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데이풀밭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데이풀밭쥐는 남아메리카밭쥐속에 속하는 설치류의 일종이다. 1916년 윌프레드 허드슨 오스굿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으며, 종명 'dayi'는 1915년 표본 수집 탐험을 지원한 리 가넷 데이를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 해발 0~2450m 고도에서 볼리비아의 판도 주 남부에서 산타 크루스 주 중서부에 걸쳐 분포하며, 풀밭, 정원, 빈터, 산지, 융가스 상록수림 등 다양한 서식지에 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16년 기재된 포유류 - 논쥐
    동남아시아에 서식하며 회색과 노랑-갈색 털을 가진 중간 크기의 야행성 쥐인 논쥐는 경작지에 주로 서식하며, 쌀 재배 지역에서는 해충으로, 캄보디아에서는 식용으로 활용된다.
  • 1916년 기재된 포유류 - 코린치쥐
  • 목화쥐아과 - 단색올드필드쥐
  • 목화쥐아과 - 계곡오시쿠도
    계곡오시쿠도는 2008년 동물학자들이 학술적으로 명명한 설치류의 일종으로, 아르헨티나 투쿠만 주에서 발견된 LMC 7247 모식표본을 통해 알려졌다.
데이풀밭쥐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남아메리카밭쥐속
데이풀밭쥐 (A. dayi)
학명_명명Osgood, 1916
분류학적 정보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쥐목
아목쥐아목
상과쥐상과
비단털쥐과
아과목화쥐아과
남아메리카밭쥐족
남아메리카밭쥐속

2. 계통 분류

2010년 자야(Jayat)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에 따르면, 데이풀밭쥐는 남아메리카밭쥐속 내에서 파타고니아풀밭쥐, 차코풀밭쥐, 몰리나풀밭쥐, 코르도바풀밭쥐 등과 함께 특정 분지군(파타고니아풀밭쥐 분지군)을 형성하는 것으로 분류된다.[5]

2. 1. 하위 종

2010년 자야(Jayat) 등의 연구에 기초한 남아메리카밭쥐속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5]
코차밤바풀밭쥐
부딘풀밭쥐

  • * 그룹 2
  • ** 흰배풀밭쥐
  • ** 그룹 2-2

변덕풀밭쥐
타르타갈풀밭쥐
글라우키누스풀밭쥐
흰목풀밭쥐

  • ** 그룹 2-3 (부드러운털풀밭쥐 분지군)

부드러운털풀밭쥐
융가스풀밭쥐
그룹 2-3-3
* 운무림풀밭쥐
* 엘도라도풀밭쥐
콜롬비아풀밭쥐

  • * 그룹 3
  • ** 그룹 3-1 (파타고니아풀밭쥐 분지군)

파타고니아풀밭쥐
그룹 3-1-2
* 데이풀밭쥐
* 그룹 3-1-2-2
** 차코풀밭쥐
** 그룹 3-1-2-2-2
*** 몰리나풀밭쥐
*** 코르도바풀밭쥐

  • ** 그룹 3-2

그룹 3-2-1 (카파라오풀밭쥐 분지군)
* 카파라오풀밭쥐
* 린드버그풀밭쥐
그룹 3-2-2
* 그룹 3-2-2-1 (필립마이어스풀밭쥐 분지군)
** 필립마이어스풀밭쥐
** 아자라풀밭쥐
* 그룹 3-2-2-2
** 그룹 3-2-2-2-1
*** 그룹 3-2-2-2-1-1
저산대풀밭쥐
그룹 3-2-2-2-1-1-2
* 레이그풀밭쥐
* 파라나풀밭쥐
*** 커서풀밭쥐
** 그룹 3-2-2-2-2 (후닌풀밭쥐 분지군 및 알티플라노풀밭쥐 분지군)
*** 그룹 3-2-2-2-2-1
후닌풀밭쥐
그룹 3-2-2-2-2-1-2
* 코포드풀밭쥐
* 스모키풀밭쥐
*** 그룹 3-2-2-2-2-2
그룹 3-2-2-2-2-2-1 (알티플라노풀밭쥐 분지군 일부)
* 알티플라노풀밭쥐
* 그룹 3-2-2-2-2-2-1-2
** 푸노풀밭쥐
** 단색풀밭쥐
그룹 3-2-2-2-2-2-2 (알티플라노풀밭쥐 분지군 일부)
* 그룹 3-2-2-2-2-2-2-1
** 숲풀밭쥐
** 폴롭풀밭쥐
* 그룹 3-2-2-2-2-2-2-2
** 볼리비아풀밭쥐
** 스페가찌니풀밭쥐

2. 1. 1. 테스피아풀밭쥐 분지군

2010년 자야(Jayat)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에 따르면,[5] 테스피아풀밭쥐(''Akodon thespes'')는 코차밤바풀밭쥐(''Akodon siberiae'')와 부딘풀밭쥐(''Akodon budini'')가 이루는 분지군과 자매군 관계를 형성한다. 이 세 종이 테스피아풀밭쥐 분지군을 구성하는 것으로 분류된다.

