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에바에시하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누에바에시하는 필리핀 루손 섬 중앙부에 위치한 주로, 초기에는 토착 부족들이 거주했으며 스페인 식민지 시대와 미국 식민 시대를 거치며 타갈로그족이 주를 이루게 되었다. 17세기 말에는 누에바에시하라는 이름으로 명명되었으며, 담배 재배 중심지로 성장했다. 필리핀 혁명과 필리핀-미국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이후 농업, 교육, 보건 산업이 발전했다. 현재는 쌀 생산의 중심지이자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지역으로, 27개의 지방 자치체와 5개의 도시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누에바에시하주 - 카바나투안
카바나투안은 필리핀 누에바에시하 주의 도시로, 한때 주도였으며 안토니오 루나 장군 암살 장소이자 포로수용소 위치였으나 현재는 경제, 쇼핑, 숙박, 교육, 의료 중심지이다. - 중앙루손 지방 - 아우로라주
아우로라주는 필리핀 루손 섬 동중부에 위치하며 케손 주와 역사적 관련이 깊고 시에라 마드레 산맥의 일부를 포함하는 열대 우림 기후 지역으로, 농업이 주요 산업이며 타갈로그족과 일로카노족 문화가 혼합된 문화를 지닌 8개의 지방 자치체로 구성된 주이다. - 중앙루손 지방 - 팜팡가주
팜팡가주는 필리핀 루손섬에 위치한 오래된 주로서, 풍부한 농산물과 해산물로 "음식 수도"로 알려져 있으며, 클라크 자유 무역 지대와 국제공항이 있어 경제적으로 중요한 지역이다. - 필리핀의 주 - 리살주
리살주는 1901년에 설립되어 필리핀 역사 속에서 행정 구역 변경을 거쳐 현재 1개의 시와 13개의 지방 자치체로 구성된 칼라바르존 지역의 주이며, 구릉지대와 산악지형, 라구나 데 바이 호숫가를 포함하고 메트로 마닐라와 인접하여 경제적으로 발전했지만 지역 간 발전 불균형 문제를 가진 곳이다. - 필리핀의 주 - 라구나주
라구나주는 필리핀 칼라바르존 지역에 위치하며 라구나 데 바이 호수에서 이름이 유래되었고 스페인 식민지 시대부터 여러 역사적 사건을 거쳐 현재는 농업, 산업, 관광을 기반으로 경제를 발전시키고 있는 필리핀 국민 영웅 호세 리살의 출생지이다.
누에바에시하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명칭 유래 | 에시하, 스페인 |
위치 | 필리핀 지도에서 강조 표시됨 |
![]() | |
![]() | |
![]() | |
![]() | |
![]() | |
![]() | |
기본 정보 | |
국가 | 필리핀 |
지역 | 중앙 루손 |
설립일 | 1705년 4월 25일 |
중심지 | 팔라얀 |
행정 구역 | 독립시: 0개 구성시: 5개 지방 자치체: 27개 바랑가이: 849개 하원 의원 선거구: 4개 |
행정 | |
주지사 | 아우렐리오 우말리(우낭 시가우) |
부지사 | 엠마누엘 안토니오 우말리 (우낭 시가우) |
지방 의회 | 누에바에시하 지방 의회 |
지리 | |
면적 | 5,284.3 km² |
면적 순위 | 81개 중 12위 |
가장 높은 지점 | 킬리간티안 산 (1,673 m) |
인구 통계 | |
총 인구 | 2,355,416 명 (2020년 추정)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인구 순위 | 81개 중 10위 |
인구 밀도 순위 | 81개 중 16위 |
민족 구성 | 타갈로그족(77.8%) 일로카노족(19.3%) 카팜팡안족(0.06%) 팡가시난족(0.03%) |
언어 | 타갈로그어 일로카노어 영어 |
주민 | 노보 에시하노 네오에시하노 |
경제 | |
주요 도시 | 카바나투안 |
기타 정보 | |
시간대 | 필리핀 표준시(PHT) |
UTC 오프셋 | +8 |
웹사이트 | 누에바에시하 주 공식 웹사이트 |
노래 | |
주가 | Awit ng Nueva Ecija (누에바에시하의 노래) |
2. 역사
누에바에시하 주는 초기 부갈롯족, 이탈론족, 아바카족 및 부퀴드족 등이 정착한 곳이었다.[5] 이들은 강가에 거주했으며, 특히 일롱고트족은 숲에서 수렵과 채집을 하며 생활했다.[6] 기원전 300년에서 200년 사이에는 타갈로그족이 이주해 오면서 팜팡고 제국의 일부가 되었고, 토착 부족들은 언덕으로 밀려났다.[9]
1572년 스페인 정복자들이 팜팡고 제국을 점령한 후, 카가얀 계곡과 산악 지방으로 진출하면서 팜팡가 강 상류 지역에 군사 지휘소가 설치되었다.[10] 1690년부터 1701년까지 총독을 지낸 파우스토 크루잣 이 콩고라는 이 지역을 자신의 고향인 스페인 에시하와 비슷하다고 여겨 누에바에시하(새로운 에시하)라고 명명했다.[10]
1762년 마닐라 영국 점령 당시, 많은 타갈로그족 난민들이 누에바에시하로 피신했고, 이들은 원주민 팜팡가족과 동화되면서 누에바에시하는 타갈로그족 중심 지역이 되었다.[13][14][15][16] 1799년 카를로스 4세의 명령에 따라 1801년 누에바에시하는 발레르를 수도로 하는 코레히미엔토(정치-군사 행정 단위)로 조직되었다.[17] 이후 누에바에시하는 여러 차례 영토 변화를 겪으며 주변 지역들을 흡수했다.[18][19][20]
1899년 필리핀-미국 전쟁이 발발하면서 필리핀은 미국의 식민지가 되었고,[34][35][36] 누에바에시하는 미국에 의해 경제 개발과 교육 보급이 이루어졌다. 특히 철도 건설과 관개 시설 확충으로 쌀 생산량이 증가하여 "필리핀의 쌀 창고"로 불리게 되었다.[38][40]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일본 제국에 점령당했지만, 후크발라합을 중심으로 끈질기게 저항했다.[56] 1945년 연합군에 의해 해방된 후, 누에바에시하는 필리핀 독립과 함께 재건과 발전을 거듭했다.
마르코스 독재 정권 시절에는 많은 누에바에시하 출신 인사들이 독재에 저항했으며, 1986년 EDSA 시민 혁명을 통해 민주주의를 회복하는 데 기여했다.[68] 이후 누에바에시하는 경제 성장과 발전을 이루었지만, 여러 정부를 거치면서 다양한 정치, 경제적 변화를 겪었다.
