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비드 L. 라비노비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데이비드 L. 라비노비츠는 근지구 및 카이퍼 벨트 천체 감지를 위한 CCD 카메라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근지구 소행성 추정 수를 줄이는 데 기여했다. 그는 퀘이사 적도 조사팀에 참여하여 90377 세드나, 90482 오르쿠스, 에리스, 하우메아, 마케마케와 같은 왜행성을 발견했으며, 스페이스워치 팀과 함께 5145 폴루스를 발견했다. 라비노비츠는 1989년부터 2010년까지 34개의 소행성을 발견했으며, 그의 업적을 기려 소행성 5040 라비노비츠가 명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1세기 천문학자 - 스티븐 호킹
스티븐 호킹은 루게릭병을 앓으면서도 특이점 정리, 호킹 복사 등의 획기적인 개념을 제시하고 《시간의 역사》와 같은 대중 과학 서적을 통해 과학 대중화에 기여한 영국의 이론물리학자이자 우주론자이다. - 21세기 천문학자 - 솔 펄머터
솔 펄머터는 초신성 우주론 프로젝트를 이끌며 우주의 가속 팽창을 발견하여 2011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천체물리학자이며, Ia형 초신성을 이용한 연구로 우주의 가속 팽창 증거를 제시하고 암흑 에너지 존재를 시사하는 데 기여했다. - 애리조나 대학교 교수 - 앨런 와이즈먼
앨런 와이즈먼은 미국의 저널리스트이자 작가이며, 《뉴욕 타임스》 등에 기고하고 《세상 없이》 등의 저서를 출판했으며, 애리조나 대학교 명예 교수를 역임했다. - 애리조나 대학교 교수 - 앤드루 카니
앤드루 카니는 통사론, 형태론, 음운론을 연구하며 켈트어파 언어를 주로 연구하는 언어학자이다. - 소행성 발견자 - 하인리히 올베르스
하인리히 올베르스는 독일의 의사이자 천문학자로, 팔라스와 베스타 두 소행성을 발견하고 혜성 궤도 계산법을 개발했으며, 올베르스의 역설을 제시하여 우주론 연구에 기여했다. - 소행성 발견자 - 요한 팔리사
오스트리아 천문학자 요한 팔리사는 육안으로 122개의 소행성을 발견하여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육안 소행성 발견자로 기록되었으며, 팔리사-볼프 성도 제작, 랄랑드상과 발츠상 수상, 소행성 914 팔리사나와 달의 크레이터 팔리사 명명 등으로 업적을 기리고 있다.
데이비드 L. 라비노비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데이비드 링컨 라비노위츠 |
출생 연도 | 1960년 |
국적 | 미국 |
분야 | 천체물리학 |
직장 | 예일 대학교 천문학 및 천체물리학 센터 애리조나 대학교 달 행성 연구소 |
학력 | 예일 대학교 시카고 대학교 |
알려진 업적 | 외태양계에서 새로운 왜행성 개체군 공동 발견 |
웹사이트 | physics.yale.edu/people/david-rabinowitz |
2. 경력
데이비드 라비노비츠는 근지구 천체 및 카이퍼 벨트 천체를 탐지하기 위한 CCD 카메라와 관련 소프트웨어를 개발했다.[1] 그의 연구는 지름 1km 이상의 근지구 소행성 추정 개수를 기존 1,000~2,000개에서 절반 수준인 500~1,000개로 줄이는 데 기여했다. 또한, 그는 멀리 떨어진 태양계 천체, 초신성, 퀘이사 등의 발견을 지원하며 태양계의 기원과 진화, 그리고 우주 팽창을 가속하는 암흑 에너지 연구에 기여했다.
