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도시권 (네덜란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덜란드 도시권은 10세기부터 19세기까지 네덜란드, 벨기에, 룩셈부르크 지역에서 영주가 특정 도시에 부여한 권리를 의미한다. 도시권을 받은 도시는 상업 활동과 경제적 번영을 누렸으며, 방어벽 설치, 시장 개설, 세금 부과 등의 특권을 가졌다. 956년 데벤터르를 시작으로 많은 도시에 도시권이 부여되었으며, 16세기에 네덜란드가 공화국으로 발전하는 데 기여했다. 중앙 집권화로 인해 도시권의 역할은 점차 축소되었으며, 1851년 지방 자치법 시행으로 도시, 읍, 마을의 법적 특권 간의 차이는 완전히 폐지되었다. 현재 네덜란드에서는 도시라는 구분 없이 헤멘터라는 기초 자치 단체 단위로 구성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시법 - 시장도시
    시장 도시는 고대부터 존재하여 중세 시대 유럽 경제 발전의 중요한 요소로 부상했으며, 무역, 사회적 교류의 중심지 역할을 하다가 상설 상점의 등장으로 중요성이 감소했으나, 현재에도 유럽과 한국에서 그 개념이 유지, 발전되고 있다.
  • 벨기에의 역사 - 합스부르크 네덜란드
    합스부르크 네덜란드는 1482년부터 1795년까지 현재의 네덜란드, 벨기에, 룩셈부르크를 포함하는 지역으로, 부르고뉴 공작령 상속으로 합스부르크 가문의 지배를 받았으나 스페인의 가톨릭 박해와 전제정치로 80년 전쟁을 겪으며 북부 7개 주는 독립하고 남부 지역은 합스부르크의 지배를 받았다.
  • 벨기에의 역사 - 워싱턴 회담
    워싱턴 회담은 제1차 세계 대전 후 미국 주도로 1921년부터 1922년까지 워싱턴 D.C.에서 개최된 9개국 국제 회의로, 해군 군비 제한, 태평양 지역 질서 재편, 중국 문제 등을 논의하여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 등 일련의 조약을 체결하고 만주사변 이전까지 동아시아 국제 질서를 규정하는 워싱턴 체제를 성립시켰다.
도시권 (네덜란드)

2. 네덜란드권의 도시권

위트레흐트의 도시권 문서


네덜란드권에서의 '''도시권'''(네덜란드어: Stadsrechten, 영어: City rights in the Low Countries)은 10세기부터 19세기까지 네덜란드권(현재의 네덜란드, 벨기에, 룩셈부르크 일부인 저지대 국가)에서 영주가 특정 도시에 부여한 권리이다. 중세에는 이 권리를 얻은 도시만이 '시'를 칭할 수 있었다. 도시권 획득 조건은 주민 수와 관계가 없었다. 예를 들어 도시권을 얻은 가장 작은 시는 스타베르덴으로 인구는 40명 정도였다.

재정 문제에 직면한 봉건 영주들은 1000년경부터 정착지에 특권을 판매했다. 이 모든 특권의 집합을 도시 특권이라고 한다. 이러한 판매는 봉건 영주에게 (일회성) 수입을 안겨주었지만, 권력 상실을 대가로 치러야 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영주들은 점점 더 많은 특권을 판매했다. 이는 플랑드르를 시작으로 저지대 국가의 백작령과 공작령 내부에서 귀족에서 부르주아 계급으로 권력 이동을 초래했다. 일부 도시들은 도시 국가로 발전하기도 했다. 도시에 집중된 경제적, 군사적 권력의 증가는 부유한 상인과 무역상으로 구성된 강력한 계급을 낳았다.[1]

2. 1. 도시권의 정의와 특징

네덜란드 지역의 '''도시권''' (네덜란드어: Stadsrechten, 영어: City rights in the Low Countries)은 10세기부터 19세기까지 네덜란드 지역(현재의 네덜란드, 벨기에, 룩셈부르크 일부)에서 영주가 특정 도시에 부여한 권리이다. 중세에는 이 권리를 얻은 도시만이 "시"를 칭할 수 있었다. 주민 수와 관계없이 부여되었으며, 스타베르덴처럼 인구가 40명 정도인 소규모 도시도 도시권을 획득했다.

