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빙상경기연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빙상경기연맹은 1925년 조선빙상속도협회로 시작하여, 1948년 대한빙상경기연맹으로 개칭된 대한민국의 빙상 스포츠 단체이다. 빙상경기대회 개최, 선수 양성, 스케이팅 보급 등을 주요 사업으로 한다. 1990년대부터 파벌 싸움, 선수 학대, 비리 의혹 등 논란의 중심에 있었으며, 2014년 정부 감사를 통해 부패와 파벌주의가 드러나기도 했다. 동계 올림픽에서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피겨 스케이팅 종목에서 75개의 메달을 획득하는 등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으나, 잦은 폭행, 성폭력 사건, 승부 조작, 행정 미숙 등으로 비판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대한빙상경기연맹
기본 정보
협회명대한빙상경기연맹
영문명Korea Skating Union
약칭KSU
종목피겨 스케이팅
스피드 스케이팅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설립1945년
가맹국제빙상연맹
가맹일1947년
관할 지역대한민국
본부올림픽공원, 송파구, 서울특별시
회장윤홍근
웹사이트skating.or.kr
국가대한민국

2. 연혁

1925년 조선빙상속도협회(朝鮮氷上速度協會)로 시작되었다. 1945년 11월 24일, 광복 후 처음으로 조선중앙기독교청년회(YMCA)에서 창립총회를 개최하고 ‘조선빙상경기연맹’을 새로이 조직하여 조선체육회에 가맹하였다. 1946년까지 조선빙속협회·조선피규어협회·조선아이스하키협회가 각각 분리 운영되어오다가 1947년 빙속협회와 피규어협회가 합하여 연맹을 조직하였고, 그해 국제빙상경기연맹에 정식으로 가입하였다. 1948년 1월 스위스 생모리츠 동계올림픽에서 한국 빙상 선수단 최초로 4명의 선수가 올림픽 대회에 참가하였으며, 1948년 9월 대한빙상경기연맹으로 개칭하였다.[1]

19세기 말 스케이팅이 한국에 도입되었다.[1] 초창기 대회는 1920년대대동강한강에서 열렸다. 1945년 11월 24일, 최두용의 주도로 조선빙상경기연맹이 창립되었다. 1946년 4월, 피겨 스케이팅과 스피드 스케이팅으로 분리되었다가 1947년에 다시 통합되었다. 같은 해에 국제빙상경기연맹에 가입했다. 1948년 9월, 당시 변화하는 한국의 이름 관행에 따라 대한빙상경기연맹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2]

2014년, 대한민국 정부는 대한빙상경기연맹에 대한 부패와 파벌주의 의혹으로 감사를 시작했다.[3] 전명규 부회장은 특혜 제공 및 파벌 갈등 조장 혐의로 사임했다.[4][5] 대한체육회는 파벌 싸움을 막기 위해 2016년 연맹 집행부를 해체했다.[5] 2018년, 일련의 부패 스캔들로 인해 문화체육관광부의 감사를 다시 받았으며, 임원들이 해임되었다.[6] 2017년에 복귀했던 전명규는 비공식 집행부 운영을 통해 연맹에 "부당한 영향력"을 행사한 것이 밝혀져 대한체육회의 2016년 명령을 위반한 혐의로 다시 사임했다.[4][5] 감사 결과 부적절한 채용 관행, 국가대표 선수 선발, 후원사 선정 과정에서의 의혹 등 추가적인 비위 사실이 드러났다. 대한빙상경기연맹은 "특별 관리" 단체로 지정되어 대한체육회의 관리를 받게 되었다.[6] 2020년 11월에 자율 체제로 전환되었다.[7]

3. 주요 사업


  • 빙상 경기대회 개최 및 주관
  • 빙상 선수 양성 및 빙상 보급
  • 스케이팅 경기대회 개최 및 주관
  • 스케이팅 선수 양성 및 스케이팅 보급

4. 논란

대한빙상경기연맹은 1992년 알베르빌 동계 올림픽에서 쇼트트랙이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이후, 1990년대부터 여러 논란에 휩싸였다.[122][123] 국제 대회 성적에 따라 선수들은 포상금, 연금, 병역면제(남자 선수 한정), 대학 입시 특혜 등 다양한 혜택을 받았지만,[124][125] 코치의 권력이 막강하여 선수들은 코치에게 절대 복종해야 했다.[126][127] 이러한 환경은 선수 폭행 및 성폭력, 파벌 싸움, 승부 조작 등의 문제로 이어졌다. 특히 2019년 빙상계 성폭력 파문 당시, 일부 선수들은 익명 보장의 어려움과 안현수의 사례를 언급하며 폭로의 어려움을 호소했다.[128][129]

이 외에도 선수 안전 보호 의무 회피, 선수 지원 및 행정 처리 미숙 등의 논란이 있었다. 2017년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 노선영 관련 논란,[117] 2008년 피겨 스케이팅 선수 김나영 관련 논란[113][114] 등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4. 1. 파벌 싸움과 선수 학대

대한빙상경기연맹과 쇼트트랙은 1990년대부터 파벌 싸움, 선수 학대, 승부 조작 등 여러 논란에 휩싸였다.[122][123] 선수들은 국제 대회 성적에 따라 포상금, 연금, 병역면제(남자 선수 한정), 대학 입시 특혜 등 다양한 혜택을 받았지만,[124][125] 코치의 권력이 막강하여 선수들은 코치에게 절대 복종해야 했다.[126][127]

이러한 환경 속에서 선수들은 코치, 대학교, 실업팀으로 나뉘어 경쟁했고, 이는 곧 파벌 형성으로 이어졌다.[18][19] 선수들은 코치의 지시에 불응하거나 다른 파벌에 속할 경우 불이익을 받았으며, 심지어 폭행이나 성폭력 피해를 입기도 했다.[14][16] 2019년 빙상계 성폭력 파문 당시, 일부 선수들은 익명 보장의 어려움과 안현수의 사례를 언급하며 폭로의 어려움을 호소했다.[17]

2006년 토리노 동계 올림픽에서는 한국체대 출신과 비한국체대 출신 선수들 간의 파벌 갈등이 공개적으로 드러났다.[18][27] 안현수는 한국체대 출신 코치의 폭행 방조 및 사주 사실을 폭로한 후 여자팀과 훈련하게 되었고,[20][28] 비한국체대 출신인 진선유는 코치의 지시에 따라 경기에서 방해를 받았다.[27][29]

2010년 밴쿠버 동계 올림픽 이후에는 승부 조작 및 내부 파벌 문제가 불거졌다.[13][36] 이정수는 코치의 강요로 부상 진술서를 작성하고 세계 선수권 대회 개인전 출전 기회를 잃었다고 폭로했다.[41][42]

안현수는 2010년 승부 조작 사건의 여파, 소속팀 해체, 파벌 문제 등으로 인해 2011년 러시아로 귀화했다.[49][50][56][57]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에서 금메달 3개와 동메달 1개를 획득하며 한국 사회에 큰 반향을 일으켰고, 대한빙상경기연맹은 거센 비판을 받았다.[58][59]

쇼트트랙 국가대표 코치가 중학생 선수를 성폭행하려다 미수에 그친 사건도 있었으며, 연맹 고위 간부가 이 사건을 은폐하려 했다는 사실이 밝혀지기도 했다.[115][116]

4. 1. 1. 개요

한국에서 동계 올림픽 스포츠는 1988년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이 시범 종목으로 채택되면서 시작되었다. 김기훈이준호는 각각 1500m와 3000m에서 1위를 차지했다.[119] 1992년 알베르빌 동계 올림픽에서 쇼트트랙이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고, 김기훈이 1000m 금메달을 획득하면서 한국은 동계 올림픽에서 메달을 획득하기 시작했다.[120] 1992년부터 2022년까지 한국은 총 79개의 올림픽 메달을 획득했으며, 이 중 75개는 대한빙상경기연맹이 관리하는 스케이팅 종목에서 나왔다. 특히 쇼트트랙에서는 금메달 26개를 포함하여 총 53개의 메달을 획득했다.[121]

그러나 대한빙상경기연맹과 쇼트트랙은 1990년대부터 여러 논란에 휩싸였다.[122][123] 선수들은 국제 대회 성적에 따라 포상금과 연금 혜택을 받았고, 남자 선수들은 아시안 게임 금메달이나 동계 올림픽 메달 획득 시 병역면제 혜택을 받았다.[124] 대학 입학을 앞둔 고등학생 선수들에게는 체육 특기생 혜택이 주어졌다.[125] 이로 인해 성적 향상을 도와주는 코치와 선수 간에는 스승과 제자 관계를 넘어서는 권력 구도가 형성되었다.[126][127] 선수들은 코치에게 반항하거나 지시를 어길 경우 보복을 당했고, 폭행이나 성폭력은 은폐, 방관, 침묵 속에서 이루어졌다. 2019년 1월, 한국 빙상계가 성폭력 파문으로 뒤덮였을 때 국민일보는 일부 선수들의 증언을 인용하며 "익명이 보장되어도 위험부담이 너무 크다. 안현수처럼 유명한 선수도 폭로 후 인생이 바뀌었다. 입을 여는 순간 선수의 인생은 끝날 수 있다."라고 보도했다.[128][129]

이러한 상황에서 선수들은 지도자, 대학, 실업팀으로 나뉘어 경쟁했으며, 이는 곧 파벌 형성으로 이어졌다.[124][130] 실업팀 입단 과정에도 고위 임원과 코치들이 관여하여 선수들에게 압력을 가했다.[131][132] 금품과 메달 거래로 인한 심판 매수, 승부 조작 등의 사건이 발생했고, 폭로, 고발, 폭행 사건 등의 논란으로 이어졌다.[133][125] 이로 인해 빙상연맹 관계자들과 국가대표 코치들이 경찰에 입건되기도 했다.[133][134]

4. 1. 2. 1990년대 사건들과 파벌 싸움의 시작

한국의 동계 올림픽 스포츠는 1988년 쇼트트랙이 시범 종목으로 채택되면서 김기훈, 이준호 선수가 1500m와 3000m에서 1위를 하며 시작되었다.[119] 1992년 알베르빌 동계 올림픽에서 쇼트트랙이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고 김기훈이 1000m 금메달을 획득한 이후, 한국은 동계 올림픽에서 메달을 획득하기 시작하였다.[120] 1992년부터 2022년까지 총 79개의 올림픽 메달을 획득하였고, 그중 75개는 대한빙상경기연맹이 관리하는 스케이팅 종목에서 나왔다. 특히 쇼트트랙에서는 금메달 26개를 포함하여 총 53개의 메달을 획득하였다.[121]

