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리언 그레이의 초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은 오스카 와일드의 소설로, 아름다운 청년 도리언 그레이가 자신의 초상화를 보며 영원한 젊음을 소망하고, 초상화가 대신 늙어가도록 하면서 쾌락주의에 빠지는 이야기를 그린다. 헨리 경의 영향을 받아 타락한 삶을 살던 도리언은 결국 자신의 죄를 깨닫고 초상화를 파괴하려 하지만,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한다. 이 소설은 도덕성, 쾌락주의, 예술과 현실, 아름다움, 그리고 동성애적 코드를 주제로 다루며, 출판 당시에는 비판을 받았으나, 현대에는 와일드의 대표작으로 평가받는다. 다양한 영화, 연극, 뮤지컬 등으로 각색되었으며, 한국에서도 여러 번 번역 출판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 - 도리언 그레이 증후군
도리언 그레이 증후군은 외모 지상주의와 젊음에 대한 과도한 집착으로 나타나는 현대 사회의 병리적 현상이다. - 1890년 소설 - 네 개의 서명
아서 코난 도일의 셜록 홈즈 시리즈 장편 소설인 네 개의 서명은 메리 모스턴의 의뢰로 10년 전 실종된 아버지와 관련된 미스터리를 추적하며 인도에서 비롯된 보물, 복수, 탐욕에 얽힌 살인사건의 진실을 밝히는 이야기로, 왓슨이 모스턴과 사랑에 빠지는 과정을 그린다. - 1890년 소설 - 굶주림 (소설)
굶주림은 크누트 함순의 소설로, 1880년대 후반 크리스티아니아를 배경으로 가난과 굶주림 속에서 예술적 성공을 추구하는 젊은 예술가의 심리적 고통을 1인칭 시점으로 묘사한다.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 - [서적]에 관한 문서 | |
---|---|
작품 정보 | |
![]() | |
원제 | The Picture of Dorian Gray |
저자 | 오스카 와일드 |
언어 | 영어 |
장르 | 철학 소설 고딕 소설 퇴폐 문학 |
발표 형태 | 잡지 게재 |
초출 | 《리핑컷》(Lippincott's Monthly Magazine) 1890년 7월 |
출판 | 1891년 |
분류 | |
듀이 | 823.8 |
의회 | PR5819.A2 |
2. 줄거리
헨리 경은 친구인 화가 배질 홀워드가 그리고 있는 초상화를 감상한다. 초상화에 그려진 매우 잘생긴 청년의 이름은 도리언 그레이이고, 배질은 그의 아름다움에 흠뻑 빠져 있었다. 곧 도리언과 직접 만난 헨리 경은 마찬가지로 그 미모에 감탄한다. 헨리 경은 도리언에게 젊음과 아름다움은 일시적인 것이니 쾌락주의적인 삶을 살 것을 권한다. 도리언은 헨리 경의 사상에 공감하며, 완성된 아름다운 초상화를 보고 자기 자신 대신 초상화가 늙었으면 좋겠다고 상상한다.[1]
헨리 경과 사귀게 된 도리언은 점차 그의 사상과 감수성을 배워간다. 그리고 극단 여배우 시빌 베인과 사랑에 빠져, 그녀에게 청혼하기로 마음먹는다. 한편, 시빌 베인 또한 도리언을 열렬히 사모하며 행복을 꿈꾼다. 하지만 남동생 제임스는 도리언을 경계하며, 그가 누나를 구속할 것이라고 경고한다. 그런 일이 벌어질 경우에 도리언을 죽일 것이라고 하면서 제임스는 오스트레일리아로 떠난다.[1]
도리언은 헨리 경과 배질을 시빌이 출연하는 로미오와 줄리엣 공연에 초대한다. 그러나 시빌은 도리언의 기대와는 달리 형편없는 연기를 펼친다. 공연이 끝나고 자신을 찾아온 도리언에게, 시빌은 도리언을 사랑하게 된 후 연기가 가짜라는 생각이 들어 집중할 수 없었다고 대답한다. 크게 실망한 도리언은 시빌에게 매정하게 이별을 통보한다. 그리고 집으로 돌아온 후, 초상화가 조금 늙어 있는 것을 발견한다.[1]
다음날 양심의 가책을 느낀 도리언은 시빌에게 사과하려고 하나, 헨리 경이 찾아와 시빌이 자살했음을 알린다. 충격받은 도리언에게 헨리 경은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말라고 충고한다. 도리언은 그의 태도를 받아들인다. 그리고 자신 대신 늙어가는 초상화에 장막을 씌우고 집안 구석에 감춰둔다. 한편, 도리언은 헨리 경이 선물한 부도덕한 소설책에 큰 영향을 받으며 쾌락만을 추구하는 방탕한 삶에 빠져든다. 그렇게 18년이 흐르고, 도리언에 관한 평판도 나빠진다.[1]
그러던 어느 날 배질 홀워드가 도리언을 찾아온다. 파리로 떠나기 전 최근 도리언을 떠도는 나쁜 소문을 확인하기 위해서였다. 도리언은 그의 영혼을 보고 싶다는 배질에게 감춰뒀던 초상화를 보여준다. 예전의 아름다움은 흔적만 남은 채 추악하게 늙어버린 초상화를 보고, 배질은 큰 충격을 받아 도리언에게 기도할 것을 종용한다. 도리언은 순간적인 분노에 휩싸여 배질의 머리에 칼을 꽂아 죽인다. 이후, 도리언은 해부학자인 친구 앨런을 불러 협박하여, 배질의 시체를 처리하게 한다. 앨런은 그 직후 자살한다.[1]
살인에 대한 죄책감을 덜기 위해 도리언은 아편굴에 출입한다. 그때 죽은 시빌의 동생 제임스 베인이 도리언에게 복수하기 위해 찾아온다. 하지만 제임스는 도리언을 본 적이 없었고, 도리언은 자신의 젊은 모습을 보여주며 18년 전 시빌을 죽인 사람일 수 없다고 제임스를 속인다. 제임스는 납득하고 도리언을 보내준다. 그런데 그 직후 어떤 여인이 나타나 그가 진짜 도리언 그레이임을 알려준다. 제임스는 도리언을 다시 뒤쫓기 시작하고, 도리언은 죽음에 대한 공포에 휩싸인다. 그러나 제임스는 공교롭게도, 사냥터에서 도리언을 노리던 중에 오발 사고로 목숨을 잃는다. 도리언은 제임스의 죽음을 확인하고 기뻐한다.[1]
