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델 V. 라모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델 V. 라모스는 1928년 3월 18일에 태어나 2022년 7월 31일에 사망한 필리핀의 군인이자 정치인이다. 미국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필리핀 육군에서 복무하며 육군 특수부대를 창설했으며,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에도 참전했다. 1986년 민중봉기 당시 페르디난드 마르코스에 반기를 들어 코라손 아키노 정부에서 육군 참모총장과 국방장관을 역임했다. 1992년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되어 필리핀 역사상 최초의 개신교 출신 대통령이 되었으며, 재임 기간 동안 경제 개혁과 사회 통합을 추진했다.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으며, 퇴임 이후에도 활발한 활동을 이어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피델 V. 라모스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피델 발데스 라모스 |
로마자 표기 | Fidel Valdez Ramos |
별칭 | FVR |
출생일 | 1928년 3월 18일 |
출생지 | 링가옌, 팡가시난 주, 필리핀 제도 |
사망일 | 2022년 7월 31일 |
사망지 | 마카티, 필리핀 |
안장 장소 | 영웅 묘지, 타기그, 필리핀 |
정당 | 라카스-CMD (2008년–2022년) 라카스-NUCD (1991년–2008년) |
기타 정당 | 민주 필리핀 투쟁당 (1991년) |
배우자 | 아멜리타 마르티네스 (1954년 결혼) |
자녀 | 5명 (크리스티 포함) |
학력 | 미국 육군사관학교 (이학사) 일리노이 대학교 어바나-샴페인 (이학 석사) 필리핀 국방대학원 (MNSA) 아테네오 데 마닐라 대학교 (경영학 석사) |
직업 | 정치인 |
전문 분야 | 군인, 토목 기사 |
![]() |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재단 웹사이트 대통령실(보관됨) |
군 복무 | |
충성 | 필리핀 |
군종 | 필리핀 경찰대 필리핀 육군 |
복무 기간 | 1950년–1988년 |
계급 | 장성 |
지휘 | 소대장, 제2대대 전투팀 (BCT), 공산주의 후크발라합 반군 진압, 1951년 보병 중대장, 제16 BCT, 공산주의 후크발라합 반군 진압, 1951년 소대장, 제20 BCT, 한국 전쟁 필리핀 한국 원정군, 유엔군 사령부 (PEFTOK-UNC), 1951년–1952년 인사 연구 그룹, 총사령부, 필리핀군 근무, 1952년–1954년 필리핀군 참모총장 수석 부관, 1958년–1960년 포트 브래그, 노스캐롤라이나 부보병 중대 장교, 1960년 필리핀군 엘리트 특수부대 창설 및 지휘관, 1962년–1965년 베트남 전쟁 필리핀 민간 행동 그룹 (AFP-PHILCAG) 참모장, 1965년–1968년 군사 담당 대통령 보좌관, 1968년–1969년 제3 보병 여단 필리핀 육군 사령관, 1970년 필리핀 경찰대 총장, 1970년–1986년 필리핀 육군 지휘 및 참모, 1985년 필리핀군 참모총장 대행, 1984년–1985년 필리핀군 부참모총장, 1985년–1986년 피플 파워 혁명 당시 군 개혁 지도자, 1986년 필리핀군 참모총장, 1986년–1988년 국방부 장관, 1988년–1991년 필리핀군 총사령관, 1992년–1998년 |
전투 | 후크발라합 반란 한국 전쟁 이리 고지 전투 베트남 전쟁 모로 분쟁 마라위 전투 (1972년) |
훈장 | 필리핀 공로 훈장 레지옹 도뇌르 훈장 사령관 필리핀 군사 공로 훈장 유엔 근무 훈장 베트남 복무 훈장 레지옹 도뇌르 훈장 필리핀 특별 공로 훈장 미국 육군사관학교 공로상 한국 전쟁 참전 훈장 브루나이 가족 훈장 인도네시아 다르마 프라타나 훈장 사령관 무궁화 대훈장 시민 공로 훈장 목걸이 성 미카엘과 성 조지 훈장 명예 기사단 대십자 이사벨 1세 여왕 훈장 목걸이 기사 백상 훈장 기사단 대십자 파키스탄 훈장 카를로스 3세 훈장 목걸이 칠레 공로 훈장 목걸이 |
정치 경력 | |
대통령 | 제12대 필리핀 대통령 |
부통령 | 조셉 에스트라다 |
임기 시작 | 1992년 6월 30일 |
임기 종료 | 1998년 6월 30일 |
이전 대통령 | 코라손 아키노 |
다음 대통령 | 조셉 에스트라다 |
국방부 장관 | 제17대 필리핀 국방부 장관 |
대통령 2 | 코라손 아키노 |
임기 시작 2 | 1988년 1월 22일 |
임기 종료 2 | 1991년 7월 18일 |
이전 장관 | 라파엘 일레토 |
다음 장관 | 레나토 데 빌라 |
필리핀군 참모총장 | 제19대 필리핀군 참모총장 |
대통령 3 | 코라손 아키노 |
임기 시작 3 | 1986년 2월 25일 |
임기 종료 3 | 1988년 1월 21일 |
이전 참모총장 | 파비안 베르 |
다음 참모총장 | 레나토 데 빌라 |
필리핀군 참모총장 대행 | 필리핀군 참모총장 대행 |
대통령 4 |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
임기 시작 4 | 1984년 10월 24일 |
임기 종료 4 | 1985년 12월 2일 |
이전 참모총장 2 | 파비안 베르 |
다음 참모총장 2 | 파비안 베르 |
필리핀군 부참모총장 | 필리핀군 부참모총장 |
대통령 5 |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코라손 아키노 |
임기 시작 5 | 1985년 12월 2일 |
임기 종료 5 | 1986년 2월 25일 |
이전 부참모총장 | 라파엘 일레토 |
다음 부참모총장 | 살바도르 M. 미손 |
필리핀 경찰청장 | 필리핀 경찰청 청장 통합 경찰청 총장 (1975년–1986년) |
임기 시작 6 | 1972년 |
임기 종료 6 | 1986년 2월 25일 |
이전 청장 | 에두아르도 M. 가르시아 |
다음 청장 | 빅터 나티비다드 |
대통령 6 | 코라손 아키노 |