하지만 대한빙상경기연맹과 쇼트트랙은 1990년대부터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122][123] 선수들은 국제 대회 성적에 따라 포상금과 연금 혜택을 받았고, 남자 선수들은 아시안 게임 금메달이나 동계 올림픽 메달 획득 시 병역면제 혜택을 받았다.[124] 대학 입시를 앞둔 고등학생 선수들에게는 체육 특기생 혜택이 주어졌다.[125] 이러한 상황은 성적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코치와 선수 간의 권력 구도를 형성시켰다.[126][127] 선수들은 코치에게 반항하거나 지시를 어기면 보복을 당했고, 폭행이나 성폭력은 은폐, 방관, 침묵되었다.[128][129] 2019년 1월, 한국 빙상계가 성폭력 파문으로 뒤덮였을 때, 일부 선수들은 익명 보장의 어려움과 안현수 선수와 같이 폭로 후 인생이 바뀐 사례를 언급하며 증언의 어려움을 호소했다.[128][129]

이러한 권력 관계 속에서 선수들은 지도자와 대학, 실업팀으로 나뉘어 경쟁했고, 이는 곧 파벌 형태로 변형되었다.[124][130] 실업팀 입단에도 고위 임원과 코치들이 관여하여 선수들에게 압력을 가했고,[131][132] 금품과 메달 거래로 인한 심판 매수, 승부 조작 등의 사건들이 발생했다.[133][125] 이로 인해 빙상연맹 관계자와 국가대표 코치들이 경찰에 입건되기도 했다.[133][134]

1994년에는 당시 연맹 회장이었던 장명희가 코치와 연맹 고위 관계자들의 금품 수수 및 부패 혐의로 선수들과 스케이팅 전문가들로부터 고발당했다.[10] 이후에도 경기 조작, 금품 수수, 횡령, 배임, 폭행, 성폭행 혐의로 연맹 관계자와 국가대표 코치들이 경찰 조사를 받는 일이 이어졌다.[13][14]

2005년에는 안현수와 성시백이 국제 대회에서 선배 선수들에게 폭행을 당했고,[20][21] 2004년 11월에는 최은경, 여수연, 변천사, 허희빈, 강윤미, 진선유 등 6명의 여자 선수들이 코치들로부터 심한 신체적 학대를 경험했다는 진술이 나왔다.[23][24] 그러나 이러한 사건들은 곧 잊혀졌고, 가해자들은 이후 올림픽에서 다시 국가대표 코치로 임명되었다.[25] 2004년 여자 대표팀 폭행 사건은 안현수의 귀화와 관련하여 2014년에 다시 주목받기 전까지 10년 동안 묻혀 있었으며,[25] 심석희의 폭행 사건과 변천사의 JTBC 뉴스룸 인터뷰를 통해 2018년에 더 큰 관심을 받게 되었다.[26]

2018년 12월, 변천사는 당시 상황에 대해 "언론 보도보다 실제로는 더 심각했다. 코치들은 폭행에 대해 말하면 선수 생활을 망쳐놓겠다고 협박했지만, 우리는 죽을 수도 있다는 생각에 진실을 폭로했다. 그 후 선수 생활이 매우 어려웠고, 은퇴 후에도 같은 업계에서 일하기 힘들었다. 14년이 지난 지금도 그 기억은 생생하며, 우리는 모두 많은 심리적 고통을 안고 살아가고 있다"고 증언했다.[26]

4. 1. 3. 쇼트트랙 국가대표팀 폭행 피해 사건

1990년대부터 대한빙상경기연맹과 쇼트트랙은 여러 논란에 휩싸였다.[122][123] 선수들은 국제 대회 성적에 따라 포상금, 연금, 병역 면제(남자 선수 한정) 등의 혜택을 받았고, 대학 입시를 앞둔 선수들에게는 체육 특기생 혜택이 주어졌다.[124][125] 이러한 환경은 코치와 선수 간의 권력 불균형을 심화시켰고, 선수들은 코치에게 복종해야만 했다.[126][127]

이러한 권력 관계는 선수 폭행 및 성폭력 사건으로 이어졌다. 2019년 빙상계 성폭력 파문 당시, 일부 선수들은 익명 보장의 어려움과 안현수의 사례를 언급하며 폭로의 어려움을 호소했다.[128][129]

2005년에는 안현수와 성시백이 국제 대회에서 선배 선수들에게 폭행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20][21] 2004년 11월에는 최은경, 여수연, 변천사 등 6명의 여자 선수들이 코치로부터 심한 신체적 학대를 받았다고 진술했다.[23][24] 그러나 이러한 사건들은 곧 잊혀졌고, 가해 코치들은 다시 국가대표 코치로 임명되었다. 2004년 여자 대표팀 폭행 사건은 안현수의 귀화와 관련하여 2014년에 다시 주목받기 전까지 10년 동안 묻혀 있었다.[25]

2018년 12월, 변천사JTBC 뉴스룸 인터뷰에서 당시 상황이 언론 보도보다 더 심각했으며, 코치들이 폭행 사실을 발설하면 선수 생활을 망치겠다고 협박했다고 증언했다. 또한, 은퇴 후에도 같은 스포츠 업계에서 일하는 것이 힘들었다고 밝혔다.[26]

쇼트트랙 국가대표 코치가 중학생 선수를 성폭행하려다 미수에 그친 사건도 있었으며, 연맹 고위 간부가 이 사건을 은폐하려 했다는 사실이 밝혀지기도 했다.[115][116]

4. 1. 4. 한국 빙상계 파벌 갈등과 안현수

한국 쇼트트랙은 1990년대부터 파벌 갈등이 끊이지 않았다. 선수들은 국제 대회 성적에 따른 포상금, 연금, 병역 혜택, 대학 특기생 입학 등 여러 혜택을 받았지만, 코치와 선수 간의 권력 불균형으로 인해 폭행, 성폭력, 승부조작 등의 문제가 발생했다.[124][126][127][128][129][133][125]

2005년에는 안현수와 성시백이 국제 대회에서 선배 선수들에게 폭행을 당했고,[20][21] 2004년에는 여자 선수들이 코치로부터 심한 신체적 학대를 받았다는 진술이 나왔다.[23][24] 이러한 사건들은 2014년 안현수의 러시아 귀화와 관련하여 다시 주목받았고, 2018년 심석희 폭행 사건과 변천사의 인터뷰를 통해 더 큰 관심을 받았다.[25][26]

2006년 토리노 동계 올림픽에서는 한국체대 출신과 비한국체대 출신 선수들 간의 파벌 갈등이 공개적으로 드러났다.[18][27] 안현수는 한국체대 출신 코치의 폭행 방조 및 사주 사실을 폭로한 후 여자팀과 훈련하게 되었고,[20][28] 비한국체대 출신인 진선유는 코치의 지시에 따라 경기에서 방해를 받았다.[27][29]

2010년 밴쿠버 동계 올림픽 이후에는 승부 조작 및 내부 파벌 문제가 불거졌다.[13][36] 이정수는 코치의 강요로 부상 진술서를 작성하고 세계 선수권 대회 개인전 출전 기회를 잃었다고 폭로했다.[41][42] 이 사건은 안현수 아버지에 의해 대중에게 알려졌고, 한국 사회와 스포츠계를 뒤흔들었다.[37][40]

안현수는 2010년 승부 조작 사건의 여파, 소속팀 해체, 파벌 문제 등으로 인해 2011년 러시아로 귀화했다.[49][50][56][57]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에서 금메달 3개와 동메달 1개를 획득하며 한국 사회에 큰 반향을 일으켰고, 대한빙상경기연맹은 거센 비판을 받았다.[58][59]

4. 1. 5. 빙상 대부와 빙상 적폐의 논란, 전명규

한국의 동계 올림픽 스포츠는 1988년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이 올림픽 시범 종목으로 채택되면서 시작되었다. 김기훈이준호가 1500m와 3000m에서 1위를 기록했다.[119] 1992년 알베르빌 동계 올림픽에서 쇼트트랙이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고, 김기훈이 1000m 금메달을 획득하면서 한국은 동계 올림픽에서 메달을 획득하기 시작했다.[120] 1992년부터 2022년까지 한국은 총 79개의 올림픽 메달을 획득했으며, 이 중 75개가 대한빙상경기연맹이 관리하는 스케이팅 종목에서 나왔다. 특히 쇼트트랙에서는 금메달 26개를 포함하여 총 53개의 올림픽 메달을 획득했다.[121]

하지만 대한빙상경기연맹과 쇼트트랙은 1990년대부터 선수 폭행, 성폭력, 파벌 형성, 승부 조작 등 여러 논란에 휩싸였다.[122][123] 선수들은 국제 대회 성적에 따라 포상금, 연금, 병역 면제 (아시안 게임 금메달 또는 동계 올림픽 메달 획득 시), 대학 입학 특혜 등 다양한 혜택을 받았다.[124][125] 이로 인해 성적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코치와 선수 간에는 스승과 제자 관계를 넘어서는 권력 구도가 형성되었다.[126][127] 코치에게 반항하거나 지시를 어기면 보복을 당했고, 폭행이나 성폭력은 은폐, 방관, 침묵 속에서 이루어졌다. 2019년 1월, 빙상계 성폭력 파문 당시 일부 선수들은 국민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익명이 보장되어도 위험부담이 너무 크다. 안현수처럼 유명한 선수도 폭로 후 인생이 바뀌었다. 입을 여는 순간 선수의 인생은 끝날 수 있다"라고 증언했다.[128][129]

이러한 권력 관계 속에서 선수들은 지도자, 대학, 실업팀으로 나뉘어 경쟁했고, 이는 곧 파벌 형성으로 이어졌다.[124][130] 실업팀 입단 과정에도 고위 임원과 코치들이 관여하여 선수들에게 압력을 가했으며,[131][132] 금품 및 메달 거래, 심판 매수, 승부 조작 등의 사건이 발생하고 폭로와 고발, 폭행 사건 등의 논란으로 이어졌다.[133][125] 이로 인해 빙상연맹 관계자들과 국가대표 코치들이 경찰에 입건되기도 했다.[133][134]

2018년 12월, 변천사는 JTBC 뉴스룸과의 인터뷰에서 "당시 언론에 보도된 내용보다 실제로는 더 심각했다. 코치들은 '폭행에 대해 말하면 어디를 가든 너희를 끝까지 망쳐놓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우리는 실제로 죽을 수도 있다는 생각에 진실을 폭로했다. 그 후 선수로서의 내 삶은 매우 어려웠다. 은퇴 후에도 같은 스포츠 업계에서 일하는 것이 힘들었다. 14년이 지난 지금도 그 기억은 생생하다. 우리는 모두 많은 심리적 고통을 안고 살아가고 있다"라고 증언했다.[26]

4. 1. 6. 젊은 빙상인 연대와 전명규

1992년 알베르빌 동계 올림픽에서 쇼트트랙이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고 김기훈이 1000m 금메달을 획득한 이후로 한국은 동계 올림픽에서 메달을 획득하기 시작하였다.[120] 그러나, 대한빙상경기연맹과 쇼트트랙은 1990년대부터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122][123]

