델핀 카스트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델핀 카스트로는 필리핀의 군인으로, 1925년 7월 30일에 태어났다. 필리핀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소대장으로 복무했으며, 이후 필리핀으로 돌아와 공산주의 반군과 무슬림 반군을 진압하는 작전에 참여했다. 베트남 전쟁에도 참전했으며, 민다나오 분쟁 지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남부 사령관을 역임했다. 1986년 3월 5일 군에서 퇴임했으며, 2005년에는 회고록을 출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필리핀의 한국 전쟁 참전 군인 - 피델 V. 라모스
피델 V. 라모스는 필리핀의 정치인이자 군인으로, 1992년부터 1998년까지 제12대 대통령을 역임하며 경제 개혁과 국가 통합을 추진했고,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에 참전, 에둘사 혁명에 참여하여 마르코스 축출에 기여, 코라손 아키노 정부에서 육군 참모총장과 국방장관을 역임했다. - 필리핀의 베트남 전쟁 참전 군인 - 피델 V. 라모스
피델 V. 라모스는 필리핀의 정치인이자 군인으로, 1992년부터 1998년까지 제12대 대통령을 역임하며 경제 개혁과 국가 통합을 추진했고,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에 참전, 에둘사 혁명에 참여하여 마르코스 축출에 기여, 코라손 아키노 정부에서 육군 참모총장과 국방장관을 역임했다. - 누에바에시하주 출신 - 율라 발데스
율라 발데스는 1980년대부터 2020년대까지 다양한 영화와 텔레비전 시리즈에 출연한 배우이다. - 누에바에시하주 출신 - 캐스린 베르나르도
캐스린 베르나르도는 2003년 연기를 시작하여 여러 영화와 드라마에 출연했으며, 다니엘 파디야와 파트너십을 맺어 활동하다 2023년 결별했고, 동년에 FAMAS 여우주연상을, 2024년에는 필리핀 역대 흥행 1위 영화의 주연을 맡았다.
델핀 카스트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925년 7월 30일 |
사망일 | 2020년 2월 5일 |
출생지 | 필리핀 불라칸주 노르자가라이 |
사망 장소 | 알 수 없음 |
안장 장소 | 알 수 없음 |
별칭 | 알 수 없음 |
군사 복무 | |
군종 | 필리핀군 필리핀 육군 필리핀 경찰대 |
복무 기간 | 1951년 - 1986년 |
최종 계급 | 소장 |
참전 | 필리핀 공산 반란 필리핀 이슬람 반군 베트남 전쟁 한국 전쟁 |
지휘 | AFP SOUTHCOM AFP CEMCOM |
기타 | |
관련 인물 | 알 수 없음 |
저서 | "A Mindanao Story: Troubled Decades in the Eye of the Storm" (민다나오 이야기: 폭풍의 눈 속에서 보낸 고난의 세월) |
2. 초기 생애
델핀 카스트로는 1925년 7월 30일 필리핀 불라칸주 노르자가라이에서 태어났다. 누에바에시하주 카바나투안에서 초등 및 중등 교육을 받았다. 1951년 필리핀군 사관학교(PMA)를 졸업하였다.[1]
델핀 카스트로는 1951년 필리핀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군 생활을 시작했다.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에 참전했으며, 필리핀 귀국 후에는 공산주의 및 이슬람 반군 진압 작전에 참여했다. 1981년부터 1986년까지 필리핀군 남부 사령부(SOUTHCOM) 사령관을 역임하며 모로 민족 해방 전선(MNLF) 등 필리핀 안보에 위협이 되는 세력에 맞서 싸웠다. 1986년 3월 5일 군에서 퇴임했다.
