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대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선대학교는 일제강점기 민립대학설립운동 정신을 계승하여 1946년 5월 설립동지회 결성을 통해 태동했다. 같은 해 9월 개교하여 조선대학으로 교명을 개칭했으며, 1953년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었다. 1960년대 이후 군부 독재 시기를 거치며 학생들의 민주화 운동이 있었고, 1987년에는 박철웅 총장 퇴진을 위한 1·8 항쟁이 일어났다. 1988년 이돈명 총장 취임 이후 민립·민주대학으로 거듭나기 위한 변화를 시도했다. 현재 광주광역시 동구와 북구에 캠퍼스를 두고 있으며, 16개 단과대학, 대학원, 국제 교류, 장학 제도 등을 운영하고 있다. 시립대학 전환 논란, 로스쿨 유치 실패, 정이사 선임 관련 논란 등 여러 사건과 사고가 있었으며, 배우, 가수, 스포츠 선수 등 다양한 분야의 저명한 동문을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주 동구의 학교 - 전남대학교
전남대학교는 1952년 광주에 설립되어 광주농업학교 등을 통합하고 2006년 여수대학교와 통합한 거점국립대학교로서,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의 시발점이며 현재 5·18 연구소를 운영하고 광주, 여수, 화순에 캠퍼스를 두고 다양한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며 국제 교류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 5.18 사적지 - 광주역
광주역은 1922년 개업하여 경전선과 호남선의 중요 정차역이었으나, KTX 운행이 광주송정역으로 이관된 후 현재는 일반 열차만 운행하며, 도시철도 연계 부족과 셔틀열차 폐지로 환승이 불편하다. - 5.18 사적지 - 광주교도소
광주교도소는 1908년 광주감옥으로 개설되어 일제강점기 광주형무소를 거쳐 1961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고 두 차례 이전 후 구 교도소 부지가 5·18 사적지로 지정, 유해가 발굴되는 등 역사적 의미를 지닌다. - 조선대학교 - 이돈명
일제강점기부터 대한민국에서 변호사, 인권 운동가, 사회 운동가로 활동한 이돈명은 민청학련 사건을 계기로 인권변호사의 길을 걸으며 주요 시국사건 변론을 맡아 '인권변호사의 대부'로 불렸고, 권위주의 정권에 맞선 변론을 통해 민주화 운동에 기여했다. - 조선대학교 - 서민호
서민호는 일제강점기 와세다 대학교와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해방 후 초대 광주시장,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며 한일기본조약 반대, 김일성 면담 용의 발언 등으로 구속된 정치인이다.
조선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조선대학교 |
한국어 표기 | 조선대학교 |
한자 표기 | 朝鮮大學校 |
로마자 표기 | Joseon Daehakgyo |
약칭 | 조대 |
영어 표기 | Chosun University |
표어 | 개성교육·창의교육·영재교육 |
표어 (영어) | Character Education, Practical Education, Specific Education for Talented Students |
상징 동물 | 백학 |
교색 | 청색 |
위치 | 광주광역시 동구 |
학교 정보 | |
종류 | 사립, 종합대학 |
설립일 | 1946년 9월 9일 |
개교일 | 1946년 9월 29일 |
총장 | 김춘성 |
학교 법인 | 조선대학교 |
캠퍼스 | 백악 (광주광역시 동구), 첨단산학 (광주광역시 북구) |
교지 면적 | 1,048,165m² (2019년) |
교사 면적 | 508,469m² (2019년) |
통계 | |
학부생 | 19,469명 (2020년) |
대학원생 | 1,554명 (2020년) |
교수진 | 1,910명 (2020년) |
직원 | 393명 (2020년) |
조직 | |
개설 학과 · 전공 | 13대학, 10대학원 |
대학 | 인문과학대학 자연과학대학 법과대학 사회과학대학 경상대학 공과대학 전자정보공과대학 사범대학 외국어대학 체육대학 의과대학 치과대학 약학대학 미술대학 기초교육대학 보건과학대학 |
웹사이트 | |
공식 웹사이트 | 조선대학교 홈페이지 |
2. 연혁
조선대학교는 일제강점기 호남 지역에서 좌절되었던 민립대학설립운동의 정신을 계승하여, 1946년 5월에 조선대학 설립동지회가 결성되면서 태동하였다.[15][16] 설립동지회는 호남 지역을 중심으로 7만 2천여 명의 회원을 확보하였는데, 이는 1988년 《한겨레신문》 창간 당시 주주 6만 1천여 명과 비교해 볼 때 큰 의미를 가진다.[20] 당시 전라남도지사였던 서민호는 박철웅에게 설립동지회장직을 맡기고, 도청 차량 사용과 도지사 명의의 협조 공문을 보내는 등 대학 설립을 적극 지원하였다.[8]
1946년 8월 5일, 광주서중학교에서 "개성교육·생산교육·영재교육"을 건학 이념으로, "민족국가 수립에 기여할 지역사회의 인재를 양성"을 설립 이념으로 하여 발족식을 거행했다.[19] 같은 해 9월 9일, 광주야간대학원(4학부, 12학과, 1,194명)이 설립 인가되었고,[7] 9월 29일 개교하였다.[8] 11월 23일에는 '조선대학'으로 교명을 개칭하였는데, 이는 서민호 전라남도지사의 뜻을 좇아 민족 공동체를 상징하고 진취성을 띤 기상을 함의한 것이었다.[8]
설립동지회는 입회 권유문에서 민족국가와 민족문화 건설에 획일성을 배격하고 개성을 갖춘 민주주의 시민 양성, 학문과 사회 현실을 연계하는 생산 교육, 자질 있는 학생에게 교육 기회 확대를 강조하였다.[17] 1948년 5월 26일, 재단법인 조선대학이 미군정청으로부터 설립 인가를 받았다.[7][9][10][11] 1953년 3월 10일, 조선대학은 조선대학교(종합대학)로 승격되었으며,[12] 문리과·법정·공과대학 3개 대학과 대학원을 설치하였다.[21]
2. 1. 태동기 (1946년 ~ 1953년)
조선대학교는 일제강점기 호남 지역에서 좌절되었던 민립대학설립운동의 정신을 계승하여, 1946년 5월에 조선대학 설립동지회가 결성되면서 태동하였다.[15][16] 설립동지회는 호남 지역을 중심으로 7만 2천여 명의 회원을 확보하였는데, 이는 1988년 《한겨레신문》 창간 당시 주주 6만 1천여 명과 비교해 볼 때 큰 의미를 가진다.[20] 당시 전라남도지사였던 서민호는 박철웅에게 설립동지회장직을 맡기고, 도청 차량 사용과 도지사 명의의 협조 공문을 보내는 등 대학 설립을 적극 지원하였다.[8]
1946년 8월 5일, 광주서중학교에서 "개성교육·생산교육·영재교육"을 건학 이념으로, "민족국가 수립에 기여할 지역사회의 인재를 양성"을 설립 이념으로 하여 발족식을 거행했다.[19] 같은 해 9월 9일, 광주야간대학원(4학부, 12학과, 1,194명)이 설립 인가되었고,[7] 9월 29일 개교하였다.[8] 11월 23일에는 '조선대학'으로 교명을 개칭하였는데, 이는 서민호 전라남도지사의 뜻을 좇아 민족 공동체를 상징하고 진취성을 띤 기상을 함의한 것이었다.[8]
설립동지회는 입회 권유문에서 민족국가와 민족문화 건설에 획일성을 배격하고 개성을 갖춘 민주주의 시민 양성, 학문과 사회 현실을 연계하는 생산 교육, 자질 있는 학생에게 교육 기회 확대를 강조하였다.[17] 1948년 5월 26일, 재단법인 조선대학이 미군정청으로부터 설립 인가를 받았다.[7][9][10][11] 1953년 3월 10일, 조선대학은 조선대학교(종합대학)로 승격되었으며,[12] 문리과·법정·공과대학 3개 대학과 대학원을 설치하였다.[21]
2. 2. 군부 독재 시기 (1960년대 ~ 1980년대)