2. 1. 초기 역사
초기 정착민으로는 부갈롯 또는 이탈론, 아바카 및 부퀴드 부족이 있었다.[5] 정착지는 강의 굴곡을 따라 강둑을 따라 건설되었다. 일롱고트는 숲의 사람들이라는 뜻으로, 카랑갈란과 시에라 마드레 및 카라발로 산악 지대에 거주했던 사나운 수렵 부족이자 애니미즘 부족이었다.[6] 수렵 공동체는 북쪽의 리오 그란데 지류 강둑을 따라 자리 잡았다. 아바카와 이탈론은 강가 정착민을 의미하는 부갈롯 사람들의 하위 그룹이었다. 일롱고트는 주로 어업과 사냥으로 생존했으며, 식량 생산은 부차적인 직업이었다. 카라클란과 부퀴드[7]의 농업 기반 공동체는 북동쪽 리오 그란데 지류 강둑을 따라 봉가본과 판타바간에 정착했다.[8]기원전 300년에서 200년 사이에 타갈로그족의 이주가 발생했을 때, 용감한 여행자와 상인들이 루손 서부 해안을 따라 정착지를 건설했다. 이 초기 정착지는 발라그타스에 의해 통합된 팜팡고 제국의 핵심을 형성했다. 윗 팜팡가 남부의 평원은 새로운 타갈로그 정착민들에게 우호적인 장소였다. 토착 부족들은 타갈로그족의 우수한 기술에 직면하여 언덕으로 쫓겨났다.[9]
대하를 따라 정착한 공동체 사이에서 물물 교환이 번성했다. 강가에서 끊임없이 이루어진 교역은 팜팡가 강 상류의 광대한 평원에 있는 정착지들 사이에서 상업적, 문화적 교류를 가져왔다. 카랑갈란, 판타바간 및 봉가본의 정착지는 번성하여 더욱 안정적인 공동체로 성장했다.
2. 2. 스페인 식민 시대
1572년 마르틴 데 고이티의 지휘 아래 팜팡고 제국이 스페인군에게 함락되자, 정복자들은 카가얀 계곡과 산악 지방으로 향하는 긴 여정을 시작했다. 그들의 군대는 상부 팜팡가 강 유역의 정착지를 통과했다. 그들은 또한 팡가시난의 카볼로안을 공격하여 지역 왕국에서 더 많은 영토를 효과적으로 점령했다.[10]영토 확장과 선교 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상부 팜팡가 강 지역에 지휘 초소(코만단시아)가 설립되었다. 당시 총독[10] 파우스토 크루잣 이 콩고라(1690년 7월 25일 ~ 1701년 12월 8일)는 카랑갈란과 판타방안에 있는 북부 전초 기지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냈을 것이고, 맹렬하게 더운 기후 속에서 스페인 안달루시아의 고향 에시하를 그리워했을 것이다. 에시하는 여름에 매우 더워서 "라 사르텐"(프라이팬)이라고도 불렸다. 그리하여 총독은 이 전초 기지의 이름을 누에바에시하로 짓는 아이디어를 떠올렸다. 신 에시하와 구 에시하는 모두 항해가 가능한 강으로 씻겨 내려갔는데, 전자는 팜팡가 강이고 후자는 헤닐 강이었다.
2. 3. 필리핀 혁명
1762년, 마닐라 영국 점령이 발생했고, 마닐라와 카비테 북부 지역에서 온 많은 타갈로그족 난민들이 불라칸과 누에바에시하로 피신했는데, 그곳에서 원래의 팜팡가족 정착민들이 그들을 환영했다. 누에바에시하는 불라칸과 함께 스페인인들이 도착했을 때 토착 팜팡가족이 거주했다. 팜팡가족의 대다수는 새로 도착한 타갈로그족 정착민에게 토지를 팔았고, 다른 사람들은 타갈로그족과 결혼하여 동화되었으며, 이로 인해 누에바에시하는 타갈로그족이 지배하게 되었고, 많은 타갈로그족 정착민들은 불라칸에서 직접 누에바에시하로 왔다.[13][14][15][16]2016년, 필리핀 국립 역사 위원회(NHCP) 연구원들과 지방 정부는 1799년 카를로스 4세가 시에라 마드레 산맥 근처의 윗 팜팡가와 태평양을 따라 있는 타야바스의 해안 마을들을 분리하여 코레히미엔토(정치-군사 행정 단위)로 조직하라고 명령한 문서를 발견했다. 1801년 4월 25일에 왕실 지침이 시행되었고, 그 코레히미엔토는 당시의 총독 라파엘 마리아 데 아길라의 스페인 고향에서 따와 누에바에시하로 명명되었으며, 발레르가 그 수도였다.[17]
그 이후로, 이 주는 영토 구성에 수많은 변화를 겪었다. 가판, 산 이시드로, 산 안토니오, 카비아오, 알리아가의 진보적인 마을들은 모두 팜팡가에서 누에바에시하로 합병되어 주민들에게 경제적, 인구 증가를 가져왔다. 누에바에시하는 1845년에 인구가 9,165명에 불과했지만,[18] 3년 후 새로운 영토를 합병하여 인구가 69,135명으로 늘었다. 1818년, 누에바에시하는 이사벨라에서 팔라난 마을을, 타야바스에서 발레르, 카시구란, 인판타(구 비낭고난 데 람폰)와 폴릴로 제도를, 그리고 카가얀, 누에바 비스카야, 키리노, 그리고 리잘의 일부를 합병했다.[19][20]
이후 여러 해 동안 다른 변화가 있었고, 1901년에는 누에바에시하의 북부 지방 자치 단체인 발룽가오, 로살레스, 산 킨틴, 우밍간이 팡가시난에 합병되었다.[12]
2. 4. 미국 식민 시대
필리핀이 스페인 제국의 식민지였던 시절, 필리핀-미국 전쟁이 발발하여 미국의 식민지가 된 이후의 누에바에시하 주의 변화에 대해 다루고 있다.스페인은 필리핀 식민지 유지를 위해 재정적 어려움을 겪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담배 독점 정책을 시행했다. 총독 호세 바스코 이 바르가스는 1780년 2월 9일 칙령을 통해 담배 생산을 장려했고, 1782년 3월 2일 루손에 담배 생산이 확립되면서 누에바에시하는 담배 재배의 중심지가 되었다.[21] 이로 인해 누에바에시하노 농민들은 쌀 대신 담배를 재배해야 했고, 이는 큰 고통을 안겨주었다. 담배 독점은 1882년 12월 3일 폐지될 때까지 지속되었다.[22]
1899년 2월 4일, 필리핀-미국 전쟁이 발발하면서[34] 필리핀은 미국의 식민지가 되었다.[35][36] 누에바에시하 출신 게릴라들은 용감하게 싸웠지만, 1901년 4월 1일 에밀리오 아기날도가 항복하면서 전쟁은 끝났다.[37]
전쟁 이후, 미국은 철도 건설을 통해 누에바에시하의 경제 발전을 꾀했다. 철도는 무역을 활성화시키고 운송 비용을 절감하여 가판, 산 이시드로, 카바나투안 등지에서 쌀 생산 붐을 일으켰다.[38] 1936년까지 누에바에시하에는 주로 중국인이 소유한 42개의 쌀 공장이 있었다.[38] 철도 건설은 내륙 지역 사회 발전을 촉진했고, 도로 및 관개 시설 확충으로 이어졌다.[39] 1924년 탈라베라 관개 시스템, 1930년 페냐란다 강 관개 시스템, 1939년 팜팡가 강 관개 시스템 등 세 개의 주요 관개 시설이 건설되었다. 이러한 노력으로 누에바에시하는 "필리핀의 쌀 창고"로 자리매김했다.[40]
미국은 1902년 필리핀 법안을 통해 호메스테딩(자영 농지 개척)을 장려하여 토지 분배를 시도했다.[42] 개인은 최대 16헥타르, 법인은 최대 1,024헥타르의 토지를 얻을 수 있었지만, 농민들의 자본 부족과 고리대금업으로 인한 부채 문제로 인해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
미국은 교육 보급에도 힘썼다. 1900년에는 누에바에시하의 23개 지방 자치 단체 중 10곳에 공립학교가 있었지만, 1902년에는 37개의 공립 초등학교가 설립되었고, 토머사이트의 지원을 받은 63명의 누에바에시하노 교사가 있었다.[51] 1906년에는 99개의 학교가 건설되었고, 이사우로 가발돈 의원이 제출한 가발돈 교육법은 필리핀 전역의 공립학교에 1000000KRW를 할당하도록 했다.[52] 1908년까지 누에바에시하에는 144개의 초등학교, 11개의 비종교 사립학교, 18개의 종교 사립학교, 9개의 중학교, 1개의 직업 학교, 1개의 농업 학교(중앙 루손 주립 대학교)가 있었다.