그 후 도리언은 헨리 경에게 자신의 살인죄를 넌지시 고백하고, 앞으로는 정의로운 삶을 살겠다고 다짐한다. 도리언은 시골 마을의 순박한 소녀 헤티 머턴과 사랑에 빠진다. 그러나 다시 자신의 추악한 초상화를 보고, 도리언은 새로운 삶을 살겠다는 동기가 허영과 위선에서 나온 것이었음을 깨닫는다. 초상화를 없애고 평정을 되찾겠다는 생각으로 도리언은 얼마 전 배질을 죽였던 칼을 들어 초상화를 찌른다. 그 직후, 밖으로 비명소리가 들리고 하인들이 경찰관을 데리고 도리언의 방에 찾아온다. 방 안에는 젊고 아름다운 초상화와 늙고 추악한 남자의 시체만이 남겨져 있었고, 하인들은 손가락에 끼워진 반지로 시체가 도리언 그레이였음을 확인한다.[1]
3. 등장인물
4. 작품 배경
1882년 오스카 와일드는 프랜시스 리차즈를 만나 그녀의 스튜디오를 방문했다. 1887년 리차즈는 런던으로 이주하여 와일드와 다시 만나 그의 초상화를 그렸고, 와일드는 이 사건이 소설의 영감이 되었다고 밝혔다.[4]
1889년, ''리핀콧 문스리 매거진''의 편집자 J. M. 스토다트는 랭햄 호텔에서 오스카 와일드, 아서 코난 도일 경, T. P. 길과 만찬을 함께하며 각 작가에게 단편 소설을 의뢰했다.[5][6] 와일드는 훗날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에는 자신의 많은 부분이 담겨 있다고 회고했다. 베질 홀워드는 자신이 생각하는 자신의 모습, 헨리 경은 세상이 자신을 보는 모습, 도리언은 다른 시대에 자신이 되고 싶었던 모습이라고 밝혔다.[8][30]
4. 1. 집필 배경
1882년 오스카 와일드는 오타와에서 화가 프랜시스 리차즈를 만나 그녀의 스튜디오를 방문했다. 1887년 리차즈는 런던으로 이주하여 와일드와 다시 만나 그의 초상화를 그렸고, 와일드는 이 사건이 소설의 영감이 되었다고 밝혔다.[4]1889년, ''리핀콧 문스리 매거진''의 편집자 J. M. 스토다트는 잡지에 실을 단편 소설을 구하기 위해 런던을 방문했다. 같은 해 8월 30일, 스토다트는 랭햄 호텔에서 오스카 와일드, 아서 코난 도일 경, T. P. 길과 만찬을 함께하며 각 작가에게 단편 소설을 의뢰했다.[5][6] 도일은 곧 ''네 사람의 표시''를 제출했고, 이 작품은 1890년 2월호 ''리핀콧''에 실렸다. 스토다트는 와일드로부터 소설을 의뢰한 지 7개월 후인 1890년 4월 7일에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 원고를 받았다.[6]
와일드는 훗날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에는 자신의 많은 부분이 담겨 있다고 회고했다. 베질 홀워드는 자신이 생각하는 자신의 모습, 헨리 경은 세상이 자신을 보는 모습, 도리언은 다른 시대에 자신이 되고 싶었던 모습이라고 밝혔다.[8][30]
4. 2. 출판 및 판본

1889년, ''리핀콧 월간 문예지(Lippincott's Monthly Magazine)''의 편집자 J. M. 스토다트(J. M. Stoddart)는 잡지에 실을 단편 소설을 구하기 위해 런던을 방문했다. 1889년 8월 30일, 스토다트는 오스카 와일드, 아서 코난 도일 경, T. P. 길과 랭햄 호텔에서 만찬을 함께하며 소설을 의뢰했다.[6] 도일은 ''The Sign of the Four''를 제출하여 1890년 2월호 ''리핀콧''에 게재되었고, 와일드는 1890년 4월 7일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 원고를 스토다트에게 전달했다.[6]
스토다트는 원고의 문학적 가치를 높이 평가했지만, 출판 전 와일드의 동의 없이 약 500단어를 삭제했다. 삭제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6]
- 동성애 및 동성애적 욕망 암시 구절
- 허구의 책 『라울의 비밀(Le Secret de Raoul)』과 저자 카튀유 사라쟁(Catulle Sarrazin) 관련 언급
- 그레이의 연인 시빌 베인(Sibyl Vane)과 헤티 머튼(Hetty Merton)의 "정부" 관련 언급
삭제된 원고는 1890년 6월 20일에 인쇄되어 1890년 7월호 ''리핀콧 월간 문예지'' 미국판과 영국판에 100페이지 분량으로 처음 게재되었다.[9] 같은 해, 워드, 록 앤드 컴퍼니는 잡지에 실린 소설들을 모아 출판했다.[10]


와일드는 1891년 소설판을 위해 스토다트의 편집을 유지하면서, 장의 수를 13개에서 20개로 늘리고 서문을 추가했다. 3장, 5장, 15장~18장을 새로 추가하고, 잡지판의 13장을 19장과 20장으로 나누었다.[11] 등장인물 대화 변경, 서문 추가, 장면 및 장 추가, 시빌 베인의 형제 제임스 베인 추가 등이 이루어졌다.[12]
이러한 수정은 비평에 대한 반응으로 해석되지만, 와일드는 이를 부인하며 비평가 월터 패터(Walter Pater)의 편지 영향으로 "잘못 해석될 여지가 있는" 구절을 수정했다고만 인정했다.[13][14] 수정의 상당 부분은 동성애적 암시를 완화하여 이야기의 도덕적 메시지를 단순화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6] 잡지판(1890년)에서 베이질은 헨리 경에게 도리언을 "숭배한다"고 말하지만, 책 판(1891년)에서는 "나의 예술가로서의 삶은 그에게 달려 있다"라고 말하며 예술에 대한 강조점을 옮겼다.
와일드는 추가된 텍스트를 통해 도리언의 혈통 등 세부 정보를 제공하여 "심리적 붕괴를 더욱 장기적이고 설득력 있게" 만들었다.[15] 제임스 베인의 등장은 시빌 베인의 사회경제적 배경을 발전시키고, 도리언의 이기심과 비도덕적 성격을 부각하며, 빅토리아 시대 계급 투쟁의 뉘앙스를 더했다.