; 도시권 효력의 전성 시대 (13~14세기)

도시권을 받은 도시는 상인들이 이주하기에 매력적인 곳이 되었고, 결과적으로 도시 경제는 번영했다. 도시권을 부여한 영주는 도시로부터의 세수가 늘어나면서 경제적 이익을 얻었다. 중세 시대에 증가하던 전쟁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도시권과 맞바꿔 얻는 세금은 영주에게 중요해졌다. 원래 영주는 도시에 대해 일정한 권력을 보유했지만, 도시가 발전하고 그 권력을 집중시켜 독립성을 높여가는 과정에서, 어느새 영주로부터 독립한 도시 국가가 된 곳도 있었다. 이런 도시는 힘을 가진 시민과 상인이 통치하여 경제력과 군사력을 더욱 증대시켜 나갔다.[1]

최초로 도시권을 받은 도시는 데벤터르로, 956년이다. 네이메헌이 98년에 로마 제국으로부터 도시권을 얻었다는 주장이 있지만, 이들 도시는 현재까지 이어지지 않는다는 점에서 데벤터르를 가장 오래된 도시로 본다. 중세 후기에는 많은 도시에 도시권이 주어졌고, 상인과 무역상의 강력한 움직임으로 네덜란드는 16세기에 세계 최초의 근대 공화국이 되었다.

; 도시권 시대의 종언 (16세기 후반)

국가 정부가 발전하고 중앙 집권화가 진행되면서 도시권은 점차 그 역할이 줄어들었다. 네덜란드에서 마지막으로 도시권을 받은 도시는 1586년의 빌렘스타트였다. 네덜란드 공화국 시대에는 블록자일만이 1672년에 도시권을 얻었다. 1795년 바타비아 혁명 이후, 지방 자치 단체는 프랑스 모델을 따랐고, 도시 권리는 법적으로 폐지되었다. 1813년 이후 부분적으로 부활했지만, 도시는 이전과 같은 권한을 완전히 되찾지 못했다. 입법 및 사법 기능은 주권 국가의 일부가 되었다. 1848년 네덜란드 헌법과 1851년의 지방 자치법 이후, 도시, 읍, 마을의 법적 특권 간의 차이는 영구적으로 사라졌다.

19세기 초, 몇몇 중요한 읍(특히 헤이그)이 스스로를 도시라고 부르기를 원하면서 도시 지위를 부여하는 관습이 잠시 부활했다. 네덜란드에서 마지막으로 도시 지위를 부여받은 곳은 1825년의 델프스하벤이었다. 그러나 이 시기에 부여된 도시 지위는 중세 시대에 부여된 특권과는 상당히 달랐으며, 단지 상징적인 의미를 가질 뿐이었다. 이는 나폴레옹 시대에 지위를 얻은 아센과 같은 도시에도 해당된다.

2. 2. 도시권 효력의 전성 시대 (13~14세기)

도시권을 받은 도시는 상인들이 이주하기 매력적인 도시가 되었고, 그 결과 도시의 경제가 번영하게 되었다.[1] 도시권을 부여한 영주는 도시로부터의 세수가 증가함에 따라 결과적으로 경제적 이익을 누릴 수 있었다.[1] 중세 시대에 증가하던 전쟁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도시권과 교환하여 얻을 수 있는 세금은 영주에게 점점 중요해졌다.[1] 원래 영주는 도시에 대해 일정한 권력을 보유하고 있었지만, 도시가 발전하고 그 권력을 집중시켜 더욱 독립성을 높여 가던 중에 어느새 영주로부터 독립한 도시 국가처럼 된 곳도 나왔다.[1] 이런 도시는 힘을 가진 시민과 상인이 통치하여 경제력과 군사력을 더욱 증대시켜 나갔다.[1]

최초로 도시권을 받은 도시는 데벤터르로, 956년의 일이다. 이는 98년에 로마 제국으로부터 도시권을 얻은 네이메헌이 훨씬 더 오래되지 않았느냐는 주장이 있지만, 여기에서는 이들 도시가 현재 도시로 계속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를 데벤터르로 본다.[1] 중세 후기에는 많은 도시에 도시권이 주어졌고, 상인과 무역상의 강력한 움직임으로 인해 네덜란드는 16세기에 세계 최초의 근대적인 공화국이 되었다.[1]

2. 3. 도시권 시대의 종언 (16세기 후반)

중앙 집권화가 진행되면서 도시권의 역할은 점차 축소되었다. 네덜란드에서 마지막으로 도시권이 부여된 것은 1586년 빌렘스타트였다.[1] 네덜란드 공화국 시대(1581~1795년)에는 블록자일만이 1672년에 도시권을 얻었다.[1] 18세기 말 바타비아 혁명 이후 프랑스식 지방 자치 제도가 도입되면서 도시권은 무효화되었다.[1] 1813년 이후 부분적으로 부활했으나, 1848년 네덜란드 헌법 제정과 1851년 지방자치법 시행으로 완전히 폐지되었다.[1]