선수들은 국제대회 성적에 따라 포상금과 연금 혜택을 받았고, 남자 선수의 경우에는 아시안 게임 금메달이나 동계 올림픽에서 메달을 획득하면 병역면제 혜택을 받았다.[124] 대학 입학을 앞둔 고등학생 선수들에게는 체육 특기생 혜택이 주어졌다.[125] 이러한 상황은 성적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코치와 어린 시절부터 코치의 영향력 아래 놓인 선수들 간에 스승과 제자 관계를 넘어서는 권력 구도를 만들었다.[126][127]

이러한 권력 관계 속에서 선수들은 지도자와 대학, 그리고 실업팀으로 갈라져 경쟁하게 되었으며, 이는 곧 파벌이라는 형태로 변형되었다.[124][130] 실업팀 입단에도 고위 임원들과 코치들이 관여하여 선수들에게 압박을 가했다.[131][132] 금품과 메달 거래로 인해 심판 매수, 승부 조작 등의 사건들이 발생했고, 폭로와 고발, 폭행 사건 등의 논란으로 이어졌다.[133][125]

선수가 코치의 지시에 거역하거나 대립하면 보복을 당했고, 폭행이나 성폭력은 은폐, 방관, 침묵해야 했다. 2019년 1월 한국 빙상계가 성폭력 파문으로 뒤덮였을 때 국민일보에 일부 선수들은 "익명이 보장된다 해도 위험부담이 너무 크다. 안현수처럼 유명한 선수도 폭로 후 인생이 바뀌었다. 입을 여는 순간 선수의 인생은 끝날 수 있다."라고 증언했다.[128][129]

폭행 피해자 중에는 올림픽 메달리스트와 세계 챔피언도 포함되었다. 2005년, 안현수와 성시백은 국제 대회에서 선배 선수들에게 폭행을 당했다.[20][21] 2004년 11월에는 최은경, 여수연, 변천사, 허희빈, 강윤미, 진선유 등 6명의 여자 선수들이 코치들로부터 머리카락이 뽑히고 하키 스틱으로 맞는 등 심한 신체적 학대를 경험했다고 진술했다.[23][24] 그러나 이러한 사건들은 곧 잊혀졌고, 폭행 가해자들은 이후 올림픽에서 다시 국가대표 코치로 임명되었다.

2018년 12월, 변천사는 당시 상황에 대해 "당시 언론에 보도된 내용보다 실제로는 더 심각했다. 코치들은 우리에게 '폭행에 대해 말하면, 어디를 가든 너희를 끝까지 망쳐놓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우리는 실제로 죽을 수도 있다는 생각에 진실을 폭로했다. 그 후, 선수로서의 내 삶은 매우 어려웠다. 은퇴 후에도 같은 스포츠 업계에서 일하는 것이 힘들었다. 14년이 지난 지금도 그 기억은 생생하다. 우리는 모두 많은 심리적 고통을 안고 살아가고 있다."라고 증언했다.[26]

4. 1. 7. 한국 빙상계의 국정농단 게이트 연루 사건

한국의 동계 올림픽 참가는 1988년 쇼트트랙이 시범 종목으로 채택되면서 시작되었다. 김기훈이준호가 각각 1500m와 3000m에서 1위를 차지했다.[119] 이후 1992년 알베르빌 동계 올림픽에서 쇼트트랙이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고, 김기훈이 1000m 금메달을 획득하면서 한국은 동계 올림픽에서 메달을 획득하기 시작했다.[120] 1992년부터 2022년까지 한국은 총 79개의 올림픽 메달을 획득했으며, 이 중 75개가 대한빙상경기연맹이 관리하는 스케이팅 종목에서 나왔다. 특히 쇼트트랙에서는 금메달 26개를 포함하여 총 53개의 메달을 획득했다.[121]

그러나 대한빙상경기연맹과 쇼트트랙은 1990년대부터 여러 논란에 휩싸였다.[122][123] 선수들은 국제 대회 성적에 따라 포상금과 연금을 받았고, 남자 선수들은 아시안 게임 금메달이나 동계 올림픽 메달 획득 시 병역면제 혜택을 받았다.[124] 대학 입시를 앞둔 고등학생 선수들에게는 체육 특기생 혜택이 주어졌다.[125] 이러한 상황은 성적 향상을 도와줄 수 있는 코치와 선수 간의 권력 구조를 형성하게 만들었다.[126][127] 코치의 지시에 불응하는 선수는 보복을 당했고, 폭행이나 성폭력은 은폐, 방관, 침묵 속에서 이루어졌다. 2019년 1월, 한국 빙상계가 성폭력 파문으로 떠들썩했을 때 국민일보는 일부 선수들의 증언을 보도했다. 선수들은 "익명이 보장되어도 위험부담이 너무 크다", "안현수처럼 유명한 선수도 폭로 후 인생이 바뀌었다. 입을 여는 순간 선수의 인생은 끝날 수 있다"라고 말했다.[128][129]

이러한 권력 관계는 선수들이 지도자, 대학, 실업팀으로 나뉘어 경쟁하게 만들었고, 이는 곧 파벌 형성으로 이어졌다.[124][130] 실업팀 입단 과정에도 고위 임원과 코치들이 관여하여 선수들에게 압력을 가했다.[131][132] 금품과 메달 거래로 인한 심판 매수, 승부 조작 등의 사건이 발생했고, 폭로와 고발, 폭행 사건 등의 논란으로 이어졌다.[133][125] 빙상연맹 관계자들과 국가대표 코치들이 경찰에 입건되는 일도 발생했다.[133][134]

2018년 12월, 변천사는 당시 상황에 대해 다음과 같이 증언했다.[26]

"당시 언론에 보도된 내용보다 실제로는 더 심각했다. 코치들은 우리에게 '폭행에 대해 말하면, 어디를 가든 너희를 끝까지 망쳐놓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우리는 실제로 죽을 수도 있다는 생각에 진실을 폭로했다. 그 후, 선수로서의 내 삶은 매우 어려웠다. 은퇴 후에도 같은 스포츠 업계에서 일하는 것이 힘들었다. 14년이 지난 지금도 그 기억은 생생하다. 우리는 모두 많은 심리적 고통을 안고 살아가고 있다."

4. 2. 선수 안전 보호 의무 책임 회피 논란

1992년 알베르빌 동계 올림픽에서 쇼트트랙이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이후, 대한빙상경기연맹과 쇼트트랙은 1990년대부터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122][123] 선수들은 국제대회 성적에 따라 포상금, 연금, 병역면제 혜택을 받았고, 체육 특기생 혜택도 주어졌다.[124][125] 이 과정에서 성적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코치들과 선수들 간에 권력 구도가 생겨났고, 선수들은 코치에 의해 폭행, 성폭력, 승부 조작 등의 피해를 입었다.[126][127][133]

2019년 1월, 한국 빙상계가 성폭력 파문으로 뒤덮였을 때 국민일보는 일부 선수들의 증언을 인용, "익명이 보장된다 해도 위험부담이 너무 크다.""안현수처럼 유명한 선수도 폭로 후 인생이 바뀌었다. 입을 여는 순간 선수의 인생은 끝날 수 있다."라고 보도했다.[128][129]

2017년 10월,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 노선영은 개인 종목 대표 자격이 없었음에도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팀 추월 대표로 선출되었다. 이후 노선영이 개인 종목에 출전하지 못하게 되면서 팀 추월 대표에서 제외되었지만, 연맹은 이 사실을 사전에 확인하지 않아 선수와 갈등이 발생했다.[117]

2008년에는 피겨 스케이팅 선수 김나영이 국제빙상경기연맹 2008/2009 ISU 그랑프리 시리즈에 초청받는 과정에서 연맹이 팬들에게 "개최국으로부터 연락이 올 때까지 아무것도 할 수 없다"고 말한 사실이 밝혀져 비난을 받았다.[113][114]

4. 3. 선수들에 대한 지원 및 행정 처리 미숙 논란

1992년 알베르빌 동계 올림픽에서 쇼트트랙이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고 김기훈이 1000m 금메달을 획득한 이후로 한국은 동계 올림픽에서 메달을 획득하기 시작하였다.[120] 1992년부터 2022년까지 모두 79개의 올림픽 메달을 획득하였고, 그중에서 75개의 올림픽 메달은 대한빙상경기연맹이 관리하는 스케이팅 종목에서 획득하였다. 특히, 금메달 26개 등 모두 53개의 올림픽 메달을 획득한 종목은 쇼트트랙이다.[121]

하지만, 대한빙상경기연맹과 쇼트트랙은 1990년대부터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122][123] 선수들은 국제대회 성적에 따라 포상금과 연금 혜택이 있었고, 남자 선수의 경우에는 아시안 게임 금메달이나 동계 올림픽에서 메달을 획득하면 병역면제 혜택이 주어졌다.[124] 대학 입학을 앞둔 고등학생 선수들에게는 체육 특기생 혜택이 주어졌다.[125] 자연스럽게 성적을 향상시켜줄 수 있는 코치들과 어린 시절부터 코치의 영향력 아래 놓인 선수들 간에 스승과 제자 관계를 넘어서는 권력 구도가 생겨났다.[126][127] 선수가 코치에 거역하고 대립하거나 지시를 어기면 보복을 당했다. 폭행이나 성폭력은 은폐되었고, 방관했고, 침묵해야 했다. 2019년 1월 한국 빙상계가 성폭력 파문으로 뒤덮였을 때 국민일보에 일부 선수들은 "익명이 보장된다 해도 위험부담이 너무 크다.", "안현수처럼 유명한 선수도 폭로 후 인생이 바뀌었다. 입을 여는 순간 선수의 인생은 끝날 수 있다."라고 증언하였다.[128][129]

이런 관계 속에서 선수들은 지도자와 대학, 그리고 실업팀으로 갈라져 경쟁하게 되었으며, 곧 파벌이라는 형태로 관계가 변형되었다.[124][130] 급여를 받고 정부의 지원으로 선수 생활을 할 수 있는 실업팀 입단까지도 고위 임원들과 코치들은 관여했고, 선수들에게 압박을 주었다.[131][132] 금품과 메달 거래로 인해 심판 매수, 승부 조작 등의 사건들이 일어났고 폭로와 고발, 폭행 사건 등의 논란으로 이어졌다.[133][125] 그리고 빙상연맹 관계자들과 국가대표 코치들이 경찰에 입건되는 일들이 발생했다.[133][134]