1891년 4월, 워드 록 앤드 컴퍼니는 개정된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을 출판했다.[16]
2011년, 벨크냅 프레스(Belknap Press)는 ''리핀콧 월간 문예지''에 제출되었던 원고를 바탕으로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 주석이 달린 검열되지 않은 판(The Picture of Dorian Gray: An Annotated, Uncensored Edition)''을 출판했다. 이 판본에는 스토다트가 삭제했던 약 500단어 분량의 텍스트가 포함되어 있다.[18][19][20][21] 예를 들어, 베질 홀워드가 도리언 그레이를 "감정의 로맨스"로 숭배하며 여자를 사랑한 적이 없다고 고백하는 장면이 복원되었다.[19]
5. 주제
오스카 와일드는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에서 도덕성, 사회적 영향, 쾌락주의, 자기 파괴, 예술과 현실, 아름다움, 동성애 코드, 성역할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소설은 빅토리아 시대 런던의 화실에서 시작된다. 헨리 워튼 경은 친구인 화가 배질 홀워드가 그리고 있는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화를 감상한다. 도리언의 아름다움에 흠뻑 빠진 배질과 달리, 헨리 경은 도리언에게 젊음과 아름다움은 일시적인 것이니 쾌락주의적인 삶을 살 것을 권한다. 도리언은 헨리 경의 사상에 공감하며, 완성된 초상화를 보고 자기 자신 대신 초상화가 늙었으면 좋겠다고 소원한다.
도리언은 헨리 경의 영향을 받아 쾌락을 추구하며, 여배우 시빌 베인과 사랑에 빠진다. 그러나 시빌의 연기에 실망한 도리언은 그녀를 버리고, 시빌은 자살한다. 이후 도리언은 초상화가 늙어가는 것을 발견하고, 헨리 경이 선물한 부도덕한 소설책에 영향을 받아 방탕한 삶에 빠져든다.
20년 후, 배질은 도리언을 찾아와 소문의 진위를 확인하려 한다. 도리언은 초상화를 보여주고, 배질은 충격을 받아 도리언에게 기도할 것을 권한다. 도리언은 분노하여 배질을 죽이고, 친구를 협박하여 시체를 처리하게 한다. 죄책감을 덜기 위해 아편굴에 출입하던 도리언은 시빌의 동생 제임스 베인에게 복수당할 뻔하지만, 젊음을 이용해 위기를 모면한다. 그러나 제임스는 도리언을 쫓고, 결국 사냥터에서 오발 사고로 사망한다.
도리언은 헨리 경에게 자신의 죄를 고백하고, 앞으로 정의로운 삶을 살겠다고 다짐한다. 그러나 자신의 동기가 위선과 호기심에서 비롯된 것임을 깨닫고, 초상화를 없애려 한다. 도리언은 칼로 초상화를 찌르고, 하인들은 젊고 아름다운 초상화와 늙고 추악한 남자의 시체를 발견한다.
와일드는 "모든 첫 번째 소설에서 주인공은 그리스도 또는 파우스트(Faust)로서의 저자이다"라고 말했다.[35][36] 파우스트(Faust)의 전설과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 모두에서 주인공은 유혹(불멸의 아름다움)에 빠져든다. 소설 서문에서 와일드는 이 이야기의 개념이 "문학사에서 오래된 것"이지만 자신이 "새로운 형태"를 부여한 주제라고 말했다.[37]
학자들과 달리, 도리언은 악마와 거래하지 않는다. 악마는 냉소적인 쾌락주의자 헨리 경으로 대변되는데, 그는 도리언의 미덕과 순수를 타락시킬 유혹을 제시한다. 헨리 경은 "유혹을 없애는 유일한 방법은 그 유혹에 굴복하는 것이다. 저항하면 영혼이 갈망으로 병들게 된다"라고 조언한다.[38]
도리언을 타락으로 이끄는 익명의 "유독한 프랑스 소설"은 요리스-칼 위스망스(Joris-Karl Huysmans)의 『거꾸로』(À rebours, 1884)의 주제적 변형이다.[41]
일부 해설가들은 오스카 와일드의 소설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이 영국의 수상 벤자민 디즈레일리(Benjamin Disraeli)가 익명으로 출판한 첫 번째 소설 《비비안 그레이》(Vivian Grey, 1826)의 영향을 받았다고 주장한다.[42] 도리언 그레이의 연인인 시빌 베인(Sibyl Vane)의 이름은 디즈레일리의 가장 유명한 소설 《시빌》(Sybil)의 제목과 비비안 그레이의 연인인 바이올렛 페인(Violet Fane)의 이름을 변형하여 결합한 것일 수 있다.[43][44]
5. 1. 도덕성과 사회적 영향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은 도덕성과 사회적 영향력이라는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룬다. 소설 속 도리언 그레이는 헨리 경의 쾌락주의적 사상에 영향을 받아 점차 타락한다. 그는 빅토리아 시대 런던 상류 사회의 허영과 위선에 물들어가며, 자신의 도덕적 가치관을 잃어간다.[25]헨리 경은 도리언에게 젊음과 아름다움의 덧없음을 강조하며 쾌락을 추구하는 삶을 권한다. 도리언은 이러한 가르침에 따라 점점 더 자기중심적이고 쾌락만을 좇는 인물로 변모한다.[24] 이는 시빌 베인과의 관계에서 극명하게 드러난다. 시빌의 죽음 이후, 헨리 경은 도리언에게 죄책감을 느끼지 말라고 충고하며, 도리언은 이를 받아들여 자신의 행동에 대한 책임을 회피한다.[25]
도리언의 타락은 개인의 선택뿐만 아니라, 그를 둘러싼 사회적 환경의 영향도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 빅토리아 시대 런던 상류 사회의 부패와 위선은 도리언의 도덕적 타락을 부추기는 요인으로 작용한다.[25]
도리언의 여정은 쾌락주의와 도덕적 상대주의의 위험성을 경고하며, 개인의 책임과 도덕적 의무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는 인간 존재의 복잡성을 탐구하고, 사회적 가치와 개인의 선택이 어떻게 상호작용하여 도덕적 나침반을 형성하는지를 보여준다.[25]
5. 2. 쾌락주의와 자기 파괴
헨리 경의 영향으로 도리언은 감각적인 쾌락을 탐닉하는 삶을 추구한다. 그는 허름한 극장에서 셰익스피어 희곡을 공연하는 여배우 시빌 베인과 사랑에 빠져 결혼을 약속하지만, 시빌의 형편없는 연기에 실망하여 그녀를 버리고, 시빌은 자살한다.[24] 도리언은 시빌의 죽음에 죄책감을 느끼지만, 헨리 경이 준 도덕적으로 유해한 프랑스 소설의 영향으로 모든 종류의 악덕을 탐닉하며 18년을 보낸다.[24]어느 날, 도리언은 파리로 떠나기 전 자신의 방탕한 삶에 대한 소문을 확인하러 온 화가 배질을 살해하고, 친구인 과학자 앨런 캠벨을 협박하여 시체를 처리하게 한다. 앨런은 죄책감에 자살한다.[24] 죄책감에서 벗어나기 위해 아편굴을 찾은 도리언은 시빌의 오빠 제임스 베인에게 살해당할 뻔하지만, 자신의 젊음을 이용해 위기를 모면한다. 그러나 제임스는 곧 도리언이 18년 동안 늙지 않았다는 사실을 알게 되고, 그를 쫓는다.[24]