그는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의 마이클 브라운, 채드 트루히요와 함께 퀘이사 적도 조사팀에 참여하여 다수의 해왕성 바깥 천체 발견에 기여했으며, 애리조나 대학교의 톰 게렐스가 이끄는 스페이스워치 팀과 협력하여 소행성을 발견하기도 했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발견된 주요 천체 및 세부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2. 1. 퀘이사 적도 조사팀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의 마이클 브라운, 채드 트루히요와 함께 퀘이사 적도 조사팀에 참여하여 여러 왜행성 후보를 포함한 해왕성 바깥 천체 발견에 기여했다. 이 팀의 활동을 통해 발견된 주요 천체는 다음과 같다.- 90377 세드나: 최초로 발견된 내부 오르트 구름 천체일 가능성이 있다.
- 90482 오르쿠스
- 에리스: 명왕성보다 질량이 더 크다.
- 하우메아: 왜행성으로 분류되었으나, 발견 공로는 공식적으로 인정받지 못했다.
- 마케마케: 왜행성으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발견은 왜행성 및 해왕성 바깥 천체 연구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2. 2. 스페이스워치 팀
애리조나 대학교의 톰 게렐스와 그의 스페이스워치 팀과 협력하여 라비노비츠는 5145 폴루스를 발견했다. 이 천체는 켄타우루스족 소행성으로, 소행성 센터(MPC)는 이 발견을 스페이스워치의 공헌으로 인정했다. 또한, 번호가 없는 아폴로 근지구 천체 1991 BA를 공동 발견했지만, 이 발견에 대한 공헌은 아직 공식적으로 인정되지 않았다.3. 주요 발견
라비노비츠는 근지구 천체 및 카이퍼대의 천체를 탐지하기 위한 CCD 카메라와 관련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4][1] 그의 연구는 지름 1km 이상의 근지구 소행성 추정 개수를 기존 1,000~2,000개에서 500~1,000개 수준으로 줄이는 데 크게 기여했다.[5] 또한, 그의 연구는 멀리 떨어진 태양계 천체, 초신성, 퀘이사 탐지를 지원하여 태양계의 기원과 진화, 그리고 우주 팽창을 가속하는 암흑 에너지 연구에 도움을 주었다.
특히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의 마이클 E. 브라운, 채드 트루질로와 함께 퀘이사 적도 조사팀에 참여하며 여러 왜행성 및 왜행성 후보 천체를 발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6] 이들이 공동 발견한 주요 천체로는 90377 세드나, 90482 오르쿠스, 에리스 등이 있으며, 이 중 에리스는 명왕성보다 질량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하우메아와 마케마케 발견에도 참여했다.
이 외에도 애리조나 대학교의 톰 게렐스와 스페이스워치 팀과 협력하여 켄타우루스족 소행성인 5145 폴루스와 아폴로 근지구 천체 1991 BA 등을 발견하거나 공동 발견했다.
3. 1. 왜행성
라비노비츠는 근지구 천체 및 카이퍼대의 천체를 탐지하기 위한 CCD 카메라와 관련 소프트웨어를 개발했으며,[4][1] 이 연구는 지름 1km 이상의 근지구 소행성 추정 개수를 기존 1,000~2,000개에서 500~1,000개 수준으로 줄이는 데 기여했다.[5] 또한, 그의 연구는 멀리 떨어진 태양계 천체, 초신성, 퀘이사 탐지를 지원하여 태양계의 기원과 진화, 그리고 우주 팽창을 가속하는 암흑 에너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특히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의 마이클 E. 브라운, 채드 트루질로와 함께 퀘이사 적도 조사팀에 참여하며 여러 왜행성 및 왜행성 후보 천체를 발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6] 이들이 함께 발견한 주요 천체로는 90377 세드나(최초로 알려진 내부 오르트 구름 천체 가능성), 90482 오르쿠스, 명왕성보다 질량이 큰 에리스, 하우메아, 그리고 마케마케 등이 있다. 다만, 하우메아의 발견 공로는 공식적으로 인정되지 않았다.