2. 5. 일본 점령 시대



누에바에시하는 일본 제국의 필리핀 점령에 맞서 끈질기게 저항했다. 1942년 일본군이 누에바에시하를 점령했지만, 필리핀 사람들의 저항은 계속되었다.[56] 1942년 3월 29일, 루이스 타룩의 지도 아래 후크발라합(일본에 대항하는 국민군)이 조직되었다.[56] 이는 필리핀 공산당의 군사 조직으로, 필리핀 국민의 초기 조직적 저항을 보여주었다.[56]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 점령 하에서 필리핀 연방군은 1942년부터 1945년까지 누에바에시하를 포함한 중앙 루손에서 일본군에 대항하는 군사 작전을 벌였다. 이 기간 동안 연합군은 현지 게릴라와 후크발라합을 지원하여 일본 제국군에 대항했다. 1942년에는 현재 오로라의 전체 영토가 타야바스에서 누에바에시하로 재병합되었다가,[57] 1945년에 타야바스로 반환되었다.[58]
1945년 1월부터 8월까지, 연합된 미국과 필리핀 군인들은 누에바에시하를 해방시켰다. 필리핀 연방군과 후크발라합 및 미군은 일본 제국군에 대항했다.
특히 1945년 1월 30일, 미 육군 레인저, 알라모 스카우트 및 필리핀 게릴라들은 카바나투안 급습을 감행하여 516명 이상을 구출했다.[59] 누에바에시하노 게릴라의 활약상은 햄프턴 사이드스의 소설 ''고스트 솔져스''[54]와 영화 ''더 그레이트 레이드''[55]를 통해 알려졌다.
2. 6. 독립 이후
1899년 2월 4일, 미군이 산 후안 다리를 건너던 필리핀 병사를 사살하면서 필리핀-미국 전쟁이 시작되었다.[34] 그러나 1898년 8월 13일, 인트라무로스의 스페인 식민 정부가 필리핀 군대가 아닌 미군에게 항복하면서 이미 갈등은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파리 조약으로 스페인 제국이 쇠퇴하고 미국이 필리핀을 식민지로 만들면서 갈등은 심화되었다.[35][36]필리핀 공화국 초기, 누에바에시하 출신 아기날도, 야네라, 티니오 장군 등이 활약했다. 특히 누에바에시하 출신들은 게릴라 전술에 능숙했다. 1901년 4월 1일, 아기날도가 미국에 항복하면서[37] 전쟁은 끝났지만, 누에바에시하 게릴라들은 용감하게 싸웠다. 필리핀-미국 전쟁이 끝나면서 누에바에시하에 새로운 시대가 시작되었다.
전쟁 후, 카바나투안과 가판을 중심으로 누에바에시하주 재건 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케손, 로하스, 키리노, 막사이사이, 가르시아, 마카파갈 정부는 재건 사업에 힘을 쏟았다. 팔라얀시는 법률에 의해 공식적으로 설립되어 누에바에시하주의 새로운 주도가 되었다.
마르코스의 계엄령 선포는 누에바에시하주의 경제 중심지 재건과 설립에 악영향을 미쳤다. 마르코스 정권 군대에 의한 탈루그투그 학살과 가판 학살은 끔찍한 사건이었다.
많은 누에바에시하 출신 인사들은 마르코스 독재 정권의 횡포와 마르코스 독재 정권의 인권 침해에 저항했다. 가톨릭 사제 페피토 베르나르도,[61] 인권 변호사 세드프레이 오르도녜스,[62] 활동가 포르투나토 "토토" 카무스,[63] 에드가 쿠피노,[64] 마누엘 "소니" 히손,[65] 에마누엘 라조,[66] 그리고 에블린 파체코-망굴라브난[67] 등이 그들이다. 이들의 이름은 필리핀 반타요그 르 마가 바야니(Bantayog ng mga Bayani, 영웅 기념비)에 새겨져 있다.
1986년, 누에바에시하 출신들은 EDSA 시민 혁명에 참여하여 마르코스를 몰아내고 필리핀 민주주의를 회복하는데 기여했다.[68] 이 혁명은 누에바에시하 출신 혁명가 에피파니오 데 로스 산토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69]
코리 아키노 정부는 경제 회복, 새 헌법 제정, 경제 개혁 정책 도입에 힘썼다.[70] 라모스 정부는 아키노의 개혁을 이어받아 전국 모든 주에 큰 영향을 미쳤다.[70]
1987년, 누에바에시하 주[71] 제4 선거구 대표 니카노르 데 구스만 주니어는 봉 피네다가 자신의 선거구에서 불법 숫자 게임인 주에텡(jueteng)을 운영하도록 허용하는 대가로 당시 반도박 태스크포스(TFAG)의 수장이었던 포텐시아노 "치토" 로크에게 뇌물을 주려고 시도했다.[72]
에스트라다 정부는 불법 행위로 축출되었고, 아로요 정부가 들어섰다.[73] 노이노이 아키노 정부는 농민들을 위해 이 지역에서 가장 크고 광범위한 관개 시스템을 구축했다.[74] 이 기간 동안 국가 경제는 크게 성장하여 이 지역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경제 중 하나가 되었다.[75] 두테르테 정부의 집권은 이 지역 경제에 우여곡절을 겪게 했다.
3. 지리
누에바에시하는 중앙 루손에서 가장 큰 주이며, 총 면적은 5751.33km2이다.[1] 지형은 남서쪽 늪지대에서 시작하여 동쪽의 시에라 마드레 산맥, 북쪽의 카라발로 산맥, 코르디예라 센트럴 산맥과 가까워질수록 점차 고도가 높아진다.
누에바에시하는 북동쪽으로 누에바 비스카야, 동쪽으로 아우로라, 남쪽으로 불라칸, 남서쪽으로 팜팡가, 서쪽으로 타를락, 북서쪽으로 팡가시난와 접한다.
이 주는 네 개의 구역으로 나뉘며, 각 구역은 고유한 문화를 지닌다. 제1구역(북서부)은 일로카노, 팡가시난, 타갈로그 문화가 혼합되어 있고, 제2구역(북동부)은 10개 이상의 다양한 민족 집단이 거주한다. 제3구역(중앙)은 카바나투안을 중심으로 대도시 문화를 이루며, 제4구역(남서부)은 캄팡팡안과 타갈로그 문화가 혼합되어 있다.
3. 1. 행정 구역
이 주는 27개의 지방 자치제와 5개의 도시로 구성된 4개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나뉜다. 이 주는 중부 루손 지역에서 가장 많은 도시를 보유하고 있다.