결국 제임스는 사냥터에서 오발 사고로 사망하고, 도리언은 안도하며 헨리 경에게 앞으로 정의롭게 살겠다고 말한다. 그러나 자신의 새로운 삶의 동기가 위선과 호기심, 그리고 초상화의 아름다움을 회복하려는 욕망에서 비롯된 것임을 깨닫는다.[24] 도미니크 만가니엘로(Dominique Manganiello) 교수는 헨리 경의 대화를 통해 오스카 와일드가 예술 창작이 범죄적 충동을 불러일으키는 타고난 능력을 행사한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지적했다.[24]
셸던 W. 리브먼(Shelton W. Liebman)은 와일드가 헨리 경이 지닌 위대한 심리적 지성을 포함시킨 예를 제시했다. 시빌이 죽기 전에 헨리는 인간 비이성의 기원으로 허영심을 굳게 믿었다.[25] 시빌이 죽은 후 헨리에게 이 개념은 깨지는데, 아이러니하게도 도리언이 그녀의 죽음의 원인이며 그의 동기는 헨리 경이 그에게 가르친 것과 정확히 일치한다.[25]
도리언의 여정은 쾌락주의와 도덕적 상대주의의 유혹에 굴복하는 것의 위험에 대한 경고의 이야기로, 인간 존재의 복잡성을 헤쳐나가는 데 있어 개인의 책임과 도덕적 책임의 중요성을 강조한다.[25]
5. 3. 예술과 현실, 그리고 아름다움
오스카 와일드는 소설 전반에 걸쳐 도덕성과 영향력이라는 주제를 깊이 탐구한다. 사회적 가치, 개인적 관계, 그리고 개인의 선택이 어떻게 상호 작용하여 도덕적 나침반을 형성하는지를 보여준다. 도리언은 처음에 배질 홀워드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헨리 경의 영향과 "예술과 삶에 대한 나르시시즘적 관점"에 빠지지만, 결국 그 한계를 인식한다.[24] 도미니크 만가니엘로 교수는 헨리 경의 대화를 통해 와일드가 예술 창작이 범죄적 충동을 불러일으키는 타고난 능력을 행사한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지적했다.[24]도리언이 빅토리아 시대 런던의 엘리트 사회 집단에 몰입하면서, 그는 허영과 도덕적 위선의 문화에 노출된다.[25] 셸던 W. 리브먼은 와일드가 헨리 경이 지닌 위대한 심리적 지성을 포함시킨 예를 제시했다. 시빌이 죽기 전에 헨리 경은 인간의 비이성의 기원으로 허영심을 굳게 믿었다.[25] 시빌이 죽은 후 헨리에게 이 개념은 깨지게 되는데, 아이러니하게도 도리언이 그녀의 죽음의 원인이며 그의 동기는 헨리 경이 그에게 가르친 것과 정확히 일치한다.[25]
소설은 도리언의 삶의 방식과 세계관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관계들을 제시하여 사회와 그 가치가 한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을 증명한다. 헨리 경은 분명 도리언의 관심을 사로잡는 인물이지만, 만가니엘로는 베질 또한 도리언의 "마음의 변화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인물이라고 제시한다.[24] 그러나 소설의 이 시점에서 도리언은 헨리 경의 영향 아래 너무 오랜 시간을 보냈고, "적절성"으로 베질을 무시하며, 베질로 하여금 인간에게는 영혼이 없지만 예술에는 영혼이 있다고 주장하게 만든다.[24] 도리언의 여정은 쾌락주의와 도덕적 상대주의의 유혹에 굴복하는 것의 위험에 대한 경고의 이야기로, 인간 존재의 복잡성을 헤쳐나가는 데 있어 개인의 책임과 도덕적 책임의 중요성을 강조한다.[25]
5. 4. 동성애 코드와 성 역할
소설은 남성 등장인물 간의 상호 작용을 통해 미묘하지만 분명하게 드러나는 호모에로티시즘을 묘사하며, 빅토리아 시대 영국의 엄격한 사회적 규범에 도전한다.[26] 소설은 헨리 경과 배질 간의 대화로 시작되는데, 배질은 도리언에 대한 예술적 감탄을 드러내며 아름다움, 예술, 허영의 결과와 같은 주제를 다루는 이야기의 배경을 설정한다. 이러한 상호 작용은 등장인물을 소개하고 예술가와 그의 뮤즈 사이의 복잡한 관계를 예고한다.[3]학자들은 와일드가 주인공의 이름 도리언을 고대 그리스 문화에 남성 동성애 의례를 처음으로 도입한 것으로 알려진 도리아인을 언급하며 그리스적 연애를 암시한 것으로 해석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27]
마찬가지로, 성역할은 등장인물 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고 그들의 기대와 행동을 형성한다. 특히, 남성성에 대한 기대와 빅토리아 시대 이상적인 남성상에 대한 비판은 서사 전반에 걸쳐 나타난다.[28] 영원한 젊음과 아름다움을 지닌 도리언은 전통적인 남성 역할에 도전하고, 그의 초상화의 느린 쇠퇴는 사회적 기대의 허상을 반영한다. 또한, 시빌과 같은 소설 속의 소수의 여성 등장인물들은 당시 여성들에게 허용되었던 제한적인 역할과 가혹한 판단을 비판적으로 묘사한다.[28] 소설은 이러한 주제를 탐구하며 빅토리아 시대 사회의 구조에 대한 논평을 제공하고, 남성과 여성 모두를 제한하고 규정하는 성역할의 연기적인 측면을 드러낸다.[3][28]
6. 반응 및 평가
오스카 와일드의 소설 The Picture of Dorian Gray영어』(도리언 그레이의 초상)는 출판 당시 영국 서평가들로부터 부도덕하다는 비난을 받았다. 특히 소설 속 동성애적 묘사는 빅토리아 시대의 도덕적 기준에 어긋난다는 비판을 받았다.[47] 데일리 크로니클은 "젊은이의 마음을 더럽힐 요소"가 있다고 비판했고, 스코츠 옵저버는 "왜 오스카 와일드는 '쓰레기 더미를 뒤져야만 하는가?'"라고 질문했다.[46]
이에 와일드는 언론과의 서신을 통해 자신의 소설과 예술의 신성함을 옹호하고, 소설의 동성애적 암시를 완화하는 등 수정 작업을 거쳤다.[48] 논란으로 인해 W H 스미스는 리핀콧 문리 매거진을 철수했고,[6][49] 1895년 와일드의 재판에서는 "타락한 소설"로 언급되며 구절들이 낭독되었다.[50]
초기에는 서투른 작품이라는 평가도 있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와일드의 대표작 중 하나로 인정받게 되었다.[51] 리처드 엘먼과 에두아르 로디티는 초반에 부정적인 견해를 보였으나, 이후 비평가들은 와일드의 걸작으로 평가하기 시작했다.[51]
조이스 캐럴 오츠는 "매우 훌륭하다"고 평가하면서도 명성에 대해서는 의문의 여지가 있다고 언급했다.[52] 로빈 맥키는 기술적으로 평범하지만 줄거리의 기발함이 명성을 보장한다고 평가했고,[53] 가디언(The Guardian)의 로버트 맥크럼은 영어로 쓰인 역대 최고의 소설 100편 중 하나로 선정하며 "매혹적인 빅토리아 시대 고딕 소설(Gothic) 양식의 작품"이라고 평가했다.[54]
현대 비평가들은 소설의 문학적 가치와 함께 철학적, 사회적 문제들에 주목한다. 특히 현대 사회의 외모지상주의와 쾌락주의 풍조를 비판하는 메시지는 여전히 유효하며, 독자들에게 깊은 성찰을 제공한다.