1960년대 4·19 혁명과 5·16 군사정변으로 이어지는 정치상 혼란기 속에 조선대학교 학생들은 군부 독재 시기에 접어들어 거듭 부침하였다.[8] 1965년 한일회담을 반대하는 시위에 적극적으로 활동하였다.[22][23] 1965년과 1966년 각각 사범대학과 의과대학을 설립하였고 1971년 부속병원을 개원하였으며, 체육대학을 설립하였다. 1973년 치과대학, 1978년 경상대학을 설립하였고 치과대학 부속치과병원을 개원하였다. 1979년 외국어대학을 설립하였고 1980년 미술대학을 설립하였다.[21]1980년 5·18 광주 민주화 운동 시기 조선대학교 학생들은 5월 18일 이전부터 민주화 운동에 앞장섰다. 조선대민주투쟁위원회를 조직하여 전남대학교 총학생회와 공동 명의로 제1 시국 선언을 발표하였고 항쟁기간에 시민군 지도부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5월 17일 전두환, 노태우를 비롯한 신군부 인사가 정권을 장악하려고 주도한 5·17 쿠데타를 이용하여 불법성을 띤 비상계엄을 확대하는 조치에 따라 자정을 기해 무기한 휴교령이 발동하였다. 새벽 2시 제7공수특전여단은 전주 전북대학교 점령후 전주를 지나 곧바로 광주로 들어와 조선대학교와 전남대학교를 점령하고 학내에는 즉시 계엄군이 진주하였으며 공수부대원들은 각기 조를 편성해 광주 시내 각 학교의 입구를 지키고 검문·검속하였다.[24] 항쟁 기간 계엄군들은 조선대학교 내에 진주하면서 야영하였는데 당시 시내 곳곳에서 연행되어 온 수많은 시민과 학생이 교내 체육관, 대운동장의 야전 막사에 수용되어 계엄군에게 잔인하고 혹독하게 폭행당했다. 1997년 광주광역시 예산으로 교내 정문 입구 화단에 5.18 광주 민주화 운동 사적지 표지석(사적번호12)이 설치되었다.[25][26][27]
2. 3. 학원 민주화 운동 시기 (1987년 ~ 1988년)
호남 지역 민중에 의거해 설립된 민립 대학인 조선대학교를 사유화(私有化)하고자 대학 설립 당시 '설립동지회 회장'이었던 자신의 지위를 이용하여 1982년 불법으로 정관을 변경하고·부정입학·교수 해임·교수 및 학생들에 대한 폭언과 폭행·공금 횡령·1986년 교수들의 시국선언을 막기 위해 매일 아침 7시에 전체 교수 및 교직원을 운동장으로 집합시켜 출석을 부르고, 노교수·여교수 할 것 없이 운동장을 두 바퀴씩 구보하게 한 다음 총장에게 충성서약을 하게 하는 등[20] 온갖 전횡을 일삼던[103] 박철웅 총장과 그 일가에 항거하여[28] 제5공화국 막바지인 1987년 반(反) 군부 독재 투쟁과 맞물려 학생, 교수, 동문들이 중심이 되어 학부모까지 가세하여 '박철웅 총장 퇴진 및 민립대학 환원'투쟁인 1·8 항쟁이 일어났다. 1·8 항쟁은 113일간의 장기농성[29] 끝에 1988년 1월 8일 새벽 4시 학내에 공권력 투입으로 막을 내린 학원 민주화 투쟁으로[30][31][32][33] 항쟁 기간동안 투입된 경찰력이 1,500여명에 이르며 강제진압과정에서 2명이 중화상을, 1명이 투신하였고 45명이 구속되었다.[34][35]
1·8 항쟁 이후 1988년 9월 이돈명 제8대 총장이 선출되었는데,[36] 취임과 동시에 이돈명 총장은 설립 정신을 받들어 구 경영진에 의해 수십 년 간 파행적으로 운영되어 온 각종 제도를 민주적이고 합리적으로 바로잡으려고 노력하면서 명실상부한 민립·민주대학으로 거듭나기 위한 변화작업에 착수하였고, 1989년 3월 전국 대학 최초로 예·결산과 집행내역을 공개함으로써 대학 구성원들에게 학교의 운영 실태를 알리고 주인의식을 이해하게 하는 학사행정의 원칙을 확립하였다.[37]
2. 4. 2000년대 이후
2000년 생물신소재연구센터, 가상교육센터, 고전연구원, 계측제어공학교육센터 등을 설립하였고 2001년 디자인대학원을 설립하였다.[21] 2003년 교육인적자원부 지방대학육성사업, 과학기술부 기초의과학센터(MRC)[38]·WISE호남지역센터에 선정되었다. 2004년 한문학과, 경찰행정학과, 태권도학과를 신설하였으며, 조선대학교 산학협력단을 설치하였다.[21] 같은 해 군사학부를 신설하고,[39] 육군 31보병사단과 학군협정 조인식을 가졌다.[21] 2007년 12월 중앙도서관 분관 법학전문도서관을 개관하였고,[41] 완도 해양생물연구센터를 개소하였다.[42]2008년 '장기발전계획2015'를 확정하였는데, 이는 통일한국의 주역이자 동북아시아중심 대학이라는 비전을 가지고 질적인 도약단계로 진입하기 위한 조선대학교의 대학발전계획으로서 우수교원확보, 효과적 교육/연구환경조성, 수요자중심의 맞춤형 교육으로 창의적 인재 양성, 성과중심의 연구지원 시스템 구축, 투명하고 효율적인 행정 추구, 재정기반 확충과 복지향상, 특성화를 통한 국가와 지역의 미래 선도, 창의적인 문화캠퍼스 조성을 내용으로 하는 7개경영방침을 기본으로 하고있다.[43]
2009년 3월 의학전문대학원과 치의학전문대학원을 개설하였고,[44] 글로벌법학과, 기초의과학부, 자유전공학부를 신설하였다. 4월 대학 교육 역량강화사업 지원 대학과 지역연고산업육성사업에 각각 선정되었고, 7월 광역경제권 선도산업 인재양성사업에 선정되었다.[21] 1·8 항쟁 이후 교육과학기술부 산하 사학분쟁조정위원회에서 파견하는 임시이사 체제로 이어져 오던 학교법인은[45] 2010년 22년만에 정이사(正理事) 체제로 전환되었고,[13] 교육과학기술부 지정 융합형원천기술개발사업, 공공복지안전연구사업, 대학 교육역량강화사업 지원 대학에 각각 선정되었다.[21] 2011년 기초교육원을 확대·개편하여 기초교육대학을 신설하였고,[46]
개교65주년을 맞이하였다.[47] 2012년 호남지역 최초로 임상약학대학원을 신설하였다.[48] 2018년 교육부 대학기본역량진단평가 결과 역량강화대학 선정 및 조건부 일반재정지원[49]을 받았다.
3. 캠퍼스 및 주요 시설
광주광역시 동구에 본캠퍼스인 백악캠퍼스가 있고, 북구에 첨단산학캠퍼스가 있다.
== 백악캠퍼스 ==
광주광역시 동구 필문대로 365에 위치한 조선대학교 백악캠퍼스는 약 1,068,743m2 규모이다.[50] 캠퍼스 뒤로는 무등산을 끼고 있으며, 흰색의 본관 건물에서 유래하여 '백악(白堊)' 또는 '백학(白鶴)캠퍼스'라고 불린다.[50]
총 길이 375m로 세계에서 가장 긴 대학 건물 중 하나인 조선대학교 본관은 광주광역시의 상징이다.[50] 1947년 착공되어 한국 전쟁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나, 광주, 전남,북 호남지역 시,도민들과 전 교직원과 학부모가 온갖 어려움을 무릅쓰고 공사를 추진하여 1954년 완공되었다.[50] 건립 당시 중앙 5개의 박공지붕 건물이었으나, 여러 차례 증축을 거쳐 현재 19개의 박공지붕 건물이 되었다.[50] 1995년 본관 건물은 기둥에 균열이 발견되는 등 노후건물로 판정되어 한동안 폐쇄되기도 하였다.[51] 2003년 한국대학신문의 아름다운 캠퍼스 BEST10에 선정되었고,[50] 2004년 본관 중앙 5개 박공부분이 등록문화재 94호로 지정되었으며,[50][52] 2009년 야간 경관 조명 공사로 광주광역시를 상징하는 랜드마크로 새롭게 태어났다.[53]
서석홀, 입석홀, 학생회관, 의성관, 국제관, 해오름관, 항공우주·선박해양공학관 등의 건물이 있다.[54] 중앙도서관 앞 운동장 전면에는 인조잔디 축구장 2면, 하키장 1면, 테니스코트 4면등이 있어 2007년 전국체육대회 등 대규모 체육행사의 보조경기장으로 활용되었고,[54] 2010년에는 노천극장인 1·8 극장이 새롭게 단장되었다.[55] 주변에 광주 도시철도 1호선 남광주역이 있다.[56]
1950년 본관 2층 서고에서 시작한 중앙도서관은 2003년 여러 분관을 통합하여 개관하였다. 5,508평 규모에 호남지역 최초로 장서수 100만권을 돌파하였으며, 일반열람실, 멀티미디어정보센터, 인문·사회과학자료실, 예술·역사자료실, 문학자료실, 연속간행물실, 의학학술정보센터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법학전문도서관은 2007년 12월 개관하여 법학전문도서와 문화법 관련도서 및 저널 등을 구비하고 법조인들에게 정보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
생활관은 백학학사, 그린빌리지, 글로벌하우스 3개가 있다. 백학학사는 2002년 개관하였고, 그린빌리지는 2006년 국내최초로 신재생에너지 시범마을로 조성되었으며, 글로벌하우스는 2011년 완공되었다.