도시/지방 자치제 | 선거구 | 인구 (2020년) | 면적 (km2) | 인구 밀도 (명/km2) | 바랑가이 수 | 좌표 | |||
---|---|---|---|---|---|---|---|---|---|
알리가 | 제1선거구 | 3.0% | 63,543 | 90.04km2 | 781 | 26 | style="text-align:center;" | | ||
봉가본 | 제3선거구 | 2.9% | 64,173 | 242.91km2 | 275 | 28 | style="text-align:center;" | | ||
카바나투안 | 제3선거구 | 14.2% | 302,231 | 282.75km2 | 1158 | 89 | style="text-align:center;" | | ||
카비아오 | 제4선거구 | 3.7% | 79,007 | 111.83km2 | 768 | 23 | style="text-align:center;" | | ||
카랑갈란 | 제2선거구 | 1.8% | 41,131 | 705.31km2 | 60 | 17 | style="text-align:center;" | | ||
쿠야포 | 제1선거구 | 2.9% | 65,039 | 215.73km2 | 316 | 51 | style="text-align:center;" | | ||
가발돈 | 제3선거구 | 1.7% | 35,383 | 225.28km2 | 173 | 16 | style="text-align:center;" | | ||
가판 | 제4선거구 | 5.3% | 110,303 | 164.44km2 | 748 | 23 | style="text-align:center;" | | ||
제너럴 마메르토 나티비다드 | 제3선거구 | 1.9% | 41,656 | 118km2 | 375 | 20 | style="text-align:center;" | | ||
제너럴 티니오 | 제4선거구 | 2.4% | 47,865 | 533.08km2 | 105 | 13 | style="text-align:center;" | | ||
김바 | 제1선거구 | 5.5% | 118,655 | 245.29km2 | 520 | 64 | style="text-align:center;" | | ||
자인 | 제4선거구 | 3.4% | 73,184 | 85.46km2 | 927 | 27 | style="text-align:center;" | | ||
라울 | 제3선거구 | 1.7% | 35,656 | 295.88km2 | 129 | 17 | style="text-align:center;" | | ||
리캅 | 제1선거구 | 1.3% | 28,254 | 67.37km2 | 434 | 11 | style="text-align:center;" | | ||
라네라 | 제2선거구 | 1.9% | 39,701 | 114.44km2 | 369 | 22 | style="text-align:center;" | | ||
루파오 | 제2선거구 | 2.0% | 43,788 | 121.33km2 | 378 | 24 | style="text-align:center;" | | ||
무뇨스 과학 도시 | 제2선거구 | 3.6% | 81,483 | 163.05km2 | 517 | 37 | style="text-align:center;" | | ||
남피쿠안 | 제1선거구 | 0.6% | 14,954 | 52.6km2 | 275 | 21 | style="text-align:center;" | | ||
팔라얀 | 제3선거구 | 2.0% | 41,041 | 101.4km2 | 448 | 19 | style="text-align:center;" | | ||
판타바간 | 제2선거구 | 1.4% | 29,925 | 392.56km2 | 81 | 14 | style="text-align:center;" | | ||
페냐란다 | 제4선거구 | 1.4% | 29,882 | 95km2 | 340 | 10 | style="text-align:center;" | | ||
케손 | 제1선거구 | 1.5% | 40,592 | 68.53km2 | 611 | 16 | style="text-align:center;" | | ||
리잘 | 제3선거구 | 2.7% | 64,087 | 120.55km2 | 582 | 26 | style="text-align:center;" | | ||
산 안토니오 | 제4선거구 | 3.5% | 77,836 | 153.56km2 | 541 | 16 | style="text-align:center;" | | ||
산 이시드로 | 제4선거구 | 2.3% | 51,612 | 56.49km2 | 962 | 9 | style="text-align:center;" | | ||
산 호세 | 제2선거구 | 6.5% | 139,738 | 185.99km2 | 811 | 38 | style="text-align:center;" | |
각 선거구는 전문 분야를 가지고 있는데, 제1선거구는 유기농업, 제2선거구는 고원 지대와 보호림, 제3선거구는 도시 및 경제 환경, 제4선거구는 다양한 문화 축제로 알려져 있다. 각 선거구는 국회 하원에서 해당 선거구를 대표하는 국회의원이 관할한다.
이 지역의 정치적 동맹은 매우 강력하며, 집권당인 필리핀 자유당은 계엄령 이후 시대부터 권력을 유지하고 있다. 농업 주이기 때문에, 이 지역의 주요 정치 의제는 농업 및 양식업 발전, 고등 교육, 건강, 일자리 및 사업 창출과 관련되어 있다. 현재 주지사는 아우렐리오 우말리이며, 부지사는 앤서니 우말리이다.
3. 2. 동식물

누에바에시하주의 동식물 종은 북쪽과 동쪽 경계에서 다양성을 보이며, 북쪽의 카라발로 산맥과 동쪽의 시에라 마드레 산맥과 생태계를 공유한다. 남동쪽 지역은 미날룽가오 국립공원의 존재로 인해 다양한 동식물로도 알려져 있다.
카랑갈란의 판타방안-카랑갈란 유역 숲 보호구역에서만 발견되는 난초 종 ''세라토센트론 페셀리이''는 동남아시아 지역 전체에서 가장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한 난초 종 중 하나로 여겨진다. 이는 야생에서의 불법 채취와 불법 암시장 거래로 인해 멸종 위기에 놓여 있다. 이 숲 보호구역은 또한 세계에서 가장 작은 라플레시아이며 다른 곳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고유종 ''라플레시아 콘수엘로아이''의 서식지이기도 하다. 필리핀 사슴, 필리핀 혹멧돼지, 그리고 다른 토착 쥐 종들도 이 지역에 서식한다.
최근 활동에서, 필리핀 독수리 한 쌍이 누에바에시하주의 시에라 마드레 지역에서 발견되었다. 이 독수리들은 현재 해당 지역의 지방 정부 기관에 의해 보호받고 있다. 뱀, 도마뱀, 다양한 양서류 종들도 특히 우기에는 많이 서식한다.
4. 기후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평균 최고 기온 (℃) | 32.1 | 32.8 | 34.4 | 36.2 | 35.3 | 34.0 | 32.8 | 32.1 | 32.4 | 32.8 | 32.7 | 32.0 |
평균 최저 기온 (℃) | 21.1 | 21.6 | 22.7 | 23.8 | 24.6 | 24.5 | 24.2 | 24.4 | 24.1 | 23.7 | 22.9 | 21.9 |
평균 강수일수 | 1 | 2 | 2 | 3 | 13 | 16 | 22 | 21 | 20 | 10 | 8 | 4 |
5. 인구
202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누에바에시하 주의 인구는 2,310,134명이며, 인구 밀도는 1km2당 400명이다.
주민 대다수는 타갈로그어와 영어를 유창하게 구사한다. 이 지역에서는 주로 불라칸 타갈로그 방언을 사용하는데, 이는 시적인 형태의 언어이며, 일로카노어와 카팜팡안어에서 유래된 차용어가 추가된 누에보에시하 지역만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2015년 인구 조사 기준, 누에바에시하 주의 각 지역별 인구는 다음과 같다.