6. 1. 출판 당시의 반응
The Picture of Dorian Gray영어』가 출판되자 영국 서평가들은 이 소설을 강하게 비난했다. 비평가들은 소설의 내용이 부도덕하며 독자들을 타락시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소설 속 동성애적 묘사는 빅토리아 시대의 도덕적 기준에 어긋난다는 비판을 받았다.[47] 1890년 6월 30일자 데일리 크로니클의 서평은 와일드의 소설에 "접촉하는 모든 젊은이의 마음을 더럽힐 하나의 요소"가 담겨 있다고 비판했고, 1890년 7월 5일자 스코츠 옵저버의 평론가는 "왜 오스카 와일드는 '쓰레기 더미를 뒤져야만 하는가?'"라고 질문했다.[46]이러한 비판에 대해 오스카 와일드는 영국 언론과의 서신을 통해 자신의 소설과 예술의 신성함을 적극적으로 옹호했다.[48] 그는 또한 소설의 동성애적 암시를 완화하고 등장인물의 배경을 확장하는 등 수정 작업을 거쳤다.[48]
논란으로 인해 당시 영국 최대의 서점 체인이었던 W H 스미스는 철도역 매점에서 1890년 7월호 리핀콧 문리 매거진을 모두 철수했다.[6][49]
1895년 와일드의 재판에서 이 소설은 "타락한 소설"로 불렸고, (잡지 버전에서 발췌한) 구절들이 반대심문 중에 낭독되었다.[50]
6. 2. 현대의 평가
초기에는 이 소설이 서투른 작품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오스카 와일드의 대표작 중 하나로 인정받게 되었다.[51] 리처드 엘먼과 에두아르 로디티는 초반에 소설의 일부가 경직되고, 지나치게 길며, 자기만족적이라는 부정적인 견해를 보였다. 그러나 이후 비평가들은 이 소설을 와일드의 걸작으로 평가하기 시작했다.[51]조이스 캐럴 오츠는 이 책을 "매우 훌륭하다. 사실, 영국 소설 중 가장 강력하고 마음을 사로잡는 작품 중 하나이다"라고 평가하면서도, 이 소설의 명성에 대해서는 여전히 의문의 여지가 있다고 언급했다.[52]
2009년 비평가 로빈 맥키는 이 소설이 기술적으로 평범하며, 줄거리의 기발함이 명성을 보장했지만 그 기법이 최대한으로 활용되지는 않았다고 평가했다.[53] 2014년 3월 가디언(The Guardian)의 로버트 맥크럼은 이 소설을 영어로 쓰인 역대 최고의 소설 100편 중 하나로 선정하며 "늦은 빅토리아 시대 고딕 소설(Gothic) 양식의 매혹적이고 약간 캠프적인 작품"이라고 평가했다.[54]
현대 비평가들은 소설의 문학적 가치와 함께, 소설이 제기하는 철학적, 사회적 문제들에 주목한다. 특히, 현대 사회의 외모지상주의와 쾌락주의 풍조를 비판하는 메시지는 여전히 유효하며, 독자들에게 깊은 성찰을 제공한다.
7. 한국어 번역본
대한민국에서는 여러 출판사에서 다양한 번역본이 출간되었다. 다음은 출간된 도서 목록의 일부이다.
출판사 | 옮긴이 | 출간일 | 비고 |
---|---|---|---|
창우사 | (미상) | 1990년 10월 | |
일신서적 | 이원용 | 1993년 2월 | |
황금가지 | 이선주 | 2003년 10월 | |
종이나라 | 정성희 | 2005년 2월 | 그림: 양창규 |
신원문화사 | 성낙수, 임현옥, 이승후 | 2007년 7월 | 중학생이 보는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 |
펭귄클래식코리아 | 김진석 | 2008년 10월 | |
지식을만드는지식 | 원유경 | 2008년 10월 | |
아이세움 (미래엔아이세움) | 이비단 (엮음) | 2008년 12월 | 그림: 이지훈, 영원한 아도니스를 꿈꾸다! |
현대문화센터 | 하윤숙 | 2009년 10월 | |
예담 | 서민아 | 2010년 3월 | |
위즈덤하우스 | 서민아 | 2018년 5월 | 그림: 박희정 |
열린책들 | 윤희기 | 2010년 12월 | |
문예출판사 | 임종기 | 2011년 12월 | |
동서문화사 | 한명남 | 2012년 6월 | 도리언 그레이 초상/살로메 |
더클래식 | 베스트트랜스 | 2013년 11월 | |
한국헤르만헤세 | 김선형 (엮음) | 2014년 8월 | 그림: 최영한, 명문대 선정 세계문학 49 |
생각뿔 | 엄인정, 이한준 | 2019년 2월 | 전 2권 |
자화상 | 하소연 | 2020년 1월 |
8. 각색
1900년 사망 후 초기에는 와일드의 작품이 널리 인정받지 못했지만,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은 학계와 대중의 많은 관심을 끌게 되었고, 영화, 연극, 뮤지컬, 드라마 등 다양한 형태로 각색되었다.
1913년, 작가 G. 콘스탄트 라운즈베리가 런던의 보데빌 극장에서 이 작품을 무대화했다.[16] 같은 10년대에는 여러 편의 무성 영화로 각색되었다. 가장 잘 알려지고 비평가들로부터 극찬을 받은 영화 각색은 1945년의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이다. 이 영화는 최고의 흑백 촬영상을 수상했고, 시빌 베인 역을 맡은 앤절라 랜스버리는 여우조연상 후보에 올랐다.