1996년 어학교육원으로 시작하여 2008년 언어교육원으로 명칭을 변경, 학부 영어 강의 운영, 산업체 및 시민을 위한 외국어 강좌, 외국인 학생을 위한 한국어 강좌, 베트남 분원 세종 한국어 학당 등을 운영하고 있다. 1995년 조선대학교 부설 사회교육원으로 개원하여 2004년에 평생교육원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1992년 개관한 박물관은 1999년 본관 1층으로 이전하였고, 총면적 706m2에 2만 7,774점의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 미술관은 1989년 개관하였고, 1992년 정식 승인을 받았다.
== 첨단산학캠퍼스 ==
조선대학교 첨단산학캠퍼스는 광주광역시 북구 첨단과기로208번길 50에 위치해 있으며, 학생 현장교육 지원·산학 협력연구·산업체 장비공동 활용사업 등을 목적으로 2005년 1만m² 규모의 대지에 설치 되었다.[73] 기술집약형 벤처기업 및 신기술 사업을 창출하고 벤처기업 응용 및 상품기술 개발에 대한 연구인력을 지원하고 있는 창업보육센터와[74] 호남지역 부품산업 기술기반 조성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및 국제산업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산학연관 공동기술 개발 기반 및 기술협력체계를 구축하고 부품산업 관련 첨단고가장비 구입 등의 사업을 하고 있는 부품기술혁신센터가 있다.[75] 그 외에 치과용정밀장비 및 부품기술혁신센터, 첨단부품소재 전문인력사업단, 선박해양공학과가 있다.[76]
3. 1. 백악캠퍼스
광주광역시 동구 필문대로 365에 위치한 조선대학교 백악캠퍼스는 약 1,068,743m2 규모이다.[50] 캠퍼스 뒤로는 무등산을 끼고 있으며, 흰색의 본관 건물에서 유래하여 '백악(白堊)' 또는 '백학(白鶴)캠퍼스'라고 불린다.[50]총 길이 375m로 세계에서 가장 긴 대학 건물 중 하나인 조선대학교 본관은 광주광역시의 상징이다.[50] 1947년 착공되어 한국 전쟁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나, 광주, 전남,북 호남지역 시,도민들과 전 교직원과 학부모가 온갖 어려움을 무릅쓰고 공사를 추진하여 1954년 완공되었다.[50] 건립 당시 중앙 5개의 박공지붕 건물이었으나, 여러 차례 증축을 거쳐 현재 19개의 박공지붕 건물이 되었다.[50] 1995년 본관 건물은 기둥에 균열이 발견되는 등 노후건물로 판정되어 한동안 폐쇄되기도 하였다.[51] 2003년 한국대학신문의 아름다운 캠퍼스 BEST10에 선정되었고,[50] 2004년 본관 중앙 5개 박공부분이 등록문화재 94호로 지정되었으며,[50][52] 2009년 야간 경관 조명 공사로 광주광역시를 상징하는 랜드마크로 새롭게 태어났다.[53]
서석홀, 입석홀, 학생회관, 의성관, 국제관, 해오름관, 항공우주·선박해양공학관 등의 건물이 있다.[54] 중앙도서관 앞 운동장 전면에는 인조잔디 축구장 2면, 하키장 1면, 테니스코트 4면등이 있어 2007년 전국체육대회 등 대규모 체육행사의 보조경기장으로 활용되었고,[54] 2010년에는 노천극장인 1·8 극장이 새롭게 단장되었다.[55] 주변에 광주 도시철도 1호선 남광주역이 있다.[56]
1950년 본관 2층 서고에서 시작한 중앙도서관은 2003년 여러 분관을 통합하여 개관하였다. 5,508평 규모에 호남지역 최초로 장서수 100만권을 돌파하였으며, 일반열람실, 멀티미디어정보센터, 인문·사회과학자료실, 예술·역사자료실, 문학자료실, 연속간행물실, 의학학술정보센터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법학전문도서관은 2007년 12월 개관하여 법학전문도서와 문화법 관련도서 및 저널 등을 구비하고 법조인들에게 정보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
생활관은 백학학사, 그린빌리지, 글로벌하우스 3개가 있다. 백학학사는 2002년 개관하였고, 그린빌리지는 2006년 국내최초로 신재생에너지 시범마을로 조성되었으며, 글로벌하우스는 2011년 완공되었다.
1996년 어학교육원으로 시작하여 2008년 언어교육원으로 명칭을 변경, 학부 영어 강의 운영, 산업체 및 시민을 위한 외국어 강좌, 외국인 학생을 위한 한국어 강좌, 베트남 분원 세종 한국어 학당 등을 운영하고 있다. 1995년 조선대학교 부설 사회교육원으로 개원하여 2004년에 평생교육원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1992년 개관한 박물관은 1999년 본관 1층으로 이전하였고, 총면적 706m2에 2만 7,774점의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 미술관은 1989년 개관하였고, 1992년 정식 승인을 받았다.
3. 2. 첨단산학캠퍼스
조선대학교 첨단산학캠퍼스는 광주광역시 북구 첨단과기로208번길 50에 위치해 있으며, 학생 현장교육 지원·산학 협력연구·산업체 장비공동 활용사업 등을 목적으로 2005년 1만m² 규모의 대지에 설치 되었다.[73] 기술집약형 벤처기업 및 신기술 사업을 창출하고 벤처기업 응용 및 상품기술 개발에 대한 연구인력을 지원하고 있는 창업보육센터와[74] 호남지역 부품산업 기술기반 조성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및 국제산업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산학연관 공동기술 개발 기반 및 기술협력체계를 구축하고 부품산업 관련 첨단고가장비 구입 등의 사업을 하고 있는 부품기술혁신센터가 있다.[75] 그 외에 치과용정밀장비 및 부품기술혁신센터, 첨단부품소재 전문인력사업단, 선박해양공학과가 있다.[76]4. 교육
== 교육 목표 ==
조선대학교는 개성교육, 생산교육, 영재교육의 건학 이념을 바탕으로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77] 개성을 중시하는 '창조적 인재 양성', 정보화 시대를 선도하는 '기술 인재 양성', '봉사 정신'이 투철한 사회 지도자 양성, '국제적 식견'을 겸비한 전문 인재 양성을 교육 목표로 한다.[77]
조선대학교의 건학 이념은 다음과 같다.
- 개성 교육: 창조적 정신으로 인류 사회에 공헌할 수 있는 개성 있는 인재를 육성한다.
- 생산 교육: 교육의 장과 사회를 연결하는 생산 교육을 통해 국가 발전에 기여하는 헌신하는 전문가를 양성한다.
- 영재 교육: 폭넓은 학업 지원을 통해 우수한 자질을 갖춘 영재를 육성한다.
== 학부 ==
조선대학교는 16개의 단과대학을 통해 학부 과정을 제공한다. 교양대학, 인문대학, 자연과학대학, 법과대학, 사회과학대학, 경영대학, 공과대학, 전자 및 정보공학대학, 사범대학, 외국어대학, 체육대학, 예술대학, 의과대학, 치과대학, 약학대학, 생명약학대학이 있다. 대학원 과정은 대학원 각 학과를 통해 제공된다.
- 인문과학대학: 국어국문학과, 문예창작학과, 역사문화학과, 영어영문학과, 철학과, 한문학과가 있다.
- 자연과학대학: 물리학과, 생명과학과, 수학과, 식품영양학과, 화학과, 의생명과학과, 컴퓨터통계학과가 있다.
- 법과대학: 글로벌법학과, 법학과, 경찰행정학과가 있다.
- 사회과학대학: 군사학과, 신문방송학과, 정치외교학부, 행정복지학부가 있다.
- 경상대학: 경영학부, 경제학과, 무역학과가 있다.
- 공과대학: 건축학부, 광기술공학과, 금속재료공학과, 기계공학과, 기계설계공학과, 메카트로닉스공학과, 산업공학과, 생명과학고분자공학과, 생명화학공학과, 선박해양공학과, 신소재공학과, 에너지자원공학과, 용접접합과학공학과, 원자력공학과, 응용화학소재공학과, 재료공학과, 전기공학과, 토목공학과, 항공우주공학과, 환경공학과가 있다.