19세기 초에 부여된 도시권은 상징적인 의미만 가졌다.[1] 1825년 델프스하벤이 마지막으로 상징적인 도시권을 획득했다.[1]

2. 4. 일반적인 도시권

도시권은 중세 시대 네덜란드 지역(현재의 네덜란드, 벨기에, 룩셈부르크 일부)에서 영주가 특정 도시에 부여한 권리이다. 이 권리를 얻은 도시만이 "시"라고 불릴 수 있었다. 도시권은 특권, 자유, 자치를 포함했다.

도시권의 종류
종류내용
특권방어벽 설치, 시장 개최, 특정 상품 독점 거래, 통행료 부과, 주화 주조, 계량, 세금 부과 등의 권리
자유도시민은 농촌 주민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이동과 거주를 보장받았다. Stadslucht maakt vrijnl(도시의 공기는 자유롭게 한다)라는 속담이 생겨났다.
자치일부 선량한 시민은 도시의 관료로 발탁되었다. 시역 내에서의 광범위한 자주 입법 및 사법권의 행사가 인정되었다.


2. 4. 1. 특권


  • 시벽 축조권: 거주 구역(시가지) 주변에 방어벽을 설치할 권리[1]
  • 시장 개설권: 시장을 개최하고 세금을 징수할 권리[1]
  • 독점 교역권: 특정 상품을 독점적으로 거래할 권리가 몇몇 도시에 주어짐[1]
  • 통행세 과세권: 통행료를 부과할 권리[1]
  • 화폐 주조권: 도시의 화폐를 주조할 권리[1]
  • 계량권: 화물, 가축, 농산물 등의 공식적인 계량을 조직할 권리[1]
  • 세금 부과권: 세금을 부과할 권리[1]

2. 4. 2. 자유

도시민은 농촌 주민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이동과 거주를 보장받았다. Stadslucht maakt vrijnl(도시의 공기는 자유롭게 한다)라는 속담이 생겨났다.

2. 4. 3. 자치

일부 선량한 시민은 도시의 관료로 발탁되었다. 시역 내에서의 광범위한 자주 입법 및 사법권의 행사가 인정되었다.

3. 주요 도시에 도시권이 부여된 연도

연도도시
956데벤터르
1118스타보렌
1122위트레흐트
1127아르덴부르크
1180헐스트
1183비어플리트
1185헤르토겐보스
1190주트펜
1204마스트리흐트
1212베르헌 옵 좀
1212브레다
1213악셀
1213헤르트뤼이덴베르흐
1217미델부르흐
1220도르드레흐트
1223베스트카펠러
1223돔부르흐
1230네이메헌
1230오이스터르윅
1230졸레
1231하르데르베이크
1231로어몬트
1232신트 오덴로데
1232아인트호벤
1233엘부르흐
1233흐라베
1233로켐
1233아른험
1233헨트
1234하를링겐
1236캄펜
1237두스부르흐
1237두이팅험
1237오스트부르흐
1242신트 안나 테르 뮈이던
1243레이센
1243시타르트
1245흐로닝언
1245하를렘
1246델프트
1246스헤라벤잔더
1248오멘
1248빈켈
1248지리크제
1249올덴잘
1252하셀트
1254알크마르
1256 또는 1258레넨
1259아머스포르트
1260프레란트
1263호르
1263바헤닝언
1265오우데르워터
1266레이던
1271몬트포르트
1271뉘우스타트
1272호다
1272스테인베르헌
1272펜로
1273플라르딩겐
1275헤네뮈이던
1275스히담
1276서스테런
1277흐로엔로
1280스호온호벤
1283뉘우포르트
1285레우와르던
1289메뎀블릭
1290슬루이스
1295뉘우헤인
1296뮈이던
1298베버르윅
1298도쿰
1298스타페르던
1299하템
1300암스테르담
1300엠브루헤
1300베이크 비이 뒤르스태더
1300경나르던
1303이젠다이크
1303발베이크
1306브리에레
1312호데레데
1313아스페렌
1314휘센
1315이엘스트
1315플리싱언
1315비에링언
1315찰트봄멜
1318퀼렘보르흐
1318회스덴
1322고린켐
1322아메르스톨
1325엔스헤데
1325오트마르쉼
1327아핑게담
1327스테인베이크
1328마스봄멜
1329몬트포르트
1329베셈
1331이슬스테인
1331빌쉼
1333델덴
1333흐라프호르스트
1336피아넨
1340로테르담
1343에흐트
1345에엠네스-뷔이텐
1346헬몬트
1349바텐부르흐
1354폴렌호베
1355베를리쿰
1355엔크호이젠
1355몬니켄담
1355페러
1355베스프
1356보우드리켐
1357에담
1357호른
1357클룬데르트
1357메겐
1362하르덴베르흐
1364스테데 브로크
1364레넨
1366톨렌
1371헤네프
1372우르던
1372힌델로펜
1374프라네커
1374레이메르스왈
1374워르쿰
1375보르쿨로
1379스헤렌베르흐
1380라벤스타인
1381헤르플리트
1382하게스테인
1383분쇼텐
1388브레데보르트
1391바른
1391헤우켈럼
1394알멜로
1395뷔렌
1396하스트레흐트
1398노르트베이크
1399오스
1402셸링크후트
1404케펠
1405호스
1407레르담
1408코에보르던
1410푸르메렌트
1413네이케르크
1414아베케르크
1414호흐바우트
1414
1414스판브로크
1414베르트
1414보흐뉨
1415바르싱어호른
1415란게데이크
1415니도르프
1415스하헌
1415텍셀
1419테르보르흐
1426슬로턴
1427제번베르헌
1431코르트헤네
1439에엠네스-비넌
1442흐람스베르헌
1452발켄뷔르흐 안 데 휠
1455볼스바르트
1456스네이크
1469헨플리트
1477브라워르스하번
1480라페스타인
1482브롱크호르스트
1487제베나르
1506필리피너
1574아르네뮈던
1584테르뇌전
1585빌렘스타트
1672블록제일
1806아위스터를리츠
1806헤이그
1809아선
1809메펄
1809오스터하우트
1809로젠달
1809틸뷔르흐
1811마슬라위스
1812잔담
1816사스 판 헨트
1819델프제일
1819빈스호턴
1825델프스하번



