1964년 9월 10일 푸른하늘교실(관찰교재원)이 완성되었다.
- 1965년 2월 15일 문예지 '꽃사슴' 창간호가 발간되었다.
- 1967년 7월 25일 종합교실(향토관)이 개관되었다.
- 1968년 7월 4일 연못 금잔디 밭이 완공되었다.
- 1969년 12월 26일 교내 스케이트장이 설치되었다.
- 1976년 9월 7일 유니셉 교육시찰단이 본교를 방문하였다.
- 1976년 10월 29일 일본 교육시찰단이 본교를 방문하였다.
- 1977년 8월 22일 자유중국 교육시찰단 25명이 본교를 방문하였다.
- 1978년 3월 1일 '''대구교육대학 대구부속국민학교'''(교명 변경)가 되었다.
- 1978년 12월 7일 울산국민학교 전 직원이 본교를 방문하여 수업을 참관하였다.
- 1993년 3월 1일 '''대구교육대학교 대구부속국민학교'''(교명 변경)가 되었다.
- 1996년 2월 24일 '꽃사슴 어머니' 창간호가 발간되었다.
- 1996년 3월 1일 '''대구교육대학교 대구부속초등학교'''(교명 변경)가 되었다.
- 1996년 10월 18일 일본 후쿠오카 교육대학 교수단 7명이 본교를 방문하였다.
- 1998년 12월 16일 달서구 도원동 교사로 이전하였다.
- 1999년 2월 1일 학교전산망이 설치되었다.
- 2000년 3월 2일 교복이 제정되었다.
- 2000년 9월 1일 일본 효고 교육대학 부속소학교와 자매 결연을 맺었다.
- 2001년 3월 2일 '''대구교육대학교 대구부설초등학교'''(교명 변경)가 되었다.
- 2003년 9월 20일 대구 미국인 학교와 자매결연을 맺었다.
- 2004년 10월 5일 미야기 교육대학 부속소학교 방문단 7명이 본교를 방문하였다.
- 2004년 11월 1일 통학버스 운행을 시작하였다.
- 2004년 11월 12일 호주 St. Peter Chanel Primary School과 자매결연을 맺었다.
- 2006년 11월 22일 꽃사슴 규장각이 개관되었다.
- 2007년 5월 25일 꽃사슴 국악관현악단이 창단되었다.
- 2008년 3월 28일 학교홈페이지에 전자도서관이 구축되었다.
- 2008년 9월 22일 영어마을 자매결연 협약이 체결되었다.
- 2009년 12월 16일 꽃사슴 중창단이 창단되었다.
- 2012년 9월 18일 일본 효고 교육대학 교수 및 대학원생이 본교를 방문하였다.
- 2012년 9월 21일 대만 핑퉁 교육대학, 베트남 껀터대학 교수 및 학생이 본교를 방문하였다.
- 2012년 9월 24일 일본 미야기 대학 교수 및 대학원생이 본교를 방문하였다.
- 2012년 12월 4일 Wee 클래스가 개설되었다.
- 2013년 5월 31일 돌봄교실이 설치되었다.
- 2014년 4월 1일 꽃사슴 행복길이 조성되었다.
- 2014년 10월 10일 스마트교실이 구축되었다.
- 2015년 7월 1일 컴퓨터실 컴퓨터 교체 사업이 진행되었다.
- 2015년 7월 8일 과학실 현대화 사업이 진행되었다.
- 2015년 7월 10일 대구교대 글로벌 연수생 연수회가 개최되었다.
- 2017년 4월 20일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제2학교와 자매 협약을 맺었다.
- 2017년 9월 1일 협력학습 초등현장지원센터가 개설되었다.
- 2017년 9월 5일 싱가포르 공립학교 교직원이 방문하였다.
- 2017년 10월 26일 제10회 한ㆍ일 교육대학교 총장 포럼 방문단이 방문하였다.
- 2018년 9월 17일 국립학교 스마트인프라(스마트실, 메이커스페이스)가 구축되었다.
- 2019년 11월 25일 스포츠 VR체험센터(구급식실)가 신설되었다.
- 2019년 10월 31일 꿈끼디자인실, 창의융합 과학실, 글로벌 영어실-스마트존이 개축되었다.
- 2020년 2월 12일 제58회 졸업식(71명, 8,224명)이 진행되었다.
- 2020년 9월 1일 제15대 김영호 교장이 부임하였다.
- 2023년 9월 1일 제16대 우원근 교장이 부임하였다.
2. 1. 학교 연혁
- 1956년 4월 1일 대구사범학교 부속국민학교로 인가받았다.
- 1959년 11월 27일 한국 화교 소학교 직원 전원이 본교를 방문하였다.
- 1962년 3월 1일 경북대학교 병설교육대학 부속국민학교(교명 변경)가 되었다.
- 1962년 4월 5일 아동신문 '초롱' 창간호가 발간되었다.
- 1963년 3월 1일 대구교육대학 부속국민학교(교명 변경)가 되었다.
- 1964년 9월 10일 푸른하늘교실(관찰교재원)이 완성되었다.
- 1965년 2월 15일 문예지 '꽃사슴' 창간호가 발간되었다.
- 1967년 7월 25일 종합교실(향토관)이 개관되었다.
- 1968년 7월 4일 연못 금잔디 밭이 완공되었다.
- 1969년 12월 26일 교내 스케이트장이 설치되었다.
- 1976년 9월 7일 유니셉 교육시찰단이 본교를 방문하였다.
- 1976년 10월 29일 일본 교육시찰단이 본교를 방문하였다.