- 전자정보공과대학: 전자공학과, 정보통신공학과, 제어계측로봇공학과, 컴퓨터공학부가 있다.
- 사범대학: 가정교육과, 교육학과, 국어교육과, 독일어교육과, 물리교육학과, 생물교육과, 수학교육과, 영어교육과, 음악교육과, 지구과학교육과, 특수교육과, 화학교육과가 있다.
- 외국어대학: 독일어문화학과, 러시아어과, 스페인어과, 아랍어과, 영어과, 일어일문학과, 중국어문화학과, 프랑스어과가 있다.
- 체육대학: 무용학과, 스포츠산업학과, 체육학과, 태권도학과가 있다.
- 의과대학: 간호학과, 의예과, 의학과가 있다.
- 치과대학: 치의학과가 있다.
- 약학대학: 약학과가 있다.
- 미술대학: 디자인공학과, 디자인학부, 만화·애니메이션학과, 미술학과, 시각디자인학과, 회화학과가 있다.
- 기초교육대학: 교양학부, 자율전공학부가 있다.
- 보건과학대학: 기초의과학부, 상담심리학과, 언어치료학과, 작업치료학과가 있다.
== 대학원 ==
조선대학교는 일반대학원과 특수대학원, 전문대학원을 운영하고 있다. 특수대학원에는 교육대학원, 산업대학원, 보건대학원, 경영대학원, 정책대학원, 디자인대학원이 있다. 전문대학원에는 의학전문대학원과 치의학전문대학원이 있다. 대학원 과정은 학부 과정의 대부분 분야를 포함하며, 대학원 각 학과를 통해 제공된다.
== 국제 교류 ==
조선대학교는 2012년 11월 기준으로 21개국 89개 대학교, 8개 단과대학, 29개 학과·기관·연구소 등과 교류 협정을 체결하고 있다.[2]
- 아시아: 베트남 7개, 사우디아라비아 1개, 인도 3개, 인도네시아 5개, 일본 14개, 중국 43개, 중화민국 4개, 캄보디아 1개, 태국 2개, 필리핀 4개
- 유럽: 독일 2개, 러시아 9개, 스페인 1개, 영국 1개
- 아프리카: 이집트 3개
- 오세아니아: 뉴질랜드 3개, 호주 3개
- 북아메리카: 미국 18개, 캐나다 1개
- 남아메리카: 칠레 1개, 콜롬비아 1개
조선대학교와 자매 결연을 맺은 국가는 호주, 중국, 콜롬비아, 이집트, 독일,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멕시코, 네팔, 네덜란드, 뉴질랜드, 러시아, 대만, 태국, 미국, 케냐, 베트남 등이 있다.[2] 일본의 교토 대학, 오사카 대학, 규슈 대학, 도호쿠 대학, 구마모토 대학, 시즈오카 대학, 와세다 대학 등과 교류하고 있다.
== 장학 제도 ==
신입생과 재학생들을 위하여 성적우수, 국가유공자, 복지, 공로 등 다양한 종류의 장학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대표적인 장학금으로 신입생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으로 선발하는 'CU Leader 장학금'과 교육과학기술부 국책사업 선정결과에 따라 선발하는 'Pride CU 장학금', 학과(부) 장학사정 기준에 따라 선발하는 '백악성적장학금'이 있다.[78] 2011년 2학기에는 학생들의 학비 경감을 위하여 장학금을 22억원 증액하였다.[79]
4. 1. 교육 목표
조선대학교는 개성교육, 생산교육, 영재교육의 건학 이념을 바탕으로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77] 개성을 중시하는 '창조적 인재 양성', 정보화 시대를 선도하는 '기술 인재 양성', '봉사 정신'이 투철한 사회 지도자 양성, '국제적 식견'을 겸비한 전문 인재 양성을 교육 목표로 한다.[77]조선대학교의 건학 이념은 다음과 같다.
- 개성 교육: 창조적 정신으로 인류 사회에 공헌할 수 있는 개성 있는 인재를 육성한다.
- 생산 교육: 교육의 장과 사회를 연결하는 생산 교육을 통해 국가 발전에 기여하는 헌신하는 전문가를 양성한다.
- 영재 교육: 폭넓은 학업 지원을 통해 우수한 자질을 갖춘 영재를 육성한다.
4. 2. 학부
조선대학교는 16개의 단과대학을 통해 학부 과정을 제공한다. 교양대학, 인문대학, 자연과학대학, 법과대학, 사회과학대학, 경영대학, 공과대학, 전자 및 정보공학대학, 사범대학, 외국어대학, 체육대학, 예술대학, 의과대학, 치과대학, 약학대학, 생명약학대학이 있다. 대학원 과정은 대학원 각 학과를 통해 제공된다.- 인문과학대학: 국어국문학과, 문예창작학과, 역사문화학과, 영어영문학과, 철학과, 한문학과가 있다.
- 자연과학대학: 물리학과, 생명과학과, 수학과, 식품영양학과, 화학과, 의생명과학과, 컴퓨터통계학과가 있다.
- 법과대학: 글로벌법학과, 법학과, 경찰행정학과가 있다.
- 사회과학대학: 군사학과, 신문방송학과, 정치외교학부, 행정복지학부가 있다.
- 경상대학: 경영학부, 경제학과, 무역학과가 있다.
- 공과대학: 건축학부, 광기술공학과, 금속재료공학과, 기계공학과, 기계설계공학과, 메카트로닉스공학과, 산업공학과, 생명과학고분자공학과, 생명화학공학과, 선박해양공학과, 신소재공학과, 에너지자원공학과, 용접접합과학공학과, 원자력공학과, 응용화학소재공학과, 재료공학과, 전기공학과, 토목공학과, 항공우주공학과, 환경공학과가 있다.
- 전자정보공과대학: 전자공학과, 정보통신공학과, 제어계측로봇공학과, 컴퓨터공학부가 있다.
- 사범대학: 가정교육과, 교육학과, 국어교육과, 독일어교육과, 물리교육학과, 생물교육과, 수학교육과, 영어교육과, 음악교육과, 지구과학교육과, 특수교육과, 화학교육과가 있다.
- 외국어대학: 독일어문화학과, 러시아어과, 스페인어과, 아랍어과, 영어과, 일어일문학과, 중국어문화학과, 프랑스어과가 있다.
- 체육대학: 무용학과, 스포츠산업학과, 체육학과, 태권도학과가 있다.
- 의과대학: 간호학과, 의예과, 의학과가 있다.
- 치과대학: 치의학과가 있다.
- 약학대학: 약학과가 있다.
- 미술대학: 디자인공학과, 디자인학부, 만화·애니메이션학과, 미술학과, 시각디자인학과, 회화학과가 있다.
- 기초교육대학: 교양학부, 자율전공학부가 있다.
- 보건과학대학: 기초의과학부, 상담심리학과, 언어치료학과, 작업치료학과가 있다.
4. 3. 대학원
조선대학교는 일반대학원과 특수대학원, 전문대학원을 운영하고 있다. 특수대학원에는 교육대학원, 산업대학원, 보건대학원, 경영대학원, 정책대학원, 디자인대학원이 있다. 전문대학원에는 의학전문대학원과 치의학전문대학원이 있다. 대학원 과정은 학부 과정의 대부분 분야를 포함하며, 대학원 각 학과를 통해 제공된다.4. 4. 국제 교류
조선대학교는 2012년 11월 기준으로 21개국 89개 대학교, 8개 단과대학, 29개 학과·기관·연구소 등과 교류 협정을 체결하고 있다.[2]- 아시아: 베트남 7개, 사우디아라비아 1개, 인도 3개, 인도네시아 5개, 일본 14개, 중국 43개, 중화민국 4개, 캄보디아 1개, 태국 2개, 필리핀 4개
- 유럽: 독일 2개, 러시아 9개, 스페인 1개, 영국 1개
- 아프리카: 이집트 3개
- 오세아니아: 뉴질랜드 3개, 호주 3개
- 북아메리카: 미국 18개, 캐나다 1개
- 남아메리카: 칠레 1개, 콜롬비아 1개
조선대학교와 자매 결연을 맺은 국가는 호주, 중국, 콜롬비아, 이집트, 독일,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멕시코, 네팔, 네덜란드, 뉴질랜드, 러시아, 대만, 태국, 미국, 케냐, 베트남 등이 있다.[2] 일본의 교토 대학, 오사카 대학, 규슈 대학, 도호쿠 대학, 구마모토 대학, 시즈오카 대학, 와세다 대학 등과 교류하고 있다.
