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복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복고는 남송 효종 시대에 태어난 시인으로, 육유에게 시를 배웠다. 소정 5년 소무부 학 교수를 지냈으며, 저장성, 푸젠성 등지를 순회하며 직업 시인으로 활동했다. 70세가 넘어 고향으로 돌아가 만년을 보냈다. 그의 시는 강호파의 영향을 받았으며, 긍정적 평가와 부정적 평가가 공존한다. 주요 작품으로는 '칠십 노옹 두설백' 등이 있으며, 시집으로는 『석병시집』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67년 출생 - 이심전
    이심전은 역사에 능통한 진사 출신 역사학자로서 『건염이래계년요록』 편찬에 참여했으나, 그의 역사 서술은 사천 지역을 중시하고 동남 지역을 경시하는 편향성을 보여 진보 역사학계로부터 객관적인 역사 연구를 저해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 1167년 출생 - 자야 인드라바르만 4세
  • 1248년 사망 - 귀위크 칸
    귀위크 칸은 몽골 제국의 3대 대칸으로, 쿠릴타이를 통해 즉위하여 유럽 원정에 참여하고 교황에게 서신을 보냈지만, 과음으로 급사하여 몽골 제국의 유럽 진출을 늦추었다.
  • 1248년 사망 - 수부타이
    수부타이는 1175년 또는 1176년 몽골에서 태어나 칭기즈칸과 오고타이 칸 시대에 활약하며 금나라, 호라즘, 루스 등지에서 혁신적인 전술로 몽골 제국 영토 확장에 기여한 명장이다.
  • 중국의 시인 - 굴원
    굴원은 초나라의 정치가이자 시인으로, 친제파의 수장으로서 진나라와의 동맹을 반대하다가 좌천되어 멱라강에 투신 자결했으며, 그의 작품은 애국심을 담고 있으며 단오절 풍습의 기원이 되었다.
  • 중국의 시인 - 쉬즈모
    중국의 시인이자 작가인 쉬즈모는 낭만주의와 자유시의 영향을 받아 현대 중국어로 자유로운 형식과 현대적인 감각을 담은 시를 발표하여 중국 시의 근대화에 기여했으며, 린후이인, 루샤오만과의 사랑으로도 유명하다.
대복고
기본 정보
대복고
대복고
이름대복고
간체자戴复古
번체자戴復古
병음Dài Fùgŭ
주음ㄉㄞˋ ㄈㄨˋㄍㄨˇ
로마자 표기Dai Fugŭ
직업시인
출생과 사망
출생1167년 (건도(乾道) 3년)
사망지미상
국적 및 출신
출생지미상
적관지미상

2. 생애

대복고는 남송 효종 시대에 태어나 임헌(林憲), 서사도(徐似道), 육유에게서 시를 배웠다.[1] 소정 5년(1232년) 소무부 학 교수(邵武府學敎授)가 되었고,[2] 쓰촨성을 제외한 저장성, 푸젠성, 광시성, 후난성, 장시성, 장쑤성 등지를 순회하며 시인으로 생계를 꾸렸다. 이종 순우 원년(1241년)에 고향에 돌아왔을 때는 이미 70세를 넘겼으며,[3] 80세 이상까지 장수하며 만년을 고향에서 보냈다.[4]

2. 1. 출생과 초기 이력

남송 효종 시대에 태어났다. 처음에는 임헌(林憲)에게 시를 배웠고, 그 다음에는 같은 고향 출신인 서사도(徐似道)에게 배우고, 나중에는 육유에게 배웠다.[1]

소정 5년(1232년) 소무부 학 교수(邵武府學敎授)가 되었고[2], 현재의 쓰촨성을 제외한 저장성, 푸젠성, 광시성, 후난성, 장시성, 장쑤성 각지를 순회하며 직업 시인으로 생계를 꾸렸다. 이종의 순우 원년(1241년)에 고향으로 돌아왔을 때는 이미 70세를 넘었다[3]. 매우 장수하여 80세 이상까지 산 것은 확실하며, 만년에는 고향에서 여생을 보내다 사망한 것으로 보인다[4].

2. 2. 방랑 생활과 시 창작

효종 시대에 태어났다. 처음에는 임헌(林憲)에게 시를 배웠고, 그 다음에는 같은 고향 출신인 서사도(徐似道)에게 배우고, 나중에는 육유에게 배웠다.

소정 5년(1232년) 소무부 학 교수(邵武府學敎授)가 되었고[1], 현재의 쓰촨성을 제외하고 저장성, 푸젠성, 광시성, 후난성, 장시성, 장쑤성 각지를 순회하며 직업 시인으로 생계를 꾸렸다. 이종의 순우 원년(1241년) 고향으로 돌아왔을 때는 이미 70세를 넘었다[2]. 매우 장수하여 80세 이상까지 산 것은 확실하며, 만년에는 고향에서 여생을 보내다 사망한 것으로 보인다[3].

3. 가족

아버지 대민(戴敏)은 ?~1168년에 사망했으며, 자는 민재(敏才), 호는 동고자(東皋子)이다. 대민은 『소원(小園)』이라는 시를 지었다.[1]

4. 작품 세계

대복고는 강호파의 영향을 받아 만당의 시를 본받았으며, 정치 비판적인 사회시도 많이 창작했다. 강서파의 시풍을 혼합하여 두 유파를 중재하려는 시도도 보였다. 그의 시집 『석병시집』에는 방랑 생활을 노래한 시가 다수 수록되어 있으며, 『속집』 4권과 『석병시』도 전해진다. 대표작으로는 〈시박제거 관중등이 만공당에 올라 시를 읊다〉, 〈회촌 병후〉 등이 있다.

