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민주공화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민주공화당은 1987년 10월 김종필을 중심으로 창당된 대한민국의 정당이다. 12.12 군사 쿠데타 이후 해체된 민주공화당의 계승을 표방하며, 자유민주주의와 자유경제체제를 강령으로 내세웠다. 1987년 대통령 선거에서 김종필 후보가 4위를 기록했으며, 1988년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35석을 얻어 원내 제4당이 되었다. 1990년 민주정의당, 통일민주당과 합당하여 민주자유당을 창당하면서 해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민주자유당 - 3당 합당
1990년 노태우 정부 주도로 민주정의당, 통일민주당, 신민주공화당이 합당하여 민주자유당을 창당한 3당 합당은 안정적인 국정 운영 도모, 각 당 총재들의 정치적 이해관계, 내각제 개헌 조건 등의 배경 속에서 거대 여당 탄생 및 정국 주도권 확보를 가져왔으나, 지역주의 심화 및 민주 진영 분열이라는 비판도 존재한다. - 민주자유당 - 이성호 (1938년)
이성호는 1938년생으로 고려대학교 법과대학에서 행정학 학사 학위를 받고 제12대부터 제15대까지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며 제30대와 제32대 보건복지부 장관을 지냈다. - 대한민국 제12대 국회의 원내정당 - 평화민주당
평화민주당은 김대중을 중심으로 1987년 창당되어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제1야당으로 부상하였고, 민주화 운동과 사회 개혁을 추진하다가 신민주연합당으로 당명을 변경, 꼬마민주당과 합당하여 민주당으로 재편되었으며, 2010년 재창당되었으나 2012년 소멸된 정당이다. - 대한민국 제12대 국회의 원내정당 - 통일민주당
통일민주당은 1987년 김영삼과 김대중에 의해 창당되어 김영삼이 총재를 맡았으며, 1987년 대통령 선거에서 낙선하고 1988년 총선에서 59석을 얻었으며, 1990년 민주자유당으로 합당하며 소멸했다. - 자유민주연합 - 국민중심당
국민중심당은 2006년 자유민주연합 탈당파 의원들이 심대평, 신국환 공동대표 체제로 창당한 중도 정당으로, 중도 노선을 표방했으나 저조한 선거 성적과 후보 사퇴 등의 어려움 끝에 2008년 자유선진당과 합당하여 해산되었다. - 자유민주연합 - 신민당 (1994년)
신민당은 1994년 통일국민당과 신정치개혁당이 합당하여 창당되었으나, 당내 갈등과 공동대표 간의 불화로 분열되어 민주당 및 김종필 신당과의 통합 실패 후 1995년 자유민주연합과 합당하며 소멸된 대한민국의 정당이었다.
신민주공화당 - [정당]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정당 색상 | 녹색 |
로마자 표기 | Sinminjugonghwadang |
한자 표기 | 新民主共和黨 |
약칭 | 신민공, 공화당 |
창당일 | 1987년 11월 30일 |
해산일 | 1990년 2월 14일 |
창립자 | 김종필 |
대표 | 김종필 |
중앙당사 | 서울특별시 마포구 큰우물로 75 (도화동) |
이념 | 보수주의 충청 지역주의 |
정치 스펙트럼 | 우익 |
역사 | |
분리 정당 | 한국국민당 |
합당 정당 | 민주자유당 |
관련 정보 | |
관련 지역 | 충청도 |
2. 역사
박정희 대통령 시절 여당이었던 민주공화당과 유신정우회 인사들이 중심이 되어 창당되었다.[4]
김종필과 구 공화당계 인사들은 박정희 정권의 경제 성장을 환기시키며 제13대 대통령 선거 당시 전국 유세를 펼쳤으나, 12월 선거에서 180만 표(전국 득표율 8.1%)를 얻어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에 이어 4위에 그쳤다. 충청남도 지역에서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13대 대선 직전 통일민주당의 분열로 원내 제2당으로 격상되었으나, 이듬해 제13대 총선에서는 평화민주당과 통일민주당에 이어 제3야당이 되었다. 1988년 총선에서는 1987년 이후 득표율이 거의 두 배로 증가했고, 다른 야당들과 함께 집권 민주정의당이 통과시키려는 거의 모든 법안을 막을 수 있을 만큼 많은 의석을 확보했다.