2008년, 피겨 스케이팅 여자 선수 김나영은 국제빙상경기연맹의 2008/2009 ISU 그랑프리 시리즈에서 처음에는 6차 대회인 NHK배에만 초청받았지만, 5차 대회인 러시아컵에 결원이 생기자 이 사실을 알게 된 팬 사이트 '김나영 팬카페' 운영자인 15세 남자 중학생과 20대 여대생 팬들의 노력으로 5차 대회 초청을 받게 되었다.[113] 그러나 이 과정에서 두 팬이 사전에 빙상연맹에 상황을 알렸음에도 불구하고 "개최국으로부터 연락이 올 때까지 아무것도 할 수 없다"고 말한 사실이 밝혀져 큰 비난을 받았다.[114]

2017년 10월,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 노선영은 개인 종목 대표 자격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팀 추월 대표로 선출되었다. 이후 노선영이 개인 종목에 출전하지 못하게 되면서 팀 추월 대표에서 제외되었지만, 연맹은 이 사실을 사전에 확인하지 않았고, 노선영은 SNS를 통해 연맹을 비판했다.[117] 이후 노선영은 도핑 문제로 인해 러시아 선수들이 출전을 포기하면서 개인 종목에 출전할 수 있게 되었고, 다시 팀 추월 대표로 선출되었으나, 앞서 언급한 비판으로 인해 대표팀 감독 및 팀 추월 대표 선수인 김보름, 박지우 등과 갈등이 발생, 의사소통이 제대로 되지 않은 채 준준결승에서 큰 격차로 뒤처지는 상황이 발생했다.[117] 이 소동은 준준결승 종료 후 인터뷰에서 노선영에게 책임을 돌리는 발언을 한 김보름과 박지우에 대한 비판으로 확산되었고, 두 선수의 대표 자격 박탈과 연맹에 대한 적폐 청산을 요구하는 탄원이 3월 6일 기준으로 61만 명 이상 모였으며, 이 사태를 심각하게 여긴 청와대는 진상 조사를 실시한다고 발표했다.[118]

5. 빙상계에서 일어난 사건들

대한빙상경기연맹과 쇼트트랙은 1990년대부터 선수들의 포상금, 연금, 병역면제(아시안 게임 금메달 또는 동계 올림픽 메달 획득 시), 체육 특기생 혜택(대학 입학 예정인 고등학생 선수) 등 국제 대회 성적에 따른 다양한 혜택과 관련하여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122][123][124][125] 이러한 상황에서 성적 향상을 도와주는 코치와 어린 시절부터 코치의 영향력 아래에 놓인 선수들 사이에 사제 관계를 넘어서는 권력 구도가 형성되었다.[126][127]

선수들은 코치에게 반항하거나 지시를 어길 경우 불이익을 받았고, 폭행이나 성폭력은 은폐되거나 방관 속에서 침묵해야 했다. 2019년 1월 한국 빙상계가 성폭력 파문으로 뒤덮였을 때, 일부 선수들은 국민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익명이 보장된다 해도 위험부담이 너무 크다", "안현수처럼 유명한 선수도 폭로 후 인생이 바뀌었다. 입을 여는 순간 선수의 인생은 끝날 수 있다"라고 증언했다.[128][129]

실업팀 입단 과정에도 고위 임원들과 코치들이 관여하여 선수들에게 압력을 가했으며,[131][132] 금품 및 메달 거래, 심판 매수, 승부 조작 등의 사건들이 발생하고 폭로, 고발, 폭행 사건 등으로 이어졌다.[133][125] 이로 인해 빙상연맹 관계자들과 국가대표 코치들이 경찰에 입건되기도 했다.[133][134]

2017년 10월에는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 노선영이 개인 종목 대표 자격이 없었음에도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팀 추월 대표로 선출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후 노선영은 개인 종목 출전 불가로 팀 추월 대표에서 제외되었지만, 연맹은 이를 사전에 확인하지 않았다. 노선영은 SNS를 통해 연맹을 비판했다.[117] 이후 러시아 선수들의 도핑 문제로 노선영은 개인 종목 출전 기회를 얻어 다시 팀 추월 대표로 선출되었으나, 앞선 비판으로 인해 대표팀 감독 및 김보름, 박지우 등 팀 추월 대표 선수들과 갈등이 발생했다. 결국 준준결승에서 의사소통 부재로 큰 격차로 뒤처지는 상황이 발생했다.[117] 경기 후 인터뷰에서 김보름과 박지우가 노선영에게 책임을 돌리는 듯한 발언을 하면서 비판 여론이 확산되었고, 두 선수의 대표 자격 박탈과 연맹 적폐 청산을 요구하는 청와대 국민청원에 61만 명 이상이 참여했다. 청와대는 진상 조사를 발표했다.[118]

5. 1. 1970-2000년

1947년 국제빙상경기연맹에 정식으로 가입하였다. 1948년 1월 스위스 생모리츠에서 열린 제5회 동계올림픽에 한국 빙상 선수단 최초로 4명의 선수가 참가하였으며, 같은 해 9월 대한빙상경기연맹으로 개칭하였다.

1988년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이 올림픽 시범 종목으로 실시되면서 김기훈이준호가 1500m와 3000m에서 1위를 하였다.[119] 1992년 알베르빌 동계 올림픽에서 쇼트트랙이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고 김기훈이 1000m 금메달을 획득한 이후로 한국은 동계 올림픽에서 메달을 획득하기 시작하였다.[120]

하지만, 대한빙상경기연맹과 쇼트트랙은 1990년대부터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122][123] 국제대회 성적에 따라 선수들은 포상금과 연금 혜택을 받았고, 남자 선수는 아시안 게임 금메달이나 동계 올림픽 메달 획득 시 병역면제 혜택이 주어졌다.[124] 대학 입학을 앞둔 고등학생 선수에게는 체육 특기생 혜택이 주어졌다.[125] 자연스럽게 성적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코치와 어린 시절부터 코치의 영향력 아래 놓인 선수 간에는 스승과 제자 관계를 넘어서는 권력 구도가 생겨났다.[126][127]

이런 관계 속에서 선수들은 지도자와 대학, 실업팀으로 갈라져 경쟁했으며, 이는 곧 파벌이라는 형태로 변형되었다.[124][130] 금품과 메달 거래로 인해 심판 매수, 승부 조작 등의 사건이 발생했고, 폭로와 고발, 폭행 사건 등의 논란으로 이어졌다.[133][125] 빙상연맹 관계자와 국가대표 코치들이 경찰에 입건되는 일도 발생했다.[133][134]

5. 2. 2001-2010년

1988년 캘거리 동계 올림픽에서 쇼트트랙이 시범 종목으로 채택된 이후, 김기훈이준호가 각각 1500m와 3000m에서 1위를 기록했다.[119] 1992년 알베르빌 동계 올림픽에서 쇼트트랙이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고 김기훈이 1000m 금메달을 획득하면서 한국은 동계 올림픽에서 메달을 획득하기 시작했다.[120] 1992년부터 2022년까지 한국은 총 79개의 올림픽 메달을 획득했으며, 이 중 75개가 대한빙상경기연맹 산하 스케이팅 종목에서 나왔다. 특히 쇼트트랙은 금메달 26개를 포함해 총 53개의 올림픽 메달을 획득한 효자 종목이다.[121]

하지만 1990년대부터 대한빙상경기연맹과 쇼트트랙을 둘러싼 논란은 끊이지 않았다.[122][123] 선수들은 국제 대회 성적에 따라 포상금, 연금, 병역 면제(아시안 게임 금메달 또는 동계 올림픽 메달 획득 시), 체육 특기생 혜택(대학 입학 예정인 고등학생 선수) 등 다양한 혜택을 받았다.[124][125] 이러한 상황에서 성적 향상을 도와주는 코치와 어린 시절부터 코치의 영향력 아래 놓인 선수들 사이에 사제 관계를 넘어서는 권력 구도가 형성되었다.[126][127] 선수들은 지도자, 대학, 실업팀으로 나뉘어 경쟁하면서 파벌이 형성되었다.[124][130]

선수들은 코치에게 반항하거나 지시를 어길 경우 불이익을 받았고, 폭행이나 성폭력은 은폐, 방관, 침묵 속에서 이루어졌다. 2019년 1월 한국 빙상계가 성폭력 파문으로 뒤덮였을 때, 일부 선수들은 국민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익명이 보장된다 해도 위험부담이 너무 크다", "안현수처럼 유명한 선수도 폭로 후 인생이 바뀌었다. 입을 여는 순간 선수의 인생은 끝날 수 있다"라고 증언했다.[128][129]

실업팀 입단 과정에도 고위 임원들과 코치들이 관여하여 선수들에게 압력을 가했으며,[131][132] 금품 및 메달 거래, 심판 매수, 승부 조작 등의 사건들이 발생하고 폭로, 고발, 폭행 사건 등으로 이어졌다.[133][125] 이로 인해 빙상연맹 관계자들과 국가대표 코치들이 경찰에 입건되기도 했다.[133][134] 쇼트트랙 국가대표 코치가 중학생 선수를 자신의 오피스텔로 유인하여 성폭행을 시도하다 미수에 그친 사건이 발생했고, 이 코치의 스승인 연맹 고위급 간부가 사건을 은폐하려 했다는 사실도 밝혀졌다.[115][116]

5. 3. 2011-현재

한국의 올림픽 겨울 스포츠는 1988년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이 올림픽에 시범종목으로 실시되면서 김기훈이준호가 1500m와 3000m에서 1위를 하면서 시작되었다.[119] 1992년 알베르빌 동계 올림픽에서 쇼트트랙이 올림픽 정식 종목에 채택되고 김기훈이 1000m 금메달을 획득한 이후로 한국은 동계 올림픽에서 메달을 획득하기 시작하였다.[120] 1992년부터 2022년까지 79개의 올림픽 메달을 획득하였고, 이 중 75개는 대한빙상연맹이 관리하는 스케이팅 종목에서 획득하였다. 쇼트트랙은 금메달 26개를 포함하여 모두 53개의 올림픽 메달을 획득한 종목이다.[121]

하지만 대한빙상경기연맹과 쇼트트랙은 1990년대부터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122][123] 선수들은 국제대회 성적에 따라 포상금과 연금 혜택을 받았고, 남자 선수는 아시안 게임 금메달이나 동계 올림픽 메달을 획득하면 병역면제 혜택이 주어졌다.[124] 대학 입학을 앞둔 고등학생 선수에게는 체육 특기생 혜택이 주어졌다.[125] 자연스럽게 성적을 향상시켜줄 수 있는 코치와 어린 시절부터 코치의 영향력 아래 놓인 선수 간에 스승과 제자 관계를 넘어서는 권력 구도가 생겨났다.[126][127] 선수가 코치에 거역하거나 지시를 어기면 보복을 당했고, 폭행이나 성폭력은 은폐, 방관, 침묵해야 했다. 2019년 1월 한국 빙상계가 성폭력 파문으로 뒤덮였을 때 국민일보에 일부 선수들은 "익명이 보장된다 해도 위험부담이 너무 크다. 안현수처럼 유명한 선수도 폭로 후 인생이 바뀌었다. 입을 여는 순간 선수의 인생은 끝날 수 있다"라고 증언하였다.[128][129]