16세기 네덜란드는 상인과 무역상의 강력한 지위 덕분에 최초의 근대 공화국이 될 수 있었다.

3. 1. 벨기에

도시도시 권한 획득 년도
알스트1174년
아르쇼트1194년
아스1166년
안트베르펜1221년
바스토뉴1332년
빌젠1386년
브레1386년
브뤼게1128년
브뤼셀1229년
담메1180년
데인제1241년
덴데르몬데1233년
디스트1229년
딜선-스토켐1244년
뒤르뷔1331년
에클로1240년
겐트1178년
헤라르츠베르헌1068년
할렌1206년
할레1225년
하렐베케1153년
헤렌탈스1209년
헤르크데스타트1386년
1066년
호흐스트라텐1210년
이프르1174년
코르트레이크1127년
란덴1211년
루벤1211년
리르1212년
마세이크1244년
메헬렌1301년
니벨1163년
오스텐더1267년
아우데나르데1189년
포페린게1147년
뢰셀라레1250년
론세1240년
스파1594년
틸트1245년
티넨1243년
토르후트1183년
턴하우트1212년
조트레우1107년


3. 2. 룩셈부르크



''참고: 이들 중 일부는 중세 시대에 처음으로 도시 권리를 부여받았습니다.''

3. 3. 네덜란드

Stadsrechten|스타츠레흐턴nl은 10세기부터 19세기의 네덜란드 지역(현재의 네덜란드, 벨기에, 룩셈부르크 일부)에서 영주가 특정 도시에 부여한 권리이다. 중세 시대에는 이 권리를 얻은 도시만이 "시"를 칭할 수 있었다. 이 권리를 얻을 수 있는지는 주민의 수에 따라 달라지지 않았다. 예를 들어, 도시권을 얻은 가장 작은 도시는 스타페르던으로, 인구는 40명 정도였다.