지역 | 인구 (명) |
---|---|
알리아가 | 63,543 |
봉가본 | 64,173 |
카바나투안 | 302,231 |
카비오 | 79,007 |
카랑글란 | 41,131 |
쿠야포 | 65,039 |
가발돈 | 35,383 |
가판 | 110,303 |
제너럴 M. 나티비다드 | 41,656 |
제너럴 티니오 | 47,865 |
김바 | 118,655 |
하엔 | 73,184 |
라우르 | 35,656 |
리캅 | 28,254 |
랴네라 | 39,701 |
루파오 | 43,788 |
무뇨스 | 81,483 |
남피쿠안 | 14,954 |
팔라얀 | 41,041 |
판타방안 | 29,925 |
페냐란다 | 29,882 |
케손 | 40,592 |
리잘 | 64,087 |
산 안토니오 | 77,836 |
산 이시드로 | 51,612 |
산 호세 | 139,738 |
산 레오나르도 | 65,299 |
산타 로사 | 69,467 |
산토 도밍고 | 57,943 |
탈라베라 | 124,829 |
탈루그투그 | 23,817 |
사라고사 | 49,387 |
총 인구 | 2,151,461 |
5. 1. 민족
초기 정착민은 부갈롯 또는 이탈론, 아바카, 부퀴드 부족이었다.[5] 일롱고트는 숲의 사람들이라는 뜻으로, 카랑갈란과 시에라 마드레 및 카라발로 산악 지대에 거주했던 사나운 수렵 부족이자 애니미즘 부족이었다.[6] 아바카와 이탈론은 강가 정착민을 의미하는 부갈롯 사람들(일롱고트)의 하위 그룹이었다. [7]기원전 300년에서 200년 사이에 타갈로그족이 이주했을 때, 용감한 여행자와 상인들이 루손 서부 해안을 따라 정착지를 건설했다. 윗 팜팡가 남부의 평원은 새로운 타갈로그 정착민들에게 우호적인 장소였다. 토착 부족들은 타갈로그족의 우수한 기술에 밀려 언덕으로 쫓겨났다.[9]
필리핀 문화예술위원회에서 발행한 《아틀라스 필리피나스》에 따르면, 누에바에시하에는 11개의 현지 토착 언어가 사용되고 있으며, 살아있는 사용자가 존재한다. 이 언어들은 다음과 같다.
언어 | 사용 지역 |
---|---|
타갈로그어 | 전 지역 |
아벨렌어 | 중앙 일부 |
카팜팡안어 | 남서부 지역 |
캉카나에이어 | 동부 중앙 |
일로카노어 | 북부 지역과 중앙 일부, 타갈로그어 억양으로 사용 |
알타어 | 동부 중앙 |
아이타 마간치어 | 중앙 및 북중앙 |
부갈루트어 | 카랑갈란 |
이발로이어 | 카랑갈란 |
칼랑구야어와 이시나이어 | 카랑갈란 |
이 외에 팡가시난어가 주로 북서부 지역에서 사용된다. 카팜팡안족은 북서부 지역의 원주민이었으나, 스페인 식민지 초기 팡가시난족 이주민들이 이주해 오면서 카팜팡안족은 팡가시난족에게 동화되었다.[15][16]
다른 민족 집단 환경에서 자란 사람들은 다른 토착 언어를 제2 언어로 사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일로카노 또는 팡가시난족 사이에서 자란 카팜팡안족과 타갈로그족은 일로카노어 또는 팡가시난어를 구사한다. 스페인 점령 당시 누에바에시하는 원래 카팜팡안족의 거주지였으나, 마닐라 영국 점령 이후 마닐라와 카비테 북부 지역에서 타갈로그족 난민들이 누에바에시하로 피신하면서 타갈로그어가 우세해졌다. 카팜팡안족 원주민들은 이들을 환영하고 동화되었으며, 많은 타갈로그족은 불라칸에서 직접 누에바에시하로 이주했다.[13][14][15][16] 다른 타갈로그족은 타야바스(현재 케손), 바탕가스, 라구나에서 이주해 왔다.[78][79]
5. 2. 종교
누에바에시하는 로마 가톨릭 신자가 다수이며(약 82.43%), 그 외에 Iglesia ni Cristo (5.55%), 재림교 신자, 필리핀 독립교회 (2.50%), 복음주의 (1.70%), 감리교 (1.62%) 등 다른 기독교 종파도 있다.[80]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 여호와의 증인,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회, 이슬람교 신자 등 소수 종교(6.2%)도 존재한다. 아니티스트와 토착 신앙 신자 또한 이 지역의 토착 민족 집단에 의해 신앙되고 있다.[81]6. 경제
누에바에시하는 필리핀의 주요 쌀 생산지 중 하나이며, 국내 양파 생산의 중심지이기도 하다.[82][83] 미국 식민 정부는 필리핀인들의 저조한 호응에도 불구하고 호메스테딩(자영 농지 개척)을 도입하여 토지 소유권 취득을 장려했다. 1902년 필리핀 법안 통과로 미국 식민 정부는 공공 토지를 자체적으로 처분할 권한을 갖게 되었고, 호메스테딩, 판매, 구매, 임대를 통해 정착민들에게 토지를 제공했다.[42]
1928년에는 누에바에시하에서 5천 명 이상의 호메스테딩 지원자에게 약 7만 헥타르의 토지가 제공되었다.[43] 그러나 농민들은 농업 비용을 감당할 자본이 부족했고, 정부의 재정 지원 부재로 인해 고리대금업자에게 의존, 결국 토지를 잃고 소작농으로 전락하는 경우가 많았다.
6. 1. 주요 산업
누에바에시하는 필리핀에서 농산물 생산량이 가장 많은 지역 중 하나이다. 주요 작물은 쌀이며, 옥수수와 양파도 대량 생산된다. 이 주는 "필리핀의 쌀 창고"라고 불린다.[82][83] 망고, 칼라만시(금귤), 바나나, 마늘, 채소 등도 주요 작물이다. 시에라 마드레 산맥 기슭에 있는 봉가본과 인근의 라우르, 리잘은 양파와 마늘의 주요 생산지이며, 봉가본은 "필리핀의 양파 수도"라고 불린다. 무뇨스 사이언스 시티의 중앙 루손 주립 대학교 캠퍼스 내에는 해바라기 농장이 있다.교육은 이 주의 주요 산업이다. 주요 교육 기관으로는 무뇨스 사이언스 시티의 중앙 루손 주립 대학교와 누에바에시하 과학기술 대학교, 중앙 루손에서 유일하게 국제적으로 인가받은 학교인 필리핀 웨슬리 대학교, 누에바에시하에서 가장 오래된 가톨릭 고등 교육 기관인 성모 수태 신학교, 라 포르투나 칼리지, 그리고 카바나투안에 있는 아라우요 대학교가 있다. 카바나투안에만 18개의 고등 교육 기관이 있다.
보건 서비스는 주목할 만한 산업이다. 병원은 누에바에시하와 인근 주의 환자들을 수용한다. 간호 및 조산 학교가 있으며, 대부분은 카바나투안에 있다.
여러 마을에 가금류 농장이 있으며, 특히 산 이시드로의 로렌조 가금류 농장은 필리핀에서 가장 큰 규모 중 하나이다. 오리 사육과 계란 생산은 중요한 생계 수단이다. 양어장은 주 전역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지 않지만, 가장 큰 밀집 지역은 산 안토니오, 산타 로사, 쿠야포에 있다.