이러한 관계 속에서 선수들은 지도자와 대학, 실업팀으로 갈라져 경쟁했으며, 이는 곧 파벌이라는 형태로 변형되었다.[124][130] 급여를 받고 정부 지원으로 선수 생활을 할 수 있는 실업팀 입단에도 고위 임원과 코치들이 관여하여 선수들에게 압박을 주었다.[131][132] 금품과 메달 거래로 인해 심판 매수, 승부 조작 등의 사건이 일어났고, 폭로와 고발, 폭행 사건 등의 논란으로 이어졌다.[133][125] 빙상연맹 관계자와 국가대표 코치들이 경찰에 입건되는 일도 발생했다.[133][134] 쇼트트랙 국가대표 코치가 중학생 선수를 자신의 오피스텔로 유인하여 성폭행을 시도했으나 미수에 그쳤고, 이 코치의 스승에 해당하는 연맹 고위급 간부 중 한 명이 이 사건을 은폐하려 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115][116]

2017년 10월,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 노선영이 개인 종목 대표 자격이 없었음에도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팀 추월 대표로 선출되었다. 이후 노선영이 개인 종목에 출전하지 못하게 되면서 팀 추월 대표에서 제외되었지만, 연맹은 이 사실을 사전에 확인하지 않았고, 노선영은 SNS를 통해 연맹을 비판했다.[117] 이후 노선영은 도핑 문제로 러시아 선수들이 출전을 포기하면서 개인 종목에 출전할 수 있게 되었고, 다시 팀 추월 대표로 선출되었으나, 앞서 언급한 비판으로 인해 대표팀 감독 및 팀 추월 대표 선수인 김보름, 박지우 등과 갈등이 발생, 의사소통이 제대로 되지 않은 채 준준결승에서 큰 격차로 뒤처지는 상황이 발생했다.[117] 이 소동은 준준결승 종료 후 인터뷰에서 노선영에게 책임을 돌리는 발언을 한 김보름과 박지우에 대한 비판으로 확산되었고, 두 선수의 대표 자격 박탈과 연맹에 대한 적폐 청산을 요구하는 탄원이 3월 6일 기준으로 61만 명 이상 모였으며, 청와대는 진상 조사를 실시한다고 발표했다.[118]

6. 주요 대회 메달 통계

주어진 원본 소스가 비어 있었기 때문에, 이전 답변과 동일하게 '주요 대회 메달 통계' 섹션에 대한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원본 소스 제공이 필요합니다.

7. 역대 회장

역대 회장 목록[8]
이름임기
이일1945–1950
최재은1950–1954
박영진1954–1958, 1963-1964
이성덕1958–1959
박진석1959–1962
엄점득1962–1963
장협1964–1966
장기섭1966–1968, 1973-1975
이진용1968–1970
이병희1970–1971
조동하1971–1973
박동선1975–1978
황충화1978–1980
이수영1980–1993
장명희1993–1995
나승렬1995–1997
박성인1997–2011
김재열2011–2016
김상항2016–2018
윤홍근2020–현재


