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정무장관(제1)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정무장관(제1)실은 1981년 4월 8일 정부조직법 개정에 따라 설치되어 1998년 2월 28일 폐지된 대한민국의 행정기관이다. 정무실장, 조정관, 총무과로 구성되었으며, 역대 정무제1장관, 보좌관, 차관이 임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정무장관 - 주돈식
주돈식은 한국일보와 조선일보 기자, 박정희 의장 비서관, 공보실장, 민주공화당 대변인, 유신정우회 국회의원, 김대중 정부의 정무수석, 문화관광부 장관, 국민회의 국회의원을 지낸 언론인이자 정치인이다. - 대한민국의 정무장관 - 대한민국 정무장관(제2)실
대한민국 정무장관(제2)실은 국무총리 직속으로 정무에 관한 사항을 관장하던 기관으로, 정무 기획 및 대통령 지시사항 처리 등의 업무를 수행하다 김대중 정부에서 폐지되고 여성특별위원회가 신설되었다. - 1998년 폐지 - 대한민국 내무부
대한민국 내무부는 1948년 설치되어 치안, 소방, 지방 행정, 재해 예방 등 국가 기본 질서 유지와 국민 생활에 필수적인 업무를 담당했으나 1998년 행정자치부 신설로 폐지되었다. - 1998년 폐지 - 여수시
여수시는 전라남도 남해안에 위치한, 고조선 시대부터 중요한 거점이었으며 조선시대 해군 기지로서 기능했고 1998년 통합을 거쳐 2012년 세계박람회 개최로 국제적인 도시가 되었으며 석유화학산업 중심의 경제와 아름다운 해안, 다양한 문화관광 자원을 가진 도시이다. - 1981년 설립 - 혜전대학교
혜전대학교는 1981년 혜전전문대학으로 설립되어 혜전대학을 거쳐 현재의 교명으로 변경되었으며, 간호, 자연과학 등 4개 계열의 19개 학과에서 전문학사 학위 과정을 운영하고 충청남도 홍성읍에 캠퍼스를 두고 있다. - 1981년 설립 - 대한민국 제5공화국
12·12 군사반란으로 권력을 잡은 전두환 신군부가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의 폭력적 진압과 국보위 설치를 통해 수립한 군사정권인 대한민국 제5공화국은 7년 단임 대통령제를 골자로 하는 제8차 헌법 개정을 통해 공식 출범했으나, 권위주의적 요소 유지와 인권 침해 문제, 정치적 억압 등으로 몰락하여 노태우 취임과 함께 종식되었다.
대한민국 정무장관(제1)실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정무장관(제1)실 |
현지어 이름 | 政務長官(第一)室 |
설립일 | 1981년 4월 8일 |
전신 | 제1무임소장관실 |
해산일 | 1998년 2월 28일 |
후신 | 행정자치부 |
2. 설치 근거 및 소관 업무
대한민국 정무장관(제1)실은 1981년 4월 8일 일부개정된 정부조직법(법률 제3422호) 제18조[1]와 1981년 4월 8일 제정된 정무장관실직제(대통령령 제10280호) 제1조[2] 및 제2조[3]에 설치 근거를 두고 있다.
1981년 4월 8일 제1무임소장관실을 폐지하고 정무장관(제1)실을 신설하였다.
wikitext
3. 연혁
1998년 2월 28일 정무장관(제1)실이 폐지되었다.