4. 5. 장학 제도
신입생과 재학생들을 위하여 성적우수, 국가유공자, 복지, 공로 등 다양한 종류의 장학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대표적인 장학금으로 신입생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으로 선발하는 'CU Leader 장학금'과 교육과학기술부 국책사업 선정결과에 따라 선발하는 'Pride CU 장학금', 학과(부) 장학사정 기준에 따라 선발하는 '백악성적장학금'이 있다.[78] 2011년 2학기에는 학생들의 학비 경감을 위하여 장학금을 22억원 증액하였다.[79]5. 대학 생활
5. 1. 총학생회
조선대학교 학생회는 총학생회를 중심으로 총여학생회, 각 단과대학생회 등으로 조직되어 있는 학생자치기구이다. 연례행사인 총장배축구대회, 국토대장정, 학교축제인 대동제 준비와 각종 봉사활동을 기획한다. 2018년 31대 든든이 활동중이다.
5. 2. 대학 언론사
조선대학교 교육방송국(CUEB)은 1975년 5월 19일 개국하였으며 둘셋가요제, CUEB Festival등 다양한 행사를 개최한다. 매년 5월 18일 5.18 특집방송을 하고있다.[80]《조대신문》은 민족대학 건설에 이바지, 대학언론 창달에 기여, 지역사회 발전에 공헌이라는 사시 아래 1954년 9월 15일 창간되어 2011년 5월 1000호를 돌파하였다.[81][82]
《The Chosun World》를 발행하는 영자신문사는 대학언론의 창달을 도모하고 학내의 학술연구활동 및 학생활동을 국내외에 소개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1970년 4월 20일부터 부정기적으로 발행하다가 1980년 정기 간행물로서 교내 학생 월간지에 등록되었다. 대학부, 문화부, 국제사회부, 웹부 총 4개 부서가 활동중이다.[83]
《민주조선》 교지편집위원회는 조선대학교의 특별자치기구로서 완벽한 편집자율권이 보장된 유일한 학생자치 언론사이다. 1988년 1·8 항쟁 이전까지 학내의 모든 선전물들은 비리재단과 박철웅 총장의 선전도구로 전락해 있었고 이런 상황에서 학우들 스스로의 목소리를 올바르게 전달하기 위하여 1988년 8월 1일 발족하였다. 《민주조선》은 신입생들을 위한 '새내기호'와 편집위원회의 기획에 따른 '특별호', 정식으로 발간되는 '본호'로 구별되어 1년에 1~2회 편집위원회의 기획에 따라 발간된다.[84] 1988년 1·8 항쟁이 끝나고 30년에 걸친 박철웅 총장 일가의 비리를 만화를 곁들여 풍자와 해악으로 엮은 《朴총장님! 한바꾸 더 돕시다》를 출간했는데[20][85][86][87] 2010년 정이사 체제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옛 경영진과의 분규가 발생하자 재발간 하였다.[88]
그 외 신문방송학과의 분과로 방송, 언론, 광고 계통의 인터넷 방송국(CBN), 프레상스, 알라드가 있다.[89]
5. 3. 보건 · 복지
1·8 항쟁 기간 중 제기된 학생 복지에 관한 중요성 인식을 토대로, 재학 중 발생하는 질병 및 부상에 대한 의료 혜택을 제도적으로 보장하여 학생들의 건강한 대학 생활과 보건 향상을 통한 교육 환경 개선을 목적으로 1988년 학생의료보건조합이 설립되었다. 조합원이 되려면 학생의료공제조합비를 납부해야 하고, 휴학생도 조합원 자격 취득이 가능하다.[90] 보건진료소는 매년 신입생과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혈액, 소변, 결핵, 일반 구강검진 등 8종목의 건강 검진을 실시하여 건강 문제를 가진 대상자의 추후 관리와 예방 접종 등 건강 증진 사업을 하고 있다. 2007년에는 신규 보건 사업으로 비만 프로그램과 금연 클리닉을 개설하여 운영 중이다.[91]
1971년 우수한 의료인 양성과 지역 주민의 보건 향상이라는 목적 아래 조선대학교부속병원이라는 이름으로 19개 진료과 200병상 규모로 개원한 조선대학교병원은 2011년 보건복지부에 의해 최상위 기관인 상급종합병원에 지정되었다.[92] 현재 212실 707병상을 운영 중이며, 조선대학교치과병원은 1978년 조선대학교부속치과병원으로 개원하여 2000년 지금의 현대식 치과병원 건물로 이전하였다. 현재 10개 진료과 2실 2클리닉을 운영 중이다.[93]
5. 4. 대학발전협의회
대학발전협의회는 2000년 5월 등록금 인상 과정에서 학내 현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학생 및 대학 집행부 양측의 의견을 듣고 해당 사안들을 해결하기 위한 소통 창구 역할을 한다.[94] 대학발전협의회는 학교 측 3인과 학생회 측 3인으로 시작하여 현재 위원장(기획조정실장), 학교 측 위원 2인(총학생회장, 학원자주화학생위원회 위원장) 및 간사 2인(기획조정실 기획팀장, 예산팀장)으로 구성되어 있다.[94] 대학발전협의회 운영을 통해 예결산 심의/평가 과정에서 학생 참여를 보장하고, 학생 복지 및 면학 분위기 향상 등의 성과를 거두고 있다.[94]5. 5. 연례 행사
조선대학교에서는 장미축제와 대동제 등 다양한 연례 행사를 개최한다.[95][96][97] 2003년 5월 23일 제1회를 시작으로 매년 5월에는 장미축제인 "백악의 향기"가 열린다. 장미축제는 2001년 UNIVERSITY PARK 계획과 연계하여 의과대학 동문들을 중심으로 교직원과 학생들에게 쉼터로 활용하기 위하여 1000m2 규모로 2003년 1차 조성되었고, 2008년에는 광주은행의 기부금과 지역민, 교직원 및 학생의 뜻을 모아 현재의 장미원으로 확장되었다. 현재 8299m2 규모에 총 227종 1만 7994주의 장미가 식재되어 있으며,[99] 장미원 내에는 양병도 동문의 기탁금으로 만들어진 서림정이 있다.[100] 행사기간에는 유명가수 및 각 단과대학 및 동아리 공연, 의장대 공연 등의 축하공연과 체험행사로 장미와 함께하는 책 만들기, 장미 종이접기 등이 열리고 디지털사진 콘테스트 그리고 장미원 사진 전시회가 열린다. 2011년 장미축제 기간에는 '밤샘 책읽기' 행사가 열렸다.[98]
10월에는 조선대학교의 축제인 대동제가 학내 1·8 극장 또는 캠퍼스 거리에서 열린다. 2011년 대동제의 캐치프레이즈는 교양과 열정, 사랑과 우정이 콸콸 넘치는 축제를 통해 건강하고 발전적인 대학 문화를 이끌어가자는 의미의 '콸, 콸, 콸'이었다.[101] 축제 기간에는 각 단과대학 혹은 동아리의 주막 부스 및 프리마켓 설치, 조대 골든벨, 유명가수 초청공연 등의 행사를 진행한다.