참조

[1] 웹사이트 "[Fountain] An eye on the ice ahead" https://koreajoongan[...] 2023-06-18
[2] 웹사이트 "[신명철의 스포츠뒤집기] 한국 스포츠 종목별 발전사 빙상경기(1)" https://www.spotvnew[...] 2023-06-18
[3] 웹사이트 Gov't to launch audit into skating governing body over alleged corruption https://en.yna.co.kr[...] 2023-06-18
[4] 웹사이트 Top official resigns after Government launch investigation into Korea Skating Union https://www.insideth[...] 2023-06-18
[5] 웹사이트 Korea Skating Union was a one-man show https://koreajoongan[...] 2023-06-18
[6] 웹사이트 Nat'l skating body to receive 'special care' from top sports organization over corruption https://en.yna.co.kr[...] 2023-06-18
[7] 웹사이트 대한빙상연맹, 2년 3개월 만에 관리단체 해제…정상화 박차 https://sports.news.[...] 2023-06-18
[8] 웹사이트 대한빙상경기연맹 역대 회장 https://skating.or.k[...] 2023-06-18
[9] 웹사이트 Short Track Speed Skating https://www.olympedi[...] 2023-09-30
[10] 뉴스 "日 여대생 선수도 피해" 韓 체육계 '(성)폭력 연대기' https://www.nocutnew[...] 2023-09-30
[11] 뉴스 "[Newsmaker] Scandal sheds light on skating union's mistreatment " https://www.koreaher[...] 2023-09-30
[12] 뉴스 "[PyeongChang 2018] Case of misogyny? ‘Bully’ skater wins silver, yet dispute lingers " https://www.koreaher[...] 2023-09-30
[13] 뉴스 Heavy Punishment Sought for Short Track Scandal https://www.koreatim[...] 2023-09-30
[14] 뉴스 The female athletes speaking out about South Korean skating’s culture of abuse https://edition.cnn.[...] 2023-09-30
[15] 뉴스 코치·선수 간 주종관계…쇼트트랙 성폭행 파문 불렀다 https://www.hani.co.[...] 2023-09-30
[16] 뉴스 "[Editorial] State and athletic authorities responsible for sexual abuse of athletes" https://www.hani.co.[...] 2023-10-13
[17] 뉴스 "[단독] \"전명규 측, 성폭행 폭로 막으려 지속 압박\"" https://news.kmib.co[...] 2023-09-30
[18] 뉴스 Skating Team Discord https://www.donga.co[...] 2023-09-30
[19] 뉴스 "[Editorial] The Ugly Factionalism in Korean Short Track" https://english.hani[...] 2023-10-13
[20] 뉴스 쇼트트랙 폭행 방조 전 코치, 국가대표 감독 재선임 https://www.chosun.c[...] 2023-09-30
[21] 뉴스 바람 잘날 없는 쇼트트랙 https://n.news.naver[...] 2023-09-30
[22] 뉴스 쇼트트랙선발 뒷거래 빙상연맹 부회장 입건 https://www.hani.co.[...] 2023-09-30
[23] 뉴스 죽도록 두들겨 맞고…" 여자 쇼트트랙 ‘폭력의 얼음판' https://www.donga.co[...] 2023-09-30
[24] 뉴스 Short-track team to miss World Cup https://koreajoongan[...] 2023-09-30
[25] 뉴스 안현수 金 후폭풍, 전명규-최광복-김소희 논란에 빙상연맹 홈피폭주 https://entertain.na[...] 2023-09-30
[26] 뉴스 "[인터뷰] 14년 전 대표팀 구타 첫 폭로…변천사 선수" https://news.jtbc.co[...] 2023-09-30
[27] 뉴스 "'뿌리부터 썩은' 쇼트트랙 파벌 싸움" https://news.sbs.co.[...] 2023-09-30
[28] 뉴스 쇼트트랙 대표선수 일부, 전지훈련 불참 https://news.sbs.co.[...] 2023-10-05
[29] 뉴스 더러운 파벌 싸움이 지어준 그 이름 ‘빅토르 안’ http://www.sisajourn[...] 2023-09-30
[30] 뉴스 쇼트트랙 부진은 빙상계 파벌싸움 탓? https://www.chosun.c[...] 2010-10-05
[31] 뉴스 After quarrel, skaters to have just one coach https://koreajoongan[...] 2023-09-30
[32] 뉴스 Short track great Viktor Ahn retires from speed skating https://olympics.com[...] 2023-09-30
[33] 뉴스 "[말] \"인터뷰 중인 안현수\"" https://n.news.naver[...] 2023-09-30
[34] 뉴스 빙상연맹 상벌위원회 열어 쇼트트랙 선수단 징계 검토 https://v.daum.net/v[...] 2023-09-30
[35] 뉴스 빙상聯 쇼트트랙 진상조사위 "파벌의 골 너무 깊다"’ https://v.daum.net/v[...] 2023-09-30
[36] 뉴스 South Korean Olympic gold medallist banned in race-fixing scandal https://www.insideth[...] 2010-05-06
[37] 뉴스 권금중 중고빙상경기연맹 부회장, 쇼트트랙 외압 조사위 합류 https://www.chosun.c[...] 2010-04-15
[38] 뉴스 Favoritism controversy jars skaters https://koreajoongan[...] 2010-03-31
[39] 뉴스 Triumphant Short Track Team Returns to Controversy https://www.donga.co[...] 2010-03-31
[40] 뉴스 안현수 父 "이정수 자필사유서? 강압,조작됐다" https://www.nocutnew[...] 2010-03-26
[41] 뉴스 Internal Conflict Deepens for Short Track Team https://www.donga.co[...] 2010-04-21
[42] 뉴스 Short Track Officials Lean Toward Rigging https://www.koreatim[...] 2010-04-21
[43] 뉴스 진흙탕 쇼트트랙과 '겨울왕국'의 권력자들 https://www.hani.co.[...] 2014-02-03
[44] 뉴스 Lee, Kwak suspended for 6 months https://www.koreatim[...] 2010-07-21
[45] 뉴스 "`Ass`t Coach Pressured Speed Skater to Miss Event`" https://www.donga.co[...] 2010-04-09
[46] 뉴스 Lee Forced to Be Seated in World Championships https://www.koreatim[...] 2010-04-08
[47] 뉴스 쇼트트랙계를 움직이는 ‘유라인’과 ‘전라인’ https://www.sisain.c[...] 2010-04-14
[48] 뉴스 "검은 쇼트트랙 눈감아온 빙상계 윗선 실체 밝혀야" https://www.chosun.c[...] 2010-04-14
[49] 뉴스 안현수부터 심석희까지…4년 주기 스캔들, 쇼트트랙 대표팀 '잔혹사' https://www.sportsse[...] 2018-01-19
[50] 뉴스 ‘'영웅→귀화→비난' 안현수 "쇼트트랙 포기해야 논란 끝날 듯" https://sports.news.[...] 2022-03-20
[51] 뉴스 쇼트트랙 대표선발전 9월 연기에 선수와 팬들 반발 https://www.chosun.c[...] 2010-04-11
[52] 뉴스 "[그것이 알고싶다] 순위 아닌 기록(일정 구간 스피드)으로 선발방식 바꿨지만…" https://www.chosun.c[...] 2010-09-11
[53] 뉴스 "[인물탐구] 8년만에 메달 딴 ‘빅토르 안'" http://www.ilyoseoul[...] 2014-02-17
[54] 뉴스 파벌싸움의 끝, 어른들 갈등에 선수들 등 터진 쇼트트랙 https://www.joongang[...] 2010-03-01
[55] 뉴스 "[쇼트트랙 파문]파벌·담합·방관이 빚어 낸 합작품" https://n.news.naver[...] 2010-04-16
[56] 뉴스 Hyun-soo or Viktor, Ahn still favorite https://koreajoongan[...] 2014-02-04
[57] 뉴스 Naturalized Russian Skater Viktor Ahn Seeks Coaching Position in Korea https://english.chos[...] 2023-01-10
[58] 뉴스 Russian Skating Union denies debates with US over "buying" Victor Ahn https://tass.com/spo[...] 2014-02-22
[59] 뉴스 "‘Olympics-Short track-Ahn success sparks more questions than answers" https://www.reuters.[...] 2014-02-22
[60] 뉴스 "[취재파일] 전명규 부회장 이제는 말해야 한다" https://news.sbs.co.[...] 2014-02-17
[61] 뉴스 안현수 세계 정상 오른 날, ‘스승’ 전명규 부회장은 짐을 쌌다 https://www.hani.co.[...] 2014-03-17
[62] 뉴스 As Ahn shines again, ex-mentor leaves KSU https://koreajoongan[...] 2014-03-17
[63] 뉴스 전명규 눈가리고 아웅식 사퇴? 피해본 선수들만… https://news.heraldc[...] 2018-02-20
[64] 뉴스 Ex-skating official denies connection to sexual assault scandal https://en.yna.co.kr[...] 2019-01-21
[65] 뉴스 ‘의미 없는’ 사퇴 또 사퇴, 전명규의 끊이지 않는 논란 https://www.stnsport[...] 2018-04-12
[66] 뉴스 "전명규, 어깨 종양 발견된 故 노진규 수술 말렸다" https://www.seoul.co[...] 2018-04-08
[67] 뉴스 Senior skating official resigns while under gov't probe https://en.yna.co.kr[...] 2018-04-11
[68] 뉴스 "[위원석의 삼위일체]쇼트트랙① 한국 쇼트트랙과 '전명규의 유산'" https://sports.news.[...] 2018-12-06
[69] 뉴스 ‘안민석 "구악 vs 신악, 빙상연맹은 총성없는 전쟁중" https://www.nocutnew[...] 2018-02-22
[70] 뉴스 2014년 朴 대통령 '안현수 언급'도 최순실 입김이었나 https://www.nocutnew[...] 2016-11-09
[71] 뉴스 ‘안현수, 안민석에 '귀화, 전명규 때문 아니다' 문자 보내 https://n.news.naver[...] 2023-09-30
[72] 뉴스 "[쟁점 인터뷰] \"빙상계 문제가 파벌싸움? 본질은 독재다.\"" https://sports.news.[...] 2023-09-30
[73] 뉴스 ‘(2nd LD) Sports ministry finds ex-official exerted undue influence over nat'l skating body https://en.yna.co.kr[...] 2023-09-30
[74] 뉴스 “‘한체대-국대-실업팀’ 손아귀에…전명규가 쌓아 올린 ‘빙상 캐슬’의 실체" https://ilyo.co.kr/?[...] 2023-09-30
[75] 뉴스 Nat'l short track coach expelled for alleged sexual harassment https://en.yna.co.kr[...] 2023-09-30
[76] 뉴스 “‘안’은 파벌 수혜자이자 피해자 – 안현수·전명규 빙상연맹 부회장 과거사 풀스토리" https://ilyo.co.kr/?[...] 2023-09-30
[77] 뉴스 Hwaseong female skaters accuse former coach https://koreajoongan[...] 2023-09-30
[78] 뉴스 “‘선수 등 성추행한 전 화성시청 쇼트트랙 감독 집행유예" https://www.hani.co.[...] 2023-09-30
[79] 뉴스 화성시청, 쇼트트랙팀 ‘푸대접’ 논란 https://www.hani.co.[...] 2023-09-30
[80] 뉴스 KSOC addresses sexual assault https://koreajoongan[...] 2023-09-30
[81] 뉴스 '심석희 "초등 4년 때 아이스하키 채로 맞았다"' https://www.hani.co.[...] 2023-09-30
[82] 뉴스 South Korean Ex-Coach Sentenced To 10 Years Over Sexual Assault Of Olympic Champion https://www.npr.org/[...] 2023-09-30