2. 1. 창당 배경
12.12 군사쿠데타 이후 민주공화당과 유신정우회는 정치 활동이 금지되어 해체되었다. 이후 구 공화당계와 유정회계 인사들은 김종철, 이만섭을 중심으로 한국국민당을 창당했다.[4] 한국국민당은 대안 정당, 원내 제1당을 목표로 삼았으나, 박정희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전두환 정권의 차별화 정책, 그리고 구 3공 및 유신 인사들에 대한 부정축재 혐의 처벌 등으로 인해 목표 달성에 실패했다.1987년 정치정화법에서 해금된 김종필은 정계 진출을 선언하고 신당 창당을 주도하면서 한국국민당은 와해, 흡수되었다.[4]
2. 2. 창당 과정
1987년 6·29 선언 직후, 김종필은 1987년 10월 30일 창당대회와 대통령 후보 지명대회를 열어 신민주공화당을 결성했다.[4] 당 총재와 대통령 후보에 김종필을 지명하고 '민주공화당의 빛나는 이념과 한국국민당의 전통을 계승하여 새로운 근대화를 주도한다'고 선언했다.[4] 자유민주주의 이념, 자유경제체제, 농어민과 노동자의 중산계급화 등을 강령으로 채택했다.[4]2. 3. 3당 합당
신민주공화당은 전국정당을 목표로 했으나 충청남도, 충청북도와 강원도 일부 지역에 기반을 둔 지역 정당의 한계를 보였다.[4] 1990년 2월 14일, 민주정의당, 통일민주당과 합당하여 민주자유당을 신설 합당하며 해체되었다.[5] 3당 합당 과정에서 김종필의 참여에 반발한 일부 인사들은 이탈하기도 했다.김영삼의 민자당 민주계와 갈등하던 중 김영삼의 군사정권 청산에 반발한 공화계 인사들은 1995년 다시 갈라져 나와 자유민주연합을 결성했다.[6]
3. 역대 총재
초대 총재는 김종필이며, 1987년 10월 30일부터 1990년 2월 5일까지 재임하였다.
4. 주요 선거 결과
4. 1. 대통령 선거
1987년 제13대 대통령 선거에서 김종필 후보는 1,823,067표(8.06%)를 얻어 4위를 기록하며 낙선했다.선거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결과 |
---|---|---|---|---|
1987년 | 김종필 | 1,823,067 | 8.06 | 낙선 |
4. 2. 국회의원 선거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주공화당은 지역구 27석, 비례대표 8석을 확보하여 총 35석으로 원내 제4당이 되었다. 득표율은 15.6%였다.
5. 역대 전당대회
1987년 10월 30일, 신민주공화당은 창당대회를 열고 당헌 및 정강정책을 채택하고, 김종필 창당준비위원장을 총재로 추대하였다. 또한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후보로 김종필 총재를 추대하였다.[1]
1990년 2월 5일, 신민주공화당은 임시 전당대회를 열고 민주정의당, 통일민주당과의 삼당합당을 결의하였다.[2]
참조
[1]
논문
Democratic Transition and Intraparty Politics: The Distribution of Key Party Positions in Democratizing South Korea
https://www.jstor.or[...]
2014-00-00
[2]
논문
Tensions in South Korean Political Parties in Transition: From Entourage to Ideology?
https://www.jstor.or[...]
2006-00-00
[3]
논문
Building a New Party System: The Case of Korea
https://www.jstor.or[...]
1995-00-00
[4]
논문
Building a New Party System: The Case of Korea
https://www.jstor.or[...]
1995-00-00
[5]
논문
Party Identifiers in South Korea: Differences in Issue Orientations
https://www.jstor.or[...]
1995-00-00
[6]
논문
South Korea's Kim Young Sam Government: Political Agendas
https://www.jstor.or[...]
1996-0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