6. 사건 · 사고 및 논란
6. 1. 시립대학 전환 관련 논란
1999년 7월 23일 김덕중 교육부 장관이 전남대학교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조선대학교 시립화 방안을 검토중에 있다'는 발언을 하며 시립대학 전환 논란이 시작되었다.[106] 조선대학교 교수협의회와 노동조합은 '대학 구성원들의 합의가 없는 일부 세력에 의한 시립화 움직임은 결코 용납될 수 없다'는 성명서를 발표하였다.[107] 2010년 1월 18일 진보신당 윤난실 광주시장 후보는 '광주는 서울시립대학교나 인천대학교처럼 지역 일꾼을 전문적으로 육성할 시립대학이 없다'며 조선대학교의 시립대학 전환을 공약으로 제시했다.[108] 2011년 3월 23일 정병국 문화체육부 장관은 '광주시가 조선대학교를 인수해 아시아중심대학으로 만드는 방법도 생각해볼 수 있다'며 시립대학 전환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109] 학벌 없는 사회 광주모임은 '사립학교법 하에서는 민립대학이라는 조선대학교의 설립이념을 구현할 수 없다'며 시립대학 전환을 촉구했고,[110] 학생들을 중심으로 시립화에 대한 공감대가 확산되었으나, 강현욱 학교법인 조선대학교 이사장은 '광주시나 대학 쪽과 사전 교감 없이 시립대학 전환 관련 발언이 나와 오해를 불러일으킬 소지가 있다'며 난색을 표했다.[110][111]6. 2. 법학전문대학원 선정 관련 논란
조선대학교는 문민정부 시절부터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 도입 논의에 발맞춰 준비를 시작했다.[112] 2004년 대법원 산하 사법개혁위원회의 발표 이후, 법과대학 정원 증원, 건물 신축[112], 법조인 출신 교수진 영입 등 로스쿨 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섰다.[113] 2005년에는 동문들의 재정적 후원을 위한 '법학전문대학원 유치후원회 결성대회'를 개최했다.[114] 2007년에는 국회의 '로스쿨법' 통과 촉구를 위한 단식 농성도 진행했다.[115] 조선대학교는 557억원을 투자하며 로스쿨 유치에 사활을 걸었다.[116][117]2007년 11월 30일, '봉사하는 법률가, 리더형 법률가, 전문화된 법률가, 창의적인 법률가 양성'이라는 교육이념과 문화법 특성화를 내세워 교육인적자원부에 인가 신청서를 제출했다.[118] 그러나 2008년 1월 30일, 예비인가 대학에서 탈락했다.[119] 대학 측은 긴급 대책회의, 기자회견, 궐기대회를 열고 법적 대응을 천명했으며,[119][120] 법인 이사진 전원 사퇴 기자회견을 가졌다.[121] 2008년 2월, 서울행정법원에 교육인적자원부 장관을 상대로 로스쿨 심의자료 증거보전을 신청하고,[122] 교직원과 동문들은 상경집회를 열었다.[123] 2008년 2월 4일 예비인가 대학 확정안이 발표되었고, 2008년 2월 12일 학교법인 조선대학교는 교육인적자원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124] 내부적으로는 책임론이 불거지기도 했다.[125][126]
2008년 4월, 로스쿨 심의자료 증거보전신청이 각하되었고,[127] 2008년 5월, 동국대학교 등 5개 대학과 함께 헌법소원을 제기했다.[128] 2008년 8월, 로스쿨 예비인가 처분 취소 소송에서 패소했다.[129] 조선대학교는 경쟁 관계에 있는 전남대학교 교수가 법학교육위원회 위원으로 참여한 점을 들어 공정성 문제를 제기하며 소송을 제기했으나,[130] 2009년 12월, 대법원 판결로 최종 탈락이 확정되었다.[130][131] 이후 학교는 법과대학 로스쿨 대책위원회를 구성했다.[132]
6. 3. 정이사 선임 관련 논란
1988년 1·8 항쟁 이후 조선대학교는 임시이사 체제로 운영되어 왔다.[133] 2007년 정이사 체제 전환 논의가 시작되었으나,[134] 옛 경영진 복귀 문제로 분규가 발생하였다.[135][136] 학교 측은 학사 운영 차질을 우려하여 조속한 정이사 임명을 촉구했고,[137][138] 사학분쟁조정위원회는 특별소위원회를 구성했으나,[139] 교육과학기술부는 임시이사 파견을 추진하였다.[140]학내에서는 동맹휴업[141] 등으로 정이사 선임을 촉구했으나, 교육과학기술부는 임시이사 파견을 강행하려 했고, 이에 학교 측 교무위원회는 천막농성에 돌입했다.[143] 한국사립대학교수회연합회도 조선대학교 정이사 체제 확립을 촉구했다.[144] 교육과학기술부는 임시이사 재파견을 결정하였고,[145]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소속 김영진 의원은 사학분쟁위원회와 조선대학교 구 재단의 갈등, 정이사 선임 재연기에 대해 유감을 표명했다.[146]
2009년 12월 10일, 사학분쟁위원회는 학교법인 조선대학교의 정이사 선임을 의결하고,[147] 이사장에 강현욱 전 전라북도지사를 선출했다. 정이사 7명과 추가 이사 3명이 선임되었다.[148] 옛 경영진은 법원 판결을 인정하지 않고 이사장을 고발하는 등 공세를 펼쳤다.[149]
2010년 11월 2일, 광주지방법원은 학교법인 조선대학교가 박철웅 전 총장 일가를 상대로 제기한 명칭 등 사용금지 가처분 신청을 인용하여 옛 경영진의 정통성을 부정하고, 학교 경영 복귀 시도에 제동을 걸었다는 평가를 받았다.[150]
6. 4. 의학전문대학원생 데이트 폭력 사건
2015년 3월 28일, 조선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에 다니는 남성(34)이 동기인 여자친구를 4시간 넘게 감금·폭행한 사건이 발생했다.[151] 학교 측의 무성의한 대응 및 사후 처리와 광주지방법원의 판결에 대해 피해자 측이 SBS에 제보하면서 여론의 분노를 일으켜 뒤늦게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151]7. 저명한 동문
조선대학교 출신의 저명한 동문으로는 배우 변희봉, 이한위, 류태준, 윤승아, 장자연 등이 있다. 가수 홍진영도 조선대학교 출신이다. 축구 선수로는 홍정호, 김동우, 김효기가 있으며, 전 축구 선수 김주성도 조선대학교를 졸업했다. 김주성은 동아시아 축구 연맹 회장을 역임했다. 이외에도 대한민국 여자 양궁 선수이자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인 김효기 선수도 조선대학교 동문이다.
참조
[1]
웹사이트
알림메세지!
http://www.chosun.ac[...]
[2]
웹사이트
알림메세지!
http://www.chosun.ac[...]
[3]
웹인용
대학알리미 조선대학교 공시정보
https://www.academyi[...]
[4]
웹인용
현황
https://www.academyi[...]
[5]
웹인용
상징동물
https://www3.chosun.[...]
[6]
뉴스
(앞서가는 광주) 광주의 경제 영토 넓히는 조선대
http://news.mk.co.kr[...]
매일경제
2010-08-06
[7]
웹인용
발자취
http://100.naver.com[...]
두산세계대백과사전
2012-01-03
[8]
웹인용
박철웅의 꿈과 야망, 그리고 조선대
http://blog.naver.co[...]
가우리학문공동체BLOG
2011-11-29
[9]
뉴스
光州朝鮮大學園 大學昇格申請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2010-11-25
[10]
뉴스
光州朝鮮大學園 卄五日 昇格認可
동아일보
2010-11-25
[11]
뉴스
光州朝鮮大學認可 七萬二千名의淨財集結
조선일보
2010-11-25
[12]
뉴스
조선대 29일 개교 64주년 기념식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2-01-03
[13]
뉴스
조선대 정이사 최종 선임..정상화 '출발'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0-09-01
[14]
웹인용
대학상징물
http://www.chosun.ac[...]
조선대학교 - 대학소개 - 대학상징 - 상징물
2011-11-27
[15]
웹인용
설립정신
http://www.chosun.ac[...]
조선대학교 대학 소개 - 이념과 전망 - 설립 정신
2011-09-12
[16]
뉴스
대한민국 최초 대학은 어디?
https://news.naver.c[...]
오마이뉴스
2011-10-17
[17]
웹인용
설립동지회 소개
http://www.chosun.ac[...]
조선대학교 대학소개 - 이념과 비전 - 설립동지회
2011-09-12
[18]
뉴스
(경향 60돌)설립 60주년 사립대학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1-11-20
[19]
웹인용
건학이념
http://www.chosun.ac[...]
조선대학교 대학 소개 - 이념과 전망 - 건학 이념
2011-09-12
[20]
서적
한홍구의 역사이야기 - 학교가 원래 니거였니?
한겨레21 (제373호)
2001-08-22
[21]
웹인용
연혁
http://www.chosun.ac[...]
조선대학교 - 대학소개 - 발자취 - 연혁
2011-11-24
[22]
뉴스
번지는『糾彈의 喊聲』"間接侵略을粉碎하자"
동아일보
2011-11-20
[23]
뉴스
學生「데모」連사흘째
동아일보
2011-11-20
[24]
뉴스
(5·18민주화운동 30주년) 80년 5월의 광주…그날 무슨일이
https://news.naver.c[...]
서울신문
2011-11-20
[25]
문서
5.18민중항쟁사적12 비문
2011-11-20
[26]
웹인용
5.18사적지안내
http://www.518.org/m[...]