그의 누나 글로리아는 나중에 마리키나 출신이자 필리핀 육군사관학교 동문이며 카스트로의 절친한 친구가 된 테오둘포 바우티스타와 결혼했다.[1]
3. 군 경력
3. 1. 필리핀 육군사관학교 졸업 및 초기 군 생활
델핀 카스트로는 1951년 필리핀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했다. 필리핀 공산당과 그 군사 조직인 후크봉 막빠빨라양 바얀(HMB)이 제기하는 반란 위협 때문에 소대 지도자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졸업이 한 달 앞당겨졌다.[18] 졸업 후, 나폴레옹 발레리아노 대령 휘하의 제7연대 전투단(BCT)에서 전투 정보 팀 리더로 초기 군 생활을 시작했다.[19][20] 그는 소대장, 중대 행정 장교, 중대장, 대대 정보 장교 등으로 복무하며 반체제 인사 진압 작전에 참여했다.
1953년 3월,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쿼드 50, 제145AAA (포병 및 대공) 대대의 소대장으로 복무했다.[21] 미국 육군 제45보병사단에 배속되었다.[22] 이후 니카노르 히메네즈 대령 휘하의 필리핀 한국 파병군(PEFTOK)[23][24]의 정찰 중대 소대장으로 임명되었다.[25] 그의 부대는 샌드백 캐슬[26]과 하트브레이크 리지[27] 사이의 스모크 밸리에 배치되었다. 여러 전투 후, 1953년 7월 휴전 때까지 M-1 능선, 크리스마스 힐 지역[28]으로 재배치되었다. 한국 근무 기간 중 일부는 부산에 있는 미 육군 보급 기지에서 연락 장교로 복무했다.
필리핀으로 돌아온 후, 1955년 초 졸로, 술루로 보내져 카몬 작전에 참여할 때까지 HMB (신인민군의 전신)에 대항하는 작전의 중대장을 맡았다.
3. 2. 한국 전쟁 참전
델핀 카스트로는 1953년 3월 필리핀 한국 원정군(PEFTOK)에 배치되어 한국 전쟁에 참전했다. 미국 육군 제45보병사단에 배속되어 쿼드 50, 제145AAA (포병 및 대공) 대대의 소대장으로 복무했다.[21][22] 이후 니카노르 히메네즈 대령 휘하의 필리핀 한국 파병군 정찰 중대 소대장으로 임명되었다.[23][24][25]
그의 부대는 샌드백 캐슬[26]과 하트브레이크 리지[27] 사이의 스모크 밸리에 배치되어 여러 차례 교전을 치렀다. 1953년 7월 휴전까지 M-1 능선, 크리스마스 힐 지역[28]으로 재배치되었다. 이후 부산에 있는 미 육군 보급 기지에서 연락 장교로 근무하며 한국에서의 남은 기간을 보냈다.
3. 3. 필리핀 귀국 후 반군 진압 작전 참여
델핀 카스트로는 필리핀으로 돌아온 후, 필리핀 내 공산주의 반군 및 무슬림 반군과 싸웠다.[18] 1955년 초 졸로, 술루로 파견되어 카몬 작전에 참여하기 전까지 HMB(신인민군의 전신)에 대항하는 작전의 중대장을 맡았다.[19][20] 카몬이 항복한 후에도 졸로에서 1년간 임무를 완수했다.
1969년에는 J2 AFP에서 라파엘 일레토 장군과 피델 V. 라모스 장군 휘하에서 생산부(연구) 부장으로 근무했다. 1974년 필리핀으로 귀국한 그는 즉시 민다나오 남부로 투입되어 누르 미수아리가 이끄는 모로 민족 해방 전선(MNLF)의 반란 진압 작전에 참여했다.[31] 처음에는 육군 제4보병사단 (필리핀)의 부사단장 겸 제2여단장을 맡았고, 이후 남서부 사령부(SOWESCOM)의 부사령관 겸 지상군 사령관을 역임했다. 1975년 11월에는 중앙 민다나오 사령부(CEMCOM)로 이동하여 부사령관을 맡았다가, 1976년 3월 포르투나토 아바트 장군으로부터 CEMCOM 지휘권을 인수받아 1980년 말까지 사령관으로 재직했다.