임기 시작 7 | 1986년 2월 25일 |
임기 종료 7 | 1986년 3월 5일 |
이전 청장 2 | 빅터 나티비다드 |
다음 청장 2 | 레나토 데 빌라 |
2. 생애
피델 발데스 라모스는 1928년 3월 18일 팡가시난주 링가옌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을 아신간 마을에서 보냈다.[4] 그의 아버지 나르시소 라모스는 변호사이자 언론인으로, 필리핀 하원 의원을 5번 역임한 후 필리핀 외무장관을 지냈다.[5] 나르시소 라모스는 1967년 방콕에서 체결된 아세안 선언에 서명한 필리핀 대표였으며, 필리핀 자유당의 창립 멤버였다.[6] 페르디난드 마르코스가 설립한 반일 게릴라 집단 마하리카의 지도자 중 한 명이었다.[7] 그의 어머니 안젤라 발데스는 교육자이자 여성 참정권 운동가였다.[5]
그는 링가옌 공립학교에서 초등 교육을 받았다. 라모스는 마닐라의 필리핀대학교 고등학교(현 UPIS)에서 중등 교육을 시작하여 마푸아 공과대학교 고등학교 학과에서 계속 공부했다. 그는 1945년 센트로 에스콜라르 대학교 통합학교를 졸업했다.[4][5] 그 후 그는 미국 육군사관학교에 임명되어 미국으로 갔으며, 군사 공학 학사 학위를 받고 졸업했다. 그는 또한 일리노이 대학교에서 토목 공학 석사 학위를 받았고, 1953년 토목 공학 기술사 시험에서 전체 8위를 차지했다.[5] 그는 또한 필리핀 국방대학교에서 국가 안보 행정 석사 학위와 아테네오 데 마닐라 대학교에서 경영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또한 총 29개의 명예박사 학위를 받았다.[4][5][8]
피델 V. 라모스는 미국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필리핀 육군에 복무하면서 필리핀 육군 특수부대를 창설했다.[5][11] 한국 전쟁에는 한국 파병 필리핀 원정군(PEFTOK)의 일원으로 참전하여 이리 고지 전투에서 소대를 이끌고 적의 활동을 방해하는 등 활약했다.[12][13] 베트남 전쟁에도 참전하여 필리핀 시빅 액션 그룹(PHILCAG) 참모총장으로 복무했다.[5]
1972년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이 계엄령을 선포했을 때, 라모스는 필리핀 경찰(Philippine Constabulary) 사령관으로서 계엄령 시행에 관여했다.[14][5] 1975년에는 통합 국가 경찰(Integrated National Police, INP)의 초대 총장을 겸임했다. 1981년 필리핀군 참모총장 후보였으나 파비안 베르(Fabian Ver) 장군에게 밀려, 대신 1982년 필리핀군 부총장에 임명되어 중장으로 진급했다.
1986년 민중봉기(에둘사 혁명) 당시 후안 폰세 엔릴레 국방장관과 함께 마르코스에 반기를 들고 코라손 아키노를 지지하여 정권 붕괴에 기여했다.[18] 아키노 정부에서 육군 참모총장(1986~1988)과 국방장관(1988~1991)을 역임하며 9차례의 쿠데타 시도를 진압하는 군사 작전을 지휘했다.[5][20]
군 복무 중 필리핀 공훈훈장(1988년 3월 18일 및 1991년 7월 19일), 훈공별(1991년), 훈공장(1966년 5월 20일, 1967년 12월 20일, 1981년 8월 3일) 등 다수의 훈장을 받았다.[5][11]
팡가시난주의 명문 가문 출신으로, 부친은 국회의원과 외무장관을 지낸 정치인이었다.[85] 미국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마닐라 아테네오 대학교에서 경영학 석사, 일리노이 대학교에서 공학 석사학위를 받았다.[85]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에 장교로 참전했으며, 대장(4성 장군)으로까지 승진했다.[85]
1986년 6촌인 페르디난드 마르코스의 독재에 맞선 민중봉기에 참가, 코라손 아키노 정부에서 육군 참모 총장으로 임명되었다.[85] 1988년부터 1991년까지 국방장관을 역임했다.[85]
1991년 12월, 대통령 출마를 선언했으나 필리핀 민주당(LDP) 후보 지명에서 라몬 미트라 주니어(Ramon Mitra Jr.)에게 패배했다.[21] 이후 LDP를 탈당, 라카스 타오당(Partido Lakas Tao)(국민 권력당)을 창당하여 1992년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다.[21] 경제 개혁과 국가 안보 및 통합 개선을 공약으로 내세워, 7명의 후보 중 미리암 데펜소르 산티아고(Miriam Defensor Santiago)를 누르고 당선되었다.[21] 그러나 전체 투표의 23.58%만을 득표하여 필리핀 역사상 최저 득표율을 기록했으며, 선거 결과는 사기 의혹으로 얼룩졌다.[21]
1992년 6월 30일, 필리핀 역사상 최초이자 유일한 프로테스탄트 출신 대통령으로 취임했다.[24] 소위에서 대통령까지 필리핀 군대의 모든 계급을 역임한 유일한 인물이기도 하다. 재임 기간 동안 경제 성장과 국가 안정을 위해 노력했으며, '필리핀 2000'이라는 사회경제 프로그램을 추진하여 신흥 공업국으로의 도약을 목표로 했다.[25]
라모스 행정부는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로 인해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다.[36] 필리핀 페소 가치가 하락하고 경제 성장률이 감소하는 등 타격을 입었다.[36] 1993년 5월에 대한민국을 공식 방문하였다.[85]
피델 V. 라모스는 대통령 퇴임 이후에도 활발한 활동을 이어갔다. 라모스 평화 및 개발 재단(RPDEV)을 설립하여 필리핀과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평화와 발전을 위한 노력을 지속했다.[47] RPDEV는 무당파적, 비영리, 비주식 조직으로, 필리핀의 국가 이익과 국민 역량 강화를 지원하며, 건설적인 변화의 촉매제, 통합, 안정 및 진보를 촉진하는 매개체, 그리고 상호 이해를 위한 구심점 역할을 수행한다.[47]