5.18기념재단 - 5.18민중항쟁 - 5.18사적지 - 사적지안내
2011-11-25
[27]
뉴스
`5.18사적지' 27곳 확정발표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1-11-20
[28]
뉴스
朝鮮大生 1千5百명 총장집앞서 한때시위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2011-11-12
[29]
뉴스
朝鮮大제적생 30여명 4일째 농성계속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2011-11-12
[30]
뉴스
朝鮮大 學內사태 관련 公權力개입 요청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2011-11-12
[31]
뉴스
朴哲雄 朝鮮大총장 해임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2011-11-12
[32]
뉴스
조선대 일부 학생들은 朴哲雄총장 퇴진등을 요구하며 본관 총장실등을 점거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2011-11-12
[33]
뉴스
朝鮮大농성 학생 강제해산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2011-11-12
[34]
뉴스
4개월째 농성 朝鮮大生 警察투입 강제解散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2011-11-12
[35]
뉴스
朝鮮大 농성학생 20명 拘束방침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2011-11-12
[36]
뉴스
李敦明 朝鮮大총장 本校운동장서 취임식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8-09-29
[37]
뉴스
고 이돈명 조선대학교 제8대 총장 업적과 발자취
http://www.nocutnews[...]
노컷뉴스
2011-01-12
[38]
뉴스
조선대 내성세포연구센터, 기초의과학연구센터 선정
https://news.naver.c[...]
전자신문
2003-08-12
[39]
뉴스
조선대 군사학과 개설…대전·충남대 이어 3번째
https://news.naver.c[...]
국민일보
2004-06-28
[40]
뉴스
중견 건설인, 로스쿨전용 기숙사 지어 대학에 기증
https://news.naver.c[...]
노컷뉴스
2005-04-14
[41]
뉴스
조선대 법학전문도서관 13일 개관
https://news.naver.c[...]
2007-12-11
[42]
뉴스
완도에 해양생물연구센터 문열어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7-12-24
[43]
뉴스
조선대 '장기발전계획 2015' 확정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8-05-14
[44]
뉴스
<표> 의학전문대학원 전환 현황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9-06-07
[45]
뉴스
朝鮮大에 종합감사 官選이사 8명선임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8-02-04
[46]
뉴스
조선대, 기초교육대학 확대 개편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1-01-03
[47]
뉴스
조선대학교 개교 65주년 기념식 개최
http://www.asiatoday[...]
아시아투데이
2011-09-29
[48]
뉴스
조선대, 호남지역 최초 임상약학대학원 설립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1-12-15
[49]
뉴스
2018 대학기본역량진단평가 결과(일반대학)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8-08-23
[50]
웹인용
본관 역사·소개
http://www.cha.go.kr[...]
문화재청 - 문화유산정보 - 문화재검색
2011-11-23
[51]
뉴스
조선대본관 일부 폐쇄 4~7층 기둥균열발견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5-08-20
[52]
뉴스
광주,오래된 학교건물 4곳 문화재로
https://news.naver.c[...]
문화일보
2004-05-24
[53]
뉴스
조선대 본관 야경‘빛고을’상징으로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09-04-16
[54]
뉴스
조선대 운동장에 인조잔디 구장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4-06-18
[55]
뉴스
조선대 1.8극장 새단장
http://www.newsprime[...]
프라임경제
2010-10-04
[56]
웹인용
남광주역
http://www.gwangjusu[...]
광주도시철도공사 CYBER STATION - 남광주
2011-11-23
[57]
뉴스
조선대 중앙도서관 장서 100만권 돌파
http://www.gjdream.c[...]
광주드림
2005-05-26
[58]
웹인용
중앙도서관 소개
http://library.chosu[...]
조선대학교 중앙도서관 - 도서관소개
2011-12-17
[59]
웹인용
기숙사현황
http://www.chosun.ac[...]
조선대학교 생활관 - 학사소개 - 백학학사
2011-11-27
[60]
웹인용
기숙사현황
http://www.chosun.ac[...]
조선대학교 생활관 - 학사소개 - 그린빌리지
2011-11-27
[61]
뉴스
신재생에너지 시범마을 '그린빌리지' 국내 최초 조성
http://www.e2news.co[...]
이투뉴스
2011-01-31
[62]
뉴스
태양에너지 시범마을 그린빌리지
https://news.naver.c[...]
이투뉴스
2006-03-30
[63]
뉴스
'신개념 기숙사' 조선대 글로벌 하우스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1-03-11
[64]
뉴스
난 조선대 글로벌하우스로 어학연수 간다
http://news.mk.co.kr[...]
mk뉴스
2011-05-10
[65]
뉴스
조선대, 베트남에 한국어학당 설립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08-10-15
[66]
뉴스
조선대 호찌민에 한국어교원 양성 과정 첫 개설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2-07-29
[67]
웹인용
언어교육원 소개
http://www.chosun.ac[...]
Chosun University Language Education Institutte - 언어교육원소개 - 주요사업
2011-11-27
[68]
웹인용
평생교육원 소개
http://www.chosun.ac[...]
조선대학교 평생교육원 - 교육원소개 - 교육원역사
2011-11-27
[69]
웹인용
박물관 유물현황
http://museum.chosun[...]
조선대학교 박물관 - 박물관안내 - 유물현황
2011-11-27
[70]
웹인용
박물관 전시실 안내
http://museum.chosun[...]
조선대학교 박물관 - 전시실
2011-11-27
[71]
뉴스
현대미술 거장 실비아 올드 작품기증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02-06-27
[72]
뉴스
조선대, 김보현·실비아 올드 미술관 개관식 가져
https://web.archive.[...]
뉴스웨이브
2011-09-30
[73]
뉴스
조선대, 첨단 산학캠퍼스 준공
http://www.etnews.co[...]
전자신문
2005-06-15
[74]
웹인용
창업보육센터 소개
http://cheomdan.chos[...]
첨단산학캠퍼스 - 연구지원안내 - 창업보육센터
[75]
웹인용
부품기술혁신센터 소개
http://cheomdan.chos[...]
첨단산학캠퍼스 - 연구지원안내 - 부품기술혁신센터
[76]
웹인용
첨단산학캠퍼스 소개
http://cheomdan.chos[...]
첨단산학캠퍼스 홈페이지
[77]
웹인용
교육목표
http://www.chosun.ac[...]
조선대학교 - 대학소개 - 이념과 비전 - 교육목표
[78]
웹인용
장학제도안내
http://www.chosun.ac[...]
조선대학교 장학안내 - 장학제도
[79]
뉴스
(조선대)학생들 학비 경감 위해 2011학년도 2학기 장학금 22.3억 원 증액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1-07-13
[80]
웹인용
교육방송국 연혁
http://www.chosun.ac[...]
조선대학교 교육방송국 - CUEB소개 - 연혁
[81]
뉴스
조대신문 지령 1000호 기념식 성료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1-05-06
[82]
뉴스
역사 속 조대신문 기자들을 만나다
https://web.archive.[...]
조대신문
2011-05-31
[83]
웹인용
영자신문사 연혁
http://www.chosun.ac[...]
조선대학교 영자신문사 - Introduction - 연혁
[84]
웹인용
《민주조선》 교지편집위원회 소개
http://www.manjune.c[...]
민주조선 교지편집위원회 - 민주조선 - 건설배경
[85]
뉴스
총장님 한바꾸 더 돕시다
http://newslibrary.n[...]
한겨레
1988-11-09
[86]
뉴스
총장님 한바꾸 더 돕시다(조선대총학생회 篇)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8-11-15
[87]
서적
朴총장님! 한바꾸 더 돕시다
도서출판 광주
1988-10-01
[88]
뉴스
조선대 범대위 "비리집단 舊재단 이사 사퇴하라"
http://www.gwangnam.[...]
광남일보
2010-03-16
[89]
웹인용
신문방송학과 학생활동
http://www.chosun.ac[...]
조선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학생활동
[90]
웹인용
학생의료보건조합 소개
http://chosun.ac.kr/
조선대학교 - 대학생활 - 학생활동 - 학생시설안내 - 보건 및 금융
[91]
웹인용
보건진료소 소개
http://www.chosun.ac[...]
조선대학교 보건진료소
[92]
뉴스
조선대병원, 상급종합병원 '재선정'
http://www.mdtoday.c[...]
메디컬투데이
2010-12-19
[93]
웹인용
조선대학교 치과병원 소개
http://dent.chosun.a[...]
조선대학교 치과병원 - 병원소개
[94]
웹인용
대학발전협의회 소개
http://www.chosun.ac[...]
조선대학교 - 대학생활 - 대학발전협의회
[95]
뉴스
152가지 ‘장미의 유혹’ 형형색색
https://news.naver.c[...]
경향신문
2004-05-12
[96]
뉴스
'장미와 함께'..조선대 장미축제 20일 개막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1-05-18
[97]
뉴스
조선대 장미축제 시작 “227가지 장미꽃 피었어요”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2-05-25
[98]
뉴스
밤을 하얗게 지새운'..조선대 '밤샘 책읽기'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1-05-22
[99]
웹인용
장미원 현황 및 연혁
https://web.archive.[...]