1980년 12월 31일, 카스트로 장군은 남부 사령부(SOUTHCOM)의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그의 지휘 아래 SOUTHCOM은 바실란, 술루 및 타위타위를 포함한 민다나오 전역을 작전 통제했다. 최고 전성기에는 제1보병사단 (필리핀), 제4보병사단 (필리핀), 필리핀 육군의 제3보병사단 (필리핀) 2개 여단, 제2보병사단 (필리핀) 1개 여단, 제5보병사단 (필리핀) 일부 대대, 필리핀 해병대 2개 여단, 민다나오의 모든 필리핀 경찰대(PC) 및 경찰 부대, 필리핀 공군(PAF) 제3공군 사단, 남부 필리핀 해군(NAVFORSOUTH), 그리고 시민 방위군(CHDF) 등 약 75,000명의 군인과 경찰, 약 50,000명의 준군사 인력을 통솔했다.[31]
그는 군 생활 마지막 12년을 민다나오 분쟁 지역에서 보냈으며, 그의 작전으로 코타바토의 아멜릴 말라지오크(일명 로니 사령관),[32] 라나오의 자밀 루크만(일명 정글 폭스 사령관), 바실란의 하지 후단 아부바카르 사령관과 제리 살라푸딘 사령관 등 많은 최고 MNLF 사령관들이 항복했다. 공산당 신인민군(CPP/NPA) 또한 큰 손실을 입었고, 4개 여단과 15개 대대가 MNLF 지역에서 CPP/NPA 위협을 무력화하기 위해 이동되었다. 조직된 대중 기반 4,000명 이상이 1년 동안 항복했으며, 민다나오 위원회(KOMMID)의 수장 벤자민 데 베라와 그의 후계자 에드가 조프슨이 체포되거나 사망했다.
3. 4. 베트남 전쟁 참전
Philippine Expeditionary Force to Korea영어 (PEFTOK) 소속으로 한국 전쟁에 참전했다.[23][24][25] 1953년 3월, 델핀 카스트로는 미국 육군 제45보병사단에 배속되어[22] 쿼드 50, 제145AAA (포병 및 대공) 대대의 소대장으로 복무했다.[21] 이후 니카노르 히메네즈 대령 휘하의 필리핀 한국 파병군 정찰 중대 소대장으로 임명되었다.[25] 그의 부대는 샌드백 캐슬[26]과 하트브레이크 리지[27] 사이의 스모크 밸리에 배치되었다. 여러 차례 교전 후, 1953년 7월 휴전까지 M-1 능선, 크리스마스 힐 지역[28]으로 재배치되었다. 한국 근무 기간 중 일부는 부산에 있는 미 육군 보급 기지에서 연락 장교로 복무했다.
1966년, 델핀 카스트로는 제1 필리핀 시민 행동 그룹 – 베트남(PHILCAG-V)[29]에 합류하여 베트남 전쟁에 참전했다.[30] 1966년부터 1968년까지 MACV의 자유 세계 군사 지원 본부와 작전 및 정보 담당 연락 장교로 복무했다. 에드워드 렌스데일 및 나폴레옹 발레리아노와 미국 정부 대사관 연락 담당과의 조율을 담당했다. PHILCAGV는 떠이닌 성에 주둔했다. 미토, 띠엔장 성, 니빈 마을, 혹몬 현, 그리고 남베트남의 최북단 도시인 동하, 꽝찌 성 등지에서 주요 전투가 벌어졌다. 특히, 테트 공세와 NVA/VC가 시작한 5월 공세 기간 동안 근접 전투가 발생했다.
3. 5. 민다나오 분쟁 지역 복무
델핀 카스트로는 필리핀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한국 전쟁에 참전한 후, 필리핀으로 돌아와 공산주의 반군 및 모로 민족 해방 전선(MNLF) 등 무슬림 반군과 싸웠다. 1981년부터 1986년까지 필리핀군 남부 사령부(SOUTHCOM)의 사령관을 역임했다.