다음은 라비노비츠가 공동 발견한 주요 왜행성 및 관련 천체 목록이다.
천체 | 발견일 | 공동 발견자 |
---|---|---|
세드나 | 2003년 11월 14일 | 마이클 브라운, 채드 트루히요 |
오르쿠스 | 2004년 2월 17일 | 마이클 브라운, 채드 트루히요 |
에리스 | 2005년 1월 8일 | 마이클 브라운, 채드 트루히요 |
마케마케 | 2005년 3월 31일 | 마이클 브라운, 채드 트루히요 |
또한, 애리조나 대학교의 톰 게렐스와 그의 스페이스워치 팀과 협력하여 켄타우루스족 소행성인 5145 폴루스를 1992년 1월 9일에 발견했다. 이 발견은 MPC에 의해 스페이스워치의 공헌으로 인정되었다. 그는 번호가 없는 아폴로 근지구 천체 1991 BA의 공동 발견자이기도 하지만, 이 발견에 대한 공헌은 아직 공식적으로 인정되지 않았다.
3. 2. 기타 천체
라비노비츠는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의 마이클 E. 브라운, 채드 트루질로와 함께 퀘이사 적도 조사팀에 참여하여 여러 해왕성 바깥 천체를 발견하는 데 기여했다. 특히 90377 세드나, 90482 오르쿠스, 에리스, 마케마케와 같은 왜행성 및 왜행성 후보 천체 발견에 참여했다.[6] 이 중 에리스는 명왕성보다 질량이 큰 것으로 밝혀졌다. 하우메아의 발견에도 참여했지만, 발견 공헌은 인정받지 못했다.또한 애리조나 대학교의 톰 게렐스와 스페이스워치 팀과 협력하여 켄타우루스인 5145 폴루스와 아폴로 근지구 천체인 1991 BA를 발견하거나 공동 발견했다. 그러나 폴루스는 MPC에 의해 스페이스워치의 공헌으로만 인정되었고, 1991 BA에 대한 공헌은 아직 인정되지 않고 있다.
라비노비츠가 발견 또는 공동 발견에 참여한 주요 천체는 다음과 같다.
천체 | 분류 | 발견일 | 공동 발견자 | 비고 |
---|---|---|---|---|
1991 BA | 아폴로 근지구 천체 | 1991년 | 톰 게렐스 (스페이스워치) | 공헌 미인정 |
폴루스 | 켄타우루스 | 1992년1월 9일 | 톰 게렐스 (스페이스워치) | MPC는 스페이스워치의 공적으로 인정 |
세드나 | 내부 오르트 구름 천체 추정 | 2003년11월 14일 | 마이클 E. 브라운, 채드 트루질로 | [6] |
오르쿠스 | 왜행성 후보 | 2004년2월 17일 | 마이클 E. 브라운, 채드 트루질로 | [6] |
하우메아 | 왜행성 | - | 마이클 E. 브라운, 채드 트루질로 등 | 발견 참여, 공헌 미인정 |
에리스 | 왜행성 | 2005년1월 8일 | 마이클 E. 브라운, 채드 트루질로 | 명왕성보다 질량이 큼[6] |
마케마케 | 왜행성 | 2005년3월 31일 | 마이클 E. 브라운, 채드 트루질로 |
4. 수상 및 명예
소행성 5040 라비노비츠는 1972년 팔로마 천문대에서 톰 게렐스가 발견한 포카이아 소행성으로, 그의 업적과 스페이스워치에서의 활동을 기려 명명되었다.