- 1977년 8월 22일 자유중국 교육시찰단 25명이 본교를 방문하였다.
- 1978년 3월 1일 대구교육대학 대구부속국민학교(교명 변경)가 되었다.
- 1978년 12월 7일 울산국민학교 전 직원이 본교를 방문하여 수업을 참관하였다.
- 1993년 3월 1일 대구교육대학교 대구부속국민학교(교명 변경)가 되었다.
- 1996년 2월 24일 '꽃사슴 어머니' 창간호가 발간되었다.
- 1996년 3월 1일 대구교육대학교 대구부속초등학교(교명 변경)가 되었다.
- 1996년 10월 18일 일본 후쿠오카 교육대학 교수단 7명이 본교를 방문하였다.
- 1998년 12월 16일 달서구 도원동 교사로 이전하였다.
- 1999년 2월 1일 학교전산망이 설치되었다.
- 2000년 3월 2일 교복이 제정되었다.
- 2000년 9월 1일 일본 효고 교육대학 부속소학교와 자매 결연을 맺었다.
- 2001년 3월 2일 대구교육대학교 대구부설초등학교(교명 변경)가 되었다.
- 2003년 9월 20일 대구 미국인 학교와 자매결연을 맺었다.
- 2004년 10월 5일 미야기 교육대학 부속소학교 방문단 7명이 본교를 방문하였다.
- 2004년 11월 1일 통학버스 운행을 시작하였다.
- 2004년 11월 12일 호주 St. Peter Chanel Primary School과 자매결연을 맺었다.
- 2006년 11월 22일 꽃사슴 규장각이 개관되었다.
- 2007년 5월 25일 꽃사슴 국악관현악단이 창단되었다.
- 2008년 3월 28일 학교홈페이지에 전자도서관이 구축되었다.
- 2008년 9월 22일 영어마을 자매결연 협약이 체결되었다.
- 2009년 12월 16일 꽃사슴 중창단이 창단되었다.
- 2012년 9월 18일 일본 효고 교육대학 교수 및 대학원생이 본교를 방문하였다.
- 2012년 9월 21일 대만 핑퉁 교육대학, 베트남 껀터대학 교수 및 학생이 본교를 방문하였다.
- 2012년 9월 24일 일본 미야기 대학 교수 및 대학원생이 본교를 방문하였다.
- 2012년 12월 4일 Wee 클래스가 개설되었다.
- 2013년 5월 31일 돌봄교실이 설치되었다.
- 2014년 4월 1일 꽃사슴 행복길이 조성되었다.
- 2014년 10월 10일 스마트교실이 구축되었다.
- 2015년 7월 1일 컴퓨터실 컴퓨터 교체 사업이 진행되었다.
- 2015년 7월 8일 과학실 현대화 사업이 진행되었다.
- 2015년 7월 10일 대구교대 글로벌 연수생 연수회가 개최되었다.
- 2017년 4월 20일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제2학교와 자매 협약을 맺었다.
- 2017년 9월 1일 협력학습 초등현장지원센터가 개설되었다.
- 2017년 9월 5일 싱가포르 공립학교 교직원이 방문하였다.
- 2017년 10월 26일 제10회 한ㆍ일 교육대학교 총장 포럼 방문단이 방문하였다.
- 2018년 9월 17일 국립학교 스마트인프라(스마트실, 메이커스페이스)가 구축되었다.
- 2019년 11월 25일 스포츠 VR체험센터(구급식실)가 신설되었다.
- 2019년 10월 31일 꿈끼디자인실, 창의융합 과학실, 글로벌 영어실-스마트존이 개축되었다.
- 2020년 2월 12일 제58회 졸업식(71명, 8,224명)이 진행되었다.
- 2020년 9월 1일 제15대 김영호 교장이 부임하였다.
- 2023년 9월 1일 제16대 우원근 교장이 부임하였다.
2. 2. 주요 시설 확충
1964년 9월 10일 푸른하늘교실(관찰교재원)이 완성되었고, 1967년 7월 25일에는 종합교실(향토관)이 개관되었다. 1968년 7월 4일에는 연못 금잔디 밭이 완공되었으며, 1969년 12월 26일에는 교내 스케이트장이 설치되었다. 1998년 12월 16일에는 달서구 도원동으로 교사를 이전하였고, 1999년 2월 1일에는 학교전산망이 설치되었다. 2006년 11월 22일에는 꽃사슴 규장각이 개관되었고, 2008년 3월 28일에는 학교홈페이지에 전자도서관이 구축되었다. 2012년 12월 4일에는 Wee 클래스가 개설되었고, 2013년 5월 31일에는 돌봄교실이 설치되었다. 2014년 4월 1일에는 꽃사슴 행복길이 조성되었으며, 2014년 10월 10일에는 스마트교실이 구축되었다. 2015년 7월 1일에는 컴퓨터실 컴퓨터 교체 사업이, 2015년 7월 8일에는 과학실 현대화 사업이 진행되었다. 2018년 9월 17일에는 국립학교 스마트인프라(스마트실, 메이커스페이스)가 구축되었고, 2019년 11월 25일에는 스포츠 VR체험센터가 신설(구급식실)되었다. 2019년 10월 31일에는 꿈끼디자인실, 창의융합 과학실, 글로벌 영어실-스마트존이 개축되었다.2. 3. 교육 활동 및 간행물
2. 4. 국제 교류
3. 동문
대구교육대학교 대구부설초등학교 출신 주요 인물은 별도 문서 또는 분류로 관리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