그는 군 생활의 마지막 12년을 민다나오 분쟁 지역에서 보냈다. 그의 지휘하에 SOUTHCOM은 바실란, 술루 및 타위타위를 포함한 전체 민다나오에 대한 작전 통제권을 가졌다. SOUTHCOM은 최고 강세 때 제1보병사단 (필리핀)과 제4보병사단 (필리핀), 필리핀 육군; 제3보병사단 (필리핀)의 2개 여단, 제2보병사단 (필리핀)의 1개 여단, 제5보병사단 (필리핀)의 일부 대대; 필리핀 해병대의 2개 여단; 민다나오의 모든 필리핀 경찰대 (PC) 및 경찰 부대; 제3공군 사단, 필리핀 공군 (PAF); 남부 필리핀 해군 (NAVFORSOUTH); 그리고 시민 방위군(CHDF)[31] 35,000명, 모로 민족 해방 전선 (MNLF) 귀환병으로 구성된 2,000명의 특별 준군사력(SPMF)을 포함하여 약 75,000명의 군인과 경찰, 약 50,000명의 준군사 인력을 거느렸다.
그의 현장 작전으로 인해 코타바토의 아멜릴 말라지오크 (일명 로니 사령관)[32], 라나오의 자밀 루크만 (일명 정글 폭스 사령관), 바실란의 하지 후단 아부바카르 사령관과 제리 살라푸딘 사령관을 포함한 많은 최고 MNLF 혁명 사령관들이 추종자들과 함께 항복했다. 공산당 신인민군 (CPP/NPA) 또한 수백 명의 사망자가 확인되고 포로가 되면서 막대한 손실과 좌절을 겪었다. 4개 여단과 15개 대대가 MNLF 지역인 제IX 및 XII 지역에서 X 및 XI 지역의 CPP/NPA 위협을 무력화하기 위해 이동되었다. 조직된 대중 기반의 4,000명 이상이 1년 동안 항복했다. 군대는 민다나오 위원회 (KOMMID)의 수장인 벤자민 데 베라를 체포했으며, 그의 후계자인 에드가 조프슨은 중앙 위원회 위원 겸 집행 위원이었고 다바오 시에서 체포를 피하려다 사망했다. 민다나오에서 복무하는 동안 카스트로 장군은 공중 및 지상에서 여러 차례 적대적인 총격을 받았으며, 비행기 사고와 헬리콥터 (Huey UH1H) 추락 사고에서 살아남았다.
3. 6. 군 퇴임
1986년 3월 5일 호세 마그노 준장에게 지휘권을 이양하고 군에서 퇴임했다.[18] 그는 필리핀군(AFP)에서 참모총장 파비안 베르 장군과 부참모총장 피델 V. 라모스 중장 다음으로 필리핀군 사관학교(PMA) 졸업생이자 3번째 고위 장교였다.
4. 군사 훈련
훈련 과정 | 기관 | 장소 |
---|---|---|
공수 과정 | 제1 특수 부대 (공수) | 포트 막사이사이, 필리핀 |
화학, 생물학, 방사능 (CBR)전 교육 과정 | 미국 육군 | 하와이, 미국 |
레인저 과정 | 보병학교 | 포트 베닝, 조지아, 미국 |
보병 장교 경력 과정 | 포트 베닝, 조지아, 미국 | |
전투 작전 전문가 과정 | USAF 공군 지상 작전 학교 | 에글린 공군 기지, 플로리다, 미국 |
지휘참모 과정 | 포트 보니파시오, 필리핀 |
5. 수상 및 서훈
훈장 및 표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대통령 부대 표창 | ||
---|---|---|
배지, 탭 & 패치 | |
---|---|
![]() | ![]() |
![]() | ![]() |
기타 훈장 |
---|
권총 전문가 배지 |
![]() |
PMA 군사 작전 카발리에 상 |
베트남 공화국 장갑차 배지 |
6. 퇴임 후
2005년 7월, 카스트로 장군은 《민다나오 이야기: 폭풍의 눈 속의 고뇌의 수십 년》을 출간했다.
참조
[1]
웹사이트
JSOTF-Philippines Has a New Commander
http://vfacom.ph/ind[...]
Presidential Commission on the Visiting Forces Agreement
[2]
뉴스
Southcom to be divided into east and west commands
http://www.timawa.ne[...]
MindaNews
2006-07-23
[3]
웹사이트
Southern Command deactivated - 2 new AFP commands activated
http://www.mb.com.ph[...]
MANILA BULLETIN
2006-08-30
[4]
웹사이트
COTABATO CITY: A Gateway to Central Mindanao
http://www.cotabatoc[...]