보아오포럼 이사회 의장을 역임하고, 신흥시장포럼(EMF) 글로벌 회의 공동 의장을 맡는 등 여러 국제기구와 포럼에서 활동했다.[47] 2006년 6월에는 미얀마(옛 버마)의 유엔 특사직에 강력히 추천되기도 했다.[47] 글로벌 리더십 재단의 회원으로서 민주적 리더십 지원, 중재를 통한 갈등 예방 및 해결, 민주적 제도, 개방 시장, 인권 및 법치주의 증진을 위해 노력했다.[47]
2016년에는 로드리고 두테르테 대통령에 의해 중국 특사로 임명되어 남중국해 문제로 경색된 양국 관계 개선에 힘썼다.[48][49] 2016년 8월 8일, 필리핀은 그를 홍콩으로 파견하여 긴장을 완화시켰다.[50] 라모스는 푸잉(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 외교위원회 위원장)과 우스춘(남중국해 연구 국가 연구소 소장)을 만났으며,[50] 필리핀이 중국과 공식적인 논의에 참여할 의향이 있음을 전달했다.[50] 이후 두테르테 대통령의 중국 국빈 방문 후 "관료들이 업무를 인수했기 때문에" 사임서를 제출했고, 두테르테 대통령은 같은 날 사임을 수락했다.[51]
마약 전쟁 속에서 무법 상태와 일방주의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는등[53] 두테르테 행정부에 대한 비판적인 목소리를 내기도 했지만, 두테르테는 그를 여전히 자신의 "가장 큰 지지자"이자 동시에 "가장 큰 비판자"로 여겼다.[56][57][58]
2022년 7월 31일, 코로나19 합병증으로 마카티 메디컬센터에서 94세를 일기로 사망했다.[66] 그는 코로나19 백신을 완전 접종 또는 3차 접종했지만, 면역 체계가 약화되었고, 심장 질환도 앓고 있었다.[67] 보닝봉 마르코스 대통령은 9일간의 "국가 애도 기간"을 선포했으며, 모든 국기를 애도의 표시로 "일출부터 일몰까지 반기 게양"했다.[68] 그의 유해는 화장되었으며, 8월 9일 국장을 치른후 영웅들의 묘지에 안치되었다.[71][72][73]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피델 발데스 라모스는 1928년 3월 18일 팡가시난주 링가옌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을 아신간 마을에서 보냈다.[4] 그의 아버지 나르시소 라모스는 변호사이자 언론인으로, 필리핀 하원 의원을 5번 역임한 후 필리핀 외무장관을 지냈다.[5] 나르시소 라모스는 1967년 방콕에서 체결된 아세안 선언에 서명한 필리핀 대표였으며, 필리핀 자유당의 창립 멤버였다.[6] 페르디난드 마르코스가 설립한 반일 게릴라 집단 마하리카의 지도자 중 한 명이었다.[7] 그의 어머니 안젤라 발데스는 교육자이자 여성 참정권 운동가였다.[5]그는 링가옌 공립학교에서 초등 교육을 받았다. 라모스는 마닐라의 필리핀대학교 고등학교(현 UPIS)에서 중등 교육을 시작하여 마푸아 공과대학교 고등학교 학과에서 계속 공부했다. 그는 1945년 센트로 에스콜라르 대학교 통합학교를 졸업했다.[4][5] 그 후 그는 미국 육군사관학교에 임명되어 미국으로 갔으며, 군사 공학 학사 학위를 받고 졸업했다. 그는 또한 일리노이 대학교에서 토목 공학 석사 학위를 받았고, 1953년 토목 공학 기술사 시험에서 전체 8위를 차지했다.[5] 그는 또한 필리핀 국방대학교에서 국가 안보 행정 석사 학위와 아테네오 데 마닐라 대학교에서 경영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또한 총 29개의 명예박사 학위를 받았다.[4][5][8]
2. 2. 군 경력
피델 V. 라모스는 미국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필리핀 육군에 복무하면서 필리핀 육군 특수부대를 창설했다.[5][11] 한국 전쟁에는 한국 파병 필리핀 원정군(PEFTOK)의 일원으로 참전하여 이리 고지 전투에서 소대를 이끌고 적의 활동을 방해하는 등 활약했다.[12][13] 베트남 전쟁에도 참전하여 필리핀 시빅 액션 그룹(PHILCAG) 참모총장으로 복무했다.[5]1972년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이 계엄령을 선포했을 때, 라모스는 필리핀 경찰(Philippine Constabulary) 사령관으로서 계엄령 시행에 관여했다.[14][5] 1975년에는 통합 국가 경찰(Integrated National Police, INP)의 초대 총장을 겸임했다. 1981년 필리핀군 참모총장 후보였으나 파비안 베르(Fabian Ver) 장군에게 밀려, 대신 1982년 필리핀군 부총장에 임명되어 중장으로 진급했다.
1986년 민중봉기(에둘사 혁명) 당시 후안 폰세 엔릴레 국방장관과 함께 마르코스에 반기를 들고 코라손 아키노를 지지하여 정권 붕괴에 기여했다.[18] 아키노 정부에서 육군 참모총장(1986~1988)과 국방장관(1988~1991)을 역임하며 9차례의 쿠데타 시도를 진압하는 군사 작전을 지휘했다.[5][20]
군 복무 중 필리핀 공훈훈장(1988년 3월 18일 및 1991년 7월 19일), 훈공별(1991년), 훈공장(1966년 5월 20일, 1967년 12월 20일, 1981년 8월 3일) 등 다수의 훈장을 받았다.[5][11][75]
2. 3. 정치 경력
팡가시난주의 명문 가문 출신으로, 부친은 국회의원과 외무장관을 지낸 정치인이었다.[85] 미국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마닐라 아테네오 대학교에서 경영학 석사, 일리노이 대학교에서 공학 석사학위를 받았다.[85]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에 장교로 참전했으며, 대장(4성 장군)으로까지 승진했다.[85]1986년 6촌인 페르디난드 마르코스의 독재에 맞선 민중봉기에 참가, 코라손 아키노 정부에서 육군 참모 총장으로 임명되었다.[85] 1988년부터 1991년까지 국방장관을 역임했다.[85]
1991년 12월, 대통령 출마를 선언했으나 필리핀 민주당(LDP) 후보 지명에서 라몬 미트라 주니어(Ramon Mitra Jr.)에게 패배했다.[21] 이후 LDP를 탈당, 라카스 타오당(Partido Lakas Tao)(국민 권력당)을 창당하여 1992년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다.[21] 경제 개혁과 국가 안보 및 통합 개선을 공약으로 내세워, 7명의 후보 중 미리암 데펜소르 산티아고(Miriam Defensor Santiago)를 누르고 당선되었다.[21] 그러나 전체 투표의 23.58%만을 득표하여 필리핀 역사상 최저 득표율을 기록했으며, 선거 결과는 사기 의혹으로 얼룩졌다.[21]