2003년, 스튜어트 타운센드가 영화 ''리그 오브 익스트라오디너리 젠틀맨''에서 도리언 그레이를 연기했다. 2009년에는 벤 반즈가 도리언 역을, 콜린 퍼스가 헨리 경 역을 맡은 영화 ''도리언 그레이''로 소설이 느슨하게 각색되었다. 알렉산더 블라호스는 2013년 데이비드 렐웰린이 각본을 쓴 일련의 오디오 드라마에서 이 인물을 연기했다.[55] 리브 카니는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쇼타임에서 방영된 존 로건의 ''페니 드레드풀''에서 도리언 그레이를 연기했다.
도리언 상[56]은 와일드를 기리고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을 언급하며 이름 지어졌다. 원래 상은 와일드의 이미지와 검은색 나비 넥타이를 든 손 그림이 있는 간단한 증서였다.[57] 첫 도리언 상은 2010년 1월에 발표되었다 (후보는 그 전 달에 공개됨).[58]
2016년 한국에서 초연된 뮤지컬 '도리언 그레이'는 김준수, 박은태 등 인기 배우들의 출연과 함께 큰 화제를 모았다.[63]
8. 1. 영화
1900년 사망 후 초기에는 와일드의 작품이 널리 인정받지 못했지만,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은 학계와 대중의 많은 관심을 끌게 되었고, 영화와 무대를 통해 많은 각색이 이루어졌다.
1913년, 작가 G. 콘스탄트 라운즈베리가 런던의 보데빌 극장에서 이 작품을 무대화했다.[16] 같은 10년대에는 여러 편의 무성 영화로 각색되었다. 아마도 가장 잘 알려지고 비평가들로부터 가장 극찬을 받은 영화 각색은 1945년의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일 것이다. 이 영화는 최고의 흑백 촬영상을 수상했고, 시빌 베인 역을 맡은 앤절라 랜스버리는 여우조연상 후보에 올랐다.
2003년, 스튜어트 타운센드가 영화 ''리그 오브 익스트라오디너리 젠틀맨''에서 도리언 그레이를 연기했다. 2009년에는 벤 반즈가 도리언 역을, 콜린 퍼스가 헨리 경 역을 맡은 영화 ''도리언 그레이''로 소설이 느슨하게 각색되었다. 알렉산더 블라호스는 2013년 데이비드 렐웰린이 각본을 쓴 일련의 오디오 드라마에서 이 인물을 연기했다.[55] 리브 카니는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쇼타임에서 방영된 존 로건의 ''페니 드레드풀''에서 도리언 그레이를 연기했다.
도리언 상[56]은 와일드를 기리고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을 언급하며 이름 지어졌다. 원래 상은 와일드의 이미지와 검은색 나비 넥타이를 든 손 그림이 있는 간단한 증서였다.[57] 첫 도리언 상은 2010년 1월에 발표되었다 (후보는 그 전 달에 공개됨).[58]
; 1945년 -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The Picture of Dorian Gray)
배역 | 배우 |
---|---|
도리언 그레이 | 허드 햇필드 |
헨리 워튼 | 조지 샌더스 |
글래디스 홀워드 | 도나 리드 |
시빌 베인 | 앤절라 랜즈베리 |
데이비드 스톤 | 피터 로포드 |
바질 홀워드 | 로웰 길모어 |
제임스 베인 | 리처드 프레이저 |
앨런 캠벨 | 더글러스 월턴 |
; 1970년 - 『도리언 그레이/아름다운 초상화』(The Secret of Dorian Gray)
배역 | 배우 |
---|---|
도리언 그레이 | 헬무트 버거 |
바질 홀워드 | 리처드 토드 |
헨리 워튼 | 허버트 롬 |
시빌 베인 | 마리 리슈달 |
귄드린 워튼 | 마가렛 리 |
앨리스 캠벨 | 마리아 로옴 |
아드리아네 | 베릴 커닝햄 |
랙스턴 부인 | 이사 미란다 |
에스터 크루스톤 | 엘레오노라 로시 드라고 |
앨런 캠벨 | 레나토 로마노 |
제임스 베인 | 스튜어트 블랙 |
; 2009년 - 『도리언 그레이』(Dorian Gray)
배역 | 배우 (일본어 더빙) |
---|---|
도리언 그레이 | 벤 바네스 (나카오 사토시) |
헨리 워튼 | 콜린 퍼스 (니시가키 슌사쿠) |
시빌 베인 | 레이첼 하드-우드 (유키 아스카) |
에밀리 워튼 | 레베카 홀 (노노야마 에리) |
레이디 빅토리아 워튼 | 에밀리아 폭스 |
바질 홀워드 | 벤 채플린 (키쿠치 야스히로) |
아가타 | 피오나 쇼 |
레이디 래들리 | 캐롤라인 구드올 |
앨런 캠벨 | 더글러스 헨쇼 |
제임스 베인 | 조니 해리스 |
빅터 | 핍 토렌스 |
극장주 | 데이빗 스팀 |
캐롤린 바넷 | 토라 셰필드 |
셀리아 래들리 | 조 우드콕 |
앙젤리크 | 루이스 로즈 (나카노 유키) |
8. 2. TV 드라마
; 1976년 - 『드라마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 (BBC Play of the Month-The Picture of Dorian Gray):* 제작: 영국
:* 감독: 존 코리
:* 출연
:** 피터 퍼스
:** 존 길구드
; 1982년 - 도리언 그레이의 죄악 (The Sins of Dorian Gray)
:* 제작: 미국
:* 감독: 토니 메이럼
:* 출연
:** 벨린다 바워
:** 앤서니 퍼킨스
:** 조셉 보텀스
:** 올가 카를라토스
리브 카니는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쇼타임에서 방영된 존 로건의 페니 드레드풀에서 도리언 그레이를 연기했다.[55]
8. 3. 연극 (한국)
1996년 9월 19일부터 30일까지 宝塚バウホール(다카라즈카 바우홀), 1997년 1월 22일부터 29일까지 일본청년관에서 극단 시즈쿠 별组에 의해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이 상연되었다. 작·연출은 나카무라 아카츠키가 맡았다.[59] 주요 배역은 다음과 같다.
2009년 8월 21일부터 31일까지 세타가야 퍼블릭 시어터(世田谷パブリックシアター)에서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이 공연되었다. 구성 및 각본은 G2(G2 (演出家)), 연출은 스즈키 카츠히데(鈴木勝秀)가 맡았으며, 주연은 야마모토 코시(山本耕史)였다.[59] 주요 출연진은 다음과 같다.