Cotabato Thru Time
[5]
뉴스
21 Soldiers reported killed in the Philippines
https://news.google.[...]
Anchorage Daily News
1985-10-04
[6]
뉴스
Bombs kill 7 in the Philippines
https://news.google.[...]
Sarasota Herald-Tribune
1982-05-11
[7]
뉴스
Philippine Troops Advance on Rebels
http://nl.newsbank.c[...]
Miami Herald
1983-02-15
[8]
뉴스
Philippine troops and Reds clash
https://news.google.[...]
New Straits Times
1984-12-03
[9]
뉴스
Military in Philippines Reports Heavy Losses by Separatists
https://select.nytim[...]
New York Times
1978-01-19
[10]
뉴스
Moslem rebels massacre 124 soldiers
https://news.google.[...]
The Sydney Morning Herald
1981-02-16
[11]
웹사이트
The Reward of Persuasion: Bloodbath in Pata
http://www.army.mil.[...]
Philippine Army - Army Management Information Center
[12]
웹사이트
Remembering Cesar Climaco, JOHN L. SHINN III La Zamboanga Times, p.1
http://www.lazamboan[...]
[13]
웹사이트
Remembering Cesar Climaco, JOHN L. SHINN III La Zamboanga Times, p.2
http://www.lazamboan[...]
[14]
뉴스
Bishop, Eight Others Rescued By Military
https://apnews.com/5[...]
Associated Press
1985-02-25
[15]
뉴스
Filipinos Admit Planes Fired on Japanese Tanker
https://news.google.[...]
Reading Eagle
1982-01-18
[16]
서적
A Mindanao Story: Troubled Decades in the Eye of the Storm
https://books.google[...]
2005
[17]
서적
1978 Fookien Times Philippines Yearbook
https://books.google[...]
1978
[18]
문서
Hukbong Magpapalayang Bayan (HMB) [[HUKBALAHAP]]
[19]
간행물
THE HUKBALAHAP INSURRECTION A Case Study of a Successful Anti-Insurgency Operation in the Philippines, 1946-1955
http://www.history.a[...]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Washington, DC 20402, USA
[20]
간행물
THE HUKBALAHAP INSURRECTION A Case Study of a Successful Anti-Insurgency Operation in the Philippines, 1946-1955
http://www.history.a[...]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Washington, DC 20402, USA
[21]
웹사이트
145th AAA AW(Antiaircraft Artillery Automatic Weapons) Battalion
Military.cibmedia.com
2012-04-23
[22]
서적
Korean War Order of Battle: United States, United Nations, and Communist Ground, Naval, and Air Forces, 1950-1953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Inc., USA
2002
[23]
웹사이트
First Lieutenant Delfin C Castro
Philippinepeacekeepers.ph
2012-04-23
[24]
웹사이트
14th Battalion Combat Team (Avengers)
http://www.philembas[...]
The Philippine Expeditionary Force to Korea (PEFTOK)
[25]
웹사이트
Colonel Nicanor T Jimenez
Philippinepeacekeepers.ph
2012-04-23
[26]
웹사이트
Sandbag Castle Photos
Bob-west.com
2012-04-23
[27]
웹사이트
Heartbreak Ridge Described
45thdivisionmuseum.com
1943-07-10
[28]
서적
Christmas Hill
https://books.google[...]
U of Nebraska Press
2001-09-01
[29]
서적
Military medicine to win hearts and minds: aid to civilians in the Vietnam War
https://books.google[...]
Texas Tech University Press, USA
2006
[30]
웹사이트
Brigadier General Gaudencio V Tobias
Philippinepeacekeepers.ph
2012-04-23
[31]
웹사이트
PRESIDENTIAL DECREE No. 1016 September 22, 1976 - PROVIDING FOR THE CREATION OF THE INTEGRATED CIVILIAN HOME DEFENSE FORCES
Chanrobles.com
1976-09-22
[32]
서적
Muslim Rulers and Rebels: Everyday Politics and Armed Separatism in the Southern Philippines.
http://publishing.cd[...]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