1992년 6월 30일, 필리핀 역사상 최초이자 유일한 프로테스탄트 출신 대통령으로 취임했다.[24] 소위에서 대통령까지 필리핀 군대의 모든 계급을 역임한 유일한 인물이기도 하다. 재임 기간 동안 경제 성장과 국가 안정을 위해 노력했으며, '필리핀 2000'이라는 사회경제 프로그램을 추진하여 신흥 공업국으로의 도약을 목표로 했다.[25]
라모스 행정부는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로 인해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다.[36] 필리핀 페소 가치가 하락하고 경제 성장률이 감소하는 등 타격을 입었다.[36] 1993년 5월에 대한민국을 공식 방문하였다.[85]
2. 4. 대통령 퇴임 이후
피델 V. 라모스는 대통령 퇴임 이후에도 활발한 활동을 이어갔다. 라모스 평화 및 개발 재단(RPDEV)을 설립하여 필리핀과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평화와 발전을 위한 노력을 지속했다.[47] RPDEV는 무당파적, 비영리, 비주식 조직으로, 필리핀의 국가 이익과 국민 역량 강화를 지원하며, 건설적인 변화의 촉매제, 통합, 안정 및 진보를 촉진하는 매개체, 그리고 상호 이해를 위한 구심점 역할을 수행한다.[47]보아오포럼 이사회 의장을 역임하고, 신흥시장포럼(EMF) 글로벌 회의 공동 의장을 맡는 등 여러 국제기구와 포럼에서 활동했다.[47] 2006년 6월에는 미얀마(옛 버마)의 유엔 특사직에 강력히 추천되기도 했다.[47] 글로벌 리더십 재단의 회원으로서 민주적 리더십 지원, 중재를 통한 갈등 예방 및 해결, 민주적 제도, 개방 시장, 인권 및 법치주의 증진을 위해 노력했다.[47]
2016년에는 로드리고 두테르테 대통령에 의해 중국 특사로 임명되어 남중국해 문제로 경색된 양국 관계 개선에 힘썼다.[48][49] 2016년 8월 8일, 필리핀은 그를 홍콩으로 파견하여 긴장을 완화시켰다.[50] 라모스는 푸잉(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 외교위원회 위원장)과 우스춘(남중국해 연구 국가 연구소 소장)을 만났으며,[50] 필리핀이 중국과 공식적인 논의에 참여할 의향이 있음을 전달했다.[50] 이후 두테르테 대통령의 중국 국빈 방문 후 "관료들이 업무를 인수했기 때문에" 사임서를 제출했고, 두테르테 대통령은 같은 날 사임을 수락했다.[51]
마약 전쟁 속에서 무법 상태와 일방주의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는등[53] 두테르테 행정부에 대한 비판적인 목소리를 내기도 했지만, 두테르테는 그를 여전히 자신의 "가장 큰 지지자"이자 동시에 "가장 큰 비판자"로 여겼다.[56][57][58]
2022년 7월 31일, 코로나19 합병증으로 마카티 메디컬센터에서 94세를 일기로 사망했다.[66] 그는 코로나19 백신을 완전 접종 또는 3차 접종했지만, 면역 체계가 약화되었고, 심장 질환도 앓고 있었다.[67] 보닝봉 마르코스 대통령은 9일간의 "국가 애도 기간"을 선포했으며, 모든 국기를 애도의 표시로 "일출부터 일몰까지 반기 게양"했다.[68] 그의 유해는 화장되었으며, 8월 9일 국장을 치른후 영웅들의 묘지에 안치되었다.[71][72][73]
3. 가족
피델 V. 라모스는 1954년 10월 21일 마닐라 중앙연합감리교회에서 아멜리타 마르티네스와 결혼했다.[9] 두 사람은 필리핀대학교 부속고등학교 동급생이자 마닐라 파드레 파우라 거리 이웃으로 친구로서 인연을 시작했다.[10] 슬하에 딸 다섯 명을 두었는데, 안젤리타 라모스-존스, 조세핀 라모스-사마르티노, 카롤리나 라모스-셈브라노, 크리스티나 라모스-잘라스코, 글로리아 라모스이다.[4][5] 또한 손자 다섯 명과 손녀 세 명이 있다.[71]
4. 1992년 대통령 선거
1992년 대선에서 라모스는 23.58%의 득표율로 미리암 데펜소르 산티아고를 누르고 당선되었다.[21] 그러나 이는 필리핀 역사상 최저 득표율이었다.
선거명 | 직책명 | 대수 | 정당 | 득표율 | 득표수 | 결과 | 당락 |
---|---|---|---|---|---|---|---|
1992년 선거 | 필리핀 대통령 | 12대 | 라카스 기독교 이슬람교 민주당 | 23.58% | 5,342,521표 | 1위 |
당시 필리핀 민주당(LDP)의 후보 지명 경선에서 라몬 미트라 주니어(Ramon Mitra Jr.)에게 패배하자, 라모스는 LDP를 탈당하고 라카스 타오당(Partido Lakas Tao)(국민 권력당)을 창당하였다. 이후 세부(Cebu) 주지사 에밀리오 마리오 오스메냐(Emilio Mario Osmeña)를 부통령 후보로, 호세 드 베네시아와 함께 경제 개혁과 국가 안보 및 통합 개선을 위한 선거 운동을 벌였다.
선거 결과, 산티아고가 개표 초반 선두를 달렸으나 전국적인 정전 사태 이후 라모스가 1위로 올라서면서 부정선거 의혹이 제기되었다.[21] 국제 언론은 한때 산티아고를 당선자로 보도했으나, 이후 득표 순위 변화로 보도를 철회했다.[21] 산티아고는 대법원에 선거 소송을 제기했으나 기각되었다.[21] "미리암은 선거에서 이겼지만 개표에서 졌다"는 말이 유행했다.[21]
델로스 산토스는 무아마르 카다피(Muammar al-Qaddafi) 리비아 지도자가 라모스의 선거 운동에 20만 달러(500만 페소)를 지원했다고 주장했으나, 이는 필리핀 선거법 위반이다.[22] 라모스는 이를 부인하며 증거 제시를 요구했다.[23]
5. 대통령 재임 (1992-1998)
1992년 6월 대통령에 취임했다. 재임 중에는 국영기업의 민영화와 외국 자본 유치에 힘썼으며, 국내 수요에 필요한 발전소를 건설했다. 라모스의 경제 정책은 국민의 지지를 얻게 되어 1995년 5월 의회 선거에서 다수당을 차지할 수 있었다. 2기 출마를 부정하고 1998년 6월에 퇴임했다.