네덜란드 왕국에서 도시권을 최초로 받은 곳은 956년의 데벤터르였다. 일부 도시들은 더 오래된 권리를 가졌다고 주장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네이메헌로마 제국 시대에 도시 지위를 받았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는, 포르부르흐가 있는데, 이곳은 로마 정착지인 포룸 하드리아니 부지에 건설되었으며 서기 151년경에 도시 지위를 받았지만, 3세기 후반에 버려졌다. 따라서 현재의 정착지는 로마 도시의 중단 없는 연속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연도도시
956데벤터르
1118스타보렌
1122위트레흐트
1127아르덴부르크
1180헐스트
1183비어플리트
1185헤르토겐보스 (덴 보쉬)
1190주트펜
1204마스트리흐트
1212베르헌 옵 좀
1212브레다
1213악셀
1213헤르트뤼이덴베르흐
1217미델부르흐
1220도르드레흐트
1223베스트카펠러
1223돔부르흐
1230네이메헌
1230오이스터르윅
1230졸레
1231하르데르베이크
1231로어몬트
1232신트 오덴로데
1232아인트호벤
1233엘부르흐
1233흐라베
1233로켐
1233아른험
1233헨트
1234하를링겐
1236캄펜
1237두스부르흐
1237두이팅험
1237오스트부르흐
1242신트 안나 테르 뮈이던
1243레이센
1243시타르트
1245흐로닝언
1245하를렘
1246델프트
1246스헤라벤잔더
1248오멘
1248빈켈
1248지리크제
1249올덴잘
1252하셀트
1254알크마르
1256 또는 1258레넨
1259아머스포르트
1260프레란트
1263호르
1263바헤닝언
1265오우데르워터
1266레이던
1271몬트포르트
1271뉘우스타트
1272호다
1272스테인베르헌
1272펜로
1273플라르딩겐
1275헤네뮈이던
1275스히담
1276서스테런
1277흐로엔로
1280스호온호벤
1283뉘우포르트
1285레우와르던
1289메뎀블릭
1290슬루이스
1295뉘우헤인
1296뮈이던
1298베버르윅
1298도쿰
1298스타페르던
1299하템
1300암스테르담
1300엠브루헤
1300베이크 비이 뒤르스태더
1300경나르던
1303이젠다이크
1303발베이크
1306브리에레
1312호데레데
1313아스페렌
1314휘센
1315이엘스트
1315플리싱언
1315비에링언
1315찰트봄멜
1318퀼렘보르흐
1318회스덴
1322고린켐
1322아메르스톨
1325엔스헤데
1325오트마르쉼
1327아핑게담
1327스테인베이크
1328마스봄멜
1329몬트포르트
1329베셈
1331이슬스테인
1331빌쉼
1333델덴
1333흐라프호르스트
1336피아넨
1340로테르담
1343에흐트
1345에엠네스-뷔이텐
1346헬몬트
1349바텐부르흐
1354폴렌호베
1355베를리쿰
1355엔크호이젠
1355몬니켄담
1355페러
1355베스프
1356보우드리켐
1357에담
1357호른
1357클룬데르트
1357메겐
1362하르덴베르흐
1364스테데 브로크
1364레넨
1366톨렌
1371헤네프
1372우르던
1372힌델로펜
1374프라네커
1374레이메르스왈
1374워르쿰
1375보르쿨로
1379스헤렌베르흐
1380라벤스타인
1381헤르플리트
1382하게스테인
1383분쇼텐
1388브레데보르트
1391바른
1391헤우켈럼
1394알멜로
1395뷔렌
1396하스트레흐트
1398노르트베이크
1399오스
1402셸링크후트
1404케펠
1405호스
1407레르담
1408코에보르던
1410푸르메렌트
1413네이케르크
1414아베케르크
1414호흐바우트
1414
1414스판브로크
1414베르트
1414보흐뉨
1415바르싱어호른
1415란게데이크
1415니도르프
1415스하헌
1415텍셀
1419테르보르흐
1426슬로턴
1427제번베르헌
1431코르트헤네
1439에엠네스-비넌
1442흐람스베르헌
1452발켄뷔르흐 안 데 휠
1455볼스바르트
1456스네이크
1469헨플리트
1477브라워르스하번
1480라페스타인
1482브롱크호르스트
1487제베나르
1506필리피너
1574아르네뮈던
1584테르뇌전
1585빌렘스타트
1672블록제일
1806아위스터를리츠
1806헤이그 (덴 하흐/스헤라벤하게)
1809아선
1809메펄
1809오스터하우트
1809로젠달
1809틸뷔르흐
1811마슬라위스
1812잔담
1816사스 판 헨트
1819델프제일
1819빈스호턴
1825델프스하번



상인과 무역상의 강력한 지위 덕분에 네덜란드는 16세기에 최초의 근대 공화국이 될 수 있었다.

4. 현대 네덜란드의 도시

현재 네덜란드의 지방 자치 단체 조직에는 '시'라는 구분은 없다. 대도시와 농촌 모두 기초자치단체 단위인 헤멘터가 최소 자치 단위이다.

참조

[1] 서적 De stadsrechten van graaf Willem II van Holland
[2] 웹사이트 stadsrechten.nl https://web.archive.[...] 2011-02-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