배역 | 배우 |
---|---|
도리안 그레이 | 야마모토 코시(山本耕史) |
시빌 베인 | 스도 온코(須藤温子) |
헨리 워튼 | 카나 코카즈(加納幸和) |
제임스 베인 | 요네무라 료타로(米村亮太朗) |
바질 홀워드 | 이다테 아키라(伊達暁) |
2015년 8월 16일부터 18일, 9월 1일부터 6일까지는 신국립극장 중극장(新国立劇場中劇場), 8월 22일부터 26일까지는 모리노미야 필로티홀(森ノ宮ピロティホール), 8월 29일과 30일에는 캐널시티 극장(キャナルシティ劇場)에서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이 공연되었다. 극본은 G2(演出家)(G2), 연출은 글렌 월포드(グレン・ウォルフォード)가 맡았으며, 주연은 나카야마 유마(中山優馬)였다.[60] 주요 배역은 다음과 같다.
배역 | 배우 |
---|---|
도리언 그레이 | 나카야마 유마(中山優馬) |
시빌 베인 | 마이바 미미(舞羽美海) |
헨리 워튼 | 도쿠야마 히데노리(徳山秀典) |
제임스 베인 | 나카다 히로키(仲田拡輝) |
베질 홀워드 | 김순라(金すんら) |
2018년 9월 21일부터 30일까지는 博品館劇場(하쿠힌칸 극장)에서, 10월 10일부터 11일까지는 梅田芸術劇場(우메다 예술극장) 시어터 드라마시티에서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이 상연되었다. 각본 및 연출은 荻田浩一(오기타 코이치)가 맡았으며, 주연은 良知真次(료우치 신지)였다.[61] 주요 배역은 다음과 같다.
배역 | 배우 |
---|---|
도리안 그레이 | 良知真次(료우치 신지) |
헨리 워튼 | 東山義久(히가시야마 요시히사) |
8. 4. 뮤지컬 (한국)
'''도리언 그레이'''는 2016년에 초연된 뮤지컬이다. 조용신(조영신)이 극본을 쓰고, 이지나가 연출 및 각색을, 김문정이 작곡을 맡았다.[63]; 주요 출연진
8. 5. 낭독극 (일본)
2023년 5월 2일부터 7일까지 도쿄 FM 홀(TOKYO FM HALL)에서 낭독극이 공연되었다. 각본과 연출은 호시카 유리코[64][65]가 맡았다.출연진은 다음과 같다.
공연 시간 | 도리안 그레이 | 헨리 워튼 경 앨런 캠벨 | 베질 홀워드 제임스 베인 | 시빌 베인 빅토리아 워튼 이니드Inid영어 |
---|---|---|---|---|
5월 2일(화) 19:00 | 키지마 류이치(木島隆一) | 코마다 코우(駒田航) | 야마나카 마히토(山中真尋) | 야마자키 하루카(山崎はる香) |
5월 3일(수) 13:00 | 테라시마 준타(寺島惇太) | 나카자와 마사토모(中澤まさとも) | 아베 아츠시(阿部敦) | 코가 아오이(古賀葵) |
5월 3일(수) 19:00 | 시게마츠 치하루(重松千晴) | 야마구치 토모히로(山口智広) | 타카하시 히로키(高橋広樹) | 오다 리카코(逢田梨香子) |
5월 4일(목) 13:00 | 타케우치 에이지(竹内栄治) | 카미오 신이치로(神尾晋一郎) | 아베 아츠시(阿部敦) | 아오야마 나기사(青山なぎさ) |
5월 4일(목) 19:00 | 하마 켄토(濱健人) | 카미오 신이치로(神尾晋一郎) | 야노 쇼고(矢野奨吾) | 이소베 카린(礒部花凜) |
5월 5일(금) 13:00 | 타치바나 신노스케(立花慎之介) | 나카자와 마사토모(中澤まさとも) | 이치카와 아오이(市川蒼) | 오다 리카코(逢田梨香子) |
5월 5일(금) 19:00 | 이토 켄토(伊東健人) | 마스모토 타쿠야(増元拓也) | 이치카와 아오이(市川蒼) | 야노 키세노(安野希世乃) |
5월 6일(토) 13:00 | 오카모토 노부히코(岡本信彦) | 코마다 코우(駒田航) | 시오야 후미야스(汐谷文康) | 이소베 카린(礒部花凜) |
5월 6일(토) 19:00 | 오카모토 노부히코(岡本信彦) | 마스모토 타쿠야(増元拓也) | 카사마 준(笠間淳) | 쿠마자와 세리나(熊沢世莉奈) |
5월 7일(일) 12:30 | 하타나카 유(畠中祐) | 키시오 다이스케(岸尾だいすけ) | 츠치다 레오(土田玲央) | 오오쿠보 루미(大久保瑠美) |
5월 7일(일) 18:00 | 하타나카 유(畠中祐) | 코바야시 유스케(小林裕介) | 츠치다 레오(土田玲央) | 토요다 모에(豊田萌絵) |
스태프는 다음과 같다.
- 음악: 아베 아츠시(阿部篤志)
- 무대감독: 이마이 토히코(今井東彦)
- 조명: 카시마 아카네(加島茜)
- 음향: 오가와 요헤이(小川陽平)
- 의상: 우에스기 마미(上杉麻美)
- 연출 보조: 야마우치 미오(山内未央)
- 홍보 미술: 후루야 테츠시(古谷哲史)
- 주최・기획・제작: MA퍼블리싱(MAパブリッシング)/선라이즈 프로모션 도쿄(サンライズプロモーション東京)
참조
[1]
서적
The Picture of Dorian Gray
Penguin Classics
[2]
뉴스
The 100 best novels: No 27 – The Picture of Dorian Gray by Oscar Wilde (1891)
https://www.theguard[...]
2014-03-24
[3]
웹사이트
The Picture of Dorian Gray
gutenberg:174
[4]
학술지
Oscar Wilde on the Origin of "The Picture of Dorian Gray": A Recovered Letter
https://www.jstor.or[...]
2010-07-01
[5]
서적
Selected Letters
Oxford University Press
[6]
서적
The Picture of Dorian Gray: An Annotated, Uncensored Edition
Belknap Press (Harvard University Press)
[7]
서적
A Thousand Words: Portraiture, Style, and Queer Modernism
https://books.google[...]
Ohio State University Press
2006
[8]
학술지
The Context of Invention: Suggested Origins of "Dorian Gray"
https://www.jstor.or[...]
1976
[9]
학술지
"The Picture of Dorian Gray" in Context: Intertextuality and "Lippincott's Monthly Magazine"
https://www.jstor.or[...]