1992년 취임 당시 그는 필리핀 역사상 최초이자 유일한 프로테스탄트 출신 대통령이었으며, (로마 가톨릭 신자가 다수인 국가에서), 소위에서 대통령까지 필리핀 군대의 모든 계급을 역임한 유일한 필리핀 장교였다.
그의 집권 초기 3년은 경제 호황, 기술 개발, 정치적 안정, 국민에 대한 기본적인 욕구의 효율적인 충족을 특징으로 했다. 그는 당의 강령을 통치의 윤곽과 의제로 제시했다. 그는 라카스-CMD(기독교-무슬림 민주당)의 창립자로서 필리핀에서 선출된 최초의 기독교 민주주의자였다. 그는 아시아 자유민주주의의 가장 영향력 있는 지도자이자 비공식 대변인 중 한 명이었다.[24]
=== 국내 정책 ===
필리핀 2000 사회경제 프로그램을 통해 필리핀의 경제 개혁과 국가 발전을 추진했다.[25] 이 프로그램은 평화와 안정, 경제 성장과 지속 가능한 개발, 에너지 및 발전, 환경 보호, 능률적인 관료제라는 5가지 요점을 중심으로 한다.[25]
전직 군 장성 출신임에도 불구하고, 라모스는 국가의 다양한 무장 반군 단체들과 평화를 이루기 위해 노력했다.[26] 국가통합위원회(NUC)를 설립하고 하이디 요락을 위원장으로 임명하여 평화 협상을 시작했다.[26] 개혁군 운동(RAM)을 이끈 그레고리오 "그린고" 호나산 대령을 포함한 반군 장교들에게 사면을 결정했다.[26] 1996년에는 정부와 모로국가해방전선(MNLF)의 누르 미수아리가 이끄는 최종 평화 협정 체결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반체제 활동 금지법을 폐지하여 필리핀 공산당 활동을 합법화했다.[27][28][29] 또한, 정부와 필리핀 공산당 사이에 인권 및 국제 인도주의법 존중에 관한 포괄적 합의(CARHRIHL)를 체결하여 인권 침해 감시 메커니즘을 제공했다.[30]
라모스는 취임 초기 필리핀이 겪고 있던 광범위한 블랙아웃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했다. 의회에 에너지부 설립을 요청하고, 전력 위기 해결을 위한 특별 긴급 권한을 부여받았다.[31] 이를 통해 독립 발전 사업자(IPP)들에게 발전소 건설 면허를 발급하고, 정부가 전력을 매입하는 공급 계약을 체결하여 발전소 투자를 유치했다.[31] 그러나 이는 동아시아 금융 위기 당시 전력 수요 감소와 필리핀 페소 가치 하락으로 인해 문제가 되었다. 세계은행은 전력 과잉 공급으로 인해 요금이 상승할 수 있다고 경고했지만, 라모스는 IPP 계약 체결을 지속했다.[33]
사형제도를 부활시켰다.[34] 1996년 사형제도를 부활시키는 법안에 서명했는데, 이 법안은 전기의자를 사용하고, 추후 가스실이 설치될 때까지 전기의자를 사용한다고 명시했다.[34] 그러나 실제로는 전기의자나 가스실이 사용되지 않았고, 치사량 주사 방식이 채택되었다.
=== 대외 정책 ===
남중국해 스프래틀리 군도(난사 군도) 문제와 관련하여 중국과 갈등을 겪었다.[35] 1995년 초, 필리핀은 팔라완 해안에서 130km 떨어진 스프래틀리 군도의 미스치프 환초(Mischief Reef)에서 원시적인 중국군 시설을 발견했다. 필리핀 정부는 중국의 환초 점령에 대해 공식적으로 항의했고, 필리핀 해군은 팔라완에서 80km 떨어진 하프 문 쇼얼(Half Moon Shoal)에서 중국 어부 62명을 체포했다. 이후 감시 사진을 통해 해당 시설이 군사 시설임이 확인되자, 라모스 대통령은 해당 지역에 군사력을 강화했다. 그는 필리핀 공군에 4대의 제트 훈련기와 2대의 헬리콥터의 지원을 받는 5대의 F-5 전투기를 파견하도록 명령했고, 해군은 함선 2척을 추가로 파견했다. 중국은 해당 시설이 어부들을 위한 숙소라고 주장했지만, 이러한 작은 사건들이 남중국해에서 전쟁을 일으킬 수 있었다.
플로르 콩템플라시온 사건과 사라 발라바간 사건에서 볼 수 있듯이, 이주 노동자 문제에 대한 미흡한 대처는 라모스 정부의 약점으로 지적받았다.[35] 특히 콩템플라시온 사건은 외무장관과 노동장관의 사임, 싱가포르와의 외교 관계 단절로 이어졌다. 이후 라모스는 관련 법률 제정을 통해 이주 노동자 문제 해결에 노력했으며, 발라바간 사건에서는 적극적인 외교적 노력을 통해 그녀의 석방을 이끌어냈다.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을 통해 라모스는 이주 노동자 문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관련 정책 개선에 힘썼다.
라모스 정부는 아시아 지역 협력 증진에도 기여했다.
=== 평가 ===
라모스 정부는 경제 개혁과 사회 통합을 위해 노력했으나,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와 부정부패 의혹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36][37]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는 태국에서 시작되어 라모스 행정부 말기에 큰 타격을 입혔으며, 마이너스 경제성장률을 기록한 채 퇴임하게 되었다.[36] 필리핀 페소의 가치가 1997년 7월 ₱26.40/$1에서 1998년 1월 ₱45.42/$1로 떨어지는 통화 가치 하락의 영향을 받았다.[36] 태국 바트, 말레이시아 링깃, 인도네시아 루피아도 마찬가지였다. 경제 성장률은 1997년 5.2%에서 1998년 약 −0.6%로 감소했지만, 1999년에는 3.4%로 회복되었다.