삼륜차 "사이드카" 제작은 주 전역에서 널리 이루어지며, 특히 산타 로사에서 가격이 7000PHP로 저렴하여 필리핀에서 가장 저렴하다.
여러 지역에 광물 매장량이 있다. 제너럴 티니오, 카랑글란, 판타방안에서 구리와 망간이 발견되었다. 카랑글란과 팔라얀 시티의 상류 지역에는 금이 매장되어 있다고 한다.[84]
2008년 6월, 누에바에시하는 필리핀의 다른 지역보다 더 많은 소와 물소에서 우유를 수집하여 "필리핀의 우유 수도"라는 칭호를 받았다.[85] 필리핀 물소 센터는 무뇨스 사이언스 시티의 CLSU 단지에 있다.
7. 문화
누에바에시하노 문화는 타갈로그, 팜팡가, 팡가시난, 일로카노 및 기타 지방 내 토착 문화가 혼합된 것이다. 문화의 용광로인 이 지방은 다양한 축제, 전통, 신념과 함께 유형 유산 구조물, 장면 및 물체를 가지고 있어 누에바에시하노 유산을 구성한다.
누에바에시하의 건축 양식은 필리핀 토착 양식, 스페인 식민지 양식, 미국 식민지 양식, 그리고 모더니즘 양식을 기반으로 한다. 농촌 지역에는 여전히 ''바하이 쿠보''가 존재하지만, 그 수는 현저히 줄어들었다. 스페인 및 미국 식민지 시대 건축물은 하나씩 점차 철거되어 식민지 유산 파괴를 초래하고 있지만, 마을 교회와 주변 몇몇 주택과 같이 보존되고 있는 식민지 시대 건축물들이 여전히 존재한다. 현재 이 지역의 건축 트렌드는 모더니즘 건축으로, 이는 이 지역의 식민지 건축 시대의 종말을 알리고 있다.
누에바에시하의 음악은 타갈로그 전통 음악과 국제 음악에 더 집중되어 있다. 이 주는 리잘, 바탕가스, 바탄, 불라칸, 케손, 라구나와 같은 다른 타갈로그 주들의 음악적 유산을 공유한다.
일반적으로 필리핀인의 독특한 가치관은 주로 친족, 의무, 우정, 종교 및 상업적 관계에 기반한 개인적 연대 시스템에 뿌리를 두고 있다. 필리핀의 가치관은 대부분 사회적 조화를 유지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 주로 집단 내에서 받아들여지려는 욕구에 의해 동기 부여를 받는다. 이러한 가치관에서 벗어나는 것에 대한 주요 제재는 '수치심'으로 대략 번역되는 "히야(Hiya)"와 '자존감' 또는 '자기 존중'을 의미하는 "아모르 프로피오(Amor propio)"의 개념이다. 사회적 승인, 집단에 의한 수용, 집단에 소속되는 것이 주요 관심사이며, 다른 사람들이 무엇을 생각하고, 말하고, 행동할지에 대한 관심은 필리핀인들의 사회적 행동에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 필리핀 가치관의 다른 요소로는 미래에 대한 낙관주의, 현재 상황과 사건에 대한 비관주의, 다른 사람에 대한 관심과 배려, 우정과 친절의 존재, 환대하는 습관, 종교적 본성, 자신과 타인에 대한 존중, 사회의 여성 구성원에 대한 존중, 하느님에 대한 두려움, 부정행위와 도둑질 행위에 대한 혐오 등이 있다.
누에바에시하의 춤은 카리뇨사, 티니클링과 같은 타갈로그 전통 춤으로 대표된다. 누에바에시하주의 음식은 매우 다양하다. 북서부 지역에서는 팡가시난과 가깝기 때문에 해산물과 소금을 많이 사용한 채소 요리가 흔하며, 고지대 작물이 매우 귀하게 여겨진다. 중앙 및 남부 지역에서는 다양한 식재료 공급원과 가깝기 때문에 음식이 매우 다양하다.
누에바에시하의 전통적인 게임은 주로 타갈로그족의 게임의 성격을 띤다. 이러한 게임에는 룩송 바카, 파틴테로, 피코, 툼방 프레소가 있다. 누에바에시하노 예술 단체 "마카시닝"은 필리핀 원주민 게임 보존 옹호 단체인 "라로 낭 라히"의 주요 저자이기도 하다.[4]
7. 1. 축제
필리핀에서도 역사적으로 중요한 지역 중 하나인 누에바에시하 주에서는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축제가 열린다. 이러한 축제에서는 지역의 역사, 관습, 전통 등을 엿볼 수 있다.[91][92]축제 | 도시/지방 자치 단체 | 날짜 | 비고 |
---|---|---|---|
바나투 | 카바나투안 | 1월 29일 – 2월 4일 | "바나투"는 "덩굴"을 의미한다. |
타옹 푸틱 축제 | 알리가 | 6월 24일 | 동이 트기 전, 진흙을 묻히고 옷을 거의 입지 않은 신자들이 나타나 잠에서 깬 마을 사람들에게 촛불을 구걸한다. 이는 세례 요한의 성경적 신화를 모방한 것이다. |
라그락삭 티 김바 | 김바 | 2월 ~ 3월 | 이 마을은 무형의 농업 전통을 기념하며, "누에바에시하의 버섯 수도" 및 "누에바에시하의 유기농 수도"로 공식 지정된 것을 기념한다. |
푼칸의 성주간 의식 | 카랑갈란 | 성주간 | 누에바에시하에서 가장 오래된 마을 중 하나인 (푼칸) 카랑갈란의 독특한 성주간 의식이다. |
카리톤 축제 | 리캅 | 3월 28일 | 리캅 건국 기념일 연례 축제 기간에 열린다. |
바야바얀팅 축제 | 루파오 | 7월 25일 | 마을의 수호성인인 세뇨르 산티아고(성 야고보)를 기리는 행사이다. |
아라퀴오 축제 | 페냐란다 | 5월 | 이 축제는 필리핀에서 기독교의 확산과 기독교인과 무슬림 간의 전쟁을 극화했다. |
탄두용 축제 | 산호세 시 | 4월 넷째 주 일요일 | 산호세 시 사람들은 양파 수확의 축복을 기념하며 주요 거리를 춤을 추며 지나간다. 거리는 다양한 색상의 토속 의상을 입은 무용수들로 가득하다. |
파기방 다마라 | 산호세 시 | 4월 또는 5월 | 도시의 풍성한 수확을 위한 축제이다. |
판다완 축제 | 판타방안 | 4월 | "판다우"라는 단어는 축제가 열릴 때마다 풍부한 담수 어획량을 보장한다는 의미를 가진다. |
시부야스 축제 | 봉가본 | 4월 1일–10일 | 봉가본이 아시아에서 가장 큰 양파 생산지 중 하나임을 보여주는 감사의 형태와 방법으로 기념된다. |
츠넬라스 축제 | 가판 | 8월 6일–25일 | 도시의 주요 산업을 기념하여 도시화 기념일에 츠넬라스 축제가 열린다. |
파이스티마 축제 | 카비아오 | 2월 5일–11일 | 마을 건국 기념일을 기념한다. |
카비야완 축제 | 카비아오 | 5월 8일–16일 | 마을의 수호성인인 성 요한 네포무체네 축제에 대한 감사 행사이다. |
칼라메이 축제 | 산레오나르도 | 8월 25일 | 쌀을 주요 재료로 사용하는 칼라메이의 주요 문화 활동인 풍성한 수확에 대한 감사 행사이다. |
파파야 축제 | 제너럴 티니오 | 3월 | 마을의 수호 성인인 산 이시드로 데 라브라도르를 기리기 위해 성찬례와 종교 활동이 열린다. 파파야는 마을에 풍부한 과일 나무의 이름을 따서 지은 마을의 이전 이름이다. |
- 파티미야스 아니 축제 - 퀘존, 누에바에시하
- 퀘존의 축구장에서 초등학교 학생들이 각 바랑가이에서 거리 춤과 쇼다운을 하는 축제이다. 매년 1월 마지막 주에 기념한다.