장미원 - 장미원소개 - 장미원 현황 및 연혁
[100]
뉴스
조선대 장미원서 '서림정' 현판식 열려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9-12-21
[101]
웹인용
2011년 대동한마당
http://blog.naver.co[...]
조선대학교 공식블로그 - 대동한마당
[102]
웹인용
총동창회 연혁
http://www.cuaa.or.k[...]
조선대학교총동창회 - 총동창회 소개 - 연혁
[103]
뉴스
옛 재단은 ‘조선대’ 들어간 조직명 사용 마라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0-11-03
[104]
뉴스
"조선대 동창회 명칭 사용하면 안돼요"(종합)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0-08-29
[105]
뉴스
법원 "조선대 옛경영진측 동창회 정통 아니다"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1-01-16
[106]
뉴스
김 교육부장관 '조선대 시립화 방안 검토'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999-07-23
[107]
뉴스
조선대 교협, 노조 '시립화 반대' 성명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999-07-27
[108]
뉴스
진보신당 '조선대, 광주시립대학으로'(종합)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0-01-18
[109]
뉴스
문화부장관, 조선대 시립대 전환 검토 필요(종합)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1-03-23
[110]
뉴스
조선대 ‘시립대 전환’ 공론화될까
http://www.hani.co.k[...]
한겨레
2011-03-30
[111]
뉴스
조선대, 시립대 전환 공감대 확산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1-03-29
[112]
뉴스
지방大 ‘운명 건 전쟁’…″로스쿨 유치여부에 사활 달렸다″
https://news.naver.c[...]
국민일보
2004-09-15
[113]
뉴스
전남대.조선대 법조인 출신 교수영입 박차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4-12-31
[114]
뉴스
조선대, 법학전문대학원 유치후원회 결성대회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5-04-08
[115]
뉴스
`로스쿨 법안` 처리 미적 … 대학들 화났다
http://www.hankyung.[...]
한국경제
2007-04-23
[116]
뉴스
조선대 '557억 들여 로스쿨에 올인합니다'
http://news.mk.co.kr[...]
한국경제
2007-08-02
[117]
뉴스
로스쿨 유치전 이렇게 준비한다 (3)조선대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07-08-24
[118]
뉴스
전남대·조선대 로스쿨 인가 신청
https://news.naver.c[...]
뉴시스
2007-11-30
[119]
뉴스
로스쿨 탈락 조선대 '충격...망연자실'
https://news.naver.c[...]
뉴시스
2008-01-30
[120]
뉴스
로스쿨 탈락한 조선대 '모든 법적 대응 불사' 방침
http://www.nocutnews[...]
노컷뉴스
2008-01-30
[121]
뉴스
조선대 이사진 전원사퇴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8-01-31
[122]
뉴스
조선대 로스쿨 심의자료 증거보전 신청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8-02-02
[123]
뉴스
조선대 로스쿨 탈락 반발 상경집회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8-02-03
[124]
뉴스
조선대 로스쿨 예비인가 무효소송 제기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8-02-12
[125]
뉴스
'로스쿨 탈락' 조선대, 내부 책임론 고개
https://news.naver.c[...]
뉴시스
2008-02-18
[126]
뉴스
'로스쿨 유치실패 책임져라'<조선대 법대동문>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8-02-19
[127]
뉴스
로스쿨 심사 서류 증거보전 신청 각하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8-04-08
[128]
뉴스
로스쿨 탈락 6개 대학, 헌법소원 제기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8-05-02
[129]
뉴스
<종합>조선대, 로스쿨 예비인가 취소 소송 패소
https://news.naver.c[...]
뉴시스
2008-08-20
[130]
뉴스
고법 '전남대 로스쿨 인가 위법'(종합2보)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9-04-30
[131]
뉴스
조선대·동국대 로스쿨 탈락 확정판결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9-12-30
[132]
웹인용
법과대학 로스쿨 대책위원회 구성
http://www.chosun.ac[...]
조선대학교 법과대학 - 법학전문대학원 - 추진현황
2011-11-17
[133]
뉴스
임시이사 파견대학 조기정상화
http://news.hankooki[...]
한국일보
2007-04-17
[134]
뉴스
조선대학교 정이사 체제 구성안 확정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7-11-22
[135]
뉴스
조선대 '옛 경영진 복귀 반대..분규 우려'
https://news.naver.c[...]
뉴시스
2008-03-03
[136]
뉴스
고 박철웅 총장 일가 복귀, 정상화 막판 '진통'
http://www.nocutnews[...]
노컷뉴스
2008-06-16
[137]
뉴스
조선대 정이사 선임 지연..학사운영 차질 우려(종합)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8-06-25
[138]
뉴스
조선대 정이사 조기 임명 촉구 담화문 발표
http://www.newsprime[...]
프라임경제
2008-06-26
[139]
뉴스
사학분쟁조정위, 조선대 관련 특별소위 구성키로(종합)
http://www.nocutnews[...]
노컷뉴스
2008-07-24
[140]
뉴스
<종합>조선대 정이사제 '먹구름'…교과부, 임시이사 추진
https://news.naver.c[...]
뉴시스
2008-09-26
[141]
뉴스
조선대 총학생회 4일 전면 휴업 결정
http://www.nocutnews[...]
노컷뉴스
2008-12-03
[142]
뉴스
조선대, 임시이사 파견저지 '투쟁 선포'
https://news.naver.c[...]
뉴시스
2009-03-25
[143]
뉴스
조선대 교무위원 '정상화 촉구' 천막농성 돌입
https://news.naver.c[...]
뉴시스
2009-04-08
[144]
뉴스
사립대교수연합, 조선대 정이사 선임촉구
https://news.naver.c[...]
뉴시스
2009-04-20
[145]
뉴스
조선대에 임시이사 재파견 결정(종합)
https://news.naver.c[...]
뉴시스
2009-04-23
[146]
뉴스
<종합>김영진 '조선대 정상화 무산 사분위 사태 유감'
https://news.naver.c[...]
뉴시스
2009-11-27
[147]
뉴스
<종합>사분위, 조선대 정이사 22년만에 선임
https://news.naver.c[...]
뉴시스
2009-12-10
[148]
뉴스
조선대 새 이사장에 강현욱 전전북지사 만장일치로 선출
http://www.hankyung.[...]
한국경제
2010-01-15
[149]
뉴스
조선대, 신구 경영진 갈등 아직 '진행형'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0-04-22
[150]
뉴스
법원 "조선대 옛경영진, 조선대 명칭 못써"(종합)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0-11-02
[151]
뉴스
여자친구 4시간 폭행 '끔찍 녹취록'…처벌은 '벌금형'
https://news.naver.c[...]
SBS
2015-11-28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일제, 위안부 강제동원 소문만 이야기해도 형사처벌…광주 7건 확인
한양대 배구부, 2025 현대캐피탈 전국대학배구 단양대회 우승
광주 위안부 피해 사례 13명 첫 공개에 “이미 알려진 피해자들”
“시간·돈을 시민사회에…” 최홍엽 광주환경운동연합 의장 별세
조선대·광주여대, 현대캐피탈배 대학배구 남녀부 우승
광주지역 고교생, 2학기부터 조선대 수업 들으면 학점 인정
글로컬대학 마지막 선발, 예비지정 ‘초광역’ ‘사립대’ 늘어났다
김정은, 조총련 결성 70주년 맞아 “권익 옹호, 민족성 고수”
전국 의대, 미복귀 학생 처분 확정…1만 명 이상 유급 가능성
5월8일 인사
‘분수령의 한국, 어디로 갈 것인가’…문익환평화포럼 25일 국회서
러브샷 5단계에 성희롱까지…조선대 신입생 MT 말썽
종로학원 "지방 일부 의대, 의대 증원으로 수시·정시 합격선↓"
"전원 복귀 후 수강률 3.9%"…의대협 "수업 거부로 투쟁"
‘전원 복귀’ 의대 절반 도달…실제 수강 ‘줄다리기’는 이어질 듯
의대생 ‘막판 복귀’ 이어져...대학들 “수업 거부 ‘꼼수’ 엄정 대응”
[단독] 방첩사 '선관위 서버 장악' 임무에 '민간인 이메일 해킹' 연루자 출동시켰다 | JTBC 뉴스
집단 휴학 단일대오 ‘균열’…이번주 의대 교육 정상화 분수령
Korean med schools to reject collective leave of absence requests by student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