필리핀 독립 100주년(1998년 6월 12일)을 기념하는 대대적인 홍보 캠페인을 통해 민족주의 정신을 되살린 것이 그의 주요 업적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클라크 공군기지(Clark Air Base)가 있던 앙헬레스 시(Angeles City)에 건설된 100주년 기념 박람회 및 원형극장(Centennial Expo and Amphitheater)을 비롯한 여러 사업에서 대규모 부정부패 혹은 자금 유용 의혹이 제기되어 그의 업적에 오점을 남겼다.[37] 필리핀탐사보도센터(Philippine Center for Investigative Journalism, PCIJ)의 특별 보고서를 통해 박람회 부지 관련 사업들이 행정부의 사치와 비효율성을 드러낼 뿐만 아니라 라모스의 정당인 LAKAS의 선거 자금 모금에 편리하게 이용되었으며, 이는 납세자의 희생으로 이루어진 선거법 위반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37] ''세기 박람회 필리피노(Centennial Expo Pilipino)'' 사업은 90억 페소(1998년 국가 예산의 1.7%)라는 막대한 비용을 들인 백색 코끼리(white elephant) 사업으로 비판을 받았다.[37]
5. 1. 국내 정책
필리핀 2000 사회경제 프로그램을 통해 필리핀의 경제 개혁과 국가 발전을 추진했다.[25] 이 프로그램은 평화와 안정, 경제 성장과 지속 가능한 개발, 에너지 및 발전, 환경 보호, 능률적인 관료제라는 5가지 요점을 중심으로 한다.[25]전직 군 장성 출신임에도 불구하고, 라모스는 국가의 다양한 무장 반군 단체들과 평화를 이루기 위해 노력했다.[26] 국가통합위원회(NUC)를 설립하고 하이디 요락을 위원장으로 임명하여 평화 협상을 시작했다.[26] 개혁군 운동(RAM)을 이끈 그레고리오 "그린고" 호나산 대령을 포함한 반군 장교들에게 사면을 결정했다.[26] 1996년에는 정부와 모로국가해방전선(MNLF)의 누르 미수아리가 이끄는 최종 평화 협정 체결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반체제 활동 금지법을 폐지하여 필리핀 공산당 활동을 합법화했다.[27][28][29] 또한, 정부와 필리핀 공산당 사이에 인권 및 국제 인도주의법 존중에 관한 포괄적 합의(CARHRIHL)를 체결하여 인권 침해 감시 메커니즘을 제공했다.[30]
라모스는 취임 초기 필리핀이 겪고 있던 광범위한 블랙아웃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했다. 의회에 에너지부 설립을 요청하고, 전력 위기 해결을 위한 특별 긴급 권한을 부여받았다.[31] 이를 통해 독립 발전 사업자(IPP)들에게 발전소 건설 면허를 발급하고, 정부가 전력을 매입하는 공급 계약을 체결하여 발전소 투자를 유치했다.[31] 그러나 이는 동아시아 금융 위기 당시 전력 수요 감소와 필리핀 페소 가치 하락으로 인해 문제가 되었다. 세계은행은 전력 과잉 공급으로 인해 요금이 상승할 수 있다고 경고했지만, 라모스는 IPP 계약 체결을 지속했다.[33]
사형제도를 부활시켰다.[34] 1996년 사형제도를 부활시키는 법안에 서명했는데, 이 법안은 전기의자를 사용하고, 추후 가스실이 설치될 때까지 전기의자를 사용한다고 명시했다.[34] 그러나 실제로는 전기의자나 가스실이 사용되지 않았고, 치사량 주사 방식이 채택되었다.
5. 2. 대외 정책
남중국해 스프래틀리 군도(난사 군도) 문제와 관련하여 중국과 갈등을 겪었다.[35] 1995년 초, 필리핀은 팔라완 해안에서 130km 떨어진 스프래틀리 군도의 미스치프 환초(Mischief Reef)에서 원시적인 중국군 시설을 발견했다. 필리핀 정부는 중국의 환초 점령에 대해 공식적으로 항의했고, 필리핀 해군은 팔라완에서 80km 떨어진 하프 문 쇼얼(Half Moon Shoal)에서 중국 어부 62명을 체포했다. 이후 감시 사진을 통해 해당 시설이 군사 시설임이 확인되자, 라모스 대통령은 해당 지역에 군사력을 강화했다. 그는 필리핀 공군에 4대의 제트 훈련기와 2대의 헬리콥터의 지원을 받는 5대의 F-5 전투기를 파견하도록 명령했고, 해군은 함선 2척을 추가로 파견했다. 중국은 해당 시설이 어부들을 위한 숙소라고 주장했지만, 이러한 작은 사건들이 남중국해에서 전쟁을 일으킬 수 있었다.플로르 콩템플라시온 사건과 사라 발라바간 사건에서 볼 수 있듯이, 이주 노동자 문제에 대한 미흡한 대처는 라모스 정부의 약점으로 지적받았다.[35] 특히 콩템플라시온 사건은 외무장관과 노동장관의 사임, 싱가포르와의 외교 관계 단절로 이어졌다. 이후 라모스는 관련 법률 제정을 통해 이주 노동자 문제 해결에 노력했으며, 발라바간 사건에서는 적극적인 외교적 노력을 통해 그녀의 석방을 이끌어냈다.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을 통해 라모스는 이주 노동자 문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관련 정책 개선에 힘썼다.
라모스 정부는 아시아 지역 협력 증진에도 기여했다.
5. 3. 평가
라모스 정부는 경제 개혁과 사회 통합을 위해 노력했으나,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와 부정부패 의혹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36][37]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는 태국에서 시작되어 라모스 행정부 말기에 큰 타격을 입혔으며, 마이너스 경제성장률을 기록한 채 퇴임하게 되었다.[36] 필리핀 페소의 가치가 1997년 7월 ₱26.40/$1에서 1998년 1월 ₱45.42/$1로 떨어지는 통화 가치 하락의 영향을 받았다.[36] 태국 바트, 말레이시아 링깃, 인도네시아 루피아도 마찬가지였다. 경제 성장률은 1997년 5.2%에서 1998년 약 −0.6%로 감소했지만, 1999년에는 3.4%로 회복되었다.