7. 2. 문학
누에바에시하 주 문학은 강한 민족주의적 접근 방식과 강력한 민족적 기반의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이 지역의 문학은 무엇보다도 국립 루손 대학교의 두 문학과에서 다듬어졌다.이 지역에서 가장 잘 알려진 타갈로그 소설가는 라사로 프란시스코이다. 그의 소설은 1950년대와 1960년대에 사회적 불안을 야기한 농업 사회의 삶을 묘사했다. 그의 소설 중 하나는 당시 가장 인기 있는 타갈로그 잡지였던 리와웨이 매거진에 연재되었다.[89] 하지만 라사로는 필리핀 공산당과 달리 정부와 지주의 자비를 믿고 농업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옹호했다.[90]
라사로 프란시스코는 타를락 출신으로, 어렸을 때 부모가 누에바에시하로 이주했다. 그는 실제로 카바나투안에서 성장하고 공부했다. 카바나투안의 한 초등학교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90] 그는 2012년에 국립 예술가로 선정되었으며, 카바나투안의 메이슨 롯지 53의 저명한 마스터 중 한 명이었다.
7. 3. 예술
누에바에시하 출신 예술가들은 시각 예술 분야에서 국제적으로 명성을 얻었다. 이들은 마늘 기름, 혈액, 머리카락, 실, 점토, 파스텔, 잎, 진흙, 청동, 대리석, 면, 파인애플 섬유, 페인트 등 다양한 재료를 활용한다. 특히 필리핀의 국제적으로 유명한 머리카락과 혈액 화가가 시작한 원주민 재료 또는 토착주의 운동으로도 알려져 있다.7. 4. 스포츠
누에바에시하는 마할리카 필리피나스 농구 리그(MPBL)의 누에바에시하 라이스 뱅가드의 연고지이다. 이 팀은 2022년에 1번 챔피언십을 우승했으며, 리그 최초이자 유일한 정규 시즌 스윕을 달성했다.[3] 누에바에시하노의 전통적인 게임은 주로 타갈로그족 게임의 성격을 띤다. 이러한 게임에는 룩송 바카, 파틴테로, 피코, 툼방 프레소가 있다. 누에바에시하노 예술 단체 "마카시닝"은 필리핀 원주민 게임 보존 옹호 단체인 "라로 낭 라히"의 주요 저자이기도 하다.[4]8. 교통
마닐라 수도권에서 종착역인 카바나투안행 장거리 버스가 수시로 운행하고 있다. 소요 시간은 약 5시간이다. 냉방 버스와 냉방 없는 버스가 있다.
참조
[1]
뉴스
N. Ecija founding date April 25, not Sept. 2
http://newsinfo.inqu[...]
2016-06-17
[2]
웹사이트
List of Provinces
http://www.nscb.gov.[...]
National Statistical Coordination Board
2013-10-17
[3]
웹사이트
POPULATION PROJECTIONS BY REGION, PROVINCE, CITIES AND MUNICIPALITIES, 2020-2025
https://web.archive.[...]
Department of Health
2020-08-27
[4]
웹사이트
Dependency Ratio Down by Three Persons in Nueva Ecija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15-12-15
[5]
서적
Census of the Philippine Islands: Taken Under the Direction of the Philippine Commission in the Year 1903, in Four Volumes ...
https://books.googl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19-08-17
[6]
서적
The Ilongot or Ibilao of Luzon
https://books.google[...]
Popular Science Monthly
[7]
서적
En Que Se Da Cuenta
https://books.google[...]
googlebooks.com
[8]
웹사이트
The Ilongot
http://www.encyclope[...]
Daniel Strouthes
[9]
웹사이트
Pre Colonial Period
http://www.oocities.[...]
oocities.org
2022-11-21
[10]
학술지
The Governor-General of the Philippines Under Spain and the United States
[11]
웹사이트
The Augustinian Friars (Order of Saint Augustine)
http://sanagustinchu[...]
sanagustinchurch.org
[12]
웹사이트
Diocese of San Jose, Nueva Ecija – History
http://www.dioceseof[...]
2017-02-07
[13]
웹사이트
The Historical Indúng Kapampángan: Evidence from History and Place Names
https://www.sinupan.[...]
2023-11-28
[14]
웹사이트
Tantingco: The Kapampangan in Us
https://www.sunstar.[...]
2024-01-23
[15]
웹사이트
What is the Kapampangan Region?
http://marcnepo.blog[...]
[16]
웹사이트
The Language Shift from the Middle and Upper Middle-Class Families in the Kapampangan Speaking Region
https://www.language[...]
[17]
웹사이트
N. Ecija founding date April 25, not Sept. 2
http://newsinfo.inqu[...]
inquirer.net
2016-04-25
[18]
웹사이트
About Cabanatuan City
https://web.archive.[...]
fnetravel.com
2012-05-29
[19]
웹사이트
Aurora, Philippines – History
http://www.aurora.ph[...]
2017-02-07
[20]
웹사이트
Who We Are: Nueva Ecija
https://region3.dilg[...]
[21]
웹사이트
Tobacco Monopoly in Philippines
http://rereadinglive[...]
The Reading Life
2010-04-28
[22]
웹사이트
History of the Province
http://www.visitmyph[...]
visitmyphilippines.com
[23]
웹사이트
True Version of the Philippine Revolution
http://www.authorama[...]
authorama.com
[24]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of the Old La Liga Filipina (1892)
https://archive.toda[...]
[25]
웹사이트
La Solidaridad and La Liga Filipina
http://www.philippin[...]
philippine-history.org
[26]
웹사이트
About Gapan
https://web.archive.[...]
cityofgapan.gov
2022-11-21
[27]
웹사이트
Philippine Revolution of 1896
http://aboutphilippi[...]
About Philippines
2012-05-29
[28]
웹사이트
Magdiwang and Magdalo
http://masternoel.tr[...]
tripod.com
[29]
웹사이트
Pact of Biak na Bato
http://www.philippin[...]
philippine-history.org
[30]
웹사이트
Emilio Aguinaldo y Famy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31]
웹사이트
Philippine–American War, 1899–1902
https://web.archive.[...]
philippineamericanwar.webs.com
2012-06-07
[32]
웹사이트
The World of 1898: The Spanish–American War
https://www.loc.gov/[...]
Hispanic Division Library of Congress
2017-12-29
[33]
웹사이트
HISTORY OF "UNANG SIGAW NG NUEVA ECIJA"
http://www.mysmartsc[...]