4. 1. 시풍(詩風)

대복고의 작품은 강호파의 흐름을 이어받아, 시풍은 영가사령[1]이 제창한 만당의 시를 본받았지만, 정치 비판을 포함한 사회시도 많이 짓고 있다.

후에 강서파의 풍격도 혼합되어, "스스로 조롱하다"라는 시에는,

스스로 조롱하다
원문구결
賈島形模原自瘦가도의 형상은 본디부터 여위었고
杜陵言語不妨村두보의 언어는 시골스러움을 꺼리지 않는다



라고 되어 있으며, 가도는 강호파의 "이묘"[3] 중 하나이고, 두보는 강서파의 소위 "일조삼종"[4] 중 하나이다. 이 시의 2구는, 두 유파의 중재를 하려는 그의 기획이 나타나 있다.

대복고의 시집은 『석병시집』이라고 하며, 조여당이 130수를 선택한 후에 시작되어, 현재 10권이다. 『석병시집』에는 방랑의 경지를 노래하는 시가 많다. 그 외에, 『속집』 4권, 『석병시』가 있다.

4. 2. 주요 작품

시박제거 관중등이 만공당에 올라 시를 읊다 (市舶提挙管仲登飲于万貢堂有詩) [1]
원문음독통석
칠십 노옹 두설백칠십의 노옹 머리(두)는 눈처럼 하얗고눈처럼 하얀 백발을 한 일흔 살 늙은이가
락재강호 매시책강호에 떨어져 시책을 판다넓은 세상에 내던져져 시를 팔아 생활하는 장사치 생활
평생지기 관이오평생의 지기 관이오오랜 친분을 가진 관이오 씨 덕분에
득위만공당전객만공당 앞의 객이 될 수 있었다이 만공당 문 앞에 몸을 의탁할 수 있게 되었다
조음유죄 조천액조롱하는 시는 죄가 있어 천액을 만나고가시 돋힌 시를 읊은 것이 잘못이었던지, 하늘의 벌을 받아
모귀미판자신책돌아갈 계획을 세우나 아직 몸을 의지할 방도가 없다고향으로 돌아갈 계획을 세우려 해도, 먼저 필요한 돈을 마련하기 어렵다
계림막유매시인계림에 시를 사는 사람이 없겠지혹시 내 시를 사줄 계림의 상인이 있을지도 모른다
명일번공문번박내일 공에게 번박에 물어보도록 번거롭게 하리라번거로우시겠지만, 내일 외국 무역선에 문의해 주시지 않겠습니까



회촌 병후 (淮村兵後) [2]
원문음독통석
소도 무주 자개화작은 복숭아는 주인이 없어도 스스로 꽃을 피우고작은 복숭아 나무는, 집 주인이 없어도, 혼자 꽃을 피우며, 갈 곳 없이 흩어진다
연초 망망 만아를 대연초는 망망하고 저녁 까마귀(반아)를 띠다연기 같은 초원에, 둥지로 돌아가는 까마귀의 그림자
기처패원위고정몇 군데의 부서진 담장이 옛 우물을 둘러싸고무너진 흙담 속의 옛 우물이 여러 군데 보인다
향래 일일 시인가향촌은 하나하나가 집이었다저것들은 하나하나가 모두 원래는 사람이 살던 집이었다고 생각한다


5. 평가

대복고에 대한 평가는 긍정과 부정으로 나뉜다. 방회, 요용, 진덕수, 조여간 등은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지만,[5][6][7] 조려상, 나대경, 양신 등은 부정적인 평가를 내렸다.[1][2][3]

5. 1. 긍정적 평가


  • 영종 경원 연간 이래로, 직업 시인은 고관에게 아첨하여 거액의 금품을 탐하는 자가 많았지만, 방회(方回)는 "높은 곳은 꽤나 청건하다"라고 평가했다.[5][6]
  • 요용(姚鏞)은 "그 웅대함이 고적과 흡사하다"라고 평가했다.[7]
  • 진덕수는 "맹호연에 못지 않다"라고 평가했다.
  • 조여간(趙與虤)의 『오서당시화』에서는, 신선한 맛이 있어서 매우 좋다고 칭찬하고 있다.

5. 2. 부정적 평가


  • 조려상(趙履常)은 "한마디로 말해 속되다"라고 평가했다.[1]
  • 나대경(羅大経)의 『학림옥로(鶴林玉露)』에서는, 새로운 맛을 내려고 했지만 오히려 겉돌고 있다고 평가했다.[2]
  • 양신(楊慎)은 "백 자도 외울 수 없다"고 깎아내렸다.[3]

참조

[1] 서적 中国文学史新講 聯經出版事業公司講 2014-06-00
[2] 서적 漢辞海 삼성당 2017-01-10
[3] 문서 二妙とは、唐の賈島と姚合の2人の詩人を指す。「永嘉の四霊」の1人である趙師秀がこの2人の詩を選んで『二妙集』を編纂したことによる。
[4] 문서 「一祖三宗」とは、江西派の流れを汲む元 (王朝)|元の方回(ほうかい)の唱えた説。黄庭堅が尊んだ唐の杜甫を「祖」とし、北宋の黄庭堅・陳師道・陳与義の3人を「三宗」として尊んだ。
[5] 서적 大漢和辞典 대수관서점 1980-08-01
[6] 문서 「清健」とは、清く、すこやかの意。
[7] 문서 「天然で人工を加えないところは、唐の高適によく似ており、晩唐の諸子は彼にやや顔負けす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