필리핀 독립 100주년(1998년 6월 12일)을 기념하는 대대적인 홍보 캠페인을 통해 민족주의 정신을 되살린 것이 그의 주요 업적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클라크 공군기지(Clark Air Base)가 있던 앙헬레스 시(Angeles City)에 건설된 100주년 기념 박람회 및 원형극장(Centennial Expo and Amphitheater)을 비롯한 여러 사업에서 대규모 부정부패 혹은 자금 유용 의혹이 제기되어 그의 업적에 오점을 남겼다.[37] 필리핀탐사보도센터(Philippine Center for Investigative Journalism, PCIJ)의 특별 보고서를 통해 박람회 부지 관련 사업들이 행정부의 사치와 비효율성을 드러낼 뿐만 아니라 라모스의 정당인 LAKAS의 선거 자금 모금에 편리하게 이용되었으며, 이는 납세자의 희생으로 이루어진 선거법 위반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37] ''세기 박람회 필리피노(Centennial Expo Pilipino)'' 사업은 90억 페소(1998년 국가 예산의 1.7%)라는 막대한 비용을 들인 백색 코끼리(white elephant) 사업으로 비판을 받았다.[37]
6. 역대 선거 결과
wikitable
선거명 | 직책명 | 대수 | 정당 | 득표율 | 득표수 | 결과 | 당락 |
---|---|---|---|---|---|---|---|
1992년 선거 | 필리핀 대통령 | 12대 | 라카스 기독교 이슬람교 민주당 | 23.58% | 5,342,521표 | 1위 |
참조
[1]
웹사이트
BOE.es – Índice por secciones del día 01/04/1995
http://www.boe.es/bo[...]
2016-11-02
[2]
서적
Philippine History Module-based Learning I' 2002 Ed.
https://books.google[...]
Rex Bookstore, Inc.
[3]
웹사이트
Fidel V. Ramos | Presidential Museum and Library
https://web.archive.[...]
2013-03-19
[4]
웹사이트
Fidel V. Ramos
https://web.archive.[...]
2016-03-03
[5]
웹사이트
Resumé of Fidel Valdez Ramos
http://rpdev.org/abo[...]
2016-03-03
[6]
웹사이트
Inauguration of Fidel V. Ramos as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https://www.official[...]
2016-10-06
[7]
서적
The Marcos dynasty
https://archive.org/[...]
Harper & Row
1988
[8]
웹사이트
Fidel V. Ramos
https://web.archive.[...]
2016-03-03
[9]
뉴스
Here comes the bride
https://www.philstar[...]
The Philippine Star
2019-11-01
[10]
뉴스
FVR and Ming Ramos: An enduring love story
https://manilastanda[...]
Manila Standard
2018-09-08
[11]
웹사이트
Fidel Ramos
https://www.philippi[...]
[12]
웹사이트
Philippine Expeditionary Force to Korea (1950–1955): 20th Battalion Combat Team
https://web.archive.[...]
Geocities
2009-07-19
[13]
서적
The History of the United Nations Forces in the Korean War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Republic of Korea)
1977-12-20
[14]
간행물
Report of an Amnesty International Mission to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11 – 28 Nov 1981
https://www.amnesty.[...]
Amnesty International
[15]
웹사이트
Performance Highlights
https://web.archive.[...]
Philippine National Police
2007-03-02
[16]
웹사이트
Elite Special Action Force (Saf) Deployed In Makati City
https://web.archive.[...]
Newsflash.org
[17]
웹사이트
About Special Action Force
http://www.pnp.gov.p[...]
Philippine National Police
[18]
웹사이트
What Ramos wants to tell millennials 30 years after Edsa revolt
https://newsinfo.inq[...]
2016-02-24
[19]
서적
The Boys From The Barracks: The Philippine Military After EDSA
Anvil Publishing Inc
[20]
웹사이트
REBELLION : Forgiving the Enemy in Manila : President's efforts to neutralize Philippine rebels give him much-needed boost.
https://www.latimes.[...]
1993-03-20
[21]
웹사이트
Philippines Candidate Calls for Voter Protests : Election: Charging fraud, Santiago urges her supporters to take to the streets. But an opponent warns of civil war
https://www.latimes.[...]
1992-05-16
[22]
웹사이트
Wikileaks:Ramos got P5M campaign contribution from Gaddafy
https://ph.news.yaho[...]
VERA Files
[23]
뉴스
Ramos Denies Libyan Campaign Contributions
http://www.philstar.[...]
2011-09-07
[24]
웹사이트
Fidel Ramos
http://www.prospect-[...]
[25]
논문
Political Governance, Economic Policy Reforms, and Aid Effectiveness: The Case of the Philippines with Lessons from the Ramos Administration
http://www.grips.ac.[...]
National Graduate Institute for Policy Studies
2011-05-16
[26]
웹사이트
President Fidel V. Ramos: the retired general who negotiated peace put Mindanao on the Philippine map of priorities
https://www.mindanew[...]
2022-08-15
[27]
간행물
An Act repealing Republic Act numbered one thousand seven hundred, as amended, otherwise known as the Anti-Subversion Act
https://www.official[...]
1992-09-22
[28]
간행물
Codifying the various laws on anti-subversion and increasing the penalties for membership in subversive organizations
https://www.official[...]
1981-01-16
[29]
뉴스
Moves to revive the Anti-Subversion Law
https://web.archive.[...]
[30]
학술지
The Use of Human Rights for the Protraction of War
https://journals.upd[...]
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Diliman
2006
[31]
웹사이트
The president who freed the skies
https://opinion.inqu[...]
2022-08-03
[32]
서적
Philippine History and Government, Sixth Edition
All-Nations Publishing Co. (Quezon City)
[33]
웹사이트
Rimban, Luz and Samonte-Pesayco, Sheila. Trail of Power Mess Leads to Ramos. (August 5–8, 2002)
https://web.archive.[...]
[34]
뉴스
BBC NEWS – Programmes – From Our Own Correspondent – Philippines 'restores' death penalty
http://news.bbc.co.u[...]
2003-12-21
[35]
간행물
Migrant Workers and Overseas Filipinos Act of 1995
https://www.official[...]
1995-06-07
[36]
논문
The Effects of the Asian Financial Crisis on the Philippines Labor Market
https://web.archive.[...]
East Asian Development Network
2009-07-19
[37]
웹사이트
Centennial Expo: Convenient Cover for Election Fundraising
http://www.pcij.org/[...]
2015-07-25
[38]
뉴스
Manila Journal; People Power 2: A Sleeping Giant Is Awakened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97-09-22
[39]
서적
Trustee of the nation: the biography of Fidel V. Ramos
Anvil
2011-01-01
[40]
뉴스
FVR factor makes GMA hangs tough
https://books.google[...]