2010
[10]
서적
Bibliography of Oscar Wilde
T. Werner Laurie
1914
[11]
웹사이트
Differences between the 1890 and 1891 editions of "Dorian Gray"
https://web.archive.[...]
Github.io
[12]
학술지
Paradox and the Preface to "Dorian Gray"
https://www.jstor.or[...]
2012
[13]
서적
Oscar Wilde: Interviews and Recollections
https://books.google[...]
Springer
[14]
서적
An Inquiry into Oscar Wilde's Revisions of 'The Picture of Dorian Gray
Garland
[15]
서적
The Picture of Dorian Gray
Penguin Classics
[16]
서적
The Picture of Dorian Gray
Oxford University Press
[17]
서적
Bibliography of Oscar Wilde
T. Werner Laurie
1914
[18]
웹사이트
The Picture of Dorian Gray – Oscar Wilde, Nicholas Frankel – Harvard University Press
http://www.hup.harva[...]
Hup.harvard.edu
[19]
뉴스
Uncensored Picture of Dorian Gray published
https://www.theguard[...]
2011-04-27
[20]
뉴스
Thursday: The Uncensored "Dorian Gray"
https://www.washingt[...]
2011-04-04
[21]
서적
The Picture of Dorian Gray: An Annotated, Uncensored Edition
Belknap Press (Harvard University Press)
[22]
서적
The Complete Works of Oscar Wilde, Vol. 3: The Picture of Dorian Gray: The 1890 and 1891 Texts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23]
서적
The Artist as Critic
[24]
학술지
Ethics and Aesthetics in "The Picture of Dorian Gray"
https://www.jstor.or[...]
1983
[25]
학술지
Character Design in "the Picture of Dorian Gray"
https://www.jstor.or[...]
1999
[26]
학술지
Homoerotic codes in The Picture of Dorian Gray
https://lup.lub.lu.s[...]
[27]
학술지
Greek Love and Love for All Things Greek: Gay Subtext and Greek Intertext in Works by Oscar Wilde
https://studentthese[...]
[28]
학술지
Femininity and Female Presence in Oscar Wilde's The Picture of Dorian Gray
https://diposit.ub.e[...]
[29]
웹사이트
Your handwriting fascinates me and your praise charms me
https://natlib.govt.[...]
[30]
웹사이트
The Picture of Dorian Gray
https://archive.toda[...]
The Modern Library
[31]
학술지
Symons, Gray, and Wilde: A Study in Relationships
[32]
서적
The Picture of Dorian Gray: An Annotated, Uncensored Edition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33]
웹사이트
Ten Famed Literary Figures Based on Real-Life People
https://web.archive.[...]
2012-09-13
[34]
서적
Whistler and Montesquiou: The Butterfly and the Bat
The Frick Collection/Flammarion
[35]
서적
The Picture of Dorian Gray
https://books.google[...]
Magnum Books
1969
[36]
웹사이트
Shaw and Wilde
https://www.britanni[...]
Britannica
2020-09-08
[37]
서적
The Picture of Dorian Gray
Penguin Classics
[38]
서적
The Picture of Dorian Gray
Penguin Classics
[39]
웹사이트
The Picture of Dorian Gray
http://education.yah[...]
2006-07-29
[40]
서적
The Picture of Dorian Gra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41]
서적
Oscar Wilde
https://books.google[...]
Vintage Books
[42]
뉴스
The 100 best novels: No 11 – Sybil by Benjamin Disraeli (1845)
https://www.theguard[...]
Guardian News and Media Limited
2013-12-02
[43]
서적
Vivian Grey
Longmans, Green and Co
1826
[44]
학술지
Lady Alroy's Secret: 'Surface and Symbol' in Wilde's 'The Sphinx without a Secret'
[45]
서적
Disraeli
1853
[46]
뉴스
Wilde's Portrait of Subtle Control
https://web.archive.[...]
2010-04-07
[47]
웹사이트
The Modern Library
http://www.randomhou[...]
2006-07-06
[48]
웹사이트
CliffsNotes:The Picture of Dorian Gray
http://www.cliffsnot[...]
2006-07-05
[49]
웹사이트
The Picture of Dorian Gray as first published in Lippincott's Magazine
https://www.bl.uk/co[...]
2022-11-19
[50]
서적
Oscar Wilde: Interviews and Recollections
https://books.google[...]
Springer
[51]
학술지
Character Design in "the Picture of Dorian Gray"
https://www.jstor.or[...]
1999
[52]
학술지
"The Picture of Dorian Gray": Wilde's Parable of the Fall
https://www.jstor.or[...]
1980
[53]
뉴스
Classics Corner: The Picture of Dorian Gray
https://www.theguard[...]
2009-01-25
[54]
뉴스
The 100 best novels: No 27 – The Picture of Dorian Gray by Oscar Wilde (1891)
https://www.theguard[...]
2014-03-24
[55]
웹사이트
3. The Picture of Dorian Gray - The Confessions of Dorian Gray
http://www.bigfinish[...]
Big Finish
[56]
웹사이트
https://galeca.org/a[...]
2023-02-19
[57]
웹사이트
Party Pics: Hollywood Gay and Lesbian Entertainment Critics Association Winners Toast
http://www.eonline.c[...]
2017-11-29
[58]
뉴스
Single Man, Glee, Grey Gardens Top Dorian Awards
http://www.thewrap.c[...]
2010-01-20
[59]
웹사이트
公演情報 > 2009年度の公演情報 > ドリアン・グレイの肖像
https://setagaya-pt.[...]
SETAGAYA ARTS FOUNDATION/SETAGAYA PUBLIC THEATRE
[60]
웹사이트
中山優馬主演×グレン・ウォルフォード演出『ドリアン・グレイの肖像』が今夏上演決定
https://web.archive.[...]
シアターガイド
2015-05-08
[61]
웹사이트
荻田浩一演出「ドリアン・グレイの肖像」良知真次が“この上ない美青年”に
https://natalie.mu/s[...]
ステージナタリー
2018-06-19
[62]
뉴스
The really Wilde show: Matthew Bourne takes on Dorian Gray
https://www.independ[...]
2008-07-23
[63]
뉴스
歌手キム・ジュンス、ミュージカル『ドリアン・グレイ』にワンキャスティング
https://web.archive.[...]
2016-07-05
[64]
웹사이트
保科由里子がオスカー・ワイルド「ドリアン・グレイの肖像」を朗読劇に、寺島惇太ら出演
https://natalie.mu/s[...]
2023-03-29
[65]
웹사이트
朗読劇「ドリアン・グレイの肖像」木島隆一・岡本信彦ら全キャスト決定
https://natalie.mu/s[...]
2023-04-0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