Ginto ang Inaani
[34]
웹사이트
Fil-Am War Breaks Out
https://web.archive.[...]
philippineamericanwar.webs.com
2012-06-07
[35]
웹사이트
The Philippines under Spanish and American Rules
http://www.univie.ac[...]
Forbes-Lindsay, C. H
[36]
웹사이트
The Treaty of Paris
http://law.upd.edu.p[...]
law.upd.edu.ph
[37]
웹사이트
The Last Holdouts
http://philippineame[...]
Arnaldo Dumindin
2012-05-29
[38]
서적
Early Chinese Economic Influence in the Philippines, 1850–1898
http://www.upf.edu/m[...]
upf.edu
[39]
웹사이트
Railways in The Philippines
http://www.tradechak[...]
Trade Chakra
[40]
웹사이트
The Rice Granary of the Philippines
http://members.virtu[...]
kylian74
[41]
웹사이트
Agrarian Reform History
http://dar10.org.ph/[...]
Department of Agrarian Reform
2012-06-24
[42]
웹사이트
PHILIPPINE BILL OF JULY 1, 1902
http://www.chanroble[...]
chanrobles.com
[43]
웹사이트
The United States and Its Territories (1870–1925:The Age of Imperialism)
http://quod.lib.umic[...]
quod.lib.umich.edu
2022-11-21
[44]
뉴스
The Government During the American Regime
http://www.thenewsto[...]
2006-08-18
[45]
문서
Quezon province territorial evolution
[46]
뉴스
History of Baler
https://nhcp.gov.ph/[...]
National Historical Commission of the Philippines
2012-03-09
[47]
웹사이트
Act No. 417 – An Act Annexing the Districts of Infanta and Principe and the Island of Polillo to the Province of Tayabas
https://elibrary.jud[...]
Philippine Commission
2022-02-18
[48]
웹사이트
Act No. 1748
http://philippinelaw[...]
philippinelaw.info
2012-06-24
[49]
웹사이트
The Taft Commission
http://www.philippin[...]
philippine-history.org
[50]
웹사이트
American Government Gave Importance to Education
http://www.etravelpi[...]
etravelpilipinas.com
2012-05-29
[51]
웹사이트
Education Act of 1901
http://philippinelaw[...]
philippinelaw
2012-05-29
[52]
문서
1st Philippine Legislature
[53]
웹사이트
Japanese Occupation
http://www.philippin[...]
philippine-history.org
[54]
웹사이트
Ghost Soldiers
http://www.randomhou[...]
Hampton Sides
[55]
웹사이트
Great Raid
http://www.awesomest[...]
Carole D. Bos
[56]
서적
The Huk Rebellion: A Study of Peasant Revolt in the Philippines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57]
문서
Japanese Occupation Order
[58]
문서
Order Revocation Note
[59]
웹사이트
1945 Great Raid on Cabanatuan Prison
http://olive-drab.co[...]
Olive-Drab
2012-06-11
[60]
뉴스
Martial law massacres
Philippine Daily Inquirer
2016-09-22
[61]
웹사이트
Pepito Bernardo - Bantayog ng mga Bayani
https://bantayogngmg[...]
2023-05-26
[62]
웹사이트
Sedfrey Ordoñez - Bantayog ng mga Bayani
https://bantayogngmg[...]
2023-06-20
[63]
웹사이트
Fortunato Camus - Bantayog ng mga Bayani
https://bantayogngmg[...]
[64]
웹사이트
Emmanuel Lazo - Bantayog ng mga Bayani
https://bantayogngmg[...]
[65]
웹사이트
Manuel Hizon - Bantayog ng mga Bayani
https://bantayogngmg[...]
[66]
웹사이트
Emmanuel Lazo - Bantayog ng mga Bayani
https://bantayogngmg[...]
[67]
웹사이트
Bantayog Street Memorials - Bantayog ng mga Bayani
https://bantayogstre[...]
[68]
문서
Timeline: EDSA People Power Revolution
ABS-CBN
[69]
문서
Epifanio de los Santos Cristobal
National Library
[70]
뉴스
Presidential economic legacies
Inquirer
[71]
뉴스
Pardoned ex-Ecija solon tries a political comeback
https://www.philstar[...]
Philstar Global Corp.
2023-02-11
[72]
뉴스
7 jueteng lords, 3 'protectors' charged
https://news.google.[...]
Kamahalan Publishing Corp.
2023-02-11
[73]
간행물
‘Jueteng’ persists in Nueva Ecija despite new government
Inquirer
2001
[74]
간행물
PRESIDENT AQUINO APPROVES BIG IRRIGATION PROJECTS
National Irrigation Administration
2012
[75]
간행물
The economic and energy legacy of PNoy Aquino
Business World
2021
[76]
웹사이트
Weather forecast for Nueva Ecija, Philippines
http://uk.storm247.c[...]
StormGeo AS
2016-04-23
[77]
웹사이트
kwf.gov.ph
https://kwf.gov.ph/
2021-04-03
[78]
문서
History of Nueva Ecija
https://tourismnueva[...]
[79]
블로그
About Nueva Ecija: People and Culture
http://lakbaynuevaec[...]
[80]
웹사이트
2000 Census on Population and Housing/
https://psa.gov.ph/s[...]
National Statistics Office
2019-09-01
[81]
서적
Revisiting Usog, Pasma, Kulam
https://books.google[...]
UP Press
2019-09-01
[82]
웹사이트
RICE GRANARY OF THE PHILIPPINES
http://www.mysmartsc[...]
Ginto ang Inaani
[83]
학술지
Nueva Ecija, Still the Country's Top Palay Producing Province
http://www.nscb.gov.[...]
2008-06
[84]
서적
Estimation of the Geologic Mineral Reserve of the small-scale Gold Mines in the Philippines
http://www.nscb.gov.[...]
National Statistical Coordination Board
[85]
방송
TV Patrol North Central Luzon
[86]
웹사이트
Best Places to Visit in Minalungao National Park
https://www.indinewz[...]
2019-09-05
[87]
웹사이트
Amangpintor Art Museum tourist attraction
https://www.trip.com[...]
2020-01-11
[88]
웹사이트
Amangpintor Art Museum Location
https://www.google.c[...]
2020-01-11
[89]
뉴스
Remembering Lazaro Francisco
https://opinion.inqu[...]
[90]
학술지
Francisco, Lazaro
https://philippinecu[...]
[91]
서적
Filipino Celebrations: A treasury of Feasts and Festivals
https://books.google[...]
Tuttle Publishing
2012
[92]
웹사이트
Famous and Notable Traditionally Celebrated Socio-cultural and Religious Festivals of Nueva Ecija
https://asia-southea[...]
[93]
웹사이트
Manuel S. Tineo
http://www.nhi.gov.p[...]
[94]
서적
The Huk Rebellion: A Study of Peasant Revolt in the Philippines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02
[95]
웹사이트
Louisiana Pastor Named Auxiliary Bishop Of Los Angeles
http://old.usccb.org[...]
United States Conference of Catholic Bishops
[96]
웹인용
Weather forecast for Nueva Ecija, Philippines
http://uk.storm247.c[...]
StormGeo AS
2016-04-23
[97]
웹인용
Poverty incidence (PI):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0-12-28
[98]
Wikidata
2000
[99]
Wikidata
2003
[100]
Wikidata
2006
[101]
Wikidata
2012
[102]
Wikidata
2015
[103]
Wikidata
2018
[104]
Wikidata
20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