2005-07-10
[41]
뉴스
'I owe much to FVR': Arroyo gives poignant tribute to Ramos
https://mb.com.ph/20[...]
2022-08-02
[42]
웹사이트
FVR leads Purple Ribbon launch to push RH bill - Interaksyon.com
https://web.archive.[...]
[43]
논문
Philippines. Church vs. state: Fidel Ramos and family planning face 'Catholic Power'
1994-08-01
[44]
웹사이트
Who We Are - Eminent Persons
https://web.archive.[...]
The Forum for Family Planning and Development
[45]
웹사이트
FORUM FOR FAMILY PLANNING
https://web.archive.[...]
[46]
웹사이트
Who We Are
https://www.forumfor[...]
The Forum for Family Planning and Development, Inc.
[47]
뉴스
FVR Presidential Library launched as he turns 94
https://www.philstar[...]
2022-03-19
[48]
웹사이트
Ramos accepts Duterte’s offer as PHL’s special envoy to China
https://www.gmanetwo[...]
2016-07-23
[49]
웹사이트
Ramos accepts Duterte offer to become special envoy to China
https://globalnation[...]
2016-07-23
[50]
서적
The Art of State Persuasion: China's Strategic Use of Media in Interstate Disputes
Oxford University Press
[51]
뉴스
Duterte confirms Ramos resignation as special envoy to China
https://web.archive.[...]
2016-11-02
[52]
뉴스
Beijing-based journalist 'Chito' Sta. Romana is new PH envoy to China
https://globalnation[...]
[53]
뉴스
Ex-Philippine leader Ramos concerned about impunity, Duterte 'unilateralism'
https://www.reuters.[...]
2017-02-13
[54]
뉴스
Russia trip not a junket, Duterte tells FVR
https://news.abs-cbn[...]
2017-06-29
[55]
뉴스
GUSTO NG POGI POINTS? Duterte disowns signature gesture, says fist bump started by FVR
https://interaksyon.[...]
2017-11-13
[56]
뉴스
FVR my No.1 supporter, critic – Rody
https://web.archive.[...]
Yahoo! News
2016-11-28
[57]
뉴스
Duterte to FVR: You're my No.1 supporter and critic
https://newsinfo.inq[...]
2017-07-17
[58]
뉴스
'My lahat': Duterte calls FVR 'his everything'
https://news.abs-cbn[...]
2018-04-18
[59]
뉴스
FVR is doing fine
https://businessmirr[...]
BusinessMirror
2020-05-02
[60]
뉴스
FVR at 93 is still sharp, keeps abreast of news
https://manilastanda[...]
2021-03-18
[61]
뉴스
LOOK: Former president Fidel Ramos completes COVID-19 vaccination
https://newsinfo.inq[...]
2021-06-25
[62]
뉴스
FVR turns 94, online presidential library unveiled
https://www.pna.gov.[...]
2022-03-18
[63]
뉴스
Ramos has been sick for a while: Bello
https://news.abs-cbn[...]
2022-08-01
[64]
뉴스
LOOK: Leni Robredo shares old family photo with 'personal friend' Fidel Ramos
https://mb.com.ph/20[...]
2022-08-01
[65]
뉴스
Lakas adopts BBM as presidential bet
https://www.manilati[...]
2021-11-24
[66]
뉴스
Fidel Ramos, Who Helped End Marcos Dictatorship, Dies at 94
https://www.bloomber[...]
2022-07-31
[67]
뉴스
'Death of a great statesman': Former presidents pay tribute to Fidel Ramos
https://www.philstar[...]
Philippine Star
2022-08-01
[68]
뉴스
PBBM declares July 31-Aug. 9 as nat'l days of mourning for FVR
https://www.pna.gov.[...]
2022-08-01
[69]
뉴스
Former President Fidel Ramos' wake to start on Aug. 4-8
https://newsinfo.inq[...]
2022-08-02
[70]
뉴스
FVR state burial set
https://malaya.com.p[...]
2022-08-08
[71]
뉴스
Ex-President Fidel V. Ramos laid to rest
https://gmanetwork.c[...]
2022-08-09
[72]
뉴스
PH holds state funeral for Ramos
https://www.manilati[...]
2022-08-09
[73]
웹사이트
Remembering FVR
https://pinoypubliko[...]
2024-05-25
[74]
웹사이트
Net Satisfaction Ratings of Presidents: Philippines (Page 1 of 2)
https://www.sws.org.[...]
2021-09-24
[75]
웹사이트
Our Story
https://web.archive.[...]
2021-12-10
[76]
서적
Dharmasena Bagian 15, Edisi 19-29
https://www.google.c[...]
Pusat Penerangan HANKAM
1989
[77]
서적
Daily Report Asia & Pacific · Edisi 117-126
https://www.google.c[...]
The Service
1974
[78]
웹사이트
Semakan Penerima Darjah Kebesaran, Bintang, dan Pingat Persekutuan.
http://www.istiadat.[...]
[79]
웹사이트
Condecorados: Orden El Sol del Perú
https://ghostarchive[...]
2022-07-23
[80]
웹사이트
Real Decreto 1819/1994, de 2 de septiembre, por el que se concede el Collar de la Orden del Mérito Civil a su excelencia señor don Fidel Valdez Ramos, Presidente de la República de Filipinas
http://www.boe.es/bo[...]
Boletín Oficial del Estado (BOE)
2016-09-24
[81]
웹사이트
Real Decreto 453/1995, de 24 de marzo, por el que se concede el Collar de la Orden de Isabel la Católica a su excelencia señor Fidel Valdez Ramos, Presidente de la República de Filipinas
http://www.boe.es/bo[...]
Boletín Oficial del Estado (BOE)
2016-09-24
[82]
웹사이트
Real Decreto 136/1998, de 30 de enero, por el que se concede el Collar de la Real y Muy Distinguida Orden de Carlos III a su Excelencia el Presidente de la República de Filipinas, don Fidel V. Ramos
http://www.boe.es/bo[...]
Boletín Oficial del Estado (BOE)
2016-09-24
[83]
뉴스
Former president Fidel V. Ramos succumbs to Covid-19
https://www.manilati[...]
2022-07-31
[84]
웹사이트
フィデル・ラモス氏死去、94歳 フィリピン元大統領、民主化立役者
https://web.archive.[...]
2022-07-31
[85]
서적
필리핀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