[83] 뉴스 "Ice Leaders Federation Statement Announced "Concerned about the return of leader Viktor Ahn"" http://www.spotvnews[...] 2023-09-30
[84] 뉴스 '"심석희, 선수촌 밀폐공간서 코치에게 수십 차례 폭행당했다"' https://www.chosun.c[...] 2023-09-30
[85] 뉴스 ‘빙상 전횡 의혹’ 전명규 교수 파면 중징계 의결 https://news.kbs.co.[...] 2023-09-30
[86] 뉴스 Ex-speed skating coach wins suit against sports university over dismissal https://en.yna.co.kr[...] 2023-09-30
[87] 뉴스 '"전명규 교수님 돌려주세요" 심석희의 호소문' https://view.asiae.c[...] 2023-09-30
[88] 뉴스 '젊은빙상인연대 "전명규, 당신이 교수·스승인지 묻고 싶다"' https://www.donga.co[...] 2023-10-12
[89] 뉴스 "전명규 긴급 기자회견 \"성폭력 사건, 알지 못했다\"" https://www.yna.co.k[...] 2023-10-12
[90] 뉴스 '여준형 "젊은빙상인연대가 정치권과 연결? \'어불성설\'"' https://www.nocutnew[...] 2023-10-12
[91] 뉴스 "'성남 탄천빙상장 폭행 논란' 성남시는 응답하라 [SS취재석]" https://www.sportsse[...] 2023-10-12
[92] 뉴스 '무자격 코치가 선수 멱살 잡고 "실력 없으면 XXX라도 있어야"' https://news.kbs.co.[...] 2023-10-12
[93] 뉴스 '젊은빙상인연대,\'국민을 속였다!\' …진보의 가면을 쓴 추악한 분열[SS이슈①]' https://www.sportsse[...] 2023-10-12
[94] 뉴스 '박지훈 변호사의 용기있는 고백-개혁은 명분, 추악한 권력투쟁[SS이슈②]' https://www.sportsse[...] 2023-10-12
[95] 뉴스 "‘빙상대부’ 전명규, 국가서 손해배상 받는다…법원 \"위법조치로 정신적 고통\"" https://news.kbs.co.[...] 2023-09-30
[96] 뉴스 대법, 전명규 전 빙상연맹 부회장 파면 취소 확정 https://news.sbs.co.[...] 2023-09-30
[97] 뉴스 "[단독]전명규, 한국체대 교수 복직… '빙상계 비리'로 파면 후 4년만" https://view.asiae.c[...] 2023-09-30
[98] 뉴스 "(단독)법원 \"'쇼트트랙 국가대표' 노진규 사망은 의료사고\"" http://www.newstomat[...] 2023-09-30
[99] 뉴스 '[단독] 인권위 "전명규, 故노진규 골육종 투병에도 무리하게 출전"' https://www.seoul.co[...] 2023-09-30
[100] 뉴스 "[단독] '쇼트트랙 노진규 출전 강행' 전명규 패소…\"인권위가 명예훼손\" 소송" https://www.mbn.co.k[...] 2023-09-30
[101] 뉴스 (Yearender) S. Korean sports in 2016 clouded by Choi Soon-sil scandal https://en.yna.co.kr[...] 2023-09-30
[102] 뉴스 Choi’s niece allegedly flaunted ties with Park https://koreajoongan[...] 2023-09-30
[103] 뉴스 Star skater falls from grace https://www.koreatim[...] 2023-09-30
[104] 뉴스 "[서울포토]최순실 국정조사 청문회 증인 나온 이규혁" https://www.seoul.co[...] 2023-09-30
[105] 뉴스 '[최순실 국정농단 파문] 동계스포츠 전직 ‘국대’들에게 향한 검찰' https://www.seoul.co[...] 2023-09-30
[106] 뉴스 "[단독] 최순실-장시호, 지자체 운동부 인사까지 개입 정황 " https://www.hani.co.[...] 2023-09-30
[107] 뉴스 김종, 이규혁 '性 추문 전력' 알고도 밀어붙였나 https://www.nocutnew[...] 2023-09-30
[108] 뉴스 South Korean human rights group launches probe into sex assault in sports https://www.upi.com/[...] 2023-09-30
[109] 뉴스 실업 빙상선수 폭력 피해, 타 종목의 2배…75% "폭언 겪어 https://www.hani.co.[...] 2023-09-30
[110] 뉴스 Ex-figure skater gets 4-yr prison term for attempted rape of student https://en.yna.co.kr[...] 2023-09-28
[111] 뉴스 미성년 제자 추행 혐의 이규현에 징역 6년 구형 https://www.yna.co.k[...] 2023-09-30
[112] 웹사이트 【取材日記】韓国スケート連盟の代わりに土下座したキム・ボルム選手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中央日報日本語版 2018-03-02
[113] 웹사이트 김나영, 팬들의 도움으로 GP 출전권 획득 http://www.viewsnnew[...] 뷰스앤뉴스 2018-03-02
[114] 웹사이트 '김나영 나몰라라(?)' 정신줄 놓은 빙상연맹 http://sports.news.n[...] 스포츠한국 2014-02-16
[115] 웹사이트 쇼트트랙 국가대표팀 코치, 선수 성추행 논란…조사 착수 http://www.news-y.co[...] 연합뉴스 2014-02-16
[116] 웹사이트 쇼트트랙 국가대표 상비군 코치, 성폭행 혐의로 구속 http://economy.hanko[...] 서울경제 2014-02-16
[117] 웹사이트 平昌五輪:内紛の「生中継」、スケート女子に国民の怒り沸騰 http://www.chosunonl[...] 조선일보 2018-02-25
[118] 웹사이트 青瓦台がスケート女子内紛騒動の調査へ…「そこまでやるか」の声も http://www.chosunonl[...] 조선일보일본어판 2018-03-07
[119] 뉴스 흰 겨울에 핀 금빛 설화-겨울 올림픽 이야기 1 http://www.maniarepo[...] 2023-09-30
[120] 뉴스 한국 쇼트트랙의 선구자 김기훈 https://olympics.com[...] 2023-09-18
[121] 웹인용 대한빙상연맹 주요대회 성적 https://skating.or.k[...] 2023-09-18
[122] 뉴스 회장 퇴진 탄원 일파만파 내분 빙상연맹 난파위기 https://newslibrary.[...] 2023-09-18
[123] 뉴스 빙상연맹 회장 퇴진 학부모등 166명 서명 https://newslibrary.[...] 2023-09-18
[124] 뉴스 진흙탕 쇼트트랙과 '겨울왕국'의 권력자들 https://www.hani.co.[...] 2023-09-18
[125] 뉴스 쇼트트랙 승부조작 또… 이번엔 ‘가위바위보’ 짬짜미 https://www.donga.co[...] 2023-09-18
[126] 뉴스 코치·선수 간 주종관계…쇼트트랙 성폭행 파문 불렀다 https://www.hani.co.[...] 2023-09-18
[127] 뉴스 "[단독]이규현 '미성년 제자 성폭행' 장면, 불법 촬영했다" https://n.news.naver[...] 2023-09-18
[128] 뉴스 "[단독] “전명규 측, 성폭행 폭로 막으려 지속 압박”" https://news.kmib.co[...] 2023-09-18
[129] 뉴스 “‘한체대-국대-실업팀’ 손아귀에…전명규가 쌓아 올린 ‘빙상 캐슬’의 실체” https://ilyo.co.kr/?[...] 2023-09-18
[130] 뉴스 파벌싸움에 멍든 ‘쇼트트랙 코리아’ https://www.khan.co.[...] 2023-09-18
[131] 뉴스 실업 빙상선수 폭력 피해, 타 종목의 2배…75% “폭언 겪어 https://www.hani.co.[...] 2023-09-18
[132] 뉴스 "[단독] 제2의 조재범 또 있다…성폭력 피해 의혹 4명 중 2명 미성년자 " https://ilyo.co.kr/?[...] 2023-09-19
[133] 뉴스 쇼트트랙선발 뒷거래 빙상연맹 부회장 입건” https://www.hani.co.[...] 2023-09-18
[134] 뉴스 '70년대 빙상스타' 이영하씨 구속 https://n.news.naver[...] 2023-09-18
[135] 뉴스 장명희 빙상회장 금품 수수 https://newslibrary.[...] 2023-09-19
[136] 뉴스 "日 여대생 선수도 피해" 韓 체육계 '(성)폭력 연대기' https://www.nocutnew[...] 2023-09-19
[137] 뉴스 김종, 이규혁 '性 추문 전력' 알고도 밀어붙였나 https://www.nocutnew[...] 2023-09-19
[138] 뉴스 “죽도록 두들겨 맞고…” 여자 쇼트트랙 ‘폭력의 얼음판' https://www.donga.co[...] 2023-09-19
[139] 뉴스 "[엠스플 추적] ‘구타 지도자’가 승승장구하는 한국 빙상" https://sports.news.[...] 2023-09-19
[140] 뉴스 안현수 金 후폭풍, 전명규-최광복-김소희 논란에 빙상연맹 홈피폭주 https://entertain.na[...] 2023-09-19
[141] 뉴스 "[인터뷰] 14년 전 대표팀 구타 첫 폭로…변천사 선수" https://news.jtbc.co[...] 2023-09-19
[142] 뉴스 더러운 파벌 싸움이 지어준 그 이름 ‘빅토르 안’ http://www.sisajourn[...] 2023-09-19
[143] 뉴스 "'뿌리부터 썩은' 쇼트트랙 파벌 싸움" https://news.sbs.co.[...] 2023-09-19
[144] 뉴스 "'살얼음판 같은 쇼트트랙 대표팀의 '따로국밥' 훈련" https://sports.news.[...] 2023-09-23
[145] 뉴스 “‘한국은 세 나라?’ 쇼트트랙 파벌 우려" https://news.kbs.co.[...] 2023-09-23
[146] 뉴스 빙상연맹 상벌위원회 열어 쇼트트랙 선수단 징계 검토 https://v.daum.net/v[...] 2023-09-19
[147] 뉴스 '[말] "인터뷰 중인 안현수"' https://n.news.naver[...] 2023-09-19
[148] 뉴스 '빙상聯 쇼트트랙 진상조사위 "파벌의 골 너무 깊다"’' https://v.daum.net/v[...] 2023-09-19
[149] 뉴스 ‘두솥밥’ 쇼트트랙 내홍 심화 https://sports.news.[...] 2023-09-19
[150] 뉴스 권금중 중고빙상경기연맹 부회장, 쇼트트랙 외압 조사위 합류 https://www.chosun.c[...] 2023-09-20
[151] 뉴스 안현수 父 “이정수 자필사유서? 강압,조작됐다” https://www.nocutnew[...] 2024-11-08
[152] 뉴스 "'이정수 사건' 진실공방..귀국뒤 가족 나서나" https://news.mt.co.k[...] 2024-11-08
[153] 뉴스 이정수, 미니홈피 통해 심경 토로 https://sports.khan.[...] 2024-11-08
[154] 뉴스 쇼트트랙 영광 뒤의 굴욕 https://www.sisafocu[...] 2023-09-20
[155] 뉴스 쇼트트랙계를 움직이는 ‘유라인’과 ‘전라인’ https://www.sisain.c[...] 2023-09-18
[156] 뉴스 '"검은 쇼트트랙 눈감아온 빙상계 윗선 실체 밝혀야"' https://www.chosun.c[...] 2023-09-19
[157] 뉴스 유태욱 빙상연맹 부회장 반박인터뷰 https://www.ilyo.co.[...] 2023-09-19
[158] 뉴스 쇼트트랙 대표선발전 9월 연기에 선수와 팬들 반발 https://www.chosun.c[...] 2023-09-20
[159] 뉴스 '[그것이 알고싶다] 순위 아닌 기록(일정 구간 스피드)으로 선발방식 바꿨지만…' https://www.chosun.c[...] 2023-09-20
[160] 뉴스 '[인물탐구] 8년만에 메달 딴 ‘빅토르 안' ' http://www.ilyoseoul[...] 2023-09-20
[161] 뉴스 파벌싸움의 끝, 어른들 갈등에 선수들 등 터진 쇼트트랙 https://www.joongang[...] 2023-09-18
[162] 뉴스 쇼트트랙 부진은 빙상계 파벌싸움 탓? https://www.chosun.c[...] 2023-10-05
[163] 뉴스 '[쇼트트랙 파문]파벌·담합·방관이 빚어 낸 합작품' https://n.news.naver[...] 2023-09-18
[164] 뉴스 안현수부터 심석희까지…4년 주기 스캔들, 쇼트트랙 대표팀 '잔혹사' https://www.sportsse[...] 2023-10-05
[165] 뉴스 안현수 세계 정상 오른 날, ‘스승’ 전명규 부회장은 짐을 쌌다 https://www.hani.co.[...] 2023-09-20
[166] 뉴스 빙상연맹 "전명규 부회장 성적 부진으로 사퇴" https://news.sbs.co.[...] 2023-09-20
[167] 뉴스 전명규 눈가리고 아웅식 사퇴? 피해본 선수들만… https://news.heraldc[...] 2023-09-20
[168] 뉴스 “전명규, 어깨 종양 발견된 故 노진규 수술 말렸다” https://www.seoul.co[...] 2023-09-20
[169] 뉴스 ‘의미 없는’ 사퇴 또 사퇴, 전명규의 끊이지 않는 논란 https://www.stnsport[...] 2023-09-20
[170] 뉴스 "‘금메달 제조기’에서 ‘빙상계 적폐’로…전명규의 운명은?" https://www.hani.co.[...] 2023-09-20
[171] 뉴스 ‘[위원석의 삼위일체]쇼트트랙① 한국 쇼트트랙과 '전명규의 유산' https://sports.news.[...] 2023-09-20
[172] 뉴스 ‘2014년 朴 대통령 '안현수 언급'도 최순실 입김이었나 https://www.nocutnew[...] 2023-09-20
[173] 뉴스 ‘전명규 교수 "젊은빙상인연대 관계자가 조재범 회유" https://news.sbs.co.[...] 2023-09-20
[174] 뉴스 ‘안민석 "구악 vs 신악, 빙상연맹은 총성없는 전쟁중" https://www.nocutnew[...] 2023-09-20
[175] 뉴스 ‘안현수, 안민석에 '귀화, 전명규 때문 아니다' 문자 보내 https://n.news.naver[...] 2023-09-20
[176] 뉴스 ‘'영웅→귀화→비난' 안현수 "쇼트트랙 포기해야 논란 끝날 듯" https://sports.news.[...] 2023-09-20
[177] 뉴스 "[쟁점 인터뷰] “빙상계 문제가 파벌싸움? 본질은 독재다.”" https://sports.news.[...] 2023-09-20
[178] 뉴스 ‘폭력으로 만든 금메달…"한국인 모두 공범" https://www.nocutnew[...] 2023-09-20
[179] 뉴스 ‘안’은 파벌 수혜자이자 피해자 - 안현수·전명규 빙상연맹 부회장 과거사 풀스토리 https://ilyo.co.kr/?[...] 2023-09-20
[180] 뉴스 화성시청, 쇼트트랙팀 ‘푸대접’ 논란 https://www.hani.co.[...] 2023-09-20
[181] 뉴스 ‘선수 등 성추행한 전 화성시청 쇼트트랙 감독 집행유예 https://www.hani.co.[...] 2023-09-20
[182] 뉴스 심석희 “초등 4년 때 아이스하키 채로 맞았다” https://www.hani.co.[...] 2023-09-20
[183] 뉴스 "[단독] 심석희 \"조재범 전 코치가 '상습 성폭력'\"…용기 낸 호소" https://news.sbs.co.[...] 2023-09-20
[184] 뉴스 “안현수, 한국 버린 러시아인” 지도자연맹 ‘작심 비판’ https://www.seoul.co[...] 2023-09-20
[185] 뉴스 "심석희, 선수촌 밀폐공간서 코치에게 수십 차례 폭행당했다" https://www.chosun.c[...] 2023-09-30
[186] 뉴스 ‘빙상 전횡 의혹’ 전명규 교수 파면 중징계 의결 https://news.kbs.co.[...] 2023-09-20
[187] 뉴스 무너진 빙상캐슬... ‘성적 제일주의’ 전명규 시대 종말 풀 스토리 https://ilyo.co.kr/?[...] 2023-09-20
[188] 뉴스 "전명규 교수님 돌려주세요" 심석희의 호소문 https://view.asiae.c[...] 2023-09-20
[189] 뉴스 젊은빙상인연대 “전명규, 당신이 교수·스승인지 묻고 싶다” https://www.donga.co[...] 2023-09-22
[190] 뉴스 젊은빙상인연대 VS 전명규 진실공방...파벌싸움 변질 우려 https://www.ytn.co.k[...] 2023-09-22
[191] 뉴스 전명규 긴급 기자회견 "성폭력 사건, 알지 못했다" https://www.yna.co.k[...] 2023-09-22
[192] 뉴스 여준형 "젊은빙상인연대가 정치권과 연결? '어불성설'" https://www.nocutnew[...] 2023-09-22
[193] 뉴스 "'성남 탄천빙상장 폭행 논란' 성남시는 응답하라 [SS취재석]" https://www.sportsse[...] 2023-09-22
[194] 뉴스 성남시청 빙상 지도자 꼬리 자르기에 돌입하나?[SS이슈추적] https://www.sportsse[...] 2023-09-22
[195] 뉴스 젊은빙상인연대,'국민을 속였다!' …진보의 가면을 쓴 추악한 분열[SS이슈①] https://sports.news.[...] 2023-09-22
[196] 뉴스 박지훈 변호사의 용기있는 고백-개혁은 명분, 추악한 권력투쟁[SS이슈②] https://sports.news.[...] 2023-09-22
[197] 뉴스 ‘빙상대부’ 전명규, 국가서 손해배상 받는다…법원 “위법조치로 정신적 고통” https://news.kbs.co.[...] 2023-09-20
[198] 뉴스 대법, 전명규 전 빙상연맹 부회장 파면 취소 확정 https://news.sbs.co.[...] 2023-09-20
[199] 뉴스 "[단독]전명규, 한국체대 교수 복직… '빙상계 비리'로 파면 후 4년만" https://view.asiae.c[...] 2023-09-20
[200] 뉴스 (단독)법원 "'쇼트트랙 국가대표' 노진규 사망은 의료사고" http://www.newstomat[...] 2023-09-30
[201] 뉴스 "[단독] 인권위 “전명규, 故노진규 골육종 투병에도 무리하게 출전”" https://www.seoul.co[...] 2023-09-20
[202] 뉴스 "[단독] '쇼트트랙 노진규 출전 강행' 전명규 패소…"인권위가 명예훼손" 소송" https://www.mbn.co.k[...] 2023-09-20
[203] 뉴스 "[최순실 국정농단 파문] 동계스포츠 전직 ‘국대’들에게 향한 검찰" https://www.seoul.co[...] 2023-09-20
[204] 뉴스 "[서울포토]최순실 국정조사 청문회 증인 나온 이규혁" https://www.seoul.co[...] 2023-09-20
[205] 뉴스 "[단독] 최순실-장시호, 지자체 운동부 인사까지 개입 정황" https://www.hani.co.[...] 2023-09-20
[206] 뉴스 미성년 제자 성폭행 미수...피겨 전 국가대표 이규현 징역 4년형 https://www.chosun.c[...] 2023-09-18
[207] 뉴스 미성년 제자 추행 혐의 이규현에 징역 6년 구형 https://www.yna.co.k[...] 2023-09-18
[208] 뉴스 "위로하던 선배가 가해자로" 폭력 대물림…체육회 '전수조사' https://news.jtbc.co[...] 2023-09-23
[209] 뉴스 안현수 부상 시즌 아웃 https://sports.news.[...] 2022-12-03
[210] 뉴스 ‘빅토르 안’은 희생양인가, 모험가인가? https://sports.news.[...] 2023-09-22
[211] 뉴스 탐사플러스 3회, 쇼트트랙 황제, 안현수와 '빅토르 안' 사이 https://news.jtbc.co[...] 2023-09-22
[212] 뉴스 황익환 전 코치 "안현수, 귀화 원인은…" https://www.chosun.c[...] 2023-09-22
[213] 뉴스 "[단독]쇼트트랙 선수, 훈련 중 '하반신 마비'..하지만 책임자는 없다?" https://v.daum.net/v[...] 2023-09-23
[214] 뉴스 TV조선 단독] 檢, 가짜 문서 근거 "광운대 무혐의"…빙상연맹은 선수 외면 https://n.news.naver[...] 2023-09-23
[215] 뉴스 "'더치페이 전도사' 곽윤기 \"한 달에 10만 원 쓰기도...내집마련 꿈\" (나 혼자 산다)[종합]" https://entertain.na[...] 2023-09-23
[216] 뉴스 "[단독] 한체대, 돌연 빙상장 대관 중단…빙상꿈나무들 “훈련장 잃었어요”" https://www.seoul.co[...] 2023-09-23
[217] 뉴스 연아가 뿌린 씨앗… 10년만에 ‘월드클래스급’ https://www.munhwa.c[...] 2023-09-23
[218] 뉴스 김나영, 팬들의 도움으로 GP 출전권 획득 http://www.viewsnnew[...] 뷰스앤뉴스 2008-11-06
[219] 뉴스 "'김나영 나몰라라(?)' 정신줄 놓은 빙상연맹" https://www.hankooki[...] 2023-09-23
[220] 뉴스 올림픽 보름 앞두고 ‘빙속 노선영 출전 무산’…빙상연맹 실수 https://www.joongang[...] 2023-09-23
[221] 뉴스 노선영 올림픽 출전...29일 태릉 복귀 https://www.hani.co.[...] 2023-09-23
[222] 뉴스 "‘왕따 주행’ 상처 딛고 눈물 글썽… 김보름 “잘 버텨준 나 고맙다”" https://www.seoul.co[...] 2023-09-23
[223] 뉴스 노선영·김보름 재판관의 한탄 "어른들이 지옥 몰아…화해 해달라" https://www.xportsne[...] 2023-09-20
[224] 뉴스 3년 만에 끝난 '왕따주행 논란'…노선영→김보름에 300만원 배상 확정 https://www.xportsne[...] 2023-09-20
[225] 뉴스 "'쇼트트랙 세계선수권' 현장판매, 새벽부터 수백명 헛걸음" https://sports.news.[...] 2023-09-23
[226] 뉴스 "[이솔의 솔직토크] \"Are the homeless?\" 쇼트트랙 선수권 찾은 해외 취재진 당황스런 질문" https://sports.news.[...] 2023-09-23
[227] 뉴스 빙상국가대표선수 이익환에 집유 선고 https://www.joongang[...] 2023-09-22
[228] 뉴스 이규현 父도 '미성년자 강간 미수'로 처벌…똑 닮은 '父子 범죄' https://news.mt.co.k[...] 2023-09-20
[229] 뉴스 빙속협 집행부 전원 사퇴 https://newslibrary.[...] 2023-09-20
[230] 뉴스 선수촌이탈 징계 빙상대표 징계 형평성 어긋나 https://newslibrary.[...] 2023-09-20
[231] 뉴스 제갈성렬 등 징계 줄어 선수촌 무단이탈 관련 https://newslibrary.[...] 2023-09-20
[232] 뉴스 빙상간부 감독구타 말썽 https://newslibrary.[...] 2023-09-20
[233] 뉴스 감독구타 진상조사 착수 https://newslibrary.[...] 2023-09-20
[234] 뉴스 빙상聯, 선수촌 이탈 李濬煥에 근신 1개월 https://sports.news.[...] 2023-09-21
[235] 뉴스 쇼트트랙 감독과 전대표 폭행당했다 서로 맞고소 https://newslibrary.[...] 2023-09-20
[236] 뉴스 70년대 빙상스타' 이영하씨 구속 https://n.news.naver[...] 2023-09-21
[237] 뉴스 빙상스타 이영하 교수 특기생비리 3년 선고 https://www.joongang[...] 2023-09-21
[238] 뉴스 "전명규 감독 한체대 교수임용 결사반대" https://sports.news.[...] 2023-09-22
[239] 뉴스 빙상연맹, 편파판정 의혹 등 조사키로 https://sports.news.[...] 2023-09-21
[240] 뉴스 “쇼트트랙 대표선발 담합의혹” https://sports.news.[...] 2023-09-21
[241] 뉴스 쇼트트랙 귀국 소동...'파벌싸움'이 폭행 사건으로 https://sports.news.[...] 2023-09-22
[242] 뉴스 쇼트트랙 파벌사태 '법정공방' 조짐 https://sports.news.[...] 2023-09-22
[243] 뉴스 빙상경기연맹, 학부모에게 징계? https://v.daum.net/v[...] 2023-09-22
[244] 뉴스 이젠 성추행 추문까지…‘위기의 쇼트트랙’ 현주소 http://mksports.co.k[...] 2023-09-20
[245] 뉴스 곽윤기·이정수·곽윤기, 자격정지 3년 → 1년 https://sports.news.[...] 2023-09-22
[246] 뉴스 '쇼트트랙 사태 책임' 빙상聯 임원들 사퇴 https://www.chosun.c[...] 2023-09-22
[247] 뉴스 음주 사고,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코치 집행유예 https://www.ytn.co.k[...] 2023-09-20
[248] 뉴스 "`쇼트트랙 승부조작' 이준호 항소심서 벌금형" https://www.yna.co.k[...] 2023-09-22
[249] 뉴스 선수 성추행 의혹 쇼트트랙 지도자 대표팀 발탁 논란 https://sports.news.[...] 2023-09-22
[250] 뉴스 ‘성추행 시비’ 화성시청 쇼트트랙 선수·감독 맞고소 https://www.seoul.co[...] 2023-09-21
[251] 뉴스 "'어린학생 성폭행후 임신할까봐 배 걷어찬' 한국 빙상 코치" https://n.news.naver[...] 2023-09-20
[252] 뉴스 지자체 쇼트트랙 코치, 훈련비 등 2억3000만원 꿀꺽… ‘조폭 출신’ 레슬링협 전무는 선수 지원금 1억대 횡령 https://n.news.naver[...] 2023-09-20
[253] 뉴스 쇼트트랙 국가대표-前코치 등 9억대 불법도박 https://www.donga.co[...] 2023-09-20
[254] 뉴스 "[엠스플 빙상] 목동빙상장 소장 \"서울시체육회가 '와서 이것 좀 해달라'고 해 지원했다\"" https://sports.news.[...] 2023-10-05
[255] 뉴스 '[엠스플 탐사] “목동빙상장은 갑질의 요람, 난 소장의 욕받이였다.”' https://sports.news.[...] 2023-10-05
[256] 뉴스 '"나도 당했다" 아우성…빙상계 거물 유태욱, 목동빙상장 갑질 운영 의혹' https://ilyo.co.kr/?[...] 2023-10-05
[257] 뉴스 "'목동빙상장 특정감사 결과보고’ 문서로 드러난 ‘빙상 메카‘ 둘러싼 각종 의혹 실체" https://ilyo.co.kr/?[...] 2023-10-05
[258] 뉴스 '[단독] "올림픽 성적 내라며 치료 막아"…전명규 \'고소\'' https://imnews.imbc.[...] 2023-09-22
[259] 뉴스 무자격 빙상 코치가 선수 멱살 잡고 무차별 폭언까지 https://n.news.naver[...] 2023-09-22
[260] 뉴스 "[단독] 성남탄천빙상장 ‘사설 코치’ 월권 논란…폭행·폭언 의혹까지" https://ilyo.co.kr/?[...] 2023-09-22
[261] 뉴스 "[판결] '선수 성폭행 혐의' 조재범 前 쇼트트랙 국가대표 코치, 징역 13년 확정" https://www.lawtimes[...] 2023-09-20
[262] 뉴스 "‘10대 제자 강제추행’ 혐의 쇼트트랙 코치 구속 기소" https://n.news.naver[...] 2023-09-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