2. 1. 2. 흰배풀밭쥐 분지군

2010년 자야(Jayat)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에 따르면[5], 흰배풀밭쥐 분지군은 흰배풀밭쥐( Akodon albiventerlat )와 이와 자매 관계인 변덕풀밭쥐( Akodon variuslat ), 타르타갈풀밭쥐( Akodon tartareuslat ), 글라우키누스풀밭쥐( Akodon glaucinuslat ), 흰목풀밭쥐( Akodon simulatorlat )를 포함한다.[5]

2. 1. 3. 부드러운털풀밭쥐 분지군

2010년 자야(Jayat)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에 따르면, 부드러운털풀밭쥐 분지군은 남아메리카밭쥐속 내에서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진다.[5]

2. 1. 4. 콜롬비아풀밭쥐 분지군

2010년 자야(Jayat)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에 따르면,[5] 남아메리카밭쥐속(Akodon) 내에서 콜롬비아풀밭쥐(Akodon tolimaelat)는 다음과 같은 종들과 함께 하나의 분지군을 형성한다.

이 분지군은 흰배풀밭쥐(Akodon albiventerlat), 변덕풀밭쥐(Akodon variuslat), 타르타갈풀밭쥐(Akodon tartareuslat), 글라우키누스풀밭쥐(Akodon glaucinuslat), 흰목풀밭쥐(Akodon simulatorlat) 등이 포함된 다른 분지군과 자매 그룹(sister group) 관계에 있다.

2. 1. 5. 파타고니아풀밭쥐 분지군

2010년 자야(Jayat)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에 따르면[5], 데이풀밭쥐는 남아메리카밭쥐속 내에서 특정 분지군에 속한다. 이 분지군은 다음과 같은 계통 관계를 가진다.

2. 1. 6. 카파라오풀밭쥐 분지군

2010년 자야(Jayat)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에 따르면,[5] 카파라오풀밭쥐 분지군은 다음 두 종으로 구성된다.

이 분류에서 두 종은 서로 가장 가까운 관계(자매군)를 형성한다.

2. 1. 7. 필립마이어스풀밭쥐 분지군

2010년 자야(Jayat) 등의 연구에 따르면[5], 필립마이어스풀밭쥐와 아자라풀밭쥐는 다음과 같이 하나의 분지군을 형성한다.

2. 1. 8. 후닌풀밭쥐 분지군

2010년 자야(Jayat) 등은 분자생물학 및 형태학적 자료를 바탕으로 남아메리카밭쥐속의 계통 분류를 제시했다.[5] 이 연구에 따르면, 후닌풀밭쥐 분지군은 다음과 같은 종들을 포함한다.

2. 1. 9. 알티플라노풀밭쥐 분지군

2010년 자야(Jayat)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에 따르면, 알티플라노풀밭쥐푸노풀밭쥐단색풀밭쥐와 가장 가까운 유전적 관계를 형성한다.[5] 이 세 종이 이루는 분기군은 볼리비아풀밭쥐, 스페가찌니풀밭쥐, 숲풀밭쥐, 폴롭풀밭쥐로 구성된 분기군과 자매 그룹 관계에 있다.[5] 또한, 이들 전체 그룹은 후닌풀밭쥐, 코포드풀밭쥐, 스모키풀밭쥐로 이루어진 분기군과 자매 관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5]

3. 분포 및 서식지

데이풀밭쥐는 볼리비아의 특정 지역에 분포하며, 서식 환경은 다양하다.[1]

3. 1. 데이풀밭쥐의 서식지

데이풀밭쥐는 해발 0m 고도에서 볼리비아의 판도 주 남부부터 산타 크루스 주 중서부에 걸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풀밭, 정원, 빈터 등에서 생활하지만, 산지 서식지나 융가스 생물권의 상록수림에서도 발견된다.[1]

4. 역사

데이풀밭쥐(''A. dayi'')는 1916년 윌프레드 허드슨 오스굿이 처음 기술하였다.[2]

4. 1. 데이풀밭쥐의 발견

데이풀밭쥐(''A. dayi'')는 1916년 윌프레드 허드슨 오스굿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다. 종소명 ''dayi''는 1915년 표본 수집 탐험의 일부를 재정적으로 지원한 미국의 사업가이자 육군 장교인 리 가넷 데이를 기리기 위해 붙여졌다.[2]

참조

[1] 간행물 Akodon dayi 2024-09-27
[2] 서적 The Eponym Dictionary of Mammal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3] 문서 Akodon dayi (errata version published in 2017).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6: e.T731A115051592. https://dx.doi.org/1[...] 2020-07-13
[4] 간행물 SPECIES Akodon (Akodon) dayi
[5] 논문 The Akodon boliviensis species group (Rodentia: Cricetidae: Sigmodontinae) in Argentina: species limits and distribution, with the description of a new entit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