5. 발견한 소행성 목록
데이비드 라비노비츠는 근지구 천체 및 카이퍼대의 천체를 탐지할 수 있는 CCD 카메라와 소프트웨어를 개발했으며[4], 이는 근지구 천체의 추정 개수를 줄이는 데 기여했다.[5] 그는 마이클 E. 브라운, 채드 트루질로와 함께 90377 세드나, 90482 오르쿠스, 에리스와 같은 왜행성을 발견했다.[6]
소행성체 센터에 따르면 라비노비츠는 1989년부터 2010년까지 아래 목록을 포함하여 총 34개의 소행성을 단독 또는 공동으로 발견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소행성 | 발견일 | 공동 발견자 |
---|---|---|
90377 세드나 | 2003년 11월 14일 | A, B |
90482 오르쿠스 | 2004년 2월 17일 | A, B |
(120178) 2003 OP32 | 2003년 7월 26일 | A, B |
(120348) 2004 TY364 | 2004년 10월 3일 | A, B |
136199 에리스 | 2003년 10월 21일 | A, B |
136472 마케마케 | 2005년 3월 31일 | A, B |
(175113) 2004 PF115 | 2004년 8월 7일 | A, B |
(187661) 2007 JG43 | 2007년 5월 10일 | C, A |
225088 꽁꽁 | 2007년 7월 17일 | C, A |
229762 Gǃkúnǁʼhòmdímà | 2007년 7월 17일 | A, C |
(305543) 2008 QY40 | 2008년 8월 25일 | C, A |
(312645) 2010 EP65 | 2010년 3월 9일 | D |
(316179) 2010 EN65 | 2010년 3월 7일 | D |
(349933) 2009 YF7 | 2009년 12월 19일 | |
(353222) 2009 YD7 | 2009년 12월 16일 | |
(382004) 2010 RM64 | 2010년 9월 9일 | C, D |
(386723) 2009 YE7 | 2009년 12월 17일 | |
(445473) 2010 VZ98 | 2010년 11월 11일 | C, D |
(471136) 2010 EO65 | 2010년 3월 9일 | D |
(471137) 2010 ET65 | 2010년 3월 13일 | D |
(471149) 2010 FB49 | 2010년 3월 17일 | D |
(471150) 2010 FC49 | 2010년 3월 18일 | D |
(471151) 2010 FD49 | 2010년 3월 19일 | D |
(471152) 2010 FE49 | 2010년 3월 19일 | D |
(471155) 2010 GF65 | 2010년 4월 14일 | D |
(471172) 2010 JC80 | 2010년 5월 12일 | D |
(471196) 2010 PK66 | 2010년 8월 14일 | C, D |
(471210) 2010 VW11 | 2010년 11월 3일 | C, D |
(496816) 1989 UP | 1989년 10월 27일 | E |
(499522) 2010 PL66 | 2010년 8월 14일 | C, D |
(504555) 2008 SO266 | 2008년 9월 24일 | C, A |
(523618) 2007 RT15 | 2007년 9월 11일 | C, A |
(523629) 2008 SP266 | 2008년 9월 26일 | C, A |
(528381) 2008 ST291 | 2008년 9월 24일 | C, A |
'''공동 발견자:'''
- '''A''': 마이클 E. 브라운
- '''B''': 채드 트루질로
- '''C''': 메간 슈밤
- '''D''': 수잔 W. 투르텔로테
- '''E''': 제임스 V. 스코티
또한, 라비노비츠는 1992년 켄타우루스족 소행성인 포루스를 발견했으며[2], 1993년에는 또 다른 켄타우루스족 소행성인 네소스를 발견했다.[2]
참조
[1]
웹사이트
David Rabinowitz overview
https://web.archive.[...]
[2]
서적
Life After Grief: An Astrological Guide to Dealing with Loss
https://books.google[...]
Darrelyn Gunzburg
2004
[3]
서적
"(5040) Rabinowitz"
https://doi.org/10.1[...]
Springer
2007
[4]
웹인용
David Rabinowitz
http://hepwww.physic[...]
2024-01-05
[5]
웹인용
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 (JPL)
https://www.jpl.nasa[...]
2024-01-05
[6]
뉴스
New world found far beyond Pluto
http://news.bbc.co.u[...]
2024-01-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