4. 조직
정무실장과 4명의 조정관, 그리고 총무과로 구성되어 있었다. 1981년 4월부터 1998년 2월까지 존속하였다.직책 존속 기간 정무실장 1981년 4월 ~ 1998년 2월 제1조정관 1981년 4월 ~ 1998년 2월 제2조정관 1981년 4월 ~ 1998년 2월 제3조정관 1981년 4월 ~ 1998년 2월 제4조정관 1981년 4월 ~ 1998년 2월 총무과 1981년 4월 ~ 1998년 2월
5. 역대 장관 및 차관
5. 1. 역대 정무제1장관
(현 경상북도 구미시)경북대 대통령비서실 정무제1수석비서관&대통령비서실장&제10·11·13·14·15대 국회의원&민주정의당 원내총무&신한국당 대표위원 8대 이종찬(李鍾贊) 1988년 5월 3일 ~ 1988년 12월 5일 중국 상하이 육사 국가정보원장&제11·12·13·14대 국회의원&민주정의당 원내총무&국회 운영위원회 위원장 9대 정종택(鄭宗澤) 1988년 12월 5일 ~ 1989년 7월 19일 충북 청원 서울대 충청북도지사&환경부 장관&농수산부 장관&제11·12·13대 국회의원 10대 박철언(朴哲彦) 1989년 7월 19일 ~ 1990년 4월 18일 경북 성주 서울대 체육청소년부 장관&제13·14·15대 국회의원&대구경북발전포럼 이사장&한국복지통일연구소 이사장 11대 김윤환(金潤煥) 1990년 4월 18일 ~ 1990년 10월 13일 경상북도 선산
(현 경상북도 구미시)경북대 대통령비서실 정무제1수석비서관&대통령비서실장&제10·11·13·14·15대 국회의원&민주정의당 원내총무&신한국당 대표위원 12대 김동영(金東英) 1990년 10월 13일 ~ 1991년 7월 18일 경남 거창 동국대 제9·10·12·13대 국회의원&민주자유당 원내총무 13대 최형우(崔炯佑) 1991년 7월 18일 ~ 1992년 5월 24일 경상남도 울주
(현 울산광역시 울주군)동국대 내무부 장관&제8·9·10·13·14·15대 국회의원&통일민주당 원내총무 14대 김용채(金鎔采) 1992년 5월 24일 ~ 1992년 7월 22일 경기 포천 조선대 건설교통부 장관&제7·9·12·13대 국회의원&신민주공화당 사무총장&한국토지공사 사장 15대 김종호(金宗鎬) 1992년 7월 22일 ~ 1992년 10월 9일 충북 괴산 서울대 충청북도지사&내무부 차관&내무부 장관&제11·12·13·14·15·16대 국회의원&민주자유당 원내총무&민주자유당 정책위원회 의장&국회부의장 16대 김동익(金東益) 1992년 10월 9일 ~ 1993년 2월 25일 서울 서울대 중앙일보 편집국장 문민 정부 17대 김덕룡(金德龍) 1993년 2월 26일 ~ 1993년 12월 21일 전북 익산 경복고교 제13·14·15·16·17대 국회의원&민주자유당 사무총장&한나라당 원내대표&21세기국가경영연구회장 18대 서청원(徐淸源) 1993년 12월 21일 ~ 1994년 12월 23일 충남 천안 중앙대 제11·13·14·15·16·18·19·20대 국회의원&신한국당 원내총무&한나라당 대표최고위원&국회 운영위원회 위원장&새누리당 최고위원 19대 김윤환(金潤煥) 1994년 12월 23일 ~ 1995년 7월 4일 경상북도 선산
(현 경상북도 구미시)경북대 대통령비서실 정무제1수석비서관&대통령비서실장&제10·11·13·14·15대 국회의원&민주정의당 원내총무&신한국당 대표위원 20대 김영구(金榮龜) 1995년 7월 4일 ~ 1995년 12월 20일 경남 함양 동국대 제11·12·13·14·15대 국회의원&국회 운영위원회 위원장 21대 주돈식(朱燉植) 1995년 12월 20일 ~ 1996년 5월 9일 충남 천안 서울대 대통령비서실 공보수석비서관&문화체육부 장관 22대 김덕룡(金德龍) 1996년 5월 9일 ~ 1996년 12월 20일 전북 익산 경복고교 제13·14·15·16·17대 국회의원&민주자유당 사무총장&한나라당 원내대표&21세기국가경영연구회장 23대 신경식(辛卿植) 1996년 12월 20일 ~ 1997년 8월 5일 충북 청원 고려대 제13·14·15·16대 국회의원&국회의장비서실장 24대 홍사덕(洪思德) 1997년 8월 5일 ~ 1998년 3월 1일 경북 영주 서울대 제11·12·14·15·16·18대 국회의원&한나